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다발성 동시성 조기위암에 대한 임상적 고찰

        회진 ( Hoi Jin Kim ),이준행 ( Jun Haeng Lee ),이준상 ( June Sang Lee ),문태건 ( Tae Gun Moon ),김재준 ( Jae J. Kim ),이종철 ( Jong Chul Rhee ),노재형 ( Jae Hyung Noh ),손태성 ( Tae Sung Sohn ),김성 ( Sung Kim )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2 No.4

        목적: 조기위암에 대한 치료로 제한적 위 절제술과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의 발전과 함께 재발의 원인 중 하나로 알려진 다발성 동시성 조기위암에 대한 이해가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발성 동시성 조기위암의 임상적, 병리학적 특성과 수술 전 진단되지 못했던 동시성 병변들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 1월부터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조기위암으로 수술한 496예들을 수술 후 조직 검사 결과에 따라 단일 조기위암과 다발성 동시성 조기위암 두 군으로 나누어 임상적, 병리학적 특성을 다발성 조기위암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고, 수술 전 검사에서 발견하지 못했던 병변들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결과: 다발성 동시성 조기위암은 24예(4.8%)에서 발생하였고, 총 24개의 주병변과 27개의 부병변이 발견되었다. 다발성 동시성 조기위암은 남성에서 호발하였다(p=0.03). 림프절 전이의 빈도를 포함한 다른 임상적, 병리적 특성들은 단일 조기위암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다. 24명 중 6명(25%)의 환자에서 27개의 부병변 중에서 6개(25%)의 동시성 병변을 수술 전에 발견하지 못하였다. 육안적으로 5개의 병변이 평탄형이었고, 1개의 병변이 함몰형이었다. 5개의 병변은 위의 하부와 중부의 전벽과 후벽에 위치하였고, 1개는 상부의 소만측에 위치하였다. 병변의 크기는 직경이 4 mm인 병변이 2개, 8 mm인 병변이 1개, 12 mm인 병변이 2개가 있었고, 15 mm인 것이 1개 있었고, 평균 직경은 9.1 mm이었다. 병리학적 소견은 4개가 분화형 암, 2개가 미분화형 암으로 모두 점막에 국한된 병변이었다. 결론: 다발성 동시성 조기위암은 단일 조기위암과 비교하여 남성에서 호발하는 것 외에는 동일한 임상적, 병리적 소견을 보였다. 조기위암의 진료 시에는 다발성 병변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주병변과 같거나 인접한 부위의 전벽 및 후벽과 소만부를 포함한 위 전체에 대한 세심한 검사가 필요하다. Background: With the progress of limited surgery and endoscopic treatment for early gastric cancer (EGC), multiple synchronous EGCs, a cause of recurrence, become more importa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f multiple synchronous EGCs with an emphasis on features of preoperatively undiagnosed lesion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medical records of 496 patients who underwent a gastrectomy for EGC at our institution between January 2004 and December 2004. Results: Twenty-four patients (4.8%) had multiple synchronous EGCs with 24 main and 27 accessory lesions. Multiple synchronous EGCs showed male predominance (p=0.03). Other characteristics including lymph node metastasis were the same as with single EGC. Out of 27 accessory lesions, six lesions (22%) were not detected preoperatively in six patients (25%). Macroscopically five lesions were flat and one lesion was depressed. Five lesions were located at the anterior or posterior wall of the middle and low third portion and one lesion was located at the lesser curvature side of the upper third portion of the stomach. Two lesions were 4 mm, one lesion was 8 mm, two lesions were 12 mm and one lesion was 15 mm in size (mean diameter = 9.1 mm). Histologically, four lesions were of the differentiated type and two lesions were of the undifferentiated type. Conclusions: Multiple synchronous EGCs have same clinicopathologic features as a single EGC except for male predominance.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a synchronous lesion, one should examine the entire stomach precisely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 anterior, posterior wall and lesser curvature side of the same or neighboring area of a known EGC lesion before treatment. (Korean J Med 72:360-367, 2007)

