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쌍백당 이세화의 시세계 고찰 -기사년(1689) 이전과 이후의 시세계 대비를 중심으로-

        이황진 ( Lee Hwang-jin ) 민족어문학회 2020 어문논집 Vol.- No.88

        본고는 기사년(1689) 숙종에게 인현왕후를 폐위하는 일이 불가함을 극간한 일로 그 절개와 충정을 인정받은 쌍백당 이세화(1630~1701)의 시세계를 고찰한 글이다. 특히 기사년 이전과 이후의 시세계 대비를 중심으로 하여 그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기사년 이전의 시세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 것은 1663년(34세) 이세화가 평양판관으로 있을 당시 형장을 지나치게 써서 사람이 죽어나간 일로 인해 의주로 유배되었던 사건이다. 이 사건은 그의 관로와 현달을 가로막는 멍에가 되었기에 이후 이것이 자신의 능력과 포부를 온전히 펼치지 못하는 것에 대한 안타까움으로 표출된다. 그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종과 숙종이 그의 능력을 인정해 주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등용해 준 것을 감사하게 여겼기에 이는 자신의 맡은바 직책에 충실히 임하는 것이 곧 충이라는 인식으로 표출된다. 기사년 이후의 시세계를 좌우한 것은 기사년 인현왕후 폐위 사건이다. 당시 오두인, 박태보와 함께 상소문 기사진신소 를 올린 후 모두 숙종의 친국을 받고 유배되는데, 그 둘은 유배 가는 도중에 세상을 뜨고 오직 이세화만이 목숨을 부지하였다. 이세화는 유배에서 풀려난 후 파주 선영 아래로 돌아와 ‘백수귀전(白首歸田), 단심연궐(丹心戀闕).’ 여덟 자를 써서 벽에 걸어 놓고 그러한 삶을 살아가고자 하였다. 이는 곧 자신의 여생을 이러한 마음가짐으로 살아가겠다하는 굳은 의지의 표현이자 기사진신소 에 담긴 진심이었다. 따라서 기사년 이후의 시세계는 바로 그 둘, 즉 농사를 지으며 즐기는 평온한 삶과 임금에 대한 일편단심 이 두 세계로 집결된다. 이렇듯 기사년 이전 시세계의 한 면모였던 포부를 온전히 펼치지 못하는 것에 대한 안타까움은 기사년 이후의 시세계에서는 더 이상 드러나지 않으며, 기사년 이전에 표출된 충은 자신의 직책에 충실히 임하는 것이라는 직분이 강조되었던데 반해 기사년 이후의 시에서 충은 일편단심과 같이 심적인 요소가 더 강조되어 표출된다는 점에서도 기사년은 그 이전과 그 이후의 시세계에 큰 변화를 가져오는 전환점이자 변곡점이 되었다. This article is to contemplate the poetry world of Ssangbaekdang Lee Se-hwa(1630~1701) who was recognized for his integrity and loyalty by strong remonstrance to King Sukjong that it would be unacceptable to dethrone Inhyeon-wanghoo (Queen Inhyeon) in the year of Gisa (1689). In this article, the poetry world of Lee Se-hwa is classified into before the year of Gisa and after in a way of taking a look at any change in his poetry world. What influenced so greatly on his poetry world prior to the year of Gisa was the incident of his exile to Uiju because of people died for excessive use of the sticks for flogging criminals while Lee Se-hwa (1663: 34 years of age) was serving as a government official in Pyeongyang. This incident was the road block for him to advance in his government positions that he expressed the regrets for unable to spread his wings of ambition and competence to the fullest. And, notwithstanding the foregoing fact, King Hyeonjong and King Sukjong acknowledged his competence to appoint him in high ranking government posts over the oppositions in the government and he expressed his loyalty toward the king with profound appreciation. The dethroning incident of Inhyeon-wanghoo in the year of Gisa turned around his poetry world. At that time, he submitted the written appeal to the king along with Oh Du-in and Park Tae-bo and all three of them were interrogated by King Sukjong and exiled, and Lee Se-hwa was the only one to sustain his life while the other two were dead on their way to the exile. Lee Se-hwa was released from the exile and lived in the family burial ground in Paju to be with his family and he wrote the eight letters in ‘白首 歸田, 丹心戀闕’ to hang on the wall to write poems on various thoughts. Therefore, his poetry world after the year of Gisa could be summarized in two worlds of living peaceful life to enjoy in farming and the sincerity toward the king.

