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치(법칙)의 위기론 비판

        김원태(Won-Tae Kim)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마르크스주의 연구) 2011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8 No.3

        자본주의는 가치, 가치법칙을 경제적 규제원리로 하는 사회이다. 그러나 특히 전통적 마르크스주의의 노동자운동 중심주의와 자본주의의 공모성을 비판하는 비전통적 마르크스주의에서 가치, 가치법칙이 붕괴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으로 독일의 가치비판경향은 생산의 과학화가 노동을 소멸시키고 따라서 노동에 기반을 두는 가치, 가치법칙을 붕괴시킨다고 주장한다. 다른 한편으로 포스트-오페라이스모 혹은 인지자본주의론은 비물질적(인지적) 노동, 사회적 노동에서 노동시간 측정이 불가능해짐으로써 가치법칙이 붕괴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전자는 가치와 실제적 부를 구분하지 못하고, 가치체계와 상품생산사회의 필연적 연관을 인식하지 못한다. 후자는 추상노동, 가치, 사회적 필요노동시간을 사회적 형태가 아니라 그것의 소재적 내용의 지평에서 이해하고, 상품생산사회를 가치법칙의 토대로 보지 못한다. 결국 양자 모두 사실 전통 마르크스주의와 동일한 지반, 즉 실체주의적 가치이론을 공유하면서 가치(법칙)의 위기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가치(법칙)에 대한 실체주의적 이해를 넘어서면, 생산의 과학화는 가치와 실제적 부의 격차를 심화시키고, 비물질적 노동, 사회적 노동은 사회적 형태로서의 사회적 필요 노동시간과 그것의 소재적 내용으로서의 구체적 노동시간 사이의 근거관계가 사라지도록 하긴 하지만, 상품생산사회의 규제형태로서 가치와 가치법칙은 지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Value and the law of value are economic principles of a capitalistic society. However, nontraditional Marxism criticizes a conspiracy between labor movement centered traditional Marxism and capitalism and asserts the collapse of value and the law of value. On the one hand, the German Current of value critique asserts that scientification of production makes labor disappear and, therefore, collapses value and the law of value based on labor. On the other hand, Post-Operaismo or Cognitive Capitalism Theory claims that the law of value collapses because it is impossible to measure the labor time in immaterial or cognitive labor and social labor. However, the former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value and real wealth and does not recognize an inevitable connection between value system and the society of commodity production. The latter understands abstract labor, value, and socially necessary labor time not as a social form but as on the level of their material content. It does not also recognize the society of commodity production as a basis of value and the law of value. In the end, while both theories share the same basis of traditional Marxism, which is a substantialist theory of value, they suggest the crisis of value and the law of value. However, overcoming this substantialist understanding of value and the law of value makes it clear that value and the law of value continue to regulate the society of commodity production, although scientification of production deepens the polarization of value and real wealth and immaterial and social labors disintegrate a basic relation between socially necessary labor time as a social form and concrete labor time as its material content.

      • KCI등재

        『그룬트리세』의 비판적 해석

        마르셀로 무스토(Marcello Musto)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마르크스주의 연구) 2011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8 No.3

