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집합주택단지의 옥외공간에 있어서 고령자 이바쇼(居場所)의 특징고찰 - 일본 치바현(千葉縣)의 카시와시(柏市) 토요시키다이(豊四季台)단지를 대상으로 -

        이윤정,변경화,유창균,Lee, Yunjeong,Byun, Kyeonghwa,Yoo, Changgeun 한국주거학회 2015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26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xterior spaces used by the elderly of housing complex. The exterior spaces are used for going out in everyday life with the view point that the elderly have to go out from the inside home in order to prevent isolating the elderly from local community. For that Toyoshikidai housing complex in Kashiwa city of Chiba prefecture, Japan is selected and carried out questionnaire survey and field survey targeting residents. The results are following as. For spatial characteristics, the location installed benches, location occupied in one part by roof, wall, or plants, place connecting to moving flow of the aged, and an open expanse getting safety from vehicle are taken advantages for the elderly. For using benches, the elderly of 70.1% do not have experience using benches installed in all those places. The the biggest reason is that they are not tired. However, 36.8% of the elderly are using benches in order to take a rest and 20.8% of them are using benches in order to talk with the other people. Bench is ibasho of the elderly.

      • SCOPUSKCI등재

        시민참여형 과학기술 거버넌스의 논의와 실험에 내재된 도구적 관점: 영국 공론화 사례 중심

        이윤정,Lee, Yunjeong 기술경영경제학회 2015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3 No.2

        지난 30여 년간 서구 민주주의 사회를 중심으로 시민참여형 과학기술 거버넌스에 대한 논의와 실험이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이에 대한 당위성에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었지만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얻고자 하는 목표와 방법론은 다양했다. 본 논문에서는 겉으로 주창되는 규범적, 실제적 이유와는 달리 은밀히 내재된 도구적 관점의 시민참여 논리가 갖는 정책적 함의를 고찰한다. 사례로 영국의 시민참여형 과학기술 거버넌스 담론의 형성과정과 실험을 분석한다. 1990년대 후반부터 제도권의 다양한 정책관련 기관들이 주장한 시민참여형 과학기술 거버넌스의 필요 논리에 이용된 쟁점 및 실제로 시행된 두 공론화 과정(유전자 변형 작물의 상업화 관련 GM Dialogue와 방사성 폐기물 처리 방법 관련 CoRWM의 프로그램)에 드러난 도구적 관점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시민참여형 과학기술 거버넌스로의 전환 시도에는 겉으로 주창된 민주주의적 의사결정과 창의적 문제해결의 목표 외에, 이해관계자들이 자신의 이해 실현을 위해 도구로서 이용하려는 은밀한 시도들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Various concepts and practices of public deliberation have been exercised over the last three decades in western countries for science and technology (ST) governance. There has been a general social consensus for the need of such new governance notwithstanding, ends and means to achieve it varied. Among various rationales, while normative and substantive perspectives are explicitly claimed in public as reasons for public engagement in ST policy making, instrumental perspectives tend to be implicitly arranged by interested parties and still affecting policy significantly. This paper therefore,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such instrumental perspectives in public engaged ST governance. To do so, this paper analyses the discourses and practices of public deliberation for ST governance in the UK from the late 1990's until the mid 2000's. It examines the proposals made by various policy institutions and two real public deliberations- the GM Dialogue for commercializ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crops and the Committee on Radioactive Waste Management(CoRWM)'s programme. This study finds that policy institutions tried to employ public deliberation as strategic instrument for their policy interest, which contrasted with their outwardly claimed rationales of democratic policy making and better quality in decision for ST governance.

