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펄스형 전자기장 자극을 통해 DNCB로 유발된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 효과 분석

        이지영,김준영,이예린,김고은,이용흠,양세정,Lee, Jiyoung,Kim, Jun-Yong,Lee, Yerin,Kim, Ko Eun,Lee, Yongheum,Yang, Sejung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21 의공학회지 Vol.42 No.3

        Atopic dermatitis (AD), a chronic inflammatory skin disease, is characterized by itchy and age-dependent lesion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PEMF) significantly improved chronic ulcers and ununited fractures, providing an evidence for the application of PEMF in resolving inflammation caused by A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PEMF on DNCB-induced AD in animal models. Five male hairless mice (6 weeks old) per group were assigned to a normal group, a sham group, and two PEMF groups (15Hz, 75Hz). Mice were treated with 2,4-Dinitrochlorobenzene (DNCB) to induce uniform AD among all groups excluding a normal group. To examine the inflammatory progress and the improvement of AD after the PEMF stimulation, images are taken with various cameras for non-invasive evaluation and the results are expressed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for visua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PEMF effectively improved skin lesions without the use of drugs.

      • KCI등재

        특징 선택과 서포트 벡터 머신을 활용한 에너지 절도 검출

        이지영,선영규,이승우,김진영,Lee, Jiyoung,Sun, Young-Ghyu,Lee, Seongwoo,Kim, Jin-Young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1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1 No.5

        As the electricity grid systems has been intelligent with the development of ICT technology,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of users connected to the grid is available to acquired and analyzed for the power utilities. In this paper, the energy theft problem is solved by feature selection methods, which is emerging as the main cause of economic loss in smart grid. The data preprocessing steps of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five steps. In the feature selection step, features are selected using analysis of variance and mutual information (MI) based method, which are filtering-based feature selec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s, the performance of support vector machine classifier is higher than the case of using all the input features of the input data for the case of the MI based feature selection method. 전력 그리드 시스템이 ICT 기술의 발달로 지능화됨에 따라 그리드에 연결된 사용자의 전력 사용량 정보를 획득하고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그리드에서 경제적 손실을 일으키는 주된 원인인 에너지 절도 문제를 특징 선택과 서포트 벡터 머신을 이용해서 해결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의 데이터 전처리 과정은 다섯 단계다. 전처리 단계에서 필터링 기반 특징 선택 방법인 분산 분석 기반 방식과 상호의존정보 기반 방식을 활용해 특징을 선택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입력 데이터의 특징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보다 상호의존정보 기반 특징 선택을 이용하면 적은 입력 특징을 이용해 서포트 벡터 머신 기반 분류기로부터 더 높은 분류 성능을 얻어 낼 수 있다.

      • KCI등재

        마커 제어 워터셰드와 타원 적합기법을 결합한 다중 교모세포종 분할

        이지영,정다은,이현우,양세정,Lee, Jiyoung,Jeong, Daeun,Lee, Hyunwoo,Yang, Sejung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21 의공학회지 Vol.42 No.4

        In order to analyze cell images, accurate segmentation of each cell is indispensable. However, the reality is that accurate cell image segmentation is not easy due to various noises, dense cells, and inconsistent shape of cells.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that combines marker-based watershed segmentation and ellipse fitting method for glioblastoma cell segmentation. In the proposed algorithm, in order to solve the over-segmentation problem of the existing watershed method, the marker-based watershed technique is primarily performed through "seeding using local minima". In addition, as a second process, the concave point search using ellipse fitting for final segmentation based on the connection line between the concave points has been perform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we compared three algorithms with other algorithms along with the calculation of segmentation accuracy, and we applied the algorithm to other cell image data to check the generalization and propose a solution.

      • KCI등재

        데이터마이닝과 학습기법을 이용한 부동산가격지수 예측

        이지영,유재필,Lee, Jiyoung,Ryu, Jae Pil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8

        4차 산업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면서 데이터를 활용한 과학적 방법론이 발전하고 있지만 부동산 분야에 대한 연구는 데이터 수집의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다. 더불어 일반 시장 참여자들의 지식이 확장되면서 정성적인 심리가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원천 데이터가 아닌 심리적 부분을 반영한 정량 데이터를 텍스트마이닝과 k-meas 알고리즘을 통해 수집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공신경망 학습을 통해 주택 지수의 방향성을 예측하고자 한다. 2012년부터 2019년까지의 데이터를 학습 기간으로 하고 2020년도를 예측 기간으로 설정하여 실험을 진행한 결과, 두 가지 CASE에서 예측 능력이 약 80% 이상으로 우수하였고 주택지수의 상승 구간에서의 예측 강도 또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의사결정에 있어서 부동산 시장 참여자들에게 인공신경망과 같은 과학적 방식의 활용도 증가 및 고전적 방식에서 벗어난 원천 데이터의 대체 데이터 확보 등에 대한 노력이 증진되기를 기대한다. With increasing interest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ata-driven scientific methodologies have developed.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of data collection in the real estate field of research. In addition, as the public becomes more knowledgeable about the real estate market, the qualitative sentiment comes to play a bigger role in the real estate market. Therefore, we propose a method to collect quantitative data that reflects sentiment using text mining and k-means algorithms, rather than the existing source data, and to predict the direction of housing index through artificial neural network learning based on the collected data. Data from 2012 to 2019 is set as the training period and 2020 as the prediction perio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utilization of scientific methods such as artificial neural networks rather than the use of the classical methodology for real estate market participants in their decision making process.