      • KCI등재

        뇌경색환자의 고지혈증에 대한 부항요법의 임상적 효과

        회진,황규선,박현애,이창희,박현호,송수철,전성하,Park, Hoi-Jin,Hwang, Kyu-Sun,Park, Hyun-Ae,Lee, Chang-Hee,Park, Hyun-Ho,Song, Soo-Cheol,Jeon, Seong-Ha 대한침구의학회 2008 대한침구의학회지 Vol.25 No.4

        Objectives : This study was aimed at examining significant curative effects of Cupping therapy on Cerebral infarction patients with hyperlipidemia.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fifty-two patients visited or admitted to Dong-seo Oriental Hospital who broke out with Cerebral infarction from March 2007 through February 2008, with high total cholesterol(240mg/$d\ell$ above) or high triglyceride(200mg/$d\ell$ above) or low density lipoprotein(160mg/$d\ell$ above) Before prescription, they were tested for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ow density lipoprotein with fasting and were then rescribed the cupping therapy for 4 weeks(take an average ten times), after which they were retested for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ow density lipoprotein. Results : 1. In the high total cholesterol group(triglyceride and low density lipoprotein are normal),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otal cholesterol changes was recogniz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2. In the high triglyceride group(total cholesterol and low density lipoprotein are normal),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riglyceride changes was recogniz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3. In the high low density lipoprotein group(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are normal),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riglyceride changes was recogniz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4. In the high total cholesterol and high triglyceride group(low density lipoprotein is normal),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otal cholesterol changes was recogniz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But, triglyceride changes was not that. 5. In the high total cholesterol and high low density lipoprotein group(triglyceride is normal),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otal cholesterol and low density lipoprotein changes were recogniz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6. In the high triglyceride and high low density lipoprotein group(total cholesterol is normal),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riglyceride changes was recogniz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But, low density lipoprotein changes was not that. 7. In the high total cholesterol and high triglyceride and high low density lipoprotein group,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otal cholesterol changes and low density lipoprotein changes were recogniz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But, triglyceride changes was not that. Conclusions : Cupping therapy decreased total cholesterol in whole hyperlipidemia group including high total cholesterol.

      • KCI등재

        피로환자에 사암침 치료 효과의 임상연구

        김수현,회진,박현애,장준호,황규선,이소열,Kim, Su-Hyun,Park, Hoi-Jin,Park, Hyeon-Ae,Jang, Jun-Ho,Hwang, Kyu-Sun,Lee, So-Yol 대한침구의학회 2007 대한침구의학회지 Vol.24 No.6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AAM acupunctur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fatigue. Methods : The clinical study was carried out with 56 fatigue patients who had visited the Fatigue Clinic in Dong-Seo Oriental Medical Hospital from April 2007 to September 2007.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 SAAM acupuncture treatment group or control group. The acupuncture points used in the SAAM acupuncture treatment group were $LU_8$, $SP_3$, $HT_8$, $CV_6$, and $BL_{15}$. Acupuncture points used in the control group were non-acupoints near $LU_8$, $SP_3$, $HT_8$, $CV_6$, and $BL_{15}$. The patient's symptoms were assessed at baseline, after 1 week and after 2 weeks of treatment using theMultidimensional Fatigue Scale(MFS). Results : After 2 weeks, MFS score differences between the SAAM acupuncture treat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Conclusions : The results suggest that SAAM acupuncture treatment can be used to improve symptoms in patients with fatigue.

      • KCI등재

        액중 전기선 폭발법을 이용한 Fe<sub>3</sub>O<sub>4</sub>/Fe/그래핀 나노복합체 분말의 제조 및 전기화학적 특성

        김유영,최지습,이회진,조권구,Kim, Yoo-Young,Choi, Ji-Seub,Lee, Hoi-Jin,Cho, Kwon-Koo 한국분말야금학회 2017 한국분말재료학회지 (KPMI) Vol.24 No.4