        1857년에 마르크스는 국제적 차원으로 확대되던 금융위기가 유럽에서 새로운 혁명적 시기의 조건들을 만들었다고 확신했다.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는가? 그가 이전에 수차례 시작했다 중단하기를 반복했던 그 야심 차고 부담스러운 정치경제학 비판이라는 프로젝트를 어떻게 시작할 것인가? 이것이 마르크스가 다시 작업에 착수했을 때 자문했던 첫 번째 물음이었다. 이런 점을 고려한 결과 그는 방법의 문제들에 더 천착하여 연구의 주요 원칙을 정식화하게 되었다. 그 최종 결과가 마르크스의 전체 저작 중에서 가장 널리 논쟁되었던 수고의 하나인 소위 1857년 ‘서설’이었다. 글을 작성하는 데 걸린 짧은 기간(거의 일주일도 안 되는)과 무엇보다 그 임시적 성격 때문에 이 수고는 매우 복잡하고 논쟁적이게 되었다. 그럼에도 이 ‘1857년 서설’이 인식론적 문제들에 대한 마르크스의 가장 포괄적이고 세밀한 주장을 담고 있기 때문에 이 서설은 그의 사상을 이해하는 중요한 참고문헌이자 전체로서 『그룬트리세』를 해석하는 열쇠이다. 가장 위대한 몇몇 경제학자와 철학자와의 심도 있는 만남을 통해 마르크스는 깊은 확신을 재확인하면서 중요한 이론적 인식에 도달한다. 무엇보다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생산양식과 그 사회적 관계의 역사적 특수성을 다시 강조한다. 다음으로, 생산, 분배, 교환, 소비를 하나의 총체성으로 간주하고, 이 총체성 속에서 생산이 다른 부분들에 대한 지배적인 요소로 간주한다. 게다가 사고 속에서 실제의 재생산과 관련하여 마르크스는 단지 역사적 방법에만 의지한 것이 아니라 추상을 사용하여 지식의 경로를 구성하는 것의 가치를 인식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마르크스는 생산관계와 지적 관계의 발전들 사이에서 존재하는 불균등한 관계를 강조한다. 이 수고가 1903년에 처음 출판된 뒤로 100여 년 동안 이런 점들 때문에 ‘1857년 서설’은 마르크스에 대한 진지한 해석자들과 독자들에게 필수불가결한 이론적 텍스트일 뿐 아니라 문학적 관점에서도 매혹적인 저작이 되었다. In 1857 Marx was convinced that the financial crisis developing at an international level had created the conditions for a new revolutionary period throughout Europe. Where to begin? How to embark on the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that ambitious and demanding project which he had begun and interrupted several times before? This was the first question that Marx asked himself as he got down to work again. These considerations led him to go more deeply into problems of method and to formulate the guiding principles for his research. The upshot was one of the most extensively debated manuscripts in the whole of his oeuvre: the so-called ‘Introduction’ of 1857. The short period of composition (scarcely a week) and, above all, the provisional character of these notes make them extremely complex and controversial. Nevertheless, since it contains the most extensive and detailed pronouncement that Marx ever made on epistemological questions, the ‘1857 Introduction’ is an important reference for the understanding of his thought and a key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Grundrisse as a whole. In a close encounter with the ideas of some of the greatest economists and philosophers, Marx reaffirmed profound convictions and arrives at significant theoretical acquisitions. First of all, he insists again on the historical specificity of the capitalist mode of production and its social relations. Second, he considers production, distribution, exchange and consumption as a totality, in which production constitutes the element predominating over the other parts of the whole. Moreover, with regard to the reproduction of reality in thought, Marx does not resort to a merely historical method but makes use of abstraction, having come to recognize its value for the construction of the path of knowledge. Finally, he underlines the uneven relationship that obtains between the development of the relations of production and intellectual relations. In the hundred years since they were first published (1903), these reflections have made the ‘1857 Introduction’ an indispensable theoretical text as well as a fascinating one from a literary point of view, for all serious interpreters and readers of Marx.

      • KCI등재

        마르크스와 엥겔스가 남긴 지적 유산의 전승역사

        임경석(서평자)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마르크스주의 연구) 2008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5 No.4

        고전적 마르크스주의의 공동 창시자인 마르크스-엥겔스의 지적 유물들에 대한 출판의 역사와 관련한 책이 출판되었다. 정문길 명예교수의 『니벨룽의 보물』이 그것이다. 저자는 『소외론 연구』를 통해 이미 1970년대부터 마르크스주의의 사상 형성 과정을 꾸준히 주목해온 정치학자이다. 이후 그는 수차례에 걸친 고전적 마르크스 주의의 사상사적 형성 과정과 마르크스-엥겔스 전집의 출간 과정에 얽힌 다양한 논문들과 저서를 통해 현재 진행 중인 『마르크스-엥겔스 전집(MEGA²)』의 성립사에 관한 복잡한 문헌학을 개관할 수 있는 소수의 국내 전문가 중 한 사람이다. 저자는 1883년 마르크스 사후 진행 중인 유고들의 전승과 간행의 장구한 역사를 학자적인 성실함과 전문성으로 차근차근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왜 마르크스-엥겔스 전집의 국제판은 마르크스와 엥겔스라는 두 독자적인 학자의 학문적 입장에 대한 구분 없이 공동 집필되어야 하는지, 더불어 왜 114권(123책)으로 예정된 방대한 MEGA²라는 국제판의 출간 작업이 필요한지에 대한 더 근원적인 물음과 논의에 대한 학문적인 해명이 앞으로 진지하게 연구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카를 마르크스의 재발견

        마르셀로 무스토(Marcello Musto)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마르크스주의 연구) 2010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10 No.2

