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가리쿠스 버섯 가루를 첨가한 쿠키의 최적화 연구

        이희정,정희선,주나미,Lee, Heejeong,Jeong, Hee Sun,Joo, Nami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5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1 No.2

        본 연구에서는 아가리쿠스 버섯 가루를 첨가한 쿠키 제조 조건의 최적화를 위해 아가리쿠스 버섯 가루와 버터의 양을 독립변수로 하였고, Design Expert 8(State-easy Co.)을 사용하여 실험을 계획하고 최적화하였다. 아가리쿠스 버섯 가루와 버터의 최대 및 최소범위는 예비실험을 거쳐 아가리쿠스 버섯 가루는 1~5 g, 버터는 40~70 g으로 하여 쿠키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1. 쿠키의 수분함량은 유의적으로 아가리쿠스 버섯과 버터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함량이 증가하였고(p<0.001), 독립변수가 서로 상호작용하는 2FI model이 선정되었으며, 이는 버섯의 식이섬유소의 수분 보유 성질에 의해 수분 보유력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반죽의 수분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지만 아가리쿠스 버섯이 증가할수록 감소하고 버터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 pH와 당도는 아가리쿠스 버섯과 버터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다. 색도에서 명도는 아가리쿠스 버섯 가루 1 g과 버터 70 g에서 가장 높았고, 0.1%수준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적색도는 아가리쿠스 버섯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0.1%수준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이는 버섯 특유의 색상이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황색도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3. 퍼짐성은 아가리쿠스 버섯 가루와 버터의 양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5%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도는 버터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4. 관능적 특성에서 색, 향미,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도 항목은 5%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가리쿠스 버섯 가루와 버터의 양이 많아질수록 기호도는 일정수준까지 증가하다가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의 모든 항목에서 아가리쿠스 버섯 가루 3.5 g 버터 55 g에서 기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이상의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아가리쿠스 버섯 쿠키의 유의적인 관능항목의 수치 최적화와 모형적 최적화를 통해 관능적 최적 배합비율은 아가리쿠스 버섯 가루 3.63g과 버터 55.37 g으로 산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아가리쿠스 버섯 쿠키의 영양, 기능, 품질, 기호도 측면에서 상품화를 위한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며, 아가리쿠스 버섯을 이용한 식품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mixing ratio of Agaricus blazei Murill powder and butter in the preparation of cookies. The experimental design utilized herein was based on central composite design for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hich included 10 experimental points, including 2 replicates for Agaricus blazei Murill and butter. The physical, mechan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the test were measured, and these values were applied to the mathematical models. A canonical form and perturbation plot showed the influence of each ingredient on the final mixed product. The spread ratio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an increase in Agaricus blazei Murill powder and butter (p<0.05).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as applied to evaluate the effect of Agaricus blazei Murill powder and butter on cookie moisture and color (L, a) (p<0.001). Sensory evaluation showed significant values for color (p<0.05), flavor (p<0.05), texture (p<0.05) and overall quality (p<0.01) in the predicted model. The optimum formulation by numerical and graphical methods was calculated as follows: Agaricus blazei Murill powder 3.63 g, butter 55.37 g.

      • Film screen system과 DR system하의 상부위장관 조영술 진단 결과의 비교 분석

        이희정,손순룡,강성호,장용철,류명선,Lee Hee Jeong,Son Soon Yong,Kang Sung Ho,Jang Vong Cheol,Ryu Myeong Sun 대한방사선사협회 2002 대한방사선사협회지 Vol.28 No.1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ise interest in system control for digital image of high quality by investigating diagnostic value of Digital radiographic system in upper gastrointestinal study Materials and Method : Upper gastrointestinal study wa

      • 사기질모세포종의 세침흡인 세포학적 소견 - 1예 보고-

        이희정,김병기,강창석,정은선,Lee, Hee-Jeong,Kim, Byung-Kee,Kang, Chang-Suk,Jung, Eun-Sun 대한세포병리학회 2002 대한세포병리학회지 Vol.13 No.2

        Utilization of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FNAC) in the diagnosis of odontogenic tumors seems to have little attention. Ameloblastoma is the most common epithelial odontogenic tumor. However, the cytologic findings of ameloblastoma are described recently. We report a case of ameloblastoma diagnosed by FNAC. The aspirated blood-tinged mucoid fluid from maxillary mass showed a few clusters of tumor cells with distinct two-cell population: basaloid cells with palisading arrangement and squamous cells with more abundant and eosinophilic cytoplasm. Nuclear atypism, pleomorphism or mitosis were absent. A few keratinized bodies in the tumor cell clusters and the third component, stellate cells were also characteristic.