        $Fe_3O_4$/Fe/graphene nanocomposite powder is synthesized by electrical wire explosion of Fe wire and dispersed graphene in deionized water at room temperature. The structural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powder are characterized by the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X-ray diffraction, Raman spectroscopy, field-emiss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cyclic voltammetry, and galvanometric discharge-charge method. For comparison, $Fe_3O_4$/Fe nanocomposites are fabricated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Fe_3O_4$/Fe nanocomposite particles, around 15-30 nm in size, are highly encapsulated in a graphene matrix. The $Fe_3O_4$/Fe/graphene nanocomposite powder exhibits a high initial charge specific capacity of 878 mA/g and a high capacity retention of 91% (798 mA/g) after 50 cycles. The goo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the $Fe_3O_4$/Fe/graphene nanocomposite powder is clearly established by comparison of the results with those obtained for $Fe_3O_4$/Fe nanocomposite powder and is attributed to alleviation of volume change, good distribution of electrode active materials, and improved electrical conductivity upon the addition of graphene.

      • KCI등재

        정치적 실천의 주체로서 프롤레타리아트와 다중 -맑스와 네그리를 중심으로-

        김현 ( Hyun Kim ),이회진 ( Hoi Jin Lee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7 시대와 철학 Vol.18 No.2

        이 논문의 목적은 ``프롤레타리아트``(Proletariat)와 ``다중``(multitude) 개념의 비교 검토를 통해서, 오늘날 정치적 실천의 주체로 부상한 다중 개념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맑스는 프롤레타리아트를 보편화된 빈곤이라는 객관적 조건아래에서 자기 상실을 경험하는 가운데, 자기 긍정의 힘을 길어내는 혁명적 주체로 설정한다. 반면에 네그리·하트는 프롤레타리아트가 변화된 현재의 자본주의적 질서에 맞설 수 있는 대항 권력으로 더 이상 작동할 수 없다고 비판한다. 그들은 현재의 자본주의적 질서 체제를 ``제국``으로, 이 제국과 공명하면서 제국을 전복할 수 있는 정치적 실천의 주체를 다중으로 설정한다. 네그리·하트는 맑스에게 나타난 ``자본과 노동``이라는 개념 쌍을 ``제국과 다중``이라는 개념 쌍으로 확장·전환시킨다. 이러한 확장과 전환의 필연성을 네그리와 하트는 네트워크적인 조직망으로 구성된 생산 방식의 변화에서, 그리고 이것이 수반하는 노동 방식의 변화에서 찾고 있다. 요컨대 프롤레타리아트는 탈근대화 이전의 산업 노동자 계급에 국한된 힘의 중심점이라면, 다중은 하나의 계급으로 환원되지 않는 탈계급적 힘의 총체이다. 오늘날 정치적 실천의 주체를 모색하는 논의의 장에서 프롤레타리아트는 낡은 담론의 일부로 간주되는 한편, 『제국』의 저자들이 제시하는 다중은전-지구화된 자본주의의 체제를 돌파할 수 있는 희망적 대안으로 간주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중의 실천적 힘, 역동적이면서 전복적인 힘이 어떻게 정치적 힘으로 구성되고, 발휘될 수 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더 나아가 『제국』의 저자들이 ``제국``을 분석하는 틀은 무정부의적인 성격을 내포함으로써, 정치적 힘의 분산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자본주의 체제를 공고히 할 수 있는 장치로 기능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오늘날 정치적 실천의 주체로서 부상하고 있는 다중 개념의 의의와 한계를 조망해 봄으로써, 정치적 실천의 주체를 모색하기 위한 새로운 출발점을 마련해보려고 한다. Der Zweck der vorliegenden Abhandlung ist auf den Grund dadaurch, indem es in dem Verglichen zwischen Proletariat bei Marx und Multitude bei Negri und Hardt ist, wie dieses Subjekt, d.h. Mutitude dem Druck des kapitalistischen Systems in der Gegenwart nachgibt werden kann, zu kommen. Unter ablsolute Not leidet das kollektives Subjekt, Proletariat bei Marx sich und darin zugleich erfahrt Verlust; darum aber das in einer konkreten Wirklichkeit in ein revolututionares Subjekt aufgetreten ist. Ihr haben die Kritik an der Marx, die Proletariat gegen unterdrucketen kapitalistisches System oder Regierung als politisches Subjekt nicht mehr zu sein, geubt. Empire nennen ihr die kapitalistisches System, und Mutitude schlagen in uns neues Subjekt vor. Unter Empire ist dieses Subjekt erst in die namenlose Masse, aber zugleich in die umwalzunge Macht als constituent countpower zu auftreten. Ihr haben die Begriffe Kapital und Arbeit von Marx wieder als Empire und Mutitude zu rekonstruktieren und ausbreiten. In dem Ubergehen von Kapital zu Empire liegt es zur Art und Weise der Produktion und der Bedingungen der Arbeit durchNetwork den Grund. Beide, Proletariat und Mutitude haben politische Macht gegen unterdrucketen kapitalistisches System oder Regierung zu sein und dadurch die bestehende Ordungen zu kritiziern und revolutionieren. Dieser ist die industriellen arbeiteren Klasse im 19Jhd bestimmt, aber jener die Totalitat des zur Indurstrie nicht gehortigen polistischen Subjekt. Aber im diesen Prozeβ haben es die Schwierigkeit, ob Proletaritat mit der anderen Klasse auf Stufen stellt sei oder nicht und wie Mutitude als vielfaltige Sujekt konzentriert moglich sind. Obwohl dieses Subjekt praktische Macht hat, konnen wir damit fragen, wie es diese Machte um politsche Machte gegen Empire zentrieren weren konnen. Und ferner konnen Empire nicht nur als Anarchismus bezeichen, sondern auch als System, das kapiatalischen System steckt.

