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의 통제양식과 모의 적응 및 자녀의 적응

        이정옥,최해연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9 No.2

        Based on the multi-faceted control concept of Shapir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atterns of control modes used by mothers, and their impact on adaptation of mothers and their children. The 153 5th or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their 153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ombination of the four control modes of mothers formed four clusters, which were named; ‘the assertive group’ using positive and negative assertive type control modes in the main, ‘the yielding group’ using positive acceptive type control mode in the main, ‘the lethargy group’ using negative acceptive type control mode in the main, and ‘the integration group’ using all the 4 types control modes. The integration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ense of control and life satisfaction, while the lethargy group had low sense of control and life satisfaction. Children of the integration group were reported to show significantly higher school adaptation compared other groups. But children of the integration type group showd higher autonomy only compared to the assertive group. The importance of balanced use of control modes was discussed. 본 연구는 Shapiro의 다차원적 통제 개념을 기반으로 어머니가 사용하는 통제양식의 방식에 따라 어머니의 적응과 초등학생 자녀의 적응이 다른지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153명과 그 어머니들이 짝을 이루어 연구에 참여하였다. 어머니가 주로 사용하는 통제양식들의 조합으로 군집을 분류하고, 어머니 자신과 초등학생 자녀의 적응 지표에서 집단 간 차이를 검토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긍정적, 부정적 주장양식을 주로 사용하는 ‘주장형’ 집단, 긍정적 수용양식을 주로 사용하는 ‘수용형’ 집단, 부정적 수용양식을 주로 사용하는 ‘무기력형’ 집단, 그리고 주장양식과 수용양식을 모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통합형’ 집단이 구분되었다. 통합형 집단은 통제감과 삶의 만족도에서는 유의하게 높은 수준을 나타냈으며, 무기력형 집단은 다른 집단들에 비해 통제감과 삶의 만족도 모두 유의하게 낮았다. 통합형 집단은 다른 세 집단에 비하여 자녀의 학교적응 수준이 높다고 보고하였으나, 그 자녀가 보고한 자율성 수준에서는 주장형 그룹과 비교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통제양식을 균형 있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함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テイク」「テクル」와 「어 가다」「어 오다」의 문법화의 차이점

        이정옥 한국일본근대학회 2014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4

        본 논문은 한국어의 「어 가다·어 오다」와 일본어의 「テイク·テクル」의 문법화의 상이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한국어의 「어 가다·어 오다」와 일본어의 「テイク·テクル」는 <공간이동>과 <시간이동>의 <동작의 계속><변화의 계속>을 나타내는 경우는 성립가능하나 일본어의 경우에 성립가능한 「テクル」의 <개시>용법은 한국어에서는 성립하지 않으며 또한 <심리이동>의 경우도 일본어의 「テクル」는 성립하나 한국어에서는 성립하지 않았다. 그러나, <심리이동>의 문법화의 전단계라 할 수 있는 <대상의 이동>의 경우는 동사의 제약은 존재하나 한국어도 「어 오다」가 성립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사실은 문법화의 방향성을 설명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한국어의 「어 오다」도 일본어의「テクル」와 마찬가지로 <심리이동>을 나타낼 가능성을 지니고 있으며 일본어의 「テクル」의 문법화 과정을 답습하리라는 예상까지 가능하게 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반대로 한국어에서는 「다 먹어 간다」와 같이 「어 가다」구문으로 <종료근사점>을 나타낼 수 있으나 일본어의 「テイク」에는 이러한 용법이 존재하지 않았다. <종료근사점>을 나타내는 문법형식이 존재하는 것도 한국어의 특징 중 하나라 할 수 있겠다. 일본어는 「テクル」가, 한국어는 「어 가다」가 각각 대응형식인「テイク」,「어 오다」보다 문법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sychological moves> can be expressed by an abstract form of the verb “テクル(te kuru)” which is usually used to describe the moves of concrete subjects, which illustrates the continuity of grammaticalization. Such <subject and psychological moves> are only possible for the verb “テクル(tekuru)” and do not exist for the verb “テイク(te iku)”. <Temporal moves> are usually treated as part of aspect, but they can also be considered concessive modal verbs. In addition, I examin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grammaticalization. This comparison reveals that the Korean language`s “-어 가다a gata” is more grammaticalized than its Japanese analogues “テイク(te iku)”. And that Japanese language`s “テイク(te iku)” is more grmmaticalized than its korean analogues “-어 오다 a ota”

      • KCI등재

        공업계 교원 자격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연수교사의 만족도

        이정옥,김판욱(Jung Ok Lee),Pan Wook Kim 대한공업교육학회 1993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18 No.2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basic materiasuse as basic materals to develop the secondary schols for the developing of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training program of technical studies.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the researcher studie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inservice training program that obtain the first or second class regular teacher`s qualification. Research methods included both the literature research for a theoretical investigation and the survey research for a empirical investigation. The researcher gave the questionnaire to each of 199 teachers of three group`s technical education, electrical engineering and chemical engineering who took part in the inservice training program in 1992 summer vacation. The researcher received 174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173 sheets which were responded by teachers were used for the data processing because 1 sheet was discarded as irrelevent to study. The significant level on statistical research was 5 %. Considering research findings according to the research objectives, the researcher could conclude as follows. 1) The curriculum and processing method about teacher`s training program should be required further examination. 2) Concersning the future of the contents of the training courses, it must be both suitable to the students` current educational curriculum and more professional and broader in scope. 3) With the respect to the methodology used to teach the theories related to their area of expertise, it is more desirable to change step by step into both the discussion method and the project method. 4) In Inservice training program must implement a system of elective courses. So, it will be for teachers to sacrifice their specific interests and deep training courses. 5) The evaluation system and process should be reexamined not to test for the teacher`s estimation but to help directly for practical situation. 6) In training period, the field trip must be increased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courses in their specific subject. And to acquire the knowledge based on industrial production experiences, the training center`s authorities must make plans for use the backbone technologists of the company and for teaching the training teachers in the industrial situations.