        지난 세기 말 마르크스에 대한 관심이 사라졌다고 만장일치로 선언되었었지만, 최근 몇 년 동안 마르크스에 대한 관심이 폭넓게 재부상했다. 이런 재발견의 가장 중요한 사례 중의 하나는 그의 모든 작업에 대한 역사-비판적 판본인 마르크스-엥겔스 전집(MEGA²)의 계속이다. 새로운 문헌학적 습득들에 의해 다른 뉘앙스의 저자가 부각되었다. 마르크스-레닌주의로 표현되었던 교조적 사상가는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그의 주장들을 입증하려고 시도하다가 자신의 저작들의 많은 부문을 미완성으로 남겨둔 학자의 이미지로 반드시 대체되어야 한다. 자본주의 사회의 위기와 그 속에서의 깊은 모순들에 직면하는 시기에, 1989년 이후 너무 성급히 제쳐두었던, 그리고 그 사상이 현재의 포괄적 이해와 변혁을 위해서는 포기될 수 없는 이 저자는 이제 다시 한 번 깊이 탐구되어야 한다. During the last few years there has been a widespread resurgence of interest in Karl Marx, even though with the end of the century its disappearance had been unanimously declared. One of the most significant examples of this rediscovery is the continuation of the Marx-Engels-Gesamtausgabe (MEGA²), the historico-critical edition of his complete works. From new philological acquisitions there emerges a different author. The dogmatic thinker represented by Marxism-Leninism must be supplanted by the image of a scholar who left a major part of his writings incomplete in order to carry on researching and verifying the validity of his claims. Faced with the crisis of capitalist society and the deep contradictions within it, this author, who has been too hastily put aside after 1989, and whose thought still seems impossible to renounce for the comprehen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present, should now be interrogated once again.

      • KCI등재

        급진민주주의론의 정립을 위한 한 탐색

        조희연(Hee-Yeon Cho)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마르크스주의 연구) 2010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10 No.2

        1987년 6월 민주항쟁으로 정점에 이른 반독재 민주화운동 내부에는 일종의 ‘민주주의 우파’와 ‘민주주의 좌파(democratic left)’가 존재하였다. 1987년 당시의 민주주의 좌파는 NL, PD, 레닌주의, 인민민주주의, 네오마르크스주의자들, 진보적 자유주의자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고 한다면, 이제 그것은 진보적 여성주의자들, 급진생태주의자들, 자율주의자, 사회민주주의자 등을 포괄하는 식으로 변화하였다. 이들이 다양한 현실형태의 민주주의 좌파들 혹은 급진민주주의자들이라고 생각한다. 한편에서는 이들 다양한 민주주의 좌파들 간의 새로운 동맹관계를 형성해내며, 현단계 투쟁을 한 단계 높은 대중적 투쟁으로 급진화시킬 것인가 하는 것이다. 바로 그 연결지점에 ‘민주주의의 급진화’ 프로젝트가 존재한다. ‘민주주의의 급진화’ 프로젝트는 신자유주의 지구화시대 / 포스트-민주화 시대에 대응하여 민주주의좌파가 신 자유주의적 자본주의를 넘어서기 위한 민주주의 좌파의 새로운 프로젝트라고 할 수 있겠다. 근대 시민혁명 이후 한편에서는 민주주의가 정립된 반면에, 다른 한편에서는 부르주아지가 주도하는 자본주의가 정립되었다. 이후 근대의 과정은 바로 ‘자본주의와 민주주의의 전쟁’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에서도 1987년 6월 항쟁 이후의 과정이 바로 이런 의미를 담고 있다. 여기서 급진민주주의 지향이라고 하는 것은 민주주의가 내장하는 ― 제한적이지만 ― 잠재적인 평등성을 급진적으로 확장하는 것을 통하여 ‘자본주의와 민주주의의 전쟁’에서 전자에 대한 사회적ㆍ인간적 통제와 극복을 가능하게 하고자 하는 지향이라고 할 수 있다. 민주주의를 경제환원주의적 시각에서 자본주의의 정치적 외피로만 파악하지 않고, 민주주의의 급진적 잠재력을 확대하는 방식을 통해서 자본주의에 대항하는 지속적으로 새로운 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자본주의를 초월해가는 매개적 통로를 확보하고자 하는 지향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제적 논의 위에서, 필자는 1987년 이후 한국사회의 전개과정을 자본주의와 민주주의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필자는 2008년 한국에서 신보 수정권의 출범이 단순히 정권담당세력의 변화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사회가 ‘포스트-민주화’ 시대에 들어섰다고 보았다. 결국 민주주의 좌파는 신자유주의 지구화 시대 / 포스트-민주화 시대 다양한 민주주의 좌파들 간의 새로운 동맹관계를 형성해내며, 어떻게 주도적으로 현단계 투쟁을 한 단계 높은 대중적 투쟁으로 급진 화시킬 것인가 하는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를 위해서는 신자유주의 지구화 시대 / 포스트-민주화라는 조건에 대응하는 ― 1987년 이후의 민주화 시대의 ‘자본주의 대 민주주의 전쟁’ 질서와 구별되는 ― 새로운 급진민주주의적 정치전선을 형성해내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포스트-민주화 시대 급진 민주주의적 전선은, 첫째는 진보세력, 그 일부로서의 민주주의 좌파와 대중의 관계의 새로운 구성이며, 둘째는 진보세력 내부에서의 민주주의 좌파들 간의 연대ㆍ동맹 관계의 새로운 구성을 내포한다고 주장하였다. 전자와 관련하여 필자는 복합적 신 자유주의정치의 필요성을, 후자와 관련하여, 적녹보 동맹으로 상징되는 새로운 ‘차이 속의 동맹질서’가 필요하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There have been two groups within the anti-dictatorship opposition camp in the 1970s and 1980s in Korea, that is democratic right and left. While the latter was composed of National Liberation, People’s Democracy, Leninist, neo-Marxists, progressive liberal, and other diverse groups then, it is now composed of progressive feminists, radical ecologists, autonomist, social democrats, old radical groups, etc. In this paper, the author argues that we are confronted with a new task, that is making a new alliance relation among different democratic left, on the one hand, and forming a new radical democratic popular front against the contradiction of the neo-liberal globalization and post-democratization. In addition, the author also argues that there is a need for a new radical democracy project(radicalization of democracy one) around such a new alliance and front. In the wake of the modern civil revolution in the Western societies, democracy was founded, on the one hand, and capitalism led by the bourgeoisie, on the other hand. Thereafter, “a war between democracy and capitalism” started and developed itself. In South Korea, such war proceeded after the Great Democratic Struggle in 1987, which is parallel to the modern civil revolution in the Western societies. Radicalizing democracy in this war means that the people pursue making and coercing a human and social control mechanism on the capitalism itself and finally going over it, by way of extending radically the potential egalitarian ― albeit limited ― principle of democracy. It means that we should not look at democracy as the so-called “political shell” from a view of economic reductionism, and secure a eternally new space of struggle against capitalism and keep a narrow corridor to go beyond capitalism. Based on such a discussion, the author analyzed the process of political change in Korea from a view of “the war between capitalism” and democracy. Especially the author focused on the period after the year 2008, in which the neo-conservative government emerged, which meant not only a change in the government power holder, but also a start of a new period of postdemcoratization under the global influence of the neo-liberal globalization. In this new condition, the democratic left should form a new radical democratic war front politically and popularly against the contradiction coming from the neo-liberal globalization and post-democratization. This radical democratic political front includes two tasks: forming a new relation between the democratic left and the people, on the one hand, and making a new relation of solidarity among diverse groups of democratic left, on the other hand. Finally, the author argued that a “complex anti-neo-liberal politics” is needed in relation to the first task, and, “a new order of alliance within differences” in relation the second one.