      • KCI등재후보

        현대영화 몽타주의 '파편화(fragmentation)' 경향 연구

        이지영,LEE, Jiyoung 성균관대학교 트랜스미디어연구소 2017 트랜스- Vol.3 No.-

        영화학자 뱅상 아미엘은 자신의 저서 <몽타주의 미학>을 통해 몽타주의 타입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소개한다. 서사 몽타주(Montage narratif)와 담론 몽타주(Montage discursif), 대응 몽타주(Montage decorrespondances)가 그 구분법으로, 이 세 가지의 부류는 거의 대부분의 영화들이 속하는 미학적 부류를 포괄하는 개념이 된다. 초기의 영화들은 편집의 본질적이고 기본적인 기능을 추구했는데, 이러한 성향은 시간이 흐를수록 연출자의 목표를 강화하기 위한 방향으로 수정되었다. 이처럼 서사를 결합시키는 '방법론'으로서가 아니라 '목적'을 지향하는 몽타주의 방식을 본고는 표현적 몽타주(Montage expressif)로 지칭하고, 이를 진정한 몽타주의 개념으로 받아들이며 논의를 시작한다. 몽타주 단계에서 표현적 몽타주 작업은 총 세 단계의 결정을 통해서 이뤄진다. 일차적으로 러시 필름 중 필요한 부분만을 선정하는 '선별'의 과정을 거친 후, 이 선택된 필름들을 일정한 순서대로 결합시키는 '결합'의 과정, 그리고 쇼트의 지속 시간을 고려해 장면연결을 결정하는 '연결'이 몽타주의 마지막 단계가 된다. 물론 예외는 있다. 고전적 서사의 픽션 영화가 클로즈업을 사용할 때, 혹은 모델이나 중성적 동물의 오브제를 사용할 때 영화는 관객의 감정을 끌어당기는 '담론 몽타주'나 '서사 몽타주'가 아닌, '대응 몽타주'의 경향을 유도하고, 이는 몽타주의 일반적 의미를 거스르는 측면에서 예외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처럼 클로즈업이나 대응몽타주가 사용하는 '콜라주'를 통한 연결, 혹은 '불확실한 연관성'을 지닌 작품의 몽타주 경향을 '현대영화의 파편화(fragmentation) 경향'이라 명명하며 이를 분석하려 한다. 현대영화에서 몽타주의 파편화는 영화의 연속적이고 구조적인 속성들을 깨트리고, 영화의 표면에 가시적으로 드러나는 서사(narration)의 구조를 혼동시킨다. 이처럼 클로즈업에서 시작된 몽타주의 파편화의 경향은 현대적 이미지의 확장성에 관한 해답을 줄 수 있으리라 본고는 바라보고 있다. The film scholar Vincent Amiel divides into three types of montage through his book The Aesthetics of Montage ; Montage narratif, Montage discursif, and Montage decorrespondances. These three categories are the concept that encompasses the aesthetic class to which most movies belong. Early films pursued the essential and basic functions of editing, which tend to be modified in the direction of enhancing the director's goals over time. In this way, "Expressive Montage" is one of most important concepts of montage, not as a 'methodology' that combines narrative but as a 'purpose'. In the montage stage, the expressive montage work is done through three steps of decision. The process of 'combining' to combine the selected films in a certain order, after the process of 'selection' which selects only necessary parts of the rush film, and 'connection' to determine the scene connection considering the duration of the shot. The connection is the final stage of the montage. There are exceptions, of course. When fiction films of classical narratives use close-ups, or when using models or objects of neutered animals, the film induces the tendency of a "montage decorrespondances" rather than a "montage narratif" or "montage discursif".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tendency of montage of works with 'uncertain connection' through 'collage' used by close-ups and montage decorrespondances as 'fragmentation tendency of modern films'. The fragmentation of the montage in contemporary film breaks the continuous and structural nature of the film, and confuses the narration structure that is visible on the surface of the film. The tendency of the fragmentation of the montage, which started from this close-up, seems to give an answer to the extensibility of the modern image.

      • 표면이미징 기법을 이용한 목재의 해부학적 구조 관찰

        이지영 ( Jiyoung Lee ),이형구 ( Hyung Gu Lee ),권오경 ( Ohkyung Kwon ) 한국목재공학회 2022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2 No.2

        Observation of the microscopic features has exploited transmitted light microscopy with microscopic slides containing thin sections from the major planes - cross, radial, and tangential planes. However, surface imaging techniques such as stereo, reflection, and fluorescence light microscopy can be an alternative to the transmitted light microscopy. The surface imaging techniques should have sufficient resolution and contrast to distinguish the microscopic anatomical features on the surfaces of wood block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several anatomical features of wood by utilizing stereo microscopy (STEREO), brightfield reflected light microscopy with a polarizer (RLBF), and fluorescence light microscopy (FLUO). These microscopies were evaluated their performances in terms of resolution and contrast by observing the shape and arrangement of minute anatomical features such as intervessel and vessel-ray pits.