      • KCI등재

        <變化の繼續>を表す「テイク」構文の前項動詞類-<主體動作,客體變化他動詞>を中心に-

        이정옥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15 日本語敎育 Vol.0 No.73

        本稿は、<變化の繼續>を表す「テイク」構文についての先行硏究のうち、森田(1968)の變化の繼續には無意志動詞が來るといった指摘を受け、主體變化他動詞の場合は、進展性變化動詞句が立ち、主體動作·客體變化他動詞の場合も立つので、補う必要があるといった問題提起から出發した。しかし、<主體動作·客體變化他動詞>の場合は、<變化の繼續>を表す「テイク」構文において、「あたためる」のような主體動作·客體變化他動詞は前項動詞として成り立つが、「沸かす」のような主體動作·客體變化他動詞は不可能である。本硏究では、その理由として動詞の進展性の限界の有無に焦点を置き、考察を進めた。「あたためる」のような[-限界客體變化他動詞]は變化はいくらでも想定でき、<變化の繼續>を表すことができる。一方、[+限界客體變化他動詞]が來た場合には、變化にいたるまでの<動作の繼續>であることが分かった。ただし、單一事象の<動作の繼續>ではなく、<同一事象の反復>による<複數事象の動作の繼續>で、派生的である。このように主體動作·客體變化他動詞にも質の違う二種類が存在していることが確認できた。しかし、こういった二種の主體動作·客體變化他動詞の存在を證明できる他のテストフレ一ムを見つける必要がある。

      • 여성의 전통지향성과 현실경험의 문제-최근작 내방가사에 대한 보고-

        이정옥 한국여성문학학회 2002 여성문학연구 Vol.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sure the general and common literary consciousness of Naebanggasa creating and entertaining through recently continued women's "doing writing" of Nacbanggasa, and to investigate the distinction between these recent works and old Naenaggasa. The "doing writing" is the diction that Naebanggasa entertainers call to indicate a series of literary activities as well as Naebanggasa. This word is stemmed from women's recognition of daily lives through Naebanggasa. The creating and entertaining of Naebanggasa is being made proudly by the elderly women in Kyungbuk province as a literary activity. And materials made for books on the level of family or individuals are discovered. Especially in Andong ‘The group for transmission and preservation of Nacbanggasa', which is a kind of social gathering, was organized. This group tries to continue the creation of Nacbanggasa and makes active change in entertainment and publicity of Nacbanggasa by the event of ‘Nacbanggasa reciting contest’. Nacbanggasa as a ‘doing writing’ concludes creating and methods of entertaining, furthermore reading activity. Briefly speaking, the main features of, recently-made Naebanggasa are ‘calling names’ and ‘community-oriented consciousness’. The reason that recent Naebanggasa chooses the grammar 'calling names' all the time is the step for discovering self-identity as being women. Also this feature tells women are looking for their integral identity in the consciousness of family clan. We can be sure that their conscious mechanism for community is caused by the fear of the destruction of traditional families. 본 연구는 현재성으로 진행되고 있는 예성의 내방가사 '글하기' 를 통해 내방가사 창작과 향유의 일반적이고도 공통적인 문학의식을 확인함과 동시에 그것이 전대의 내방가사와 어떤 차별성을 갖는지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하였다. 여기서 '글하기'는 현재의 내방가사 향유자들이 내방가사를 위시한 일면의 문학적 행위를 그들 소스로 명명한 용어이다. 이 명명은 내방가사가 여성의 일상문학 내지는 생활문학으로서 당대 여성의 일상적 삶에 대한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현재 경북 일원에서 고령의 여성노인들에 의해 내방가사의 창작과 향유는 20세기를 지나 21세기 초인 현재도 문학행위로서 당당히 그리고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가문이냐 개인 차원의 제책본 자료도 많이 발견된다. 특히 안동의 시회단체 '내방개사전송보존회'는 내방가사청작의 전통을 계승하면서, 동시에 '내방가사경창대회' 라는 이벤트를 통해서 내방기사 향수와 유통에 새롭고도 적극적인 변화를 일으키기도 하였다. 글하게 로서의 내방기사는 여성의 그양과 생활문학으로서의 내방가사현 창짝과 향유방식과 독서행위까지 포괄한다. 최근작 내방가사의 주요특징은 '호명'과 '공동체 지향의식'으로 요약된다. 최근작 내방가사가 '호명'의 문법을 예외없이 채택하는 것은 여성의 자기존재 확인절차이며, 이것은 화자(작자)의 정체성을 가문의식에서 찾는 일련의 과정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공동체를 지향한 그들의 의식체계는 전통적 가족 해체와 위기의식에서 발로된 것임을 확인한 수 있다.

      • SCOPUSKCI등재

        고선량율 근접치료기의 선원교정과 치료실주변 방사선량 측정

        이정옥,강정구,문성록,Lee, Jeon-Gok,Kang, Jeong-Ku,Moon, Sun-Roc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5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3 No.1

        High Dose Rate Remote Afterloading system was installed at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in January 1994. In this report, the calibration of a Gammamed 12-i High Dose Rate Remote Afterloading system and the radiation survey around the facility after design and construct a shieding room are discussed. The radiation survey of the facility indicates that the use of ordinary concrete shielding of existing room will provide adequate shielding. Also, the methodologies for performing source calibration are present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