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Peer-to-Peer 환경에서의 정보 공유를 위한 인증 메커니즘 구현

        이정기,배일호,이철승,문정환,박찬모,이준,Lee, Jeong-Ki,Bae, Il-Ho,Lee, Cheol-Seung,Moon, Jung-Hwan,Park, Chan-Mo,Lee, Joon 한국정보통신학회 2002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6 No.7

        정보사회로 진행되어 감에 따라 컴퓨터 네트워크 사용 및 규모의 증대는 더욱 가속화되어 가고 있다. 또한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서 교환되는 정보의 양의 증가와 함께 네트워크의 보안성이 새로운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P2P는 자유로운 네트웍을 구성할 수 있고, 중앙 서버 기능을 없애거나 약화시켜서 각 User간에 참여판 수 있는 개방 네트워크이기 때문에, 각 User간 인증에 관한 문제가 대두되고있다. 네트웍에 있는 어떤 사용자가 공개된 환경에 있다고 가정하면, 각 User간에 허가받은 사용자에게만 접속을 제한하기 위해서는 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인증 해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P2P 환경에서 보안을 유지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P2P 환경에서 안전하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메커니즘으로 Kerberos 인증 메커니즘을 인용하여 인증 메커니즘을 설계하였다. According as progress by information society, computer network use and enlargement of scale are accelerated more. Also, with good physician increase of information that is exchanged through computer network, security of network is embossed to controversial point that is new. Because P2P as that remove or weakens center server function is open network that can participate between each user, problem about authentication between each users is risen. If certain user in network i3 in open environment, this user must authenticate request about service to user who is admitted between each user to limit connection. This treatise proposed method to keep security in P2P environment to solve this and designed certification mechanism that quote Kerberos certification mechanism to mechanism that can share information safety in P2P environment.

      • KCI등재

        일방향 적층 복합재료 판에서 한 음원에서 발생된 램파의 군속도

        이정기,이상호,Lee Jeong-Ki,Rhee Sang-Ho 한국음향학회 2006 韓國音響學會誌 Vol.25 No.3

        The elastic waves in a plate are dispersive wav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Lamb waves. However, S0 symmetric mode is less dispersive in the frequency region below the first cut-off frequency. The wave Propagation velocities vary with the direction in anisotropic plates such as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Plates. The wave vector direction and energy flow vector direction are same in isotropic plates. However, the wave vector direction same as the phase velocity direction is not in accordance with the energy flow direction same as the group velocity direction in anisotropic plates. In this study. the dispersion curves or the phase velocity from anti-symmetric and symmetric Lamb wave dispersion equation are calculated for unidirectional laminated composite plate. Slowness surface is sketched using phase velocity under the first cut-off frequency. The direction and magnitude of group velocity are corrected with this slowness surface. The measured group velocities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corrected group velocity curve except near the fiber direction zone which is called the cusp region. 판재를 따라 전파하는 Lamb wave (램파)는 주파수에 따라 속도가 변하는 분산특성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등방성 재료에서는 파수 벡터 방향과 에너지 흐름 방향은 같아, 파면이 원형을 유지하면서 전파하지만, 복합재료와 같이 이방성재료에서는 파수 벡터와 에너지 흐름 방향이 서로 다르다. 따라서 이방성 재료에서 하나의 속도에서 다른 속도로 전환하려면 방향을 교정해야 하고 이에 따라 크기도 달라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재료 판재에서 전파하는 램파 분산방정식을 이용하여 대칭, 비대칭 모드의 분산선도를 작성하였고, 각도에 따라구한 위상속도 분산선도에서 얻어진 위상속도 값으로 slowness surface를 구한 후, 이로부터 군속도의 크기와 방향을 교정하였고, 이를 실험적으로 측정한 속도값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유리판과 단일방향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판에서 점원에 의해 발생된 과도적 탄성파의 주파수 해석

        이정기,김호철,최명선,김영환,Lee, Jeong-Ki,Kim, Ho-Chul,Choi, Myoung-Seon,Kim, Young-Hwan 한국음향학회 1994 韓國音響學會誌 Vol.13 No.6

