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구급대원 현장응급처치 숙련도에 대한 구급대원과 지도의사의 인식 비교

        임대성,김성춘,박송이,류지호,배병관,김선휴,최병호,양태원,김정은,강지훈,김민희,김이민,조영학,정봉규,박재기,차준재 대한응급의학회 2020 대한응급의학회지 Vol.31 No.4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EMS) providers and medical directors toward the field skill proficiency of EMS providers. We further examined differences in perception according to the certification and hospital career of individuals. Methods: This survey was conducted enrolling all active EMS providers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as well as emergency physicians who participated in direct medical direction. Pre-developed questionnaires were sent as text messages to individual EMS providers and emergency physicians using an internet-based survey tool (Google Forms).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of 25 items in 7 categories: “airway management”, “ventilatory support”, “circulatory support”, “field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trauma patients”, “field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patients with chest pain”, “field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patients with neurologic symptoms”, and “other items”. The response was based on a five-point Likert scale, where 0 score indicated no experience at all. Results: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781 EMS providers and 52 medical directors; of these, 1,314 (73.7%) EMS providers and 34 (65.3%) medical directors completed the survey. EMS providers rated themselves as above average (3 points) for most of the questions. However, the majority responded that they had no experience or low proficiency in endotracheal intubation and prehospital delivery (median 2; interquartile range [IQR], 0-3). Conversely, medical directors assessed the EMS provider’s proficiency as above average in use of I-gel, recognition of hypoglycemia, field management of trauma patients, use of oropharyngeal and nasopharyngeal airway, use of laryngeal mask airway, and optimal oxygen supply (median, 4; IQR, 3-4), but responded with low scores for most other questions. Based on the EMS provider certification, nurses scored themselves more proficient than level-1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EMTs) for intravenous access (P<0.001), whereas level-1 EMTs recognized themselves more proficient than nurses for endotracheal intubation (P<0.001), use of Magill forceps (P=0.004), and pediatric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0.001). Conclusion: This study recognized the discrepancies in the perception of EMS provider’s field skill proficiency, as perceived by EMS providers and medical directors, and between level-1 EMTs and nurses. We propose that regional EMS authorities need to make persistent efforts to narrow these perception gaps through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s for EMS providers and medical directors.

      • 응급실을 통해 입원한 패혈증 노인 환자에서 PIRO 점수체계를 이용한 중증도 분류의 타당도 평가

        임대성,최종식,권민성,이창민,권오영,이종석,최한성,홍훈표,고영관 대한응급의학회 2013 대한응급의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2

        배경: 전신염증반응증후군(SIRS)은 1991년에 패혈증의 진단 및 분류를 위한 기준으로 채택된 이래 현재까지 대부분의 패혈증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실제 임상적인 유용성과 정확도는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형태의 패혈증을 효과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predisposition, infection, response, organ failure (PIRO) 분류체계가 2001년에 소개되었고, 최근에는 이 분류체계를 이용한 중증도평가도구를 개발하려는 노력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해외문헌에서 보고된 PIRO 점수체계를 국내 패혈증 노인 환자에게 적용하여 타당도와 유용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방법: 12개월 동안에 한 대학병원의 응급실을 방문한 감염 환자 중에서 패혈증의 진단기준에 해당하고 나이 65세 이상인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관찰연구를 하였다.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the Sequential Organ Failure Assessment (SOFA), the Mortality in Emergency Department Sepsis (MEDS), the Prognostic Nutritional Index (PNI) 및 PIRO 점수를 계산하였다. 각 점수체계를 사용하여 28일 병원사망에 대한 판별력을 비교평가하였다. 결과: 연구기간 동안에 404명의 패혈증 노인 환자가 대상으로 포함되었다. 입원 28일 이내에 병원사망한 환자는 45명(11.1%)이었다. 사망에 대한 ROC 곡선 분석에서 SOFA, MEDS, PIRO의 곡선하면적은 각각 0.757, 0.785, 0.817로서 PIRO가 가장 높은 판별력을 보였다. PIRO의 predisposition 항목에 영양관련위험을 반영하여 PNI 값을 추가한 후 modified PIRO 점수를 다시 계산하였을 때 ROC 곡선하면적이 0.843으로 증가하여 PIRO 점수만 적용했을 때보다 더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결론: 응급실에서 PIRO 분류체계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패혈증 평가도구는 국내 패혈증 노인 환자의 중증도 및 사망 예후를 예측하는 데 있어서 이전의 중증도 점수체계보다 더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 KCI등재

