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북한 시의 장르 체계 고찰

        이정예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2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30

        A Study on the Types of North Korean Poems Lee, Jeong-Ye Among the three elements of poem, matter, form and expression, North Korean poems are putting its primary focus on the first. For this reason, even the theories and researches of poems, which were published in North Korea, rarely provides substantial or organized theoretical information about the types and classification of the country's poems. South Korea already has lots of research achievements in regard to North Korean poems.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or no researches about the types and classification of those poems. In this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types of North Korean poems and examine their characteristics.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reviewed poems found in the above theoretical and research publications, especially those in 『Chosun Literature』released in the 1990s. North Korean poems are largely divided into epic and lyric poems. From a broader view, those epic poems include epic, lyric and epic and narrative poems. The lyric poems of the nation are classified into gasa, which is an old form of Korean verse, long, prose, sicho, dansicho, love, byeoksi, short and recitative poems according to form, farewell, dedicative, satirical, argumentative, , political, scenic, descriptive, local, pastoral, fable, fairy tale, didactic, meditative, gnomic, congratulatory, chudaesi, dangsangsi, cheolisi, affectionate, love, and affectionate and ethical poems according to subject or matter and, in accordance with both subject and form, landscape sicho, scenic and love, travel and love, dansang sicho and long lyric poems. The reason why North Korean poems have many different names as above is partly because Kim Jeong Il pointed out that a diversity of poems should be created and developed, but mainly because in North Korea, diversifying the names of poems were attempted to make the poems not any longer stereotyped in terms of subject, matter and form etc., this researcher thinks.

      • KCI등재

        K리그 팀 내 자율성과 피드백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팀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예지 ( Ye Jee Jeong ),홍은아 ( Eun Ah Hong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4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9 No.5

        본 연구는 구성원들의 역량 구축, 임파워먼트, 동기부여, 성과 등의 다양한 변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구조적 특성’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과 그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여러 구조적 특성 중에서도 최근 그중요성이 특히 부각되고 있는 자율성과 피드백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며, 한 발 더 나아가 이 과정에서 팀 효능감이 매개변수의 역할을 함을 주장한다. 연구대상은 국내 K리그 축구팀 6개의 프로선수들이며 이 선수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164부의 유효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자료 처리방법은 SPSS 19.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자율성과 피드백은 팀 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 효능감은 팀 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팀 효능감은 본 연구의 주장대로 자율성 및 피드백과 팀 성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때 자율성과 팀 성과의 관계는 팀 효능감에 의해 완전매개되는 것으로, 피드백과 팀 성과와의 관계는 팀 효능감에 의해 부분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자율성과 피드백 및 팀 효능감이 조직 및 팀에게 주는 함의점과 시사점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structural characteristic’ which influences on several variables including building capacity of members, empowerment and motivation impacts on team performance. Of particular note,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s among autonomy, feedback and team performance. We hypothesized the effects of autonomy and feedback on team performance and team efficacy as mediation mechanisms. This mediation mechanism dovetail with the research of positive cognition and this hypothesis calls attention to players’ positive cognitive strength of belief. A total of 164 players from 6 teams in K-League participated in this survey and we used SPSS WIN 19.0 for data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utonomy and feedback had a positive effect on team performance. Second, team 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team performance. Third, the team efficac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nomy and team performance and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eedback and team performance. Thus, this research found out the differential process, namely ``black box`` between team structure and team performance, and team efficacy``s key role as a mediator in this process. The new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verified in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domains of sport management. We discussed on implications of findings in details.