      • KCI등재

        “어른들을 위한 동화” 관점에서 이원수의 동화 『꼬마 옥이』 읽기 시고(試考)

        이황진 ( Hwang Jin Lee ) 한민족어문학회 2014 韓民族語文學 Vol.0 No.67

        본고는 ‘어른들을 위한 동화’의 개념과 조건에 대해 고찰하고, 그것을 기준으로 하여 이원수의 동화 『꼬마 옥이』가 ‘어른들을 위한 동화’의 관점에서 감상될 수 있는 이유에 대해 분석한 글이다. 보통 ‘어른들을 위한 동화’와 ‘성인동화’를 같은 의미의 다른 표현이라고 인식하며 그 둘을 별다른 구별 없이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어린이는 읽어서는 안되는, 성인만을 대상으로 하는 동화도 존재하므로 그 둘은 엄격하게 구별되어 쓰여야만 한다. 이에 필자는 성인동화는 ‘성인만을 대상으로 하여 동화의 형식 혹은 동화라는 이름을 빌려 창작된 이야기’로, 어른들을 위한 동화는 ‘어린이와 성인 모두를 대상으로 하여 동화 본연의 특성을 간직하며 창작된 동화’로 분류하였다. 그리하면, ‘성인동화’는 자연스레 아동문학 범주에 포함시킬 수 없는 문학이 될 것이고, ‘어른들을 위한 동화’는 아동문학의 범주에 포함시킬 수 있는 문학이 된다. 그리고 어른들을 위한 동화란 ‘동심을 문학적 이념으로 삼아, 어린이뿐만 아니라 어른들까지도 그 대상으로 하여 창작된 것으로, 어린이와 어른 모두가 각자의 눈높이에 맞는 이해와 감상을 할 수 있는 동화’라고 정의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꼬마 옥이』를 감상해 본 결과 『꼬마 옥이』는 충분히 ‘어른들을 위한 동화’로 인정받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nalyzed the reason why Lee Won-su`s collection of fairy tales “Kid, Wogi” can be appreciated from the perspective of a “fairy tale for grown-ups”. Ahead of appreciating and analyzing the work,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fairy tale for grown-ups” was attempted. In general, “fairy tale for grown-ups” and “adult fairy tale” are perceived to be different expressions with the same meaning, and they have been used without clear distinction; however, because there are fairy tales that are aimed only at adults and cannot be read by children these two should be strictly distinguished in use. Accordingly, the writer proposes to indicate adult fairy tales as “stories aimed only at adults created by borrowing the form of a fairy tale or the name of a fairy tale”, while indicating fairy tales for grown-ups as “fairy tales created while keep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a fairy tale aimed both at children and grown-ups”. In this way, “adult fairy tale” will be naturally literature that cannot b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children`s literature, while “fairy tale for grown-ups” will be literature that can b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children`s literature. Also, “fairy tale for grown-ups” is created not only for children but also for adults; thus, it is defined as being a “fairy tale which both children and adults can understand and appreciate at their own level”. Focusing on these facts, as a result of considering “Kid, Wogi”, “Kid, Wogi” was confirmed to conform sufficiently to be a “fairy tale for grown-ups”.