      • KCI등재

        효소처리에 의한 참당귀 다당체 분리 연구

        이희정 ( Hee Jung Lee ),정헌상 ( Heon Sang Jeong ),박춘근 ( Chun Geon Park ),이정훈 ( Jeong Hoon Lee ),박충범 ( Chung Berm Park ),김종태 ( Chong Tai Kim ),최애진 ( Ae Jin Choi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4 산업 식품공학 Vol.18 No.4

        본 연구는 생약재로 이용되는 참당귀의 다용도 기능성 소재 개발을 통한 이용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효소처리를 활용한 기능성 다당체 분리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참당귀의 세포벽 성분 분해를 위한 최적의 효소는 Viscozyme L 로 선정되었다. 다당체 분리를 위한 효소처리는 단백분해 효소(Alcalase 및 Flavorzyme)와 전분분해효소(Termamyl 120L)를 Viscozyme L과 함께 복합적으로 처리한 VAFT 처리구가 추출 수율과 총당 함량이 각각 12.20%, 76.80% 로 다른 효소처리구(T, AFT 처리구)에 비하여 가장 높았으며, 제거된 전분 함량 역시 29.6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비전분다당체 함량이 22.58%로 T 처리구의 20.78%과 AFT 처리구의 21.98%에 비하여 유의적(p<0.001) 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참당귀 다당체 분리를 위한 최적 효소처리 조건으로 선정되었다. 비전분다당체의 주성분인 arabinose, galactose의 함량은 대조구보다 T, AFT, VAFT의 모든 효소처리구에서 유의적(p<0.001)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참당귀 다당체의 분자량 분석을 통하여 대조구 (491,000 Da)에 비하여 VAFT 효소처리구가 13,000 Da로 가장 저분자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VAFT 효소처리에 의한 참당귀 기능성 다당류의 효율적인 분리방법은 참당귀를 활용한 새로운 산업적 기능소재 및 제품 개발에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This study conducted enzyme treatments to maximize the extraction of polysaccharide components in Angelica gigas Nakai (A. gigas). An extraction method of polysaccharides was established by using different enzyme treatments for the degradation of plant cell walls. Total carbohydrates and removed starch of A. gigas increased after enzyme treatments such as Viscozyme (V), Alcalase (A), Flavorzyme (F) and Termamyl 120L (T). The yield and total carbohydrates of VAFT were 12.20% and 76.80%, respectively; an increase of 1.4 times that of T and AFT a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Removed starch content also increased by more than three times the control in water-extractable polysaccharides. Non-starch polysaccharide content of VAFT was 22.58%; it increased about 1.7 times that of the control (12.84%) and it was the highest compared to T and AFT. Arabinose and galactose, which were the main components of A. gigas polysaccharides, increased from 1.5 to 2.2 times the control in the enzyme treatment groups. The high molecular weight fraction I of the control, depending on enzyme treatment conditions, was about 491,282 Da. It degraded into a low molecular weight fraction ranged from 282,459 to 16,362 Da. The molecular weight of polysaccharides treated by the VAFT decreased to an average of 13,000 Da. So, VAFT was selected as the optimizing condition for extracting water extractable polysaccharides from A. giga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A. gigas will be widely used for industrial materials and useful to develop and research materials of different medicinal plants which are not yet known.

      • KCI등재

        연구논문 : 팽창제의 첨가량에 따른 증편의 품질특성

        이희정 ( Hee Jeong Lee ),이경희 ( Kyung Hee Lee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2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27 No.6

        This study examined the optimum conditions for producing Jeung-pyun in a faster and efficient way by replacing Takju (traditional way) with a chemical leavening agent for fermentation using dry rice powder instead of wet rice powder. The optimum amount of leavening agent for Jeung-pyun was examined by comparing the moisture content, spring ratio, pore ratio, texture, color valu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mages and appearance characteristics of Jeung-pyung (con) prepared using traditional fermentation method with those prepared with 4, 5, 6, 7, 8% of the chemical leavening agent. As a result, the 6% leavening agent-added Jeunq-ppun showed closest quality results with the traditional Jeung-pyun, and was most preferred. Therefore, 6% leavening agent is the optimum amount for making Jeung-pyun.