      • KCI등재
      • KCI등재

        일본 지방소멸의 구조적 원인에 대한 일고찰 : 고도경제성장기 집단취직과 인구이동을 중심으로

        이지영 ( Lee Jiyoung ) 현대일본학회 2023 日本硏究論叢 Vol.57 No.-

        본 글의 목적은 일본 지방소멸의 구조적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글은 고도경제성 장기 (1955년∼1975년) 연소노동자의 집단취직을 대상으로 집단취직이 어떻게 제도화되어 운영되었는지 인구이동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또한 연소노동자의 대규모 인구이동을 가능하게 했던 계획수송에 대해 고찰했다. 분석 결과, 국가의 강력한 통제와 주도 하에 실시된 연소노동자의 대규모 집단취직과 그로 인한 인구이동은 완전고용의 실현과 산업구조의 전환, 지역 간 소득격차의 해소를 실현했으나 연소 노동력의 수요지역인 대도시권의 급격한 사회증가를, 공급지역인 지방의 급격한 사회감소를 발생시켰다. 대도시권의 과밀과 지방의 과소화 문제, 도시와 지방 간 인구불균형, 지방의 인구구조의 변화를 초래한 집단취직과 인구이동은 고도경제성장기 한 시기의 역사적 현상이 아니라 현재의 일본 지방소멸의 구조적 원인의 하나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cause of the extinction of the local population in Japan. With a focus on the collective employment of laborers under twenty, this paper examined how collective employment was institutionalized and functioned during the period of high economic growth (1955-1975), in terms of population movement. It also considered planned transportation that enabled large-scale population movement of under-twenty labor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large-scale collective employment of under-twenty laborers under the strong control and initiative of the state resulted in full employment, transformed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narrowed the income gap between regions. However, it caused a rapid social increase in the metropolitan area, which is a demand area for under-twenty labor, and a rapid social decrease in the provincial area, which is the supply area. In conclusion, collective employment, which caused overcrowding in the metropolitan areas, underpopulation in the provinces, population imbalance between the cities and provinces, and changes in the population structure of the provinces, was not a historical phenomenon during the period of high economic growth, but one of the structural causes of the current local population extinction in Japan.

      • KCI등재

        대학 글쓰기 센터의 운영 현황과 발전 방향 : 학생 전공에 따른 만족도 차이와 글쓰기 지도 내용에 대한 학생 요구 분석을 중심으로

        이지영(Lee, Jiyoung)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2

        본고에서는 영산대학교 글쓰기 센터의 운영 체계과 운영 과정을 살펴보고, 운영 현황과 성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교 글쓰기 센터의 발전을 위한 방향과 대학 글쓰기 교육 내용과 방법 구성 시 도움이 될 만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우선, 글쓰기 센터 운영 현황 이해를 위해 구성 조직도, 글쓰기 센터에서 일년 동안 운영하는 교육 프로그램들, 사업 계획서, 홍보 포스터, 교육 프로그램 신청서, 온라인 홈페이지 화면 등 구체적인 정보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글쓰기 센터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글쓰기 캠프에 참여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대체적으로 높았다. 그러나 ‘역량 향상’과 ‘동기 향상’에서는 다소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학생들의 전공에 따른 만족도 차이에서 이공계 학생들의 만족도가 인문사회계 학생들보다 다소 낮게 확인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캠프의 주제를 다양하게 구성하며, 이공계 학생들을 위한 글쓰기 교육 내용 마련을 제안하였다. 학생들의 온라인 첨삭 신청 유형을 분석해 본 결과, 학생들은 문단 구성에서 대한 지도 요구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글쓰기 지도의 방향을 쓰기 결과 중심의 지도에서 쓰기 과정 중심의 지도로 변화해나가야 함을 주장하였다. 마지막 결론 장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 구성 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글쓰기 센터 발전을 위해 모색해야 하는 방향을 제안하였다. In this paper, the operating system and operation process of Youngsan University s writing center were reviewed, and the operation status and performance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university writing center, along with implications that can be helpful in composing the content and methods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were suggested.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operating status of the writing center,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the organizational chart, the training programs operated for one year at the writing center, the business plan, the publicity poster, the training program application form, and the online homepage screen were presented. Next,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writing center education program was analyzed. The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writing camp was generally high. However, enhancement of competency and improvement of motivation showed a somewhat low level of satisfaction. Also, this research confirme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of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students according to the students major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themes of the camp were organized, and writing educational content for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was propos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udents online correction application type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students had a high demand for guidance regarding paragraph composition. Accordingly, this study argued that the direction of writing instruction should change from instruction that is centered on getting results to instruction that is centered on the writing process itse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