      • KCI등재

        개인요인과 환경요인이 청소년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이윤정 ( Yunjeong Lee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5

        본 연구는 개인요인과 환경요인이 청소년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중 2015년 패널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중학교 3학년 2,061명의 자료를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결과도출을 위해 SPSS 21을 활용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요인에서는 우울, 자아존중감이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요인에서는 부모양육태도, 지역사회인식이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났다. 이에 따라 가정, 학교, 지역사회에서는 청소년의 우울을 감소시켜주며 자아존중감을 높여주는 집단미술프로그램, 심리극프로그램 등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부모양육태도를 향상시켜주는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 부모교육프로그램 등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청소년의 건강증진을 위해 스포츠 프로그램, 체험활동프로그램 등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지역사회에서는 청소년을 위한 공연장, 도서관, 문화센터 등의 문화시설을 충분히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청소년 관련기관에서는 연령과 성별을 고려한 행복증진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erson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adolescent’s happiness. To this end, panel data of 2015 were used in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and data of 2,061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analysis method was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 Results. In personal factors, depression and self-esteem were found to affect adolescent’s happiness. In environmental factors, parenting attitude and sense of community affected adolescent’s happiness. Therefore, group art programs and psychological drama programs that reduce the depression of adolescents in the home, school, and community are needed. Also, parents’ training programs, parent education programs, etc., needs to be done. In addition, sports programs and experiential activities programs are needed to promote adolescent’s health. In the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provide cultural facilities such as a performance hall, a library, and a cultural center for adolescents. In the adolescent related organizations, it is necessary to have a various program to promote happiness based on age and gender.

      • KCI등재

        사회복지조직의 참여적 의사결정과 구성원 민첩성의 관계에서 성장마인드셋의 매개효과

        이윤정 ( Yunjeong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라 급격한 환경변화에 대한 사회복지조직의 환경관리전략을 수립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해 참여적 의사결정이 구성원 민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성장마인드셋의 매개효과를 검증했다. 조사는 전북과 충청지역의 이용시설 종사자이며 325명의 설문지를 활용했다. 분석은 확인적 요인분석과 연구모형분석 그리고 매개효과검증을 사용했다. 그 결과 참여적 의사결정이 구성원 민첩성에 영향을 주는 직접효과 경로와 성장마인드셋에 먼저 연결된 후 구성원 민첩성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를 모두 포함시키는 부분매개모형이 더 적합했다. 연구를 바탕으로 조직 구성원들이 사업 선정과 계획, 업무형태, 인센티브 등의 결정에 참여할 수 있게 하고, 성장마인드 형성을 위해 러닝교육과 성장 독려 프로그램, 승진구조 조정 등 실무적 방안을 제시했다. 본 연구는 이용시설만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일반화에 한계가 있으므로 후속연구에서는 다양한 시설 간 비교 및 사례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environmental management strategy for rapid environmental change according to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has been verified.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s from 325 people who were employed in facilities in Jeollabuk-do and Chungcheong Province. The analysis us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earch model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As a result, the partially mediated model was more suitable, including both the direct effect path in which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affects member agility and the indirect effect affecting member agility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growth mindset first. Based on the research, it enables organizational members to participate in business selection, planning, work type, incentives, etc., and suggests practical measures such as learning education, growth promotion programs, and promotion restructuring to form a growth mindset. Since this study is conducted only for the facilities used and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ation, a comparison between various facilities and case studies are needed in the follow-up study.

      • KCI등재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단-방향 해쉬 함수 기반 다중 경로 보안 전송 기법

        이윤정(Yunjeong Lee),김동주(Dongjoo Kim),박준호(Junho Park),성동욱(Dong-ook Seong),유재수(Jaesoo Yoo)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

        다양한 센싱 모듈의 개발과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한정된 통신 능력과 제한된 연산 능력을 갖춘 다수의 센서 노드를 활용하여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센서 노드는 무인 환경이나 적지와 같은 환경에 배포되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하다. 특히 실생활 응용에 사용될 때, 데이터가 노출되면 치명적인 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에 보안에 대한 고려는 필수적이다. 하지만 기존 네트워크에서의 보안 기법은 센서 노드의 제한된 성능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 적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무선 센서의 제한된 성능을 고려한 에너지 효율적인 보안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원본 데이터의 해독을 어렵게 하기 위해 단-방향 해쉬 함수인 MD5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변환 후, 분할하여 다중 경로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보안성을 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성능 평가 결과, 제안하는 기법은 기존 기법의 약 6%의 에너지만 소비하였다. With the development of sensing devices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wireless sensor networks are composed of a large number of sensor nodes that are equipped with limited computing performance and restricted communication capabilities. Besides, the sensor nodes are deployed in hostile or unattended environments. Therefore, the wireless sensor networks are vulnerable to security. In particular, the fatal damage may be occurred when data are exposed in real world applications.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design requirements to be made so that wireless sensor networks provide the strong security. However, because the conventional security schemes in wired networks did not consider the limited performance of the sensor node, they are so hard to be applied to wireless sensor networks.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cure multipath transmission scheme based on one-way hash function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considering the limited performance of the wireless sensor nodes. The proposed scheme converts a sensor reading based on one of one-way hash functions MD5 in order to make it harder to be cracked and snooped. And then, our scheme splits the converted data and transfers the split data to the base station using multi-path routing.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scheme consumes the energy of just about 6% over the existing security scheme.