        작업환경측정 보고제도 개선 방안 도출을 위한 조사 연구

        임대성,김치년,이승길,박정근,김기연 한국산업보건학회 2022 한국산업보건학회지 Vol.32 No.2

        Objectives: In order to reduce the burden on employers and increase the reliability of measurement results, improvements to the provisions related to the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reporting system, such as the current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nd its Enforcement Rules, are planned. This study aimed to suggest improvements for the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reporting system through a survey and Delphi investigation. Method: This survey included workplaces (health managers), national institutions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at use the results of the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reporting system for policy and supervision purposes, and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institutions that enter the results were included. In addition to the survey, we tried to derive results through meetings with stakeholders and expert advisory meetings. Results: It is difficult to abolish or partially improve the reporting system under the Enforcement Regulations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t this point because the opinions of workplaces, supervisory agencies, and measuring agencies differ in terms of its intended purpose and use. In the case of high-exposure harmful factors (over 50% on the basis of exposure) in the "comprehensive opinion" described in the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results table, it is necessary to insert unit of work with exposed harmful factors, exposure factors, and current conditions in checklists or tables so that they can be reflected in government policies. In the case of workplaces that are feared to be highly exposed to substances subject to measurement, it seems desirable to improve them so that industrial health instructors registered with the Korea Safety and Health Agency or local labor offices can provide technical guidance. As an improvement plan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data and the use of big data,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nput method for processes and jobs. Conclusion: The laws and regulations of the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reporting system are difficult to revise due to a lack of consensus among current stakeholders, but improvements can be achieved by improving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s notifications and other means. In addition,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the data from the K2B system,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nput method for processes and jobs.