        유리판과 단일방향(unidirectional) 탄소섬유 강화 복합재료(CFRP)판의 표면에서 연필심을 부러뜨려 발생된 과도적 탄성파를 음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서로 다른 위치에 둔 두개의 탐촉자로 검출하였다. 탐촉자에 검출된 과도적 신호의 스펙트럼 분석에 의해 판에서 pulse 형태로 발생된 신호는 Lamb파 분산관계를 따르며 전파하고, 유리판과 단일방향 CFRP판에서의 과도적 신호는 최저 대칭$(S_{0})$, 1차 대칭$(S_{1})$, 1차 비대칭$(A_{l})$ 모드의 최대 군속도 주변의 성분들로 형성되었다. 이러한 최대 군속도 주변 성분은 분산이 비교적 적기 때문에 과도적 신호의 초기부분은 크게 변화되지 않았으며, $A_{1}$ 모드 단절 (cut-off)주파수 이하 영역의 $S_{0}$ 모드가 가장 빠른 군속도로 전파되고 과도적 신호 형성에 크게 기여하는 모드이었다. Spectral analysis of transient elastic wave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identify the propagation modes in glass and unidirectional carbon fibre reinforced plastic (CFRP) plates. Pencil leads were broken on the surface of plates to generate elastic waves, and two broad band transducers of 6.35 mm in diameter and 10 MHz center frequency were placed at the linear location from the source. The frequency spectra of detected signals showed that the wave propagation in the plates obeyed the Lamb wave dispersion relation. The transient signals were the fast propagating modes around maximum group velocity of the lowest and first order symmetric $modes(S_{0} and S_{1}),$ and first order antisymmetric $mode(A_{1})$. The transient signals were not severely distorted due to relatively small dispersion of those modes around the maximum group velocity. The fastest propagating mode in the plates was shown to be $S_{0}$ mode less the than cut-off frequency of $A_{1}$ mode.

      • KCI등재

        지역중심 관학협력형 ‘미디어 리터러시’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부산시청자미디어센터와 동명대학교 광고홍보학과의 관학협력 교과목을 중심으로

        이정기(Lee, Jeong-Ki),황우념(Huang, Yu-Tien)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24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28 No.1

        이 연구는 시청자미디어재단 부산시청자미디어센터와 협력 미디어 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동명대학교 광고홍보학과의 수업을 들은 학생과 받지 않은 학생들 사이에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협력 수업을 받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미디어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고자했다. 연구 결과 첫째, 대학과 시청자미디어센터의 관학협력형 미디어 교육은 학생들의 미디어리터러시 역량을 높이고, 관학협력의 주체인 시청자미디어센터의 각종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의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이었다. 둘째, 협력 수업을 수강한 학생들의 미디어 교육 참여 동기는 목표 지향 동기, 활동 지향 동기, 추천/홍보 등 3개로 나타났다. 셋째, 미디어 교육 참여 동기중 목표 지향 동기(+), 추천/홍보 동기(-), 미디어 교육 경험(+)은 미디어 교육 만족도에 영향을미쳤다. 넷째, 교육 만족도(+)는 관학협력 수업 지속 수강의도에 영향을 미쳤고, 추천/홍보 동기(+), 미디어 교육 경험(-), 교육 만족도(+)는 시청자미디어센터 프로그램 수강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미디어 교육 참여동기와 미디어 교육 경험, 교육 만족도는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에 각각 차별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이상의 결과에 기반하여 관학협력형 미디어 교육을 고도화시키고, 시청자미디어센터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을 제안했다.