      • KCI등재

        곤륜 최창대의 누정시 연구

        이황진(Lee, Hwang-jin) 한국고전연구학회 2020 한국고전연구 Vol.0 No.48

        본고는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초반에 활동한 소론계열의 핵심 인물 중 한 명인 곤륜 최창대(1669~1720)의 누정시를 고찰함으로써 그의 누정시가 갖는 시대사적 의의를 찾아보고자 기획된 글이다. 먼저 최창대가 누정시를 창작한 시기와 그 창작배경에 주목하여 최창대에게 누정은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를 살펴보았다. 최창대의 누정시 창작시기와 그 창작배경을 보면, 대부분이 부친 최석정, 숙부 최석항, 외삼촌 이인엽, 외사촌 동생 이하곤 등의 일가친척이나 홍세태, 이하영 등 지우와 함께 하며 지은 것들이다. 이러한 사실에서 최창대에게 누정은 일가친지(一家親知)를 볼 수 있고 함께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인식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최창대가 그 이전의 문인들의 누정시에서는 좀처럼 볼 수 없었던 악부시라는 형식으로 누정시를 창작하였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악부시로 지은 시 두편(<초연대가>와 <문월정가>)을 살펴보았다. 최창대는 누정에서 느끼는 자신의 정감을 악부시를 활용해 좀 더 자유롭게, 모의나 답습에서 탈피한 개성적인 표현과 내용으로 시를 지었다. 여기에서 최창대에게 누정은 스스로 즐거움을 찾는 자락(自樂)의 공간으로 인식된다. 17세기 후반부터는 누정을 개인적 일상을 즐기는 공간으로 보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자락의 공간이 강조된다. 그리고 18세기 한시의 새로운 경향 중의 하나는 개성의 추구와 변화의 시도이며 그러한 양상은 시의 내용이나 서정, 시체의 선택, 작풍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나타나는데, 최창대가 악부시로 지은 누정시에서 그러한 일면을 찾아볼 수 있다. 이처럼 최대창의 누정시는 17세기 후반의 누정에 대한 변화된 인식을 보여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18세기 한시의 새로운 경향의 일면을 엿볼 수 있게 한다. This study is planned to consider the arbor poetry of Gollyun Choe Changdae (1669~1720), one of the key figures of Soron who worked actively in the late 17th century till the early 18th century and find the periodic meanings of his arbor poetry. First, paying attention to the time when Choe Changdae created his arbor poetry and the background of his creation, this article has examined what the arbor meant to Choe Changdae. Considering the time when Choe Changdae created his arbor poetry and the background of his creation, we can see that most of the poems were written when he was with his family or relatives, including his father Choe Seokjeong, uncle Choe Seokhang, maternal uncle Lee Inyeop, maternal cousin Lee Hagon, or close friends like Hong Setae or Lee Hayeong. This fact allows us to conclude that for Choe Changdae, the arbor was space where he could see and be with his family or relatives. Next, focusing on the fact that Choe Changdae created his arbor poetry in the form of Yue-fu poetry (樂府詩) which can be hardly found in arbor poetry written by previous literary persons, this paper has examined two pieces of poems, <Choyeondaega> and <Moonwoljeongga>, written as Yue-fu poetry. Choe Changdae wrote his poems about the feelings he had in the arbor more freely with unique expressions and contents getting out of imitating or sticking to an old tradition using Yue-fu poetry. Here, the arbor was recognized by Choe Changdae as the space of Jarak (自樂) to find pleasure on one’s own. From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there was a noticeable trend that the arbor was regarded as space to enjoy everyday life personally, and the space of Jarak was stressed. One of the new trends of Chinese poetry in the 18th century is to pursue one’s personality and try new things, and this kind of aspect is found in various ways such as a poem’s contents, lyricism, the choice of poetic styles, or writing styles. Part of that can be found in Choe Changdae writing his arbor poetry as Yue-fu poetry. As written above, Choe Changdae’s arbor poetry not only shows us his changed consciousness about the arbor in the late 17th century but also lets us glance at the new trend of Chinese poetry in the 18th century.

      • KCI등재

        브렉시트 국민투표 결과가 한국의 대영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황수(Hwang-Soo Lee),정주영(Juyoung Cheong) 고려대학교 미래성장연구소 2020 미래성장연구 Vol.6 No.2