      • KCI등재

        역사영화와 한국형 멜로드라마의 (비)정치적 야합 : 2000년대 5·18 영화 속 여성인물 재현을 중심으로

        정예 한국여성문학학회 2021 여성문학연구 Vol.52 No.-

        The May 18 films have changed their narratives affecting by changes in the political landscape of Korean society. This article criticizes the capitalized male-centered history of historical films, including the May 18 films, focusing on “The Old Garden”(2007) and “A Taxi Driver”(2017). Since the 2000s, the representation of national violence cases has been processed with a newly emerged way of writing history reflecting changes in the socio- cultural landscape and public perception. In particular, the May 18 films have intended to reflect the point of view that describes its national violence as nonlinear history by emphasizing a mentalité of individual who was placed on the national violence. During the process, May 18th was sealed as the past, and the parties of the incident were otherized. This article points out how the process links to the narrative of the May 18 films. Since the 2000s, the May 18 films have constructed the two parties of “Knower” and “Doesn’t knower” and highlighted it by setting up a melodramatic heterosexual relationship in 2007 and by building up a men solidarity or Father-daughter relationship in 2017, respectively. Through these Korean Melodramatic setups, the national violence was reorganized based on the intimate relationships presumed as non-political, whilst female characters assisted in the capitalized male-centered history as over-represented figures or eliminated ones. Therefore, by paying attention to the representing methods of female characters, this article identifies the possibility of ‘sharing and owning a violent incident’ 이 글은 「오래된 정원」(2007)과 「택시운전사」(2017)를 중심으로, 2000년대 이후 5·18 영화를 포함한 역사영화가 향하는 대문자 남성 중심의 역사(관)를 비판한다. 2000년대 이후 5·18 영화는 국가폭력 사건에 놓인 개인의 망딸리떼를 강조하는 방식으로 비선형적 역사(관)를 반영하고자 하였는데, 그 과정에서5·18은 과거의 사건으로 봉합되고 ‘사건’의 당사자들은 타자화되는 정황이 포착되었다. 여기서는 이러한 문제들이 5·18 영화의 내러티브상 장치와 연결되어 있음을 지적한다. 2000년대 이후 5·18 영화들은 5·18이라는 사건의 특징을 반영하여 ‘아는 자’와 ‘모르는 자’라는 짝패 형상을 부각하고, 그 짝패를 2007년에는 이성애에 기반한 멜로드라마적 관계로, 2017년에는 남성 간 연대 혹은 아버지–딸로 구조화했다. 이때 국가폭력의 사건은 한국형 멜로드라마를 경유하여 이른바비정치적이라 상상되는 사적 관계를 중심으로 재편되는데, 그 자리에서 여성은타자화되어 과잉 재현되거나 소거되는 방식으로 대문자 남성 중심의 역사(관)를보좌하게 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여성인물의 재현에 주목함으로써 타자로 여겨진 이들의 목소리로부터 ‘사건’의 기억을 ‘나누어 갖는(分有)’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창(窓)의 상징성이 적용된 도자조형 연구

        정예,정진원 한국도자학회 2021 한국도자학연구 Vol.18 No.3

        Society and culture develope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ivilization. Through this, individual aspects and common identities appear, and symbolic vocabulary is developed as abstract ideas are expressed. In particular, the metaphorical reinterpretation of everyday objects implies a differentiated symbolism. An ordinary it’s window in everyday life is a key element of a building. It plays a functional role of natural lightings and ventilation, and an artistic role, and passes and blocks the inside and outside through opening and closing. It overlooks the outside world from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In the East, emotional interaction through unity with nature is characterized by an open structure. In the case of the West, philosophical ideas and decorative elements are added for religious meaning by accepting more light through. This also appears in works of art in various fields. As Renee Magritte expresses in the work, human psychology is projected through the representation and confrontation of the landscape seen through the window. In this way, the spatial experience stimulates human behavior and thinking and expresses the action with a symbolic meaning that connects the real space and the psychological space. The space exposed on the surface allows for a gaze to stay through a visual contact. The substance shown by the window reflects psychology through projection and stimulates the desire of voyeur. This is a major element as an artistic material. Through my works, I provide the an opportunity to re-recognize windows that can be overlooked meaninglessly, and visual applicability is expressed through the formative elements. In addition, I would like to propose a new expression form of ceramic sculpture by sublimating everyday elements into the conceptual concept itself. 사회와 문화는 문명에 따라 각각 다르게 발전해왔다. 이를 통해 개별적인 측면과 공통의 정체성이 나타나며, 추상적인 사상이 표현됨에 각각의 상징적 어휘가 발전되어 왔다. 특히 일상 사물에 대한 은 유적 재해석은 차별화된 상징성을 내포한다. 일상에서의 창(窓)은 건축물을 구성하는 하나의 핵심 요소이다. 채광과 환기의 기능적인 역할을 하는 동시에 조소적 역할을 하며 개폐를 통해 내, 외부를 소통시키고 차단시킨다. 또한 건축물의 실내에서 바깥 세계를 내다보는 시설물 이상의 의미를 내포한다. 동양에서는 개방 구조를 기반으로 자연과의 합 일을 통한 감정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서양의 경우 철학적 사상과 장식적 요소가 더해져 종교시설 내의 스테인리스를 통해 더 많은 빛을 받아들이고자 하는 신앙적 의미를 갖는다. 이는 다양한 분야의 예술작품에서도 나타난다. 르네 마그리트가 작품에서 표현하듯 창 너머로 보이 는 풍경의 재현과 대치를 통해 인간의 심리가 투영된다. 이처럼 실체적 공간과 심리적 공간을 연결하 는 상징적 의미를 갖고 공간 경험은 인간의 행동과 사고를 자극하며 행동으로 표출 시킨다. 표면상 드러나는 공간은 시각적 접촉을 통해 시선을 머무르게 한다. 창이 보여주는 실체는 투영을 통 해 심리를 반영하고, 바라보고자 하는 욕망을 자극 시킨다. 이는 예술적 소재로서의 주요한 요소이다. 본연구를통해특히무의미하게지나칠수있는창에대한재인식의계기를마련하고, 조형적요소를 통해 시각적 활용성을 표출하였다. 또한 일상적 요소를 관념적 개념 자체로 승화하여 도자 조형의 새로 운 표현형식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페광산 복구지역 잔류장미로 인한 주변 지하수${\cdot}$토양 오염가능성-시흥광산 사례

