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버거씨병으로 인한 레이노이드 현상 환자 치험 1례

        이현중,이보윤,이영은,양승보,조승연,박정미,고창남,박성욱,Lee, Hyun-joong,Lee, Bo-yun,Lee, Young-eun,Yang, Seung-bo,Cho, Seung-yeon,Park, Jung-mi,Ko, Chang-nam,Park, Seong-uk 대한한방내과학회 2015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36 No.3

        Here we report a case of a patient with Raynaud phenomenon due to Buerger’s disease to present the curative effects of herbal medicine in Buerger’s disease. The patient presented with pain, redness, and cyanosis of hands and feet. We used Korean medicine treatment modalities including acupuncture, moxibustion, and herbal medicines. We observed changes in symptoms through digital infrared thermographic imaging, taking photos of both hands and feet. After treatment, the symptoms of pain, redness, and cyanosis of both hands and feet were decreased and digital infrared thermographic imaging proved a rise in temperature of fingers and toes.

      • 중뇌 출혈 환자에서 나타난 단안의 부분 동안신경마비 여환 치험 1례

        이현중,이보윤,이영은,양승보,조승연,박정미,고창남,박성욱,Lee, Hyun-Joong,Lee, Bo-Yun,Lee, Young-eun,Yang, Seung-Bo,Cho, Seung-Yeon,Park, Jung-Mi,Ko, Chang-Nam,Park, Seong-Uk 대한중풍순환신경학회 2015 대한중풍.순환신경학회지 Vol.16 No.1

        This report is about a case of monocular partial oculomotor nerve palsy in a patient with midbrain hemorrhage. The patient developed diplopia while driving. The Brain MRI film demonstrated a hemorrhage in the right midbrain and left corona radiata and microbleedings in both cerebral and cerebellar hemispheres, basal ganglia, midbrain, pons. We used Korean medicine treatment modalities including acupuncture, electroacupuncture, pharmacoacupuncture and herb medicines. As a result, limitation of upward gaze was recovered to about 90% of normal range.

      • KCI등재

        2010년대 한국 스포츠영화의 스토리텔링 연구-이데올로기적 장치로 소비되는 스포츠영화의 장르성-

        이현중 ( Lee Hyun-joong ) 한민족문화학회 2019 한민족문화연구 Vol.66 No.-

        2000년대 상업적 장르영화로 일종의 내러티브 관습을 구축했던 한국 스포츠영화는 2010년대에 이르면 그 유형성이 흩어지기 시작한다. 스포츠를 중심으로 하는 메인 플롯과 캐릭터의 내적 갈등을 해소하는 서브플롯이 구조화 되는 기존 스포츠영화의 내러티브 관습과 달리 개별적 주제나 특성화된 복합장르에 따라 서사의 전개가 장르 공식에서 독자적으로 분리되어 나타나는 경향이 드러나는 것이다.이와 같은 한국 스포츠영화의 장르성에 균열을 일으키는 요소 중 하나로 이데올로기가 특징화된다. 구체적으로 청소년, 청년 세대의 사회문제와 국가와 민족주의라는 정치·사회 이데올로기가 이에 해당한다. 2000년대 한국 스포츠영화는 이데올로기를 가능한 배제하려는 의도를 보여 왔다. 개인의 문제와 가족애에 천착하는 신파성 드라마 장르성이 강조되는 식으로 한국 스포츠영화는 자기 극복과 성장을 주요 주제로 삼는 특징을 가졌다. 반면 2010년대 한국 스포츠영화에는 이데올로기가 전면에 드러나는 영화들이 발견된다. 분단의 문제와 민족주의를 다루는 영화들, 현대 사회를 투영한 신자유주의 시대의 경쟁 담론이나 청소년 계층, 나아가 가족과 세대 간의 갈등을 다루는 주제들이 스포츠영화를 통해 제기된다. 이러한 이데올로기성이 함의된 주제의식으로 인해 기존 스포츠영화의 관습들은 부분적으로 해체되거나 변형되는 양상이 나타난다.하지만 2010년대 한국 스포츠영화에 나타나는 이데올로기성은 장르를 훼손한다기보다 한국 스포츠영화의 새로운 혹은 변형된 장르 유형을 만드는 과정으로 이해하는 편이 적절하다. 실상 한국 스포츠영화의 장르 관습은 2000년대 초반 제작된 몇몇 상업적 성과를 거둔 영화들에서 교차되는 특성들을 축출한 것이었다. 때문에 2000년대는 한국 스포츠영화의 장르 발생기에 해당하고, 2010년대는 스포츠영화를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이 주제적으로 시도되는 시기로 볼 수 있다. 일종의 장르 과도기로서 이데올로기성이 스포츠영화의 스토리텔링에 편입되고 있는 것이다. Korean sports films, which established narratives as genre films in the 2000s, begin to change the convention in the 2010s. Unlike the traditional narratives of sports films, the genre has become separated from the genre formula depending on the theme or genre combination patterns of each film.Ideology is one of the factors that creates a rift in the genre of Korean sports films. Specifically, this includes social issues concerning the youth generation and political ideologies of the state and nationalism. Korean sports films in the 2000s have shown an intention to exclude ideologies as much as possible. On the other hand, films dealing with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nationalism are found in Korean sports films in the 2010s. Also, themes dealing with competition issues in the neo-liberal era and conflicts between youths and older generations appear.However, it is appropriate to understand the ideology shown in Korean sports films in the 2010s as a process of creating a modified genre type of sports films rather than undermining the genre. Ideology is being incorporated into the storytelling of sports films as a phenomenon of genre transition.