      • KCI등재

        토양오염에 대한 민사상 불법행위책임 - 최근 판례(대법원 2021. 3. 11. 선고 2017다179 등)를 중심으로 -

        임대성 한국토지법학회 2022 土地法學 Vol.38 No.1

        The Supreme Court’s judgment of 2017da179 on March 11, 2021(which is the target judgment) is the case in which the land that is adjacent to the source of soil contamination is contaminated. The Supreme Court’s decision on May 19, 2016, 2009da66549, and the adjoining land contamination decision confirmed that both own and adjacent land contamination were one of issued conflict of civil rights. The target judgment includes the cost equivalent to the cost of remediation that has not yet been expended in determining the damage that is the basis for claiming damages in the right to claim compensation for soil pollution torts. The Supreme Court (refer to the Supreme Court's decision on November 27, 2014, judgment of 2014da52612) was at least at that time not sure about whether it was possible to claim the cost of soil remediation as a method of removing the obstruction against ownership. It is customary to to claim the cost of soil remediation as a method of charge based on Compensation for damages. At the same time, punitive damages were discussed and some were adopted as a way to respond to illegal acts that are gradually becoming more intelligent in claims for damages based on illegal acts, including environmental pollution lawsuits. Under this background, the need for the calculation of the scope of damage to be more realistic in claims for damages for torts is constantly being raised, even if it is not an objection to punitive damages. Accordingly, it seems necessary to discuss the interpretation of soil pollution damage as a consultation cost for remediation costs in the target decision. In particular, in order for damages based on torts to be established, the victim's damage must be recognized. In other words, it is about purification measures according to the extent of pollution. The duty to clean up soil contamination is stipulated as a discretionary act of the administration including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local governments. For example, if the scale of pollution is small among the procedures, verification of the purification process can be omitted. Satisfying purification and verification has always been a concern, so it was the soil pollution level survey and the method that recently became an issue related to soil pollution in Busan Citizens Park in 2021. Considering the case where an individual, not a corporation, proceeds with land pollution-related lawsuits, in land pollution lawsuits such as the target judgment, the scope of damages is not limited to the cost equivalent to the remediation cost or the remediation cost and business loss within the remediation period.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specificity of the land, the difficulty of complete removal of soil pollution, and the need for confirmation and management after processing. In my opinion, the cost of not jet processed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 of reducing the property value of the land, of measure the contamination of the victim's land should be included in the damage and the person in charge of pollution is necessary to be imposed an obligation to measure the contamination of the victim's land. Also, I think it is needed to reconsider the criteria for discretionary judgment of soil remediation verification. It is worthy to consider to constitute the consent of the victim, as a condition of exemption from measure the contamination of the victim's land. 대법원 2021. 3. 11. 자 2017다179 판결(이하 대상판결)은 토양오염이 발생한 오염원 토지의 인접 토지가 오염된 사례이다. 지난 대법원 2016. 05. 19. 선고 2009다66549 전원합의체 판결과 당해 인접 토지오염 판결을 통해 토양오염 사례에서 자기 토지오염과 인접 토지오염이 모두 주목받는 민사적 권리충돌 사안임이 확인되었다. 대상판결은 토양오염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에서 손해배상의 청구 근거가 되는 손해를 판단함에 아직 지출되지 않은 정화 비용 상당 비용을 포함하고 있다. 토양오염 사실을 소유권 방해로 보고 이에 따른 방해제거의 방법으로 토양정화 비용을 청구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대법원(대법원 2014. 11. 27. 선고, 2014다52612 판결 참조)은 소극적이기에 정화비용을 손해배상으로 청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동시에 환경오염소송을 비롯한 불법행위에 기한 손해배상 청구에서 점차 지능화되는 불법행위에 대한 대응 방법으로 징벌적 손해배상이 논의되고 일부 채택되기도 하였다. 이런 배경하에서 불법행위에 대한 손해배상청구에서 손해 범위의 산정이 좀 더 현실화되어야 할 필요성은 징벌적 손해배상에 대한 반대론이 아니더라도 지속해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상결정(2016년 대법원 판결을 포함)에서 토양오염 손해를 정화비용 상담비용으로 보는 해석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특히 불법행위에 기한 손해배상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피해자의 손해 발생이 우선 인정이 되어야 하는데 현행 법제에서는 발생한 손해가 인정 안 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규정이 있기에 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즉 오염범위에 따른 정화 조치 대한 점이다. 토양오염에 대한 정화 의무는 환경부, 지방자치단체를 비롯한 행정부의 재량행위로 규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그 절차 가운데 오염 규모가 적은 경우 정화과정의 검증은 생략할 수 있게 되어있다(환경보전법 제15조의6, 동법 시행령 제11조의2). 만족할 만한 정화와 검증은 늘 관심사여서 최근 2021년 부산시 시민공원 토양오염 관련 이슈가 된 것도 토양오염도 조사 여부와 조사 방법이었다. 더불어 최근 불법행위 책임법이 토양에 대한 물리적 침해 결과에 대한 제재에서 경제적 손실(손해) 등의 비물질적 침해에 대한 제재 방법으로 확대되어 기능하는데 대상판결은 이러한 점에서 소극적이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법인이 아닌 개인이 토지오염 관련 소송을 진행하는 경우까지 고려해보면 대상판결 같은 토지오염 소송에서는 손해배상의 범위를 정화 비용 상당 비용, 또는 정화 비용과 정화 기간 내 영업손실로 판단하는 데 그치지 말고, 물권의 객체로서 토지의 특수성, 토지오염 즉 토양오염의 온전한 제거의 어려움, 토양 오염제거 후 사후확인과 관리의 필요성을 고려하여야 한다고 본다. 아직 처리되지 않았지만, 필수적인 것으로 예상되는 오염된 토양의 정화 비용은 물론이고, 오염책임자에게 피해자 토지의 토지오염측정 의무를 부과하고 해당 비용을 토지의 자산가치 하락 비용과 함께 손해에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토양정화 검증의 재량적 판단에 대한 기준에 대한 재검토 및 입법적 재정비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본다. 오염토지의 소유자 등 피해자 측의 동의를 재량적 판단의 전제로 구성하는 것이 한 방법이라고 본다.