        2016년 6월 23일 국민투표 결과로 인한 영국의 브렉시트(Brexit) 선언은 영국의 EU 탈퇴가 아직 비준되지 않은 상황에서 정치, 경제적 상황의 불확실성이 증대되어 세계 교역 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브렉시트 국민투표의 결과가 한국의 대영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교역 환경에 대한 불확실성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함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중차분모형(difference-in-differences model)의 사용을 통하여 처리 집단(treatment group)은 브렉시트를 선언한 영국, 통제집단(control group)은 나머지 EU및 OECD 회원국으로 설정하여 브렉시트 선언 이후 한국과의 교역이 두집단에서 다르게 나타나는 지를 살펴보았다. 2000년부터 2018년까지 분기별 교역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브렉시트 선언 이후 한국의 대영국 수출은 약 9.5% 정도 감소하였다. 이는 무역협정 탈퇴는 선언 그 자체만으로도 무역환경에 대한 불확실성을 증폭시켜 교역에 부정적인 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UK’s sudden Brexit declaration as a result of the June 23, 2016 referendum is expected to affect international trade markets through amplified uncertainty on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s even though the EU has not ratified the UK’s withdrawal from the EU. In this study we empirically investigate how Korea’s exports to the UK are influenced due to the Brexit referendum to find implications of the economic effects of uncertainty on the global trade environment. Applying the 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 while setting the UK as the treatment group and other EU and OECD members as the control group with quarterly trade data from 2000 to 2018, we find that Korea s exports to the UK decreased by about 9.5% after the declaration of Brexit.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declaration of withdrawal from the trade agreement itself can increase uncertainty on economic environment to the country and generate a negative effect on trade.

      • KCI등재

        공정거래법상 단독의 위반행위 규제의 체계(Ⅱ) - 불공정거래행위로서의 거래거절행위의 위법성, 그 본질과 판단기준(판례를 중심으로)

        이황 ( Lee¸ Hwang ) 한국경제법학회 2010 경제법연구 Vol.9 No.2

        현대오일뱅크의 2002년 거래거절 사건에 대하여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이 서로 정반대의 판단을 내려 위법성 판단기준에 관한 혼란이 초래되고 있다. 불공정거래행위로서의 개별적 거래거절행위에서의 부당성 판단기준에 관한 우리나라와 일본의 학설을 비교·검토한 결과 우리나라의 다수설과 판례상 법리는 일본의 학설과 하급심 판결을 수입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에 관한 실제 대법원 판결을 모두 검색하여 내용을 분석한 결과, 판시의 법리보다 실제 부당성을 인정한 범위는 상당히 좁았다. 우선 행위의 주체 면에서 거래거절 행위자가 시장에서 유력한 거래상 지위에 있어야 부당성이 인정되었다. 그리고 객관적 사정에서 거래거절의 주관적 의도를 알 수 있는 경우에는 그 것이 중심적 판단기준이 되었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거래거절로 인하여 상대방의 사업활동이 상당히 곤란해질 우려가 있는 등의 객관적 사유가 인정되어야 비로소 부당성이 인정되었다. 또한 거래거절을 하게 된 경위에 사업상 합리적 사유가 있다면 부당성을 부정하는 정당화 사유로 비교적 넓게 인정되었다. 다수의 학설보다 부당성을 좁게 인정하는 대법원의 실제 판결경향이 우리나라의 경제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나아가 대법원의 이러한 경향조차도 앞으로는 더욱 축소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Regarding the case of refusal to renew a sale contract by Hyundai Oil Bank in 2002, the Constitutional Court found it a violation of Korean competition law, however, the Supreme Court denied unfairness of the conduct. These contradictory judgments raised confusion in academia about the reach of unfairness in unilateral refusal to deal cases as a kind of unfair trade practices. This article found that current criteria about unfairness of the refusal, widely accepted in academia and expressly adopted by the Supreme Court, stem from old academic discussions in Japan that again have roots in early lower court cases 50 years ago. After analysis of most Supreme Court judgments about unilateral refusal to deal, the author found that the real criteria the Supreme Court applied to find liability were quite narrower than the criteria she expressly adopted; liability was found only when the conduct was done by a business entity with substantial market position that may be short of market dominance, though. When the Court was able to infer certain unfair purpose from conducts, unfairness was readily found. In many cases in which the Court was not able to infer such purposes, however, key issue was whether the business of the transaction party was made very difficult. At the same time, when there exist plausible reasons to engage in the questioned refusal the fairness inferred was readily overturned. In conclusion, the author finds that real criteria the Supreme Court applied to cases are better suited to realities of business transaction in contemporary.