      • KCI등재

        슈퍼히어로 영화의 캐릭터 원형 유형 연구

        이현중 ( Lee Hyun Joong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1 현대영화연구 Vol.17 No.2

        슈퍼히어로 영화를 전환콘텐츠로 바라볼 때 그 원천콘텐츠는 코믹스이며, 슈퍼히어로 코믹스의 핵심은 캐릭터이다. 상이한 개성과 배경, 능력을 지닌 캐릭터의 속성은 각각의 슈퍼히어로 콘텐츠의 정체성을 만든다. 이러한 슈퍼히어로 캐릭터성 창조를 위해 캐릭터별로 서로 다른 원형성이 적용된다. 때문에 슈퍼히어로 캐릭터의 원형 유형을 분석하는 것은 슈퍼히어로 영화 장르에 대한 본질적 이해의 폭을 넓히는 계기가 되며, 전략화된 슈퍼히어로 캐릭터 창조 패턴을 분석해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로서 활용할 수도 있다. 슈퍼히어로 영화를 범위로 보았을 때 주류화된 슈퍼히어로의 원형으로는 이데올로기, 신화, 과학 기술로부터 파생된 유형을 발견할 수 있다. 슈퍼히어로 장르의 발생국인 미국의 현대사를 토대로 정치 이데올로기로부터 배경이 갖춰지는 슈퍼히어로, 고대 신화의 영웅을 현대적으로 각색한 슈퍼히어로, 과학 기술에 대한 기대와 불안감이 양가적으로 드러나는 슈퍼히어로 유형들이 그것이다. 이처럼 과거, 현재, 미래의 영웅의 표상과 원형이 같은 시공간 안에 섞여 있는 것이 슈퍼히어로 영화의 독특한 성질이며, 이는 곧 슈퍼히어로 영화의 원형을 통해 현대 대중문화가 재현하는 영웅성의 의미를 고찰할 수 있음을 뜻하는 것이기도 하다. The original of superhero films is superhero comics. The core of superhero comics is characters. Character attributes with different personalities, backgrounds, and abilities create the identity of each superhero content. To create these superhero characters, different archetypes are applied to each character. Thus, analyzing the archetypes of superhero characters is an opportunity to broaden the inherent understanding of superhero film genres. It can also be used as a storytelling strategy study by analyzing strategic superhero character creation patterns. In terms of the scope of superhero films, the main superhero archetypes are ideology, mythology, and science. More specifically, they include superhero types born from American ideology, superhero types modern adaptations of ancient mythical heroes, and superhero types that reveal both scientific expectations and anxiety. As such, the unique nature of superhero films is that the expressions and archetypes of heroes i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re mixed in the same time and space. This means that the archetype of superhero films can consider the meaning of heroism reproduced by modern pop culture.