      • KCI등재

        u-Home 환경에서 멀티센서 기반 u-Care System 구현

        이희정 ( Hee-jeong Lee ),강신재 ( Sin-jae Kang ),장형근 ( Hyung-geun Jang ),정창원 ( Chang-won Jeong ),주수종 ( Su-chong Joo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1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2 No.2

        최근 독거노인의 수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독거노인들의 안전을 위한 시스템이 요구되며, 현재 일부 관련 서비스가 시범운영중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다양한 센서를 이용한 실내위치추적기술을 기반으로 독거노인의 행위에 대한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시스템들이 고가의 인프라가 요구되는 독거노인에게 부착된 태그나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한 홈 환경의 저가의 센서들로부터 수집된 이벤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시스템의 주요 특징으로 서비스 수행 결과를 웹 브라우저를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관련 상황정보를 휴대폰 문자메시지를 통해 보호자 및 헬스케어 관련자에게 제공한다. As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has been increasing in the recent years, systems for their safety have been required, and some related services or pilot systems have been operating. These systems provide the monitoring service for the activities of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with indoor location tracking technology using the various sensors. However, most systems provide services on expensive infrastructure such as attached tags and mobile devices. In this point, this paper attempts to suggest a system based on low cost sensors to collect event data in home environment. And a main characteristic of the system is that people can monitor the results of provided services through web browser in real time and the system can provide related context information to guardians and health care managers through SMS of mobile phone.

      • KCI등재

        공정성 원칙을 둘러싼 갈등과 변화

        이희정(Hee-Jeong Lee) 한국문화사회학회 2018 문화와 사회 Vol.26 No.2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사회갈등의 원천과 동력이 무엇인지 그리고 사회갈등해결의 토대는 무엇인지 살펴본다. 후기 뒤르케임주의 문화사회학적 관점을 최저임금 인상 논쟁에 적용한 서사분석은 사회적 연대감에 기초한 사회 정의, 즉 공정성 가치가 사회갈등의 근본 원인이자 사회갈등 해결의 원천이며, 사회갈등은 시민사회 연대감의 기반인 공정성 가치와 문화코드의 상징투쟁임을 보여준다. 최저임금 인상의 반론이 주로 형평 원칙에 의존하고 있는 반면에, 최저임금인상 주장은 형평 원칙, 필요 원칙, 거시공정성 원칙을 동원하고 있음이 관측된다. 이는 경제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의 가치 충돌이 커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경제영역의 이슈가 주로 형평 원칙에 의지하여 해결되어온 데 대하여 시민영역이 필요 원칙을 동원하여 이슈를 재해석하려는 움직임이 강화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공정성 원칙의 공존은 한국사회에서 공정성이 단편적으로 평가되기 보다는 상대적이고 복합적으로 형성되고 있음을 뜻한다. 이는 다양한 공정성 원칙들의 타협이나 조합을 통하여 사회갈등이 완화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잠재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다만, 최저임금 인상의 찬반 주장 모두 형평 원칙을 동원하고 있다는 점은 미시공정성 원칙중 형평 원칙이 한국 시민사회에서 지배적 지위의 가치로 기능하면서 사회갈등을 해소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추론을 가능하게 한다. ‘좋은 사회(good society)’라는 거시공정성은 형평 원칙과 필요 원칙의 충돌에서 조정자로 기능하지는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한국사회의 사회갈등에 ‘무엇이 공정한 것인가’ 그리고 ‘우리 사회는 어떠한 공정성을 추구하고 있고 어떤 사회가 되어야 하는가’라는 시민사회의 가치와 문화코드의 공존과 긴장이 함축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sources and driving forces of social conflicts in Korean society and the basis of social conflict resolutions. The narrative analysis of the controversy over the minimum wage increase, from the late-Durkheimian cultural sociological perspective, shows that social justice based on civic solidarity, that is the principle of justice, is the fundamental cause of social conflicts and a source of social conflict resolutions. It is found that social conflicts are symbolic struggles of the principle of justice and cultural codes, both of which are based on civic solidarity. While arguments against the minimum wage increase commonly only depend on the equity principle, it is observed that contentions in favor of the minimum wage increase seems to utilize the principles of equity, need, and macrojustice. This observation indicates growing conflicts between the economic and the social. In essence, issues in the economic sphere have been treated solely depending on the equity principle, but there has been a strong tendency for the civil sphere to reinterpret such issues with the need principle. Furthermore, the coexistence of various principles of justice means that the perception of justice in Korean society is formed in a relative and collective way rather than in a fragmented way. This suggests the potential to resolve social conflict through the compromise or combination of these various principles of justice. However, the fact that the equity principle is incorporated in all arguments for or against the minimum wage increase makes it possible to deduce that equity, among microjustice principles, serves as a dominant value in Korean civil society and plays a core role in social conflict resolution. The macrojustice principle, the concept of a “good society,” does not seem to function as a mediator in the conflict between equity and need principles. In this way, social conflicts implicate the coexistence and tension among the values and cultural codes in civil society implying the fundamental questions of “what is just?” and “what definition of just society do we idealiz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