      • KCI등재

        태아의 초상권 보호 연구

        임대성 한국재산법학회 2022 재산법연구 Vol.39 No.2

        The recent decisions of the High Court in Seoul Korea 2019na2045228 (main court) and 2019na2045235 (countersu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target-decision) are cases of claims for damages due to non-performance of contractual obligations related to fetal ultrasound video supply service. In this decision, the court ruled that the legal nature of the ultrasound image of the fetus was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pregnant woman, so that the mother of the fetus has all the right to take and dispose of the photo. In the case of a video of a ‘masturbating fetus,’ which was introduced in a parent counseling program aired on TV and became famous, even if the fetus grew up after birth, it was filmed, posted, and disseminated regardless of the person's will. It is questionable whether it should be possible or not. Of course, it is judged that the target decision has specific validity in the relevant case.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types of ultrasound pictures vary from simple 2D black-and-white pictures to stereoscopic 4D pictures, and depending on the week of pregnancy, from small dots to shapes that relate parental features, a detailed review of fetal ultrasound video is not possible. seems necessary Article 3 of the current Civil Act stipulates that everyone is the subject of rights and abilities, and in the case of the fetus, it was an individual protectionism and exceptionally protected position. The Supreme Court precedent took an active stance in protecting the fetus, such as recognizing the eligibility of the insured in the accident insurance contract. Accordingly, there was a need to reexamine whether the existing theories and precedents can satisfy both specific validity and legal stability when applied to various problems related to fetal photo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osition to recognize the right to portrait of the fetus, and to discuss that the fetus can be included as a person under Article 3 of the Civil Act for this purpose, and to deal with the need for re-discussion on the rights and abilities of the fetus. In this study, the area discussed in this study is divided into torts and general legal acts (typically contracts), and considering the provision for fetal birth in the claim for damages due to torts under Article 762 of the Civil Act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cussion could be applied. In the case of juristic acts, if there are provisions in the civil law that take individual protectionism, they can be protected according to existing theories and precedents. However, in other areas, a new approach is needed, and methods such as institutionalizing a pre-procedural roadmap such as parental consent instead of maternal consent in the field of photographing fetuses or enacting portrait rights related laws should be introduced. 최근 서울고등법원 2019나2045228(본소), 2019나2045235(반소) 판결(이하 대상 판결)은 태아 초음파 동영상 공급 서비스와 관련된 계약상 채무불이행에 따른 손해배상 청구 사례이다. 본 대상 판결에서 판례는 태아의 초음파 사진의 법적 성질을 임산부의 개인정보로 판단했다. 대상 판결의 소송 당사자에 태아 측은 없었기 때문에 태아의 초상권에 대한 태아의 권리주체성, 초상권 보호성이 인정될 경우 태아인 동안 해당 태아의 초상권에 대한 보호 방안, 태아가 출생한 이후 해당 초상 이미지에 대한 권리 주장 방법 등에 대해서는 다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태아의 친부가 해당 영상에 대해 태아의 친모와 함께 관련 권한을 가지는 지도 논의되지 않았다. 따라서 태아의 모친이 해당 사진의 촬영 및 처분의 권한을 가지게 된다. TV에서 방영되는 부모 상담프로그램에서 소개되어 유명세를 치렀던 ‘자위하는 태아’의 동영상 MBC 다큐플렉스, ‘상상도 못 한 태아 초음파 사진의 비밀,’ www.youtube.com/watch?v=lwUDaPgXBLw. 의 경우 해당 태아가 출생 후 성장해서도 본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촬영․게시․유포된 것임에도 어떠한 권리도 주장할 수 없다고 해야 할 것인지 의문이다. 대상 판결은 해당 사안에서 기존의 태아의 권리능력 논의에 따를 때 타당성을 갖추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대상 판결의 사실관계를 바탕으로 태아 측의 권리 보호를 위한 정치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즉 초음파 사진의 유형이 단순 2D의 흑백 사진부터 입체 4D까지 다양하며 임신 주차에 따라 작은 점과 같은 모습부터 부모의 이목구비를 연관시키는 모습까지 다양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태아초음파 동영상에 관하여 세분된 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현행 민법 제3조는 모든 사람이 권리능력의 주체임을 밝히고 있고 태아의 경우는 개별적 보호주의를 택하여 예외적으로 보호하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헌법재판소는 명문 규정과 무관하게 태아의 생명권의 주체성이 인정된다고 보았고, 대법원 판례는 상해보험계약에서 태아의 피보험자 적격성을 인정하는 등 적극적으로 보호하는 입장을 보였다. 이에 태아의 사진과 관련된 제 문제에 적용할 때도 기존의 이론과 판례가 구체적 타당성과 법적 안정성을 두루 만족시킬 수 있는지 재검토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태아의 초상권을 인정하는 입장을 제시함과 동시에 이를 위해 태아를 민법 제3조 상의 사람에 포함될 수 있다는 논의를 전개하여 태아의 권리능력에 대한 재논의 필요성을 다루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논의하는 영역을 불법행위와 일반 법률행위(대표적으로 계약)로 나누어 민법 762조의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청구권에서 태아의 출생 간주 조항을 고려할 때 태아의 초음파 사진과 관련된 불법행위의 경우 관련 논의가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법률행위의 경우에는 개별적 보호주의를 취한 민법의 규정이 있는 경우 기존의 이론과 판례에 따라 보호될 수 있다. 그러나 그 이외의 영역에서는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며 태아의 사진을 촬영하는 분야에서 산모 동의 대신 부모의 동의와 같은 사전적․절차적 로드맵을 제도화하거나, 초상권 관련 법률을 제정하는 등의 방법을 도입하여야 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