      • KCI등재

        김일성 유일체제기 북한영화의 미국 표상 연구 (1972∼1994)

        이현중(Lee, Hyun Joong) 한국영화학회 2021 영화연구 Vol.- No.90

        본 논문은 김일성 유일체제기인 1972년부터 1994년까지 북한영화의 미국 표상을 연구한다. 실상 이 시기 북한과 미국은 교류가 단절된 정치 상황 아래 놓여 있었다. 1970년대 초 데탕트와 1980년대 후반 사회주의 진영의 붕괴 등 국제정세 변화가 있었지만, 북한은 이러한 전환기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였다. 자주노선을 강화함으로써 스스로를 고립시켰고, 내부적으로는 새로운 헌법 채택을 통한 김일성의 유일사상체제가 확립되며 자주성을 강화했다. 영화를 비롯한 문화 분야에서는 김정일이 전면에서 절대적 통제력을 행사했다. 주체사실주의를 체계화한 김정일의 『영화예술론』을 통해 유추할 수 있듯 북한영화에서 이념적 상대국인 미국 표상은 여전히 미국에 대한 적개심을 고양시키기 위한 반미반제의 목적 아래 있었다. 주목할 것은 그 외적 표상에 있어, 북한 배우들이 분장하거나 소비에트 배우들이 등장했던 과거 영화와 달리 월북 미군이 이 시기 영화들에 출연하였다는 점이다. 이는 국가 선전용으로 내세워졌던 월북 미군의 정치적 활용의 연장선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북한 문학예술의 1차 혁명이라 할 수 있는 『영화예술론』을 통해 기존의 일률적 창조방법에서 나름 진보한, 다른 내용과 형식을 추구할 가능성이 생김으로써 서구 장르영화의 관습들이 일부 북한영화들에 이입되었고, 이는 미국 표상의 새로운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면이 있다. This article studies the U.S. representations in North Korean films during the period of Kim Il Sung’s monolithic leadership system(1972∼1994). In fact, North Korea and the U.S. were in a political situation where exchanges were cut off at this time. There were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ncluding detente in the early 1970s and the collapse of socialist camps in the late 1980s. However, North Korea failed to respond appropriately to the turning point of international affairs. North Korea isolated itself by strengthening its self-reliance line. They also strengthened their independence by establishing Kim Il Sung’s monolithic leadership system through the adoption of a new constitution internally. Meanwhile, Kim Jong-il had absolute power in film and other cultural fields. Kim Jong-il’s Film Art Theory emphasized the subject. The U.S. representation of North Korean films still had the purpose of anti-Americanism to raise hostility toward the U.S. Interestingly, in past North Korean films, Americans were played by North Korean actors dressed up or Soviet actors, during which the American defectors to North Korea appeared. This is part of North Korea’s political use of the American defectors to North Korea as a propaganda. In addition, Kim Jong-il’s Film Art Theory pursued contents and forms that wer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methods of creation. Through this, the customs of Western genre films were incorporated into some North Korean films. This allows for a new interpretation of the U.S. representation of North Korean films.

      • KCI등재

        윤선거의 선후천론

        이현중 ( Lee Hyun-joo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9 儒學硏究 Vol.49 No.-