      • KCI우수등재

        영화의 표현과 제한법리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정기(Jeong Ki Lee),이재진(Jae-Jin Lee) 한국언론학회 2014 한국언론학보 Vol.58 No.3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filing an injunction against film screening, which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causes hindering diversity and qualitative growth of film in 2013, and the court’s perceptions of it, as well as to search for directions for harmony between filing an injunction against film screening and freedom of expression in film. The study specificall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legal grounds of filing an injunction against film screening, the characteristics of movies against which an injunction was filed, and the court’s perceptions of filing an injunction against film screening.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 public figure filed an injunction against film screening in 18(81.82%) of the total 23 cases (including those that overlapped), where as a private figure did in five (22.73%). Second, an injunction was filed against film screening on the grounds of violation of personal rights in a comprehensive sense, violation of copyright, and religious issues. Third, drama was the single genre whose number of injunctions filed against film screening was the highest. An injunction against film screening was usually filed for movies whose box office performance was not very good at an audience of one million or less. The number of injunctions filed against film screening was small for movies that attracted more than one million moviegoers. Fourth, the study looked into the cases in which the plaintiff filed an injunction against film screening and lost, and found that the judgment was made based on dominance of freedom of expression in film in 18 (82.82%) of a total of 22 cases. There were four cases in which the plaintiff won fully, partially, or actually. The four movies from the cases are ‘Seongcheol’, ‘Silmido’, ‘The President’s Last Bang’, and ‘Voice of the Murder’. An injunction was filed against the screening of the four movies by the families of the deceased that were involved in actual historical or social events for the defamation of the deceased or themselves.

      • KCI등재
      • KCI등재

        광고 인식, 기술수용모델 변인이 팟캐스트 광고의 단계별 효과에 미치는 영향

        이정기(Lee Jeong-Ki) 한국OOH광고학회 2017 OOH광고학연구 Vol.14 No.1

        이 연구는 팟캐스트와 같은 온라인 광고의 효과에 단계가 존재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팟캐스트 광고의 초기적 효과로서 검색의도를 설정하고 팟캐스트 광고의 최종적 효과로서 구매의도를 설정한 후 두 가지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의 공통점과 차별점이 무엇인지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통적으로 광고의 경제적 역할 인식, 팟캐스트 광고의 유용성과 용이성 변인은 정적으로 팟캐스트 광고 상품의 검색과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아울러 팟캐스트 광고의 정보성과 물질주의 가치 변인 인식은 공통적으로 팟캐스트 광고 상품 검색,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만, 팟캐스트 이용빈도, 가치폐해 인식의 경우 광고 상품 검색의도에만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아울러 팟캐스트 광고의 용이성 인식이 모든 독립변인 가운데 종속변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팟캐스트 광고 상품 검색의도는 구매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는 팟캐스트 광고 노출 경험자를 대상으로 팟캐스트 광고의 단계적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팟캐스트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실천적인 전략을 제안했다는 측면에서 가치가 있다. Recognizing that there were stages in the effects of online advertising like podcast advertising, this study set search intention and purchase intention as the initial and final effects of podcast advertising and examined the common and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ing these two types of effec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perception of economic roles of advertising and the usefulness and availability of podcast advertising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earch and purchase intention for the products in the podcast ads. The information and materialistic value of podcast advertising had no effects on the search and purchase intention for products in the podcast ads. The usage frequency and harmful effects of value of podcasting only had positive impacts on the search intention for products in the ads. The availability of podcast advertising had the biggest influence on the dependent variable of all independent ones. Finally, the search intention for products in podcast ad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purchase intention.

      • KCI등재

        NIE 수강 대학생의 유료 지역신문 정기 구독의도 결정요인

        이정기(Jeong-Ki Lee)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3 미디어, 젠더 & 문화 Vol.27 No.-