      • KCI등재

        서구중심주의 비판을 위한 대안적 방법론 모색

        방인혁(In-Hyuk Bang)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마르크스주의 연구) 2011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8 No.3

        본 논문은 서구중심주의 극복을 위한 대안적 담론전략으로서 탈식민주의의 가능성과 한계를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마르크스주의에 서구중심주의적 편향성이 내재할 수밖에 없다는 탈식민주의적 주장은 과도한 일반화의 오류를 범하고 있기 때문이다. 탈식민주의가 근거하는 탈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인식론적 상대주의는 진정한 탈식민의 방향성을 제시하지 못하며, 특히 해방된 피식민 지역의 경제적 자립이라는 중요한 당면 과제의 해결에 무능하다. 따라서 서구중심주의 극복을 위한 대안적 방법론 구축을 목적으로 하는 본 논문에서는 식민지문제와 동양사회에 관한 마르크스의 원래의 의도를 기준으로, 탈식민주의 등 다양한 입장에서 제기되는 마르크스주의의 서구중심주의적 경향성을 반성적으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즉 마르크스주의 전통 속에서 많은 형태의 경제결정론적 오류나 진화론적 편향들이 존재했음을 반성하고, 구조와 실천의 변증법적 긴장에 기초한 마르크스 사상으로 돌아감으로써 자본의 이데올로기적 장치인 서구중심주에 대한 비판과 극복의 해답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review the potential and limitation of postcolonialism as an alternative discursive strategy for overcoming eurocentrism from a Marxist perspective. The starting point is to acknowledge that the postcolonial assert that eurocentrism is inherent in Marxism commit a fault of excessive generalization. The epistemological relativism of the poststructuralism and postmodernism which the postcolonialism is based on fails in making a correct direction of the postcoloniality. Especially, it is incompetent at settling the task of economical independence that is the most important within the emancipated ex-colonial nations. Thus, this paper tries to re-examine the Eurocentric tendencies of Marxism found in Marx’s original interpretation on the colony and orient societies by postcolonialists. As a result, the paper asserts that it is important to reflect that Marxism has been infected with economic determinism and various evolutionary propensities and to seek for the solution that can criticize and overcome eurocentrism which is nothing more than an ideological apparatus of capital by returning Marx’s ideas based on the dialectic tension between structure and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