        본고에서는 노서(魯西) 윤선거(尹宣擧)가 연구의 자료로 삼았던 『역학계몽』과 자신의 선후천론을 밝히고 있는 「후천도설」을 중심으로 그의 선후천론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주희는 하도와 낙서를 괘효역학의 근거로 인식하면서도 도서와 괘효의 근원을 태극으로 규정하였다. 그는 하도와 낙서의 중심수인 십오와 오가 모두 태극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그러나 노서는 낙서의 오수(五數)는 태극과 황극 양자를 모두 나타낸다고 하였을 뿐만 아니라 하도의 십오가 오에 의하여 구성된다고 하였다. 이를 통하여 노서가 하도와 낙서를 천인합일의 차원에서 이해하였음을 알 수 있다. 노서는 팔괘도를 중심으로 제기된 선후천의 후천을 다시 선천과 후천으로 구분하여 본체를 나타내는 선천과 작용을 나타내는 후천을 연결하는 매개, 중심을 후천의 선천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그는 육자녀(六子女) 가운데 장남과 장녀를 나타내는 진손괘(震巽卦)를 선후천 변화의 중심으로 규정하였다. 노서가 선후천 변화의 중심으로 제시한 진손괘는 성인(聖人)을 상징한다. 성인은 본성을 그대로 발현하는 삶을 살아가는 존재이다. 따라서 진손괘는 삼극의 관점에서는 천도와 인사를 일관하는 황극을 나타낸다. 노서는 진손괘의 부각을 통하여 주희, 소옹이 태극을 중심으로 선후천을 이해함으로써 천지 중심, 건곤중심의 선후천론을 제기한 것과 달리 황극을 중심으로 선후천을 이해하였다. 또한 그는 서괘원리를 <삼색도(三索圖)>로 그리고 잡괘원리는 <팔궁도(八宮圖)>로 나타내고, 양자를 각각 후천의 본체와 후천의 작용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노서의 선후천론은 선천과 후천의 본체 그리고 후천의 작용을 태극과 황극 그리고 천태극(天太極)의 삼극의 구조를 통하여 이해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e-Heaven and Post-Heaven Theory of Noseo Yoon Seon-geo centered on his Doctrine of Post-Heaven (後天圖說). However, since the Doctrine of Post-Heaven by Noseo is based on the studies of I-hsueh Ch'i-meng, this study compares the two to investigate. Zhu Xi recognizes Hetu(河圖) and the Luoshu(洛書) as the evidence of the hexagram-line divination, but at the same time, defined that the root of the diagram-pictures and hexagram-lines as Taegeuk(太極). He claimed that the numbers 15 and 5, which are the central numbers of Hetu(河圖) and the Luoshu (洛書) both signify the Taegeuk(太極). However, Noseo not only claimed that the number 5(五數) of the Luoshu represents both Taegeuk(太極) and the Hwanggeuk(皇極), but also claimed that the number 15 of the Hetu(河圖) is consisted from 5. As such, Noseo understood Hetu and the Luoshu in terms of the theory of ‘Heaven-Man Unity (天人合一)’. Noseo divided again the post-heaven from the pre-heaven and post-heaven which was brought up centered on the Eight Trigrams(八卦圖) into pre-heaven and post-heaven, and defined the pre-heaven of the post-heaven as the mediator and center that links the pre-heaven, which signifies the main body, with the post-heaven, which signifies the reactions. As well, he defined the zhenxungua(震巽卦) which signifies the first son and daughter among the six children(六子女) as the center of the change of pre-heaven and post-heaven. The zhenxungua(震巽卦) that Noseo suggested as the center of the change of pre-heaven and post-heaven signifies the saint(聖人). Saints(聖人) are those who live the life of the natural human nature(本性). Therefore, in the perspective of the triode(三極), zhenxungua signifies the Hwanggeuk that goes through the Providence and human things. Noseo understood the pre-heaven and post-heaven centered on the Hwanggeuk through highlighting the zhenxungua, in contrast to Zhu Xi and Shao Yong who suggested the Pre-Heaven and Post-Heaven Theory centered on heaven and earth or the universe based Taegeuk. He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structure of the Xugua(序卦) is consists of the shangjing(上經) starting from the qiankun(乾坤) and ends in the kanli(坎離) and the xiajing(下經) starting from the zhenxungendui(震巽艮兌) and ends in the kanli(坎離), and claimed that the xugua(序卦) and zagua(雜卦) each signifies the pre-heaven of the post-heaven and post-heaven of the post-heaven. This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Noseo’s understanding of the pre-heaven of the pre-heaven and the post-heaven, and the post-heaven of the post-heaven through the structure of triode(三極) consisting of the Taegeuk, Hwanggeuk and Cheontaegeuk(天太極).

      • KCI등재후보

        이스트반 자보

        이현중(Lee, Hyun Joong)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3 씨네포럼 Vol.0 No.17

        헝가리 근현대사를 개인의 체험적 역사와 함께 표현하는 이스트반 자보의 작품들은 시대에 따라 차이 혹은 전환점을 갖는다. 이는 각각의 영화를 만들었던 헝가리의 현재에 위치한 세태의 변화에서 기인한 것이기도 하고, 극 안에서 드러나는 헝가리 역사의 시대적 문제이기도 하다. 그로 인해 생겨난 전환점들은 표면적인 형식 변화임에 동시에 극 내부에서 표출되는 역사관의 차이라고 할 수도 있다. 하지만 개인의 체험을 역사라는 큰 틀의 주제 속에서 다룬다는 점은 이스트반 자보의 작품들에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특성이다. 자보는 역사가 개인을 통해 이뤄진다는 인식을 지니고 있었으며, 이는 곧 관념적 의미의 역사마저도 개인의 존재를 통해서만 당위성이 부여될 수 있다는 의미와 통한다. 때문에 감독 개인의 체험에서 시작한 이야기들은 동시대의 세대, 헝가리의 역사, 더 나아가서는 유태인, 유럽 전체로 확장해 나가는 모습을 보인다. 이 거대한 역사관을 통한 후 자보는 이제 체험이 아닌 근원적 개인에 관한 이야기를 한다. 역사 속에 위치한 개인의 모습을 통해 개인의 윤리성과 내면적 갈등을 다루는 것이다. 개인의 체험에서 역사, 다시 개인으로 돌아오지만, 역설적이게도 이 순환은 확장된 주제로 나타난다. This article studies Istvan Szabo and his films focused on a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and history. And the formal signality is an another point to analysis his films. It is the fact that there are a few turning points in Istvan Szabo"s films begun since 1960s. They are the apparent formal change, also the tiny change of historical view showed from the movie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omethings in common. Specific scene patterns are repeated over the formal difference between formalism and realism. The relationship has not changed regardless of a period. The more important thing is the repetition is done with a matter of degree in the huge subject of an individual and a history. It is started from awareness of the every silent things to Szabo that history are made through individuals. Even it is future-oriented or a corrupt image, or an abstract thing, history can be admitted the role with an individual"s existence. So the every historical subjects are extended gradually to same generation"s matter experienced hungarian history of the same age, and go further to the matters of the Jews, central Europe and the whole of Europe even though it is started from the Szabo`s personal experience.