        지역신문의 위기이다. 본 연구는 지역신문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포털을 통한 무료 뉴스 이용에 익숙해져 있는 20대 대학생들의 지역신문 구독을 이끌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아울러 대학생들의 지역신문 구독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지역신문의 필요성과 유용성을 인식시키는 신문 활용 대학 교육(NIE)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본 연구자는 이를 위해 지역신문 구독 경험이 없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1학기 동안 지역신문 활용 교육(NIE)을 수행하는 실험 설계 상황을 설정했다. 또한 이러한 교육을 받은 지역신문 이용 대학생들을 지속적 지역신문 이용 예정자와 비이용 예정자로 구분하고, 이러한 차이를 이끌어 내는 원인에 대해 탐색했다. 구체적으로 두 집단간의 지역신문 이용동기, 지역신문 가치평가, 지역신문에 대한 태도 등 계획행동이론 변인 상의 차이를 t검증을 통해 확인했다. 아울러 두 집단의 유료 지역신문 구독의도를 이끌어 내는 결정요인의 차이에 대해 탐색하고, 두 개의 결과를 비교하여, 지역신문 활용 교육을 받은 대상에 따른 차별적인 구독전략 캠페인 수입을 위한 함의를 제시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지역신문을 활용한 교육의 성과 및 성공적인 활용 가능성에 관한 함의를 제시하고, 지역신문을 활용한 교육 대상자들의 지역신문에 관한 인식 차에 따른 지속적 지역신문 활용 가능성 및 정기 구독유발 효과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고자 했다. 또한 지역신문 활용 교육을 받은 대학생 집단의 특성에 따른 차별적인 지역신문 정기 구독 유발 전략 도출에 도움을 제공하고자 했다. Local newspapers are facing a crisis. This study was conceived with the judgment that it would be important to promote a newspaper subscription among college students in their twenties, who were accustomed to free news at portal sites,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of local newspapers. The study also judged that a newspaper in education (NIE) should be provided which helped to realize the need for and usefulness of local newspapers in order to promote a newspaper subscription among college students. The investigator thus designed an experiment situation in which NIE would be provided to a group of college students that had no experience with newspaper subscription for one semester. Those college students that received this education and used a local newspaper were divided into prospective ongoing local newspaper users and non-users, and causes of differences between them were examined. Specifically, differences in variables of the planned behavior theory such as the motivation for using a local newspaper, value assessment of local newspapers, and attitude toward local newspapers were checked between the two groups through t-test. The study also looked into differences in the determinants to promote an intention for subscribing to a paid local newspaper between the two groups, compared the results between them, and offered implications for differentiated subscription strategy and campaign revenues according to the subjects that received NIE. The study put the findings together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achievements and successful utilization possibilities of NIE and for the ongoing local newspaper utilization possibilities and effects to induce a regular subscription according to differences in local newspapers among those who received NIE. Furthermore, the study offered some assistance for developing differentiating strategies to promote a regular local newspaper subscrip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receiving NIE.

      • KCI등재

        사이버 언어폭력 의도에 관한 연구

        이정기(Jeong Ki Lee),우형진(Hyung-Jin Woo)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0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이용자의 사이버 명예훼손 및 모욕 행위 인식 수준 및 연령 수준에 따라 사이버 언어폭력 의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고, 계획행동이론의 각 변인들이 사이버 언어폭력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인터넷 공간에서의 명예훼손 및 모욕 행위 인식(인식 고/저)과 연령(청소년/성인)이 사이버 언어폭력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이원변량분석을 통해 규명하였다. 또한 계획행동이론의 세 가지 변인 즉, 태도, 주관적 규범, 인지된 행위통제 변인과 예측의 설명력을 높이기 위해 추가한 도덕적 규범, 정부규제, 과거 경험 변인을 통해 사이버 언어폭력 의도를 예측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청소년(고등학생 336명)과 성인(대학생 이상 272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사이버 명예훼손 및 모욕 행위 인식 수준이 낮은 대학생 집단에서 가장 높은 사이버 언어폭력 의도가 나타났고, 계획행동이론의 변인들과 추가변인들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d that the perception of cyber libel/insult and age could affect the intention toward cyber verbal bullying and furthermore checked that the variable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would have influenced on the intention toward cyber verbal bullying. The subject was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s the adolescents with high perception toward cyber libel/insult, the adolescents with low one, the adults with high one, and the adults with low one. Also, the additional variable such as ethical norms, perception toward government regulations, and past experience as well as the variable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such as attitudes, subjects norms,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were used to examine. To test hypotheses in this study, self-reported questionnaire were administrated to 336 adolescents(high school students) and 272 adults (college students & graduat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dults with low level of perception toward cyber libel/insult had higher score of the intention toward cyber verbal bullying than other groups. All given variables in this stud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expect the intention toward cyber verbal bully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