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OPUSKCI등재

        뇌성마비아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대처양상에 관한 연구

        이화자,이지원,Lee Hwa Za,Lee Ji Won 한국아동간호학회 1997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3 No.2

        Mothers with cerebral palsy children have much stress that is related to the care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to other household duties, and this state of the mother has an effect on the cerebral palsy child and on other household member. Mothers in such stressful situations use various coping patter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 to develop instruments that can be used for measuring the stress and coping patterns of mothers with cerebral palsy children, and to test a hypothetical mod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stress, her coping patterns and the variable affecting the stress and coping patter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stress scale was composed of 44 items and Cronbach's α was .94, and the coping pattern scale was composed of 19 items and Cronbach's α was. 80. The mean score of stress scale was 136.12 out of a total of 220, and the mean score of the coping scale was 72.87 in a total of 95. 2. In test of the hypothetical model, it was found that extra-care demand, the support of the husband, the degree of handicap, health status and self-esteem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mother's stress(r=.285,-.262,-.133, -.126). And the support of the husband, formal support, informal support, and economic status were found to have stati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mother's coping patterns (r=.412, .178, 178, .138).

      • KCI등재

        한ㆍ중 대상 이동 동사의 낱말밭 대조 연구

        이화자 중국학연구회 2012 중국학연구 Vol.- No.59

        This study aims to analyze each word field of Korean and Chinese theme-movement verbs and identify properties of segmental aspects of Korean and Chinese word fields. Korean or Chinese theme-movement verbs highly depend on where their meanings focus on, among a starting point, a movement process and a reaching point. A majority of Korean or Chinese theme-movement verbs focus their meanings on reaching points, and they are segment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reaching aspects or result conditions or movement aspects. Besides, vocabularies are distinguished depending on reaching points and semantic properties of movement objects, even they have similar motions. In other words, they are variously distinguished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reaching points of objects, that is, obedience objects, a means of transport and animate things. On the other hands, in some cases, similar vocabularies in Korean are differentiated by the quality of [+honorific] between subjects and reaching points, however, Chinese words have no this distinction system. Vocabularies in Chinese are distinguished by selectional restrictions of reaching points or objects in more various ways than in Korean, since in some cases, one Korean word corresponds to several Chinese words.

      • KCI등재

        만화 캐릭터의 유머 형성 기제(機制) 연구

        이화자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8 조형미디어학 Vol.21 No.1

        In human history, people have produced laughter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culture and politics as well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o induce "laughter," which is one of basic human roles, in the way they intend. A psychological operation or method to influence human behavior is called a mechanism. In theory, "humor" is defined to be created in a mechanism of producing laughter. Everyone knows that there are inseparable, close relations between cartoons and laughter. In cartoons, humor has been used as a means of making readers laugh to increase the favorability of cartoons and their characters and secure popular appeal for cartoon. Cartoon characters communicated via humor are recognized by the public and form a bond of sympathy based on daily familiarity. They are in an organized structure of complex stimuli(episememes), and the structure interacts with the cultural/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readers, producing a humor pattern and creating a humor effect.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humor patterns of cartoon characters, who represent a combination of various episememes, and discuss the humor effect(humor mechanism) created by the character components. Previous theories about humor have been addressed mainly in philosophy, psychology and psychoanalysis. Based on previous theories,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mechanism and operation of humor formation and categorized the components of episememes to stimulate laughter in characters in gag cartoons according to Henri Bergson's theory of the comic. The five categories were "humor of characters' forms," "humor of characters' movements," "humor of characters' situations," "humor of characters' words(language)" and "humor of characters' personality." Some works were then analyzed based on the categories. The scope of works to be analyzed in the study was restricted to gag cartoons because they focused on making readers laugh and were centered around character-based storytelling rather than well-plotted narrative develop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have effects on follow-up study to organize humorous characters in cartoons and investigate the methodology of representing a humorous situation. 인류 역사는 ‘웃음’이라는 인간의 본능적인 역할을 의도한 결과대로 이끌어 내기 위해서, 대인관계뿐만 아니라 문화, 정치 등 다양한 방면에서 웃음을 생산해 왔다. 인간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 작용이나 그 방법을 일컬어 기제(機制) 혹은 메커니즘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론적으로‘유머’는 웃음을 만들어내기 위한 메커니즘에 의해 형성됨으로 정의한다. 만화와 웃음의 관계는 떼려야 뗄 수 없는 밀접한 관계임을 익히 알고 있다. 만화에서 유머수용 방법은 감상자에게 웃음을 유발시켜 작품과 만화 캐릭터에 대한 호감도를 제고시키며, 대중성을 확보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어 왔다. 또한 유머로 소통되는 만화 캐릭터는 대중에게 인지도와 일상적 친근감의 공감대를 형성한다. 만화 캐릭터는 복합적 자극(의미소들)으로 이루어진 조직화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것은 감상자의 문화/심리적 특성과 상호작용하면서 유머양상과 유머효과를 만들어낸다.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의미소들의 합체인 만화 속 캐릭터가 어떤 유머 양상을 구성해내는지, 그리고 그러한 캐릭터 구성 요소들이 어떤 유머 효과(유머 기제)를 발생시키는지에 대해 논의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유머 관련 선행이론은 철학, 심리학, 정신분석학, 언어학 등에서 주로 다루어져 왔다. 연구자는 선행 이론들을 토대로 유머 형성 기제 및 작용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개그만화 속 캐릭터에서 웃음을 유발할 수 있게 하는 의미소들의 구성 요소를 앙리 베르그송의 희극론을 바탕으로 5가지로 분류하였다. 그 5가지 카테고리는‘캐릭터 형태의 유머’, ‘캐릭터 움직임의 유머’, ‘캐릭터 상황의 유머’, ‘캐릭터 말(언어)의 유머’, ‘캐릭터 성격의 유머’ 이며, 그것을 바탕으로 작품 분석을 논의하였다. 연구대상 분석 작품은 개그만화 장르로 그 범주를 한정한다. 그 이유는 개그만화는 목적면에서도 감상자에게 웃음 유도를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짜임새 있는 서사 전개보다는 캐릭터 중심의 스토리텔링을 중점으로 하는 장르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

      • 서울시 홍보용 동물캐릭터 ‘해치'의 상징성 분석

        이화자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9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09 No.6

        현대에 와서 동물캐릭터의 도상적 상징성은 자의로 만들어져 사회적 약속에 의해 기호작용을 하게 되었고, 공공기관이나 기업을 상징하기 위해 동물캐릭터는 심벌로 만들어져 적극 활용되고 있다. 오늘날은 이 환영의 동물캐릭터들이 중요한 아이콘으로 작용하고 있고, 상품개발자는 세속적인 동물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만들어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학사에서의 ‘상징성’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며, 동물캐릭터의 시작이었던 애니메이션과 동물캐릭터의 접목을 통해서 살펴본 매체 발달에 의한 현대 동물캐릭터의 응용을 기술한다. 그리고 기업 및 공공기관 홍보용 동물캐릭터의 활용 사례 중 대표적이라 할 수 있는 서울시의 동물캐릭터 ‘해치’의 상징성을 분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