      • KCI등재

        소방공무원의 소방방화복과 중량의 보호장비 착용이 신체적, 생화학적 및 인지적 피로요인에 미치는 영향

        이윤정(Lee, Yunjeong),권정숙( Kwan, Jung-Suk),방창훈(Bang, Chang-Hoon),이준경(Lee, Jun-Kyoung),허유섭(Huh, Yu-Sub),박은주(Park, Eunju) 한국웰니스학회 2016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1 No.1

        본 연구는 20세 이상의 소방공무원 12명을 대상으로 소방방화복과 중량의 보호장비 착용이 활동시 신체적(순수체중감소량, 혈압, 심부온도, 심박수), 생화학적(혈중 포도당 및 젖산 농도), 인지적(온냉감지수 및 운동자각도) 피로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고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상자는 총 3주 동안 일주일 간격으로 일반활동복(UC), 소방용 특수방화복 및 일반보호장비(FPC), 소방용 특수방화복, 일반보호장비 및 공기호흡기(SCBA)를 각각 착용하고 트레드밀 걷기운동을 9METs(6 km/h, 경사도 10%)의 강도로 20분간 수행하였고, 각각 동일한 방법으로 데이터를 측정하였다.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은 모든 그룹에서 안정기보다 운동직후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그룹 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운동 전 후 순수체중감소량, 혈당, 젖산의 변화량은 SCBA 착용시에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심부온도, 심박수, 온냉감지수 및 운동자각도의 변화량은 FPC와 SCBA 착용시 일반활동복 착용시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운동시 소방방화복과 중량의 보호장비 착용이 소방공무원의 신체적, 생화학적 및 인지적 피로변인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firefighter protective clothing with heavy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on physical(weight loss, blood pressure, tympanic temperature, heart rate)-, biochemical(glucose, lactate)-, and perceived(thermal sensation, rating of perceived exertion(RPE))-fatigue parameters in firefighting officials. Twelve healthy male firefighters(35.1±1.5 yrs) underwent three treadmill walking exercise of 9 METs for 20 minutes within 3 weeks, one in usual clothes(UC), one in firefighting protective clothing(FPC), and one in FPC with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SCBA) a week apart. During exercise, the changes of weight loss and blood concentration of glucose and lactate were the highest in the SCBA period, while the changes of tympanic temperature, heart rate, thermal sensation, and RPE were higher in FPC and SCBA than in the UC peri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aring firefighter protective clothing with/without heavy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during exercise might increase systemic fatigue parameters compared to usual clothes in healthy male firefighters.

      •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단 방향 해쉬 함수 기반 다중 경로 보안 전송 기법

        이윤정(Lee. Yunjeong),김동주(Kim. Dongjoo ),김현주(Kim. Hyunju),박준호(Park. Junho ),성동욱(Seong. Dong-ook),유재수 (Yoo. JaeSoo) 한국정보과학회 201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8 No.2D

        무선 센서 네트워크는 다양한 분야에서 폭 넓게 응용되고 있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응용을 실제 환경에 적용힐 경우 데이터 보안에 대한 고려는 필수적이다. 본 논문은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데이터가 노출이 되었을 때 실제 데이터의 해독을 어렵게 하기 위한 보안 전송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업은 단 방향 해쉬 함수인 MD5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변환하고 데이터를 분할하여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보안성을 높인다. 제안 기법의 우수성을 보이기 위해 기존의 기업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성능 평가 결과 제안하는 기법은 기존 기법에 비해 통신 에너지 소모량이 평균 940% 감소하였다.