      • KCI등재

        미국 장애인 교육법(IDEA)상 장애 영유아 교육서비스에 대한 고찰

        이황원 ( Hwang Won Le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미국의 ‘장애인 교육법’(IDEA)상 장애 영유아의 권리보호에 대한 내용을 고찰하고, 그 시사점을 찾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한국의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을 비교를 위한 검토의 대상으로 삼았다. 미국 IDEA는 이 법 내에 별도의 독립된 부분(Part C)을 마련하여 장애 영유아의 권리를 보호하고 있다. 특히 만 3세 이하의 장애 영유아에 대하여는 국가, 부모 및 전문가가 협의하여 개발한 종합적인 돌봄(total care)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서비스는 조기중재서비스(EIS)라 불리우며, 장애아의 부모가 참여하는 개별화된 가족서비스계획(IFSP)팀에 의해 개발된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는 만 3세미만의 장애 영유아에 대한 특수교육서비스는 부모의 필요에 따른 선택적 신청제도를 채택하여, 장애 영유아에 대한 지원이 정부에 의한 적극적 지원보다는 부모의 재정능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향후 만 3세미만의 장애 영유아에 대한 실질적인 권리가 보장될 수 있도록 법령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ducational services for infants and toddlers with disabilities in IDEA and to suggest the implications through comparing those with the similar services in the Special Education Act of Disabilities (SEAD) IN South Korea. IDEA is the federal law of the U.S. that requires schools to provide special education and related services for the qualified children with disabilities. Part C of the IDEA. Which was mainly researched, governed policies for infants and toddlers under age 3. The results were that the U.S government was more delicately providing early intervention services designed to meet the developmental needs of a particular infant or toddler. The individualized family service plan team in states developed early intervention services by a family-directed assessment of the resources, priorities, and concerns of the family. Meanwhile it was found that the Korean government was not providing appropriately free special education and related services for the infants and toddlers below age 3. This was partly blamed on the fact that the Korean Act (SEAD) addressed the voluntary application system of parents for free special education below age 3, meaning it served only those that apply. In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Korean government expanded more free special education and related services for the infants and toddler below age 3. The revisions of the Korean Act (SEAD) were recommended.

      • KCI등재

        장애아동을 위한 무상의 적절한 공교육(FAPE)과 관련한 미국의 판례 분석

        이황원 ( Lee Hwang-wo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8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미국 장애인교육촉진법(IDEIA)상 무상의 적절한 공교육(FAPE)의 원칙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분석하고, 이것이 한국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주는 시사점을 찾는데에 주안점을 두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미국 대법원 판례인 Rowley 사건을 심도 있게 분석하여 대립되는 주장들의 논거를 살펴보았다. 미국의 IDEIA에서 FAPE를 받을 권리는 공립 유치원, 초중등학교에서 주정부가 정한 수준의 공교육과 관련서비스를 무상으로 받는 것을 포함한다. 이 권리의 중심부에는 교육청이 결정하는 개별화교육프로그램이 자리 잡고 있다. 연구결과: 교육청에서 결정한 개별화교육서비스의 정당성과 타당성을 우선적으로 인정해주는 것이 미국 대법원 판례의 일관된 경향이다. 따라서 법원의 입장에서는 개별사건을 판단할 경우에 교육청이 개별화교육계획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장애아동, 학부모, 전문가의 참여를 보장하였는지를 심사하는 것이 중요한 부분이 된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발견되는 것은 우리나라에서도 장애아동에 대한 FAPE를 받을 권리를 선언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는 점이다. 그리고 장애아동의 개별화교육서비스 결정과 관련하여 학부모의 참여권을 보장하고, 이에 대해 민원이 있을 때에는 행정심판 등 민원처리 절차를 섬세하게 규정하는 것이 장애아동의 권리를 실질적으로 보호하는길이 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current meaning of "free appropriate public education"(FAPE) in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Improvement Act 2004 and draw some implications for Korean Special Education Act of Disabilities(SEAD). Method: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S. Supreme Court``s landmark “Rowley case” and illuminated conflicting arguments of each concerned parties. The right of FAPE encompass the benefit of free education and related services which meet th standards of state educational agency at the preschool, elementary or secondary school in the states. The core of FAPE constitutes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IEP) decided by the educational agency. Results: The U.S. Supreme Court has shown with a consistent tendency the deference to the decision of IEP by the educational agency. Therefore when the Court examine a case it is important for the Court to test the conditions if the educational agency comply the legal procedure of qualified representative involvement in the IEP’s determining processes.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es that korean SEAD is needed to add an articulation of FAPE for the disabled children. In order to protect the educational right of disabled children in Korea it is suggested that the educational agency guarantee the participation of the child parents or guardian in the decision process of IEP and stipulate in a delicate way the petition of SEAD.