      • KCI등재

        고로쇠나무 천연림의 지역별 군집구조, 시과 및 엽 형태

        김갑태 ( Gab Tae Kim ),회진 ( Hoi Jin Kim ),이재현 ( Jae Hyeun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1

        고로쇠나무 천연집단의 군집구조와 시과 및 잎의 형질의 변이를 파악하고자, 2012년 5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세 지역(강원도 양구군, 경상북도 영양군 및 전남 광양시)에 분포하는 고로쇠나무 천연집단의 군집구조와 열매와 엽형태를 조사하였다. 고로쇠나무의 평균상대우점치(MIP)가 양구 19.8%, 영양 22.0% 및 광양 17.1% 등으로 비교적 낮고, 중층에서도 양구와 광양에서는 고로쇠나무의 상대우점치(IP)가 당단풍나무와 까치박달나무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하층에서는 양구 1.8%, 영양 1.9%, 광양 0.0% 였다. 이런 결과로 볼 때 천연림의 고로쇠나무의 평균상대우점치가 앞으로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일 것이라 사료된다. 시과의 각도와 길이는 지역 간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양구에 비하여 영양과 광양지역에서 7개의 장상맥을 가진 개체가 보다 많이 분포하였다. 부거치가 발달하는 잎의 비율은 양구 0.6%, 영양 15.8%, 광양 20.4%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로쇠나무 천연집단의 유전변이가 있음을 암시하며, 고로쇠나무 천연집단에 대한 유전변이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To examine the forest structure and variation of samara and leaf shape of Acer pictum subsp. mono (APSM), We investigated forest structure and samara angles and length, and leaf shape in three natural population of APSM in Yanggu-gun, Youngyang-gun and Kwangyang-si from June 2012 to October 2013. Mean importance percentage (MIP) of APSM is shown lower values in Yanggu 19.8%, in Youngyang 22.0%, and in Kwangyang 17.1%, respectively. In middle layer, importance percentage (IP) of APSM is shown lower values than that of Acer pseudosieboldianum and Carpinus cordata. In lower layer, importance percentage (IP) of APSM is shown lower values in Yanggu 1.8%, in Youngyang 1.9%, and in Kwangyang 0.0%, respectively. From these results, MIP of APSM in natural population might be reduced in future. Angles between wings and samara length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districts. APSM with seven palmate vein leaf are distributed more frequently at Kwangyang and Youngyang than Yanggu. Percentages of biserrate leaf is shown in Yanggu 0.6%, in Youngyang 15.8%, and in Kwangyang 20.4%, respectively. These results implies genetic variation in natural APSM population and further studies on the genetic variationanalysis in natuel population of APSM should be needed.