      • 마이크로-나노 혼합 스케일 채널 제작을 위한 주형 제작 공정 개발

        이윤정(Yunjeong Lee),임영진(Yeongjin Lim),신흥주(Heungjoo Shin) 대한기계학회 2013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3 No.12

        We introduce a novel batch fabrication process for the mixed-scale carbon network structures that work as molds in soft lithography for channel network including microchannels and nanochannels. A carbon-MEMS process consisting of two serial photolithography steps and a single pyrolysis step was utilized to fabricate the mixed-scale carbon structures. Since the pyrolysis accompanies enormous volume shrinkage up to 80%, micro-scale polymer structures are easily converted to nano-scale carbon structures and thus carbon structures in mixed-scale can be fabricated in batch and cost-effective ways. The hydrophobic surface and inclined side wall profile of the pyrolyzed carbon mold structure enhance the efficiency of demolding process. Micro-sized holes are patterned periodically along the microchannel molds to produce micro-pillars for avoiding the collapse of the channels made of polydimethylsiloxane (PDMS).

      • KCI등재

        HepG2 및 PC12 세포에서 혼합 한약재 발효물의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활성 평가

        이윤정(Yunjeong Lee),김난슬(Nan-Seul Kim),손명수(Myung-Soo Shon),김교남(Gyo-Nam Kim),황용일(Yong-Il Hwang),박은주(Eunju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7

        생체 내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종(ROS)은 정상적인 상태에서 체내의 항산화 효소와 물질에 의해서 소거되지만, ROS가 과도하게 생성되면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천연물을 이용하여 이러한 ROS를 경감시켜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은 만성 질병을 예방하고 각종 질병의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식이 전략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화, 영지, 가시오가피, 오미자, 지구자, 구기자, 그리고 산수유를 공통으로 한 혼합 한약재 발효액을 제조하였으며, 조성에 따라 하고초와 쇠비름이 추가된 FHM-A 및 석창포와 산해박이 추가된 FHM-B로 구분하였으며, 혼합 한약재 발효물을 활용하여 차 및 음료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FHM-A 및 FHM-B의 총페놀 함량을 분석한 결과 FHM-B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총페놀 함량이 나타났다. ORAC value는 FHM-A가 FHM-B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고, ROS 생성 억제 활성은 FHM-A와 FHM-B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간세포인 HepG2 세포에서 에탄올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발효액 FHM-A 및 FHM-B는 10~100 μg/mL에서 모두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FHM-A와 FHM-B 모두 에탄올로 유도된 세포독성에 대한 보호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FHM-A와 FHM-B 모두 에탄올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해 증가한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신경세포인 PC12 세포에서 H2O2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발효액 FHM-A 및 FHM-B의 분석 결과 1~50 μg/mL에서 FHM-A와 FHM-B 모두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FHM-A와 FHM-B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H₂O₂로 유도된 세포독성에 대한 보호효과를 나타냈다. FHM-B는 항산화제로 잘 알려진 비타민 C와 같은 수준의 높은 세포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발효액 FHM-A와 FHM-B가 간 기능 및 신경스트레스와 관련된 질병 예방을 위한 식품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rmented herbal mixtures (FHMs) in HepG2 and PC12 cells. Two different types of fermented herbal mixtures consisted of Chrysanthemum morifolium, Ganoderma lucidum, Acanthopanax senticosus, Schisandra chinensis, Hovenia dulcis thumb, and Lycii fructus. FHM-A and FHM-B were separately fermented with Prunellae Spica, Portulaca oleracea (FHM-A) and Acorus gramineus, Pycnostelma paniculatum (FHM-B). Total phenolic content of FHM-B was higher than that of FHM-A. ORAC values in both FHM-A and FHM-B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antioxidant activities against peroxyl radicals were higher in FHM-A than FHM-B. Both FHM-A and FHM-B effectively ameliorated AAPH- and ethanol-induced oxidative stress in HepG2 cells. They also suppressed lipid formation induced by ethanol treatment. In addition, FHM-A and FHM-B prevented H₂O₂-induced PC12 cell death. FHM-B showed a relatively stronger protective effect than that of FMB-A.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how that a fermented herbal mixture could be used in healthy and functional food design for oxidative stress-related dis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