      • KCI등재

        1960년대 북한영화 속 미국 표상 연구

        이현중(Lee, Hyun Joong) 한국영화학회 2021 영화연구 Vol.- No.87

        1960년대는 남과 북의 정치적 이념 대립이 체제 구축을 통한 이념 대결로 표출되는 시기였다. 국내외적으로 베트남전, 중소논쟁, 박정희 정권의 시작과 이념대립, 한일협정 등 북한 입장에서 압력을 받을 수밖에 없는 정세들이 펼쳐지고 있었고, 북한영화는 언제나처럼 선전 도구로서 이념교양의 역할을 수행해야 했다. 영화의 정치적 역할은 이미 이전 시대부터 주목받았던 사실이고, 1960년대는 산업적으로도 북한영화가 팽창하던 시기였기 때문에 영화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었다. 김일성의 유일체제 구축과 외세 위협으로부터의 내부 결속 등을 위해 1960년대 북한영화에는 반미반제 주제의 영화들이 다수 등장했으며, 이 영화들은 적대적 존재로서 미국 표상을 활용한다. 반미반제교양 주제는 해방 이후 1950년대 6·25전쟁을 거치며 북한영화에 뚜렷이 자리 잡은 형식이었다. 다만 주로 미군을 등장시켜 물리적 폭력을 행사하는 침략자로서 이미지를 고정시켰던 기존의 영화들과 다르게 1960년대 북한영화에서의 미국 표상은 표면적인 확장 양상을 보인다. 6·25전쟁을 다룸에도 투쟁의 대상인 미군을 직접 등장시키지 않아 인민영웅에 집중하는 형상이라든지 군인이 아닌 민간인으로 설정된 미국인의 등장 등이 그 대표적 사례가 된다. 아예 배경을 남한으로 옮겨 4·19혁명을 비롯한 남한의 역사적 사건을 다루는 영화들도 제작되는데, 이들 영화에서도 주된 적대자는 남한의 정치가나 군대가 아닌 미국인으로 설정된다. 이는 기존의 침략자 표상에 더해 지배자로서 미국의 표상이 강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미군에 한정되지 않고 사업가, 종교인, 정치가와 같은 인물 형상으로 미국에 대한 표상이 확장되며 단순한 힘의 대립 구도가 아닌 교묘하고 정신적으로 남과 북의 민중들을 착취하고 파멸에 이르게 하는 악랄한 존재로 미국을 형상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치적 수단으로서의 적대적 미국 표상은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아동영화에서도 발견된다. 직접적으로 미군을 등장시켜 애니메이션 특유의 과장된 표현으로 풍자하는 아동영화를 비롯해 승냥이, 여우 등의 의인화된 캐릭터 표현으로 은유적으로 미국에 대한 적대적 이미지를 교육하고, 우화적 이야기로 징벌하는 이야기가 아동영화에서 재현된다. 이처럼 1960년대 북한영화의 확장 속에서 나름의 방식으로 미국 표상이 다양화 혹은 분화되는 지점들이 있으며, 이는 1960년대라는 시대적 상황 아래 북한의 정치, 예술창작 이념들이 영화로 어떻게 이입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단서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국 표상을 영화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특징적인 작품들을 중심으로 하여 이에 대한 영화적 해석을 수행한다. In the 1960s,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established their own political system in earnest. At home and abroad, there were situations that had to be pressured by North Korea, such as the Vietnam War, Sino-Soviet disputes, 1965 Korea-Japan treaty and the ideological confrontation with the South Korean Park Chung-hee regime. North Korean films have been used as propaganda before. The political role of the film had already drawn attention from previous times. In the 1960s, films were more important because North Korean films were also expanding industrially. In order to establish Kim Il-sung’s only system and unite the inside from foreign threats, many anti-American films appeared in North Korean films in the 1960s. The films used the American image as a hostile being. The anti-U.S. theme was clearly established in North Korean films after the independence of Korea. However, unlike previous films that used to stereotype American soldiers as physical violence, the U.S. image in North Korean films in the 1960s shows a superficial expansion. For example, despite the background of the Korean War, the U.S. military, which is a fighting partner, does not appear directly, but focuses on the people’s heroes, or appears Americans who are set up as c ivilians, not soldiers. Films dealing with historical events in South Korea, including the 4.19 Revolution, have also been produced. In those films, the antagonist was also set up as an American, not a South Korean political leader or an army. This is the addition of the ruler U.S. to the existing aggressor representation. Not limited to the U.S. military, but the image of the U.S. has been expanded to include figures such as businessmen, religious figures and politicians. It is not just a confrontation of power, but rather a vicious one that destroys the people of South and North Korea. This hostile American representation as a political tool is also found in children’s films. The children’s films satirize the U.S. with an exaggerated expression unique to the animation, directly featuring the U.S. military. There were also children’s films that metaphorically educate the hostile image of the U.S. with personalized characters such as wild dogs and foxes, and tell stories of punishing them with allegorical stories. In the 1960s, there are points where the U.S. image is diversified or differentiated in its own way amid the expansion of North Korean films. This is a clue to how North Korea’s political and artistic creative ideas are incorporated into films in the 1960s. So, this study focuses on characteristic films that can identify American symbols cinematically.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21세기 슈퍼히어로 영화의 문화적 다양화 경향 연구