      • KCI등재

        복원에 따른 양재천 어류 군집의 특성

        이황구 ( Hwang Goo Lee ),최준길 ( Jun Kil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9 No.6

        2012년 8월부터 2013년 4월까지 양재천의 어류상과 복원 후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총 5과 18종 1,503개체가 확인되었다. 하천복원 이후 양재천에 서식하는 담수어류 분포 조사결과 피라미(Zacco platypus)와 버들치(Rhynchocypris oxycephalus) 개체군이 높게 나타났다. 양재천에 서식하는 피라미 개체군의 전장빈도 분포 결과 총 4단계의 연령대가 추정되었으며, 27∼63㎜ (Age 0+)가 51.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피라미의 전장-체중 상관도의 회귀계수 b값은 3.27, 비만도지수 slope는 양의 값으로 안정적인 생육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내성도와 섭식도 길드 분석 결과 하류로 내려갈수록 민감종과 충식종은 개체수 풍부성이 감소하고, 내성종과 잡식종은 증가하였다. 군집지수와 IBI지수를 활용한 주성분 분석 결과 조사시기에 따라 구분되었으며, 1차와 2차조사시 특정단일종 개체군의 영향이 높고, 3차조사시 다양한 어류의 개체수가 균등하게 서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From August 2012 to April 2013, the ichthyofauna and post-restoration properties of Yangjae stream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1,503 fish of 2 forms, 16 species and 5 families were studied during the survey period. A survey of the distribution of freshwater fish inhabiting Yangjae stream after restoration of the stream showed large populations of Zacco platypus and Rhynchocypris oxycephalus. From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total length for the Zacco platypus population inhabiting Yangjae stream, it was estimated that there are 4 distinct age groups, with an abundance of the 27-63 ㎜ (Age 0+) category accounting for 51.3% of the population. The regression coefficient (b) for the length-weight relationship in Zacco platypus was 3.27, while the slope of the condition factor was positive, demonstrating that stable growth conditions are being maintained. Analysis of tolerance and trophic guilds showed a decrease in the numbers of sensitive species and insectivore species further downstream, and an increase in tolerant species and omnivore specie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using community indices and indices of biotic integrity (IBI)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urvey time: the first and second surveys showed major changes on certain single species populations while during the third survey, it was analyzed that the populations of various types of fish had established balance.