      • KCI등재

        위식도역류질환에 대한 국내 인터넷 의료 정보 평가

        이준상 ( June Sang Lee ),문태건 ( Tae Gun Moon ),회진 ( Hoi Jin Kim ),이현정 ( Hyun Jeong Lee ),이준행 ( Jun Haeng Lee ),심상군 ( Sang Goon Shim ),이풍렬 ( Poong Lyul Rhee ),김재준 ( Jae J. Kim ),이종철 ( Jong Chul Rhee ) 대한소화기학회 200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9 No.4

        목적: 인터넷상에서 위식도역류질환에 대해서 검색되는 웹사이트들이 정확한 의료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지 평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위식도역류질환에 대한 인터넷 정보의 지향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위식도역류질환"과 "역류(성) 식도염"을 핵심 단어로 2006년 7월 1일부터 9월 2일까지 7개의 검색엔진에서 검색된 각각 상위 15개 웹사이트(총 108개)를 대상으로 JAMA 핵심기준과 대한소화기 운동학회의 위식도역류질환의 진단, 치료 가이드라인을 참조하여 만든 점검표를 이용해서 평가하였다. 결과: 전체 108개의 사이트 중 개인 병의원의 검색 빈도가 가장 높았고(21.3%) 대부분 환자나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다(87.0%). JAMA 기준에 3개 이상 부합하는 사이트는 11개(9.3%)였고 3개 미만으로 만족시킨 웹사이트보다 정보의 불확실성이 유의하게 더 낮았다(p=0.002). "Heartburn"에 대한 정의는 50%의 웹사이트에서 비교적 정확히 언급되었고 진단 시 초기에 위내시경 검사를 시행한다고 언급한 사이트는 48.1%, 내시경 검사 없이 24시간 pH 검사 등을 초기에 시행한다는 언급은 26.9%, 식도내압 검사나 번스타인 검사, 식도조영술을 일반적으로 시행한다고 언급한 웹사이트는 28.7%였다. 치료에서는 65.7%에서 생활습관 조정을 언급하였고 생활습관 조정 단독만으로 증상 관해를 유도할 수 있다는 웹사이트는 47.2%였다. 치료약물 중 양성자펌프억제제를 언급한 웹사이트는 57.3%였는데 임상적으로 가벼운 경우에 양성자펌프억제제 4주 투여 후 필요 시 투여나 단계적 하향 투여에 대한 언급은 8.3%, 임상적으로 심한 경우에 양성자펌프 억제제 8주 투여 후 지속 투여에 대한 언급은 11.1%의 웹사이트에서 있었다. 결론: 일반인들이 검색엔진을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인터넷에서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위식도역류질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정보는 대부분 기초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었고, 구체적인 부분에서는 사이트마다 정보의 양과 내용에서 차이가 많았다. 이는 인터넷에서 정보를 구하고자 하는 환자에게 적지 않은 혼란을 초래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Background/Aims: Internet has become an important source of medical information not only for medical personnels but also for patien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of internet based medical information about ``gastroesophageal reflux`` or ``reflux esophagitis`` in Korea. Methods: The first 15 internet sites using the key words ``gastroesophageal reflux`` or ``reflux esophagitis`` were retrieved from the 7 most frequently used internet search engines. The quality of information from a total of 108 websites was evaluated using a checklist. Results: Among total 108 sites related to ``gastroesophageal reflux`` or ``reflux esophagitis``, fifty-six sites (51.8%) were made by hospitals or clinics and 94 sites (87.0%) were made for patients. Of the 108 sites, eleven web sites (10.1%) had more than three JAMA benchmarks (authorship, references, currency, and disclosure). Higher quality sites (at least three JAMA benchmarks) were less likely to contain inaccurate information than lower quality sites (fewer than three JAMA benchmarks)-3/11 (27.2%) vs. 60/97 (61.9%) (p<0.01). Despite the fact that articles in the literature emphasized an insufficient evidence to support an association between the lifestyle, dietary behaviors, and GERD, such guidelines continue to be recommended as first-line therapy in most websites. Conclusions: Informations about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were incomplete in the majority of medical web sites. These would bring about confusion to patients seeking for an information about GERD through the internet. There is a need for better sources in evidence based informations about gastroesophaeal reflux diseases on the web. (Korean J Gastroenterol 2007;49:231-237)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