        이현중(Lee Hyun joong) 한국문화연구학회 2017 문화연구 Vol.5 No.1

        본 논문의 목적은 21세기 슈퍼히어로 영화의 차별화된 특징을 문화적 다양성이라는 측면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이전의 슈퍼히어로 영화가 백인 중심, 남성 중심, 미국 중심의 보수적 세계관에서 팍스 아메리카나의 신화를 상징했다면, 현재의 슈퍼히어로 영화는 최소한 표면적으로는 보수적 성격에 기반을 둔 단일성에서 탈피해 문화적 다양주의를 지향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를테면 여성 슈퍼히어로, 흑인 슈퍼히어로의 전면화와 같은 젠더 스와프, 레이스 스와프 양상이 나타난다. 그리고 남성중심주의의 슈퍼히어로 영화 속에서 전형화된 여성 유형을 변화시키는 캐릭터와 백인 슈퍼히어로보다 우월한 능력과 사회적 지위를 갖춘 흑인 슈퍼히어로처럼 단순한 역할 변화의 범주를 넘어서는 슈퍼히어로 캐릭터의 사회적 다양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성, 인종 문제를 넘어 슈퍼히어로 영화의 문화적 다양화 경향은 점차 종교, 국적, 사회 계층, 이들을 포괄하는 문화의 문제로까지 확대된다. 이러한 슈퍼히어로 영화의 문화적 다양성은 대중문화로서 시대적 변화에 대한 반응이기도 하고,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콘텐츠로서 수익 창출을 위한 전략이기도 하다. 슈퍼히어로 영화의 국제화 전략과 해외 수익의 증가, 그리고 특정한 세대와 국적, 성별과 인종에 한정되지 않는 향유층의 다양화에 따라 문화적 다양성을 갖춘 슈퍼히어로 캐릭터가 등장함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sis 21th century superhero films in a view of diversity. Superhero films in 20th century was white centered, male centered and America centered. It has represented the myth of pax-americana. However, recent superhero films direct cultural diversity even though it is superficial. For instance, female superheroes and black superheroes become mainstream. It would be perceived as gender swap and race swap. The trend of cultural diversity in superhero films is getting to extend to more social and cultural issues such as region, nationality and even in social stratum. These cultural diversity of superhero films is a response to chronological change, and also commercial strategy as entertainment contents. It is related to the internationalization of superhero films, the increase of oversea profit, and the diversity of consum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