        정예,이상훈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1 자원환경지질 Vol.34 No.5

        시흥광산은 1973년 폐장되었으며 1990년 초에 선광장 및 광미야적장에 있던 광미들을 제거한 후 그 자리에 소각장을 건설하는 폐광 복원사업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현재에도 광미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았으며 광산 가동기간동안 많은 양의 광미가 주변 토양 및 논으로 이동, 퇴적된 것이 확인되는 바 광미와 물 반응으로 인한 침출수 형성과 주변 지하수 토양의 중금속 오염이 예상된다. 된 연구는 잔류광미와 물 반응에 따른 광산배수의 지구화학적 진화과정을 분석하고 주변 지하수 · 토양 오염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광미에서 추출한 공극수는 깊이에 따라 그 농도가 증가함을 보여 광미-불 반응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중금속이 용출됨을 시사한다. 광미 중금속 용출은 공극수뿐 아니라 표면과 심부에서 각자 채취한 광미시료들간의 화학성분 차이에서도 확인된다. 광산 배수 기원지역과 하부 지역의 지하수 시료를 거리에 따라 채취, 분석한 결과 Cd, Pb 및 Zn 등은 국내 및 미국환경청 음용수 기준을 초과하며 광산배수의 영향을 받은 결과로 해석된다. 실내 회분식 시험 결과 원소들은 농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것과 비교적 일정한 농도를 보이는 두 가지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일부 원소들이 평형농도에 도달하고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회분식 시험에 사용한 증류수의 평균 pH는 6.5∼7.0의 범위로 이를 pH 4로 조정한 결과 원소들의 용출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본 지역의 잔류광미는 지속적으로 주변의 지하수와 토양을 오염시킬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산성비등의 영향으로 인하여 급격히 증가할 것이다. The Shihung mine was restored in the early 90's after abandonment for 20 yews since 1973. Although disposed mine tailings were removed and the site was replaced by an incineration plant, still some residual mine tailings remain in the places including the old mine tailing ditposal area and the adjacent agricultural area. These residual mine tailings are prone to impose an adverse impact on the soil and groundwater and needs investigation for the potential contamination. Mine tailing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old tailing disposal area and the iii paddy. The porewater from the mine tailing were extracted and analysed to investigate chemical changes along the reaction path. Batch leaching tests were also carried out in the laboratory to find any supporting evidence found in the field analysis. Evidence of elemental leaching was confirmed both by the mine tailing and the porewater chemistry in them. The element concentrations of Cu, Cd, Pb, Zn in the porewater exceed the standard for drinking water of Korean government and US EPA. Leaching of heavy metals from the mine tailing seem to be responsible for the contamination. In batch leaching test. heavy metals were either continuous1y released or declined rapidly. Combining the information with porewater variation with depths and the geochemical meodeling results, most of elements are controlled by dissolution and/or precipitation processes, with some solubility controlling solid phases (Cu, Pb, Fe and Zn). Batch leaching test conducted at fixed pH 4 showed much higher releases for the heavy metals up to 400 times (Zn) and this area is becoming more vulnerable to soil and groundwater pollution as precipitation pH shifts to acidic condition.

      • KCI등재

        에리스리톨을 첨가한 저열량 스펀지케이크의 품질특성

        정예선(Ye Sun Chung),곽연화(Yeon Hwa Kwak),이미나(Mee-Na Lee),김대진(Dae-Jin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11

        본 연구는 소비자의 기호에 맞는 저열량 스펀지케이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부로 에리스리톨의 첨가량을 30, 50%로 다르게 첨가하여 제조한 스펀지케이크의 특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반죽의 비중은 에리스리톨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반죽의 pH는 에리스리톨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낮았으며 에리스리톨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스펀지케이크의 무게는 에리스리톨 첨가 비율에 따라 약간의 변이는 나타났지만 대조군과 에리스리톨 첨가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케이크의 부피는 대조군과 에리스리톨 첨가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에리스리톨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따라서 비용적도 에리스리톨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낮았으며, 에리스리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Texture 특성에서 탄력성은 에리스리톨의 첨가량에 따라서 감소하였으나 대조군과 3%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경도, 점착성, 부서짐성은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서 증가하였으며 에리스리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관능평가에서는 색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대조군보다 에리스리톨 대체군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열량이 적은 에리스리톨을 이용하여 저열량 스펀지 케이크 제조 시 관능적인 면에서는 50% 대체도 가능하지만 제과 적성을 고려할 때 30% 대체하였을 때 스펀지케이크의 조직특성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하면서 건강증진을 위한 저열량의 스펀지케이크의 제조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in which erythritol were added in order to supply less calories. The sponge cakes were prepared with erythritol as replacement for sucrose with different ratios from 0 to 50%. The specific gravities of the batter with erythritol were higher than those of plain control batter and increased by substitution ratio. The cake volumes were also decreased by the replacement of sugar to erythritol. The addition of erythritol decreased moisture contents of the products. The crude ash and crude protein contents of the cakes were decreased by the substitution ratios. In texture analysis, hardness, gumminess, and brittleness of sponge cake were increased as increasing erythritol were added, while springiness was decreased. Cohesivenes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ubstitution ratios. In the sensory evaluations, the cakes with erythritol revealed high overall eating quality, especially the cakes with 30% erythritol were preferred for taste, odor,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The results show that the ingredients in sponge cakes were the most recommendable with the substitution ratio of 30% erythrit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