      • KCI등재

        한,중 속담에 나타난 "중"[僧]의 형상 비교연구 (2) - 중국 속담에만 나타나는 "중"의 형상을 중심으로-

        이황진 ( Hwang Jin Lee ) 한민족어문학회 2015 韓民族語文學 Vol.0 No.70

        본고는 중국 속담에서만 주로 나타나고 한국 속담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중’의 형상에 대해 그러한 이유가 무엇인지를 고찰한 글이다. 재물을 탐하는 ‘중’ 의 형상이 담긴 속담이 중국에는 다수 존재하는데 반해, 한국 속담에는 궁색하고 억울함을 당하는 ‘중’의 형상을 담은 속담이 여럿 있다. 그러한 이유는, 돈을 중시여기는 중국의 현실주의적인 민족성이 속담에 투영되었기 때문이며, 거기에 더해 한·중 양국 역대 왕조의 사원경제 규모와 폐단 그리고 도첩제 시행 목적의 차이도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출가는 곧 불효’라는 인식이 담긴 속담이 중국에는 다수 존재하는데 반해 한국 속담에 그런 속담이 전해지지 않는 것은, 한·중 양국의 불교 전래 시기 그리고 출가를 불효라고 비난하는 내용을 담은 배불론의 대두시기 및 그 전개 양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불교와 도교의 융합을 보여주는 존재’에 대한 속담을 한국에서 찾아볼 수 없는 이유는 한국에서 불교와 도교의 관계가 중국처럼 대등한 관계에서 서로 대립하기도 하고 교섭하기도 하며 점차 융합되어 간 것이 아니라, 불교 안에 도교가 포함되어 있는 형태로 전개되어왔기 때문이다. 중국 속담에만 나타나는 이러한 ‘중’의 형상을 담은 속담은 민중의 입장에서 속담을 통해 중국불교사를 표현해냈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중국불교의 일부 특징을 잘 담아내고 있다. 그리고 그러한 유형의 속담이 한국에 없다는 이유 자체도 결국 한국 불교사의 단면과 특징을 드러내는 것임을 중국 속담과의 비교를 통해 엿볼 수 있었다. This research paper examines the images of monk that only appear in Chinese proverbs and not in Korean and investigates the reason why. That image of greedy monk is many in Chinese proverbs. On the other hand, Korean proverbs contain many images of monk that are poor and suffer from injustice. One of the reasons is because Chinese proverbs reflect programmatic nature of Chinese people. In addition, the scale of temple economy and the differences in The certificate system in past dynasties of Korea and China also probably affected it. The reason why there are many Chinese proverbs that imply violation of filial piety associated with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but not in Korean proverbs is closely related to the period of introduction of Buddhism in Korea and China and the emergence of anti-Buddhism. The reason why the “proverbs that show a fusion of Buddhism and Taoism” are not found in Korea is because, in case of Korea, the relationship between Buddhism and Taoism did not follow the case of Chinese Buddhism and Taoism that became fused as they conflicted as well as interacted with each other. Rather, Taoism in Korea developed in a form in which Taoism was included in Buddhism. The proverbs that images of monk that appear in this way in Chinese proverbs only capture some characteristics of Chinese Buddhism very well, to the extent that they could be described as having expressed the history of Chinese Buddhism through proverbs from the perspective of ordinary Chinese people. Also, the reason that such proverbs do not exist in Korea suggest the characteristic uniqueness of Korean Buddhism as reflected in the comparison between Chinese and Korean proverbs.

      • KCI등재후보

        전환학습의 관점에서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의 가치 탐색

        이황원 ( Hwang Won Lee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교사교육연구 Vol.53 No.4

        이 연구는 중등학교 교사의 인력양성을 위한 직전 교육(pre-service training)에서 자발적으로 교직을 선택한 비사범대생들이 교육실습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에 대한 가치탐구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중·고등학교에서 교육실습을 마친 대학생 20명의 반성적 실습일지와 사후 평가인터뷰 자료를 바탕으로 교육실습의 가치를 전환학습의 관점에서 탐구하였다. 비사범대생들은 학교현장에서 교육실습을 통하여 다양한 경험을 한다. 먼저 교육실습생들은 교사가 학생에게 무한한 사랑과 관심을 베푸는 존재임을 알게 된다. 그리고 실제수업을 경험하면서 완벽한 수업을 위해서는 철저한 수업준비가 있어야 함을 깨닫게 해준다. 또한 교사는 수업만하는 고결한 직업이 아니라 다양한 행정업무를 하는 바쁜 직업임을 알게 된다. 그리고 교육실습 동안에 겪는 부정적 또는 긍정적 경험을 통하여 교직을 단념하거나 또는 열망하게 되는 계기를 갖게 된다. 이러한 것을 전환학습의 관점에서 본다면 의미틀과 의미시각이 변화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ful experiences of student teachers who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teaching practicum program as part of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pre-service training proces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value of the teaching practicum program from transformational learning theory perspective by analyzing the written journals and post-practicum interviews of twenty student teachers. The student teachers had diverse experiences during their secondary school teaching practicum. First, all the student teachers were aware that a teacher should care and consider the needs of all the students. During the teaching the practicum the student teachers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being fully prepared for each lesson. The student teachers also discovered that middle school teachers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extends beyond the classroom to include miscellaneous administrative work. In light of this, some student teachers confessed that they would abandon their future dreams of becoming a middle school teacher while others stated they remain determined to become a middle school teacher based on the success of the teaching practicum. These findings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transformational learning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