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위상 광자 결정을 이용한 Whispering Gallery Mode 공진기 설계

        이윤아 ( Yun A Lee ),이창원 ( Chang Won Lee ),박연상 ( Yeonsang Park ) 충남대학교 기초과학연구원 2022 충남과학연구지 Vol.39 No.1

        Topological photonic crystals are photonic versions of electronic topological crystals that show a topological property in electronic band structure. At the interface between two different topological photonic crystals, a topologically protected localized edge state can be formed. Using this edge state, we can make a stable waveguide mode that is robust to crystal defects caused by a fabrication error. Here, we calculate a topological whispering gallery mode with 1.3 ㎛ wavelength by connecting the waveguide mode, and show numerically by finite-difference time-domain simulation that this mode is robust in crystal defects.

      • KCI등재

        부모교육 참여정도와 기관만족도 및 교육공동체 인식 비교 연구: 유아 부모와 초등 부모를 대상으로

        이윤아(Lee, YoonA),박희경(Park, HeeKyung):정계숙(Chung, KaiSook),박수홍(Park, Su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3

        본 연구는 유아 자녀를 둔 부모와 초등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교육공동체로서 유아교육기관 및 초등학교에 대한 인식, 부모교육 참여정도, 기관만족도를 살펴 보고자 한 것으로, B시와 K지역의 유아 자녀를 둔 부모와 초등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설문지는 유아 부모 대상이 총 544부, 초등 부모 대상이 총 422부이며, 빈도분석, t검증, 일원배치 분산분석 및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 부모는 부모의 학력과 월수입에 따라 교육공동체 인식에 차이가 있었고, 월수입에 따라 부모교육 참여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초등 부모는 학력과 월수입에 따라서 교육공동체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교육공동체 인식과 기관만족도는 유아 부모가 초등 부모보다 더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교육 참여정도는 유아 부모보다 초등 부모가 더 높았다. 넷째, 유아 부모는 교육공동체 인식과 부모교육 참여정도, 기관만족도 사이에 상관 관계가 없었으나, 초등 부모는 부모교육 참여정도와 기관만족도가 높을수록 교육공 동체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 하였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parent’s educational involvement and institutional satisfaction between early childhoods’s paren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s. It conducted surveys targeting early childhood’s paren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s in B city and K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finds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according to the parents’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and parent’s educational involvement according to their monthly income, which figures are from early childhood’s parents. Second, it shows meaningful figure about the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according to the parents’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Third, early childhood’s parents have higher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and institutional satisfaction t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s. Forth, it shows correlations which are the higher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the higher parent’s educational involvement and institutional satisfaction.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suggestion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부모의 학대, 방임과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이윤아 ( Yoon A Lee ),최진아 ( Jin Ah Choi ) 대한가정학회 2015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3 No.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parental abuse and neglect on school life adjustment mediated by self-esteem in adolescents. Participants consisted of 2,259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2012. Secondary questionnaire data on parental abuse and neglect, self-esteem, and school life adjustment are used for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Cronbach’s 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ron and Kenny’s method determined the mediation effect. SPSS ver 18.0 was adop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abuse and neglect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dolescent school life adjustment; however self-estee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dolescent school life adjustment. Second,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dolescent school life adjustment was influenced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parental abuse had a direct effect on adolescents’ school life adjustment and also had an indirect effect on mediated by self-esteem. Parental neglect had a direct effect on adolescent school life adjustment and had an indirect effect on adolescent school life adjustment mediated by self-esteem.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lf-esteem plays a crucial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of parental abuse and the school life adjustment. Also, self-esteem plays a crucial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neglect and school life adjustment.

      • KCI등재

        문화와 예술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이윤아(Lee Yun-A) 대한철학회 2003 哲學硏究 Vol.87 No.-

        문화와 예술의 상관성을 해명하고자 하는 이 연구는 먼저 '문화'와 '예술'이라는 개념의 말뜻과 본질특징을 개관하고 '문화예술'이라는 말이 실제로 무엇을 의미하는 것이며 그것이 개념적으로 성립될 수 있는가를 살펴본 뒤 문화와 예술 사이에 어떠한 상관성이 있는가를 구명하는 순서로 전개된다. 이 연구에서 취하는 기본적인 입장은 존재론이며, 문화와 예술의 제반 현상분석을 통하여 그 본질에 도달하는 연구방식을 따른다. 문화와 예술 양자가 모두 정신적 존재라는 측면에서 이 연구는 문화와 예술에 대한 정신철학적 해명이라고 할 수도 있다. 문화는 명사라기보다는 동사에 가까운 개념이다. 문화는 인간의 일상생활에 있어서 다양한 행동 양식과 유기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그것은 변화의 과정자체로 파악된다. 따라서 문화는 인간들이 만들어가는 인위의 작용으로서 생성 변천하는 것이며, 이미 만들어진 전통으로서 인간이 그것을 물려받아 살아가는 삶 그 자체이며 삶의 터전이 된다. 예술의 목적은 아름다움과 즐거움을 추구한다는 데 있으며, 예술작품은 그러한 목적에서 인위적으로 창작된 것이다. 예술만이 인간에게 기쁨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예술이 주는 기분은 본질적으로 무한하면서도 강제하지 않는 기쁨이다. 그런 의미에서 예술은 예술 이외의 다른 인위와 구별이 된다. 예술 또한 문화와 마찬가지로 인간의 삶의 전 영역에 침투하여 있음으로써 인간의 삶의 터전이 되며, 인간의 예술적 삶이야말로 인간으로 하여금 다른 모든 존재보다 우위에 서도록 하는 것이다. 오늘날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문화예술인'이라는 개념은 성립 가능한 개념이다. 그것은 물론 모든 예술인을 당연히 포함하면서, 나아가 직접적인 예술가는 아니라고 하더라도 그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추가하여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러니까 문화예술은 '예술을 포함하는 전문적인 문화 분야'나 흑은 '상당한 전문성을 가진 문화예술분야'라고 하여야 한다. 문화예술은 예술을 포함하면서 예술보다는 넓고 문화보다는 좁은 개념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된다. 문화와 예술은 상호간에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에 있다. 예술은 문화의 아들이면서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는 아버지이기도 하다. 예술이 문화의 아들이면서 동시에 아버지가 될 수 있는 것은 문화와 예술이 가지는 부분적인 외연의 일치 즉, 유사성과 차별성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elucidation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ar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of all, examines the meaning and the essential characteristic of 'culture' and 'art' and then investigates what is the real meaning of 'culture-art' and whether this conception can be possible at all, and lastly elucidate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art. The basic standpoint of this study is the ontology, and the method of the study is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general phenomena of the culture and art because this analysis is expected to lead us to the essence of that phenomena Both culture and art being spiritual being, this study also can be seen as the spirit-philosophical elucidation of culture and art. 'Culture' is the concept which is akin to verb rather than to noun. It is organically related to the patterns of behavior in man's everyday life, and could be understood as the very process of change. Therefore the culture is what comes to being and is changing as the action which human being is making. And also as the tradition which is already made, it is the life itself and the basic grounds of life which human being has taken over. The purpose of the art is to pursuit of beauty and joyfulness, and the work of art is created artificially in that purpose. Though not only the art can give us joys but it is different from others in that it is essentially infinite and the joy which is not forced. In that aspect, art could be differed from any artificial thing other than art. The art in the same way as the culture, through infiltrating all the sphere of the human being's life could become human beings basic ground of life, and the artistic life of human being makes him superior than any other beings. 'Cultural-artist' which is used generally today is the possible conception which comprises properly all the artist and additionally every men who are not an artist proper but participate in that fields. Therefore we could understand 'culture-art' as the field of the special culture which contains art, or as the field of culture-art which has speciality in some degree. 'Culture-art', comprising art, is the concept which is wider than 'art', but narrower than 'culture'. Culture and art have an relation which affects on each other. Art is a son of the culture, and at the same time a father of the culture who creates new one. That is possible because culture and art could have partly common realm in