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셜 미디어 콘텐츠 분석에 따른 참여유형 및 학습촉진방안 탐구

        임걸(Keol Lim)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6

        기술의 급격한 발달에 따라 유비쿼터스 환경 등 다양한 기술적 기반이 확충되면서 최근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교육활동인 이른바 소셜 러닝에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콘텐츠를 활용하는 학습자의 다양한 참여유형을 분석하고, 나아가 학습을 촉진시킬 수 있는 전략을 탐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구체적으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모형으로서 소셜 미디어 콘텐츠 활용 유형을 크게 두 시각으로 나누어 접근하였다. 첫째는 읽기 및 쓰기활동에 근거한 참여형태에 따른 분류로서 프로슈머형, 생산자형, 소비자형, 그리고 비참여자형으로 구분하였다. 둘째는 수업 활동 및 수업외 활동에 따른 참여내용별 분류로서 수업내용, 수업관리, 정서표현, 그리고 친교활동으로 범주화하였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참여유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K대학교 학생 14명을 대상으로 8주간 마이크로블로그를 활용한 소셜 미디어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참여형태 및 참여내용에 따른 다양한 학습활동 결과가 분석되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소셜 미디어 활용학습 촉진을 위한 방안으로 학습자 분석의 중요성, 교수자 역할의 증대, 그리고 수업모형의 설계 원리와 관련된 내용이 제시되었다. According to the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 such as ubiquitous environments,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learning with social media as known as social learn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various participation types of social media contents aiming to explore strategies for facilitating learning. Specifically, the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by two aspects in using social media contents. First was classified by writings and readings in contents, which consists of prosumers, producers, consumers, and non-participants. Second criterion was categorized by instruction-related and instruction-nonrelated, which is learning contents, learning management, emotional expression, and social activities. In order to acquire empirical data, a set of fourteen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for eight weeks using a microblog. Based on the analyses on the data through learning activities, three learning strategies were suggested to facilitate social media based learning: analysis on learners, role of the instructor, and instructional model design.

      • KCI등재
      • KCI등재

        스마트 러닝 교수학습 설계모형 탐구

        임걸 ( Keol L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1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4 No.2

        최근 등장한 스마트 러닝에 대한 관심의 확산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러닝의 개념을 도구적 접근, 환경적 접근, 그리고 이론적 접근을 통해 살펴보았다. 스마트 러닝을 수업에 적용하기 위한 원리로서는 교육내용 측면에 있어서 풍부한 학습자원의 활용, 교육방법에 있어서 상호작용을 통한 참여적 환경, 그리고 교육경험에 있어서 실제적 맥락과 경험제공을 들 수 있다. 이들 개념 및 원리에 근거하여 제시된 스마트 러닝 교수학습모형 설계는 목표설정, 자원확인, 환경선정, 수업과정 설계, 수업도구 개발, 수업적용, 그리고 평가 및 분석의 단계로 접근될 수 있다. 이 같은 스마트 러닝 현황을 기반으로 향후 개별적 수업상황에 적합한 구체적인 개발전략의 지속적 연구가 요구된다. According to recent needs for ``smart learning``, the concept of smart learning was reviewed by device, environmental, and theoretical approaches. The principle of smart learning includes three elements: First, rich instructional resources as learning contents. Second, participatory learning environments with interactions among teachers and learners as learning methods. Third, practical and realistic contexts as learning environments. Based on those characteristics, instructional designs for smart learning can be summed up as learning objectives, learning resources, instructional environments, instruction process design, instruction method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s a conclusion, it is required to systematically develop instructional designs addressing specific learning settings to facilitate smart learning.

      • KCI등재

        오프라인 강의식 수업에서 실시간 마이크로블로그 활용 학습활동 효과 사례분석

        임걸(Keol Lim)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1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2

        In-person lectures have structural issues that active communications in the classroom are limited because of the environments where the instructor usually delivers learning contents in a unilateral manner. Therefore, microcontents activities using real-time microblogging were suggested as complementary measures for the lecture in this study. Fourteen students in K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activity for eight weeks using a microblog during instruction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articipants positive learning activities increased by producing and collaborating ideas through real-time microblogging.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as follows: strategies for the attention to the class, quality management of microcontents, and the development of blended learning design should be more studied further.

      • KCI등재

        학부모의 연령, 학력 및 소득수준에 따른 스마트교육 관련변인 태도분석

        임걸(Keol Lim),박영란(Young-Ran Park),김재훈(Jae-Hoon K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8 No.11

        본 연구는 학부모들의 연령, 학력 및 소득수준에 따라 스마트교육과 관련된 주요 이슈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설문내용으로는 주로 디지털 활용 교육효과, 스마트교육에 대한 이해도, 교육개선의 필요성, 그리고 태블릿PC의 개별구입 등과 관련된 것들이었다. 연구수행을 위해 서울시내 5개 초등학교로부터 수집된 432명의 학부모 설문결과가 활용되었다. 분석 결과 첫째, 학부모들은 태블릿 PC보다 일반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가능성에 보다 우호적이었으며, 휴대폰과 SNS의 교육효과에 대해서는 매우 부정적인 편이었다. 둘째, 스마트교육과 관련된 친숙도와 이해도는 어머니의 학력 및 가계수입과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학부모들은 학교 교육방식의 변화 필요성, 그리고 학습자 측면에서는 자기주도 학습능력, 협력, 탐구능력, 창의성 등의 신장 필요성에 공감하였다. 넷째, BYOD 정책과 관련해서는 필요시 일정금액 한도 내에서 자녀에게 기기를 구입해 줄 수 있다는 의견이 우세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참조되어 학부모 의견이 적절히 반영된 스마트교육 시행이 요청된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parents' attitudes on the issues related to the Smart Education Initiative Korea. The questions included the usefulness of major digital tools for educational purposes, knowledge on the Smart Education, necessity for better educational methods, and Bring Your Own Devices (BYOD) policy. A total of 432 response cases from the parents were analyzed considering the parents' age, academic level, and income. As a result, parents regarded desktop PCs as more effective tools for learning when compared to tablet PCs. Meanwhile, mobile devices and SNSs were hardly considered as instructional tools. Second, familarity and understanding of the Smart Education were proportional to household income and mothers' education levels. Third, parents needed for the change in educational methods and agreed with the importance of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collaboration, inquiry ability and creativity. Fourth, regarding BYOD, parents were willing to buy devices with a reasonable price. In conclusion, it is required to reflect the results of the study when implementing the Smart Education throughout the nation.

      • KCI등재

        수능 인터넷강의 선호요인 사례분석

        임걸(Keol Lim),정영식(Young-Sik Jeoung)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12

        본 논문은 고등학생이 선호하는 수학능력시험 대비 인터넷 강의의 유형과 이유를 반구조화된 질적 인터뷰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성취도가 높은 수준 집단이 인터넷 강의에 대한 관심도 및 활용도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학업성취도가 낮은 수준 집단, 그리고 중간 수준 집단의 순서였다. 한편, 학업성취도가 높은 수준 집단은 사교육 업체에서 운영하는 인터넷 강의를 선호하였으며, 다른 두 집단은 상대적으로 EBSi를 선호하였다. 인터넷 강의에 지출되는 비용은 학업성취도 상·중·하 집단별로 전체 사교육비 지출대비 각각 57%, 2%, 16%였는데, 이는 거주지역과도 상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언으로,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 공교육 인터넷 강의의 질적 향상, 그리고 인터넷 강의와 학교교육의 연계성이 강조되었다. This paper aimed to understand current trends in online lectures for Korean SAT based on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s through a qualitative interview approach. In results, the highest academic performance group showed a good deal of interest and usage in online lectures. This group participants preferred private online lectures to public ones. However, the lowest academic group liked to use public online lectures. The middle academic groups who lived in an expensive area spent a lot of money for tutoring or attending private institutes rather than online lectures. Suggestions are: self-regulated learning is needed, public onilne lectures should have improved contents, and lastly, these online lectures are required to be connected with regular school curriculum.

      • KCI등재후보

        스마트폰의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동향분석 및 발전방향 연구

        정수정,임걸,고유정,심현애,김경연,Jeong, Su-Jeong,Lim, Keol,Ko, Yu-Jung,Sim, Hyun-Ae,Kim, Kyung-Yeon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0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2

        본 연구는 현재 공급되고 있는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에 다양한 기준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온라인 또는 원격교육의 특성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총 85개의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하였고, 콘텐츠 유형, 상호작용 유형, 콘텐츠 유형과 상호작용 유형의 조합을 준거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콘텐츠 유형에서 반복연습형 및 도구형 등 빈도는 높은 반면, 모의실험과 문제해결형의 빈도는 낮았다. 상호작용에 있어서는 학습자와 콘텐츠 간 상호작용 유형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는데, 따라서 원활한 학습자간 의사소통의 확장이 이루어지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SNS(Social Network Service) 어플리케이션 등의 특징을 적용하여 학습의 상호작용성을 촉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교육용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될 필요성이 있음이 발견되었다. 아울러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educational applications in smartphones with some criteria seeking to apply online learning characteristics to smartphones. For the analysis, 85 educational applications were selected and they were classified by types of educational contents, interactions, and the combina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interactions. As a result, drill-and-practice and tool types of contents ranked high, and there found to be few simulation and problem solving types. In regard to interaction types, almost all of the applications had interactions only between contents and learners, which meant little active communications when using applications. Therefore, enhanced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s among learners using the social network service platform were required in order to use educational applications in a more effective way.

      • KCI등재

        블록체인 기반 배지서비스 플랫폼 설계

        김민영,유인식,임걸,Kim, Min-Young,Yoo, In-Seak,Lim, Keol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9 No.11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투명하고 안정적으로 또한 신뢰성 있게 다룰 수 있는 기반 기술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특성상 교육 및 교수학습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폭넓게 내포하고 있다. 특히나 종단적 교육데이터의 관리에 있어서 블록체인의 기술의 적용은 데이터의 투명성과 안정성,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배지와 블록체인을 결합한 배지체인 서비스 플랫폼을 설계하였다. 본 서비스는 배지체인(Badgechain) 솔루션, 배지체인(Badgechain) 서비스를 학습 활동으로 추가하여 설정한 배지체인(Badgechain)과 연동된 Moodle LMS, 여러 기관에서 발급된 배지를 조회 및 관리 할 수 있는 배지체인(Badgechain) Wallet 사이트로 구성된다. 본 연구는 블록체인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기초 연구로써 진행하였다. The blockchain contains potential to contribute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as it provides the basic technologies which can handle the data transparently and stably in reliability. Especially, blockchain technology can guarantee the transparency, stability and reliability on the data especially in managing longitudinal education data. This study designed the Badgechain service platform combining badges and blockchains. This service consists of Badgechain solution, Moodle LMS linked to Badgechain added with Badgechain service as a learning activity, and Badgechain Wallet site where badges issued by various agencies can be viewed and managed. This study was performed as a basic study on educational use of blockchain.

      • KCI등재
      • KCI등재

        수업언어 및 학업수준에 따른 중등 영어교사의 교수언어분석 사례연구

        김상경(Kim, Sangkyung),임걸(Lim, Keol)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2013 영어어문교육 Vol.19 No.2

        This case study examined the classroom language pattern of one middle school English teacher by focusing on two variables: the instruction languages of Korean and English and the learners'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Conducting unobtrusive observations in four classes using video recording and transcripts, 2,035 utterances were collected. Quantitatively the participant teacher adapted her classroom talk to the variables: ‘clarifying activities’ was significantly used in English instruction versus ‘explaining’ in Korean instruction. ‘Repeating student answers' was frequently found only in English instruction. As for the combination of the two variables, ‘checking questions ' was sparingly used in Korean instruction for advanced students Qualitative analysis indicated ‘contextualizing’ and ‘ explaining’ needed to be used more often in English instruction, at least as much as in her Korean instruction to provide sufficient examples of language usage. Her questioning strategies were rather limited to closed-questions and her responses to student answers required improvement to effectively engage students in expanding their thinking process. The study concluded developing English teachers' abilities to teach English in English is indispensable Providing teachers with professional training to utilize their classroom talk more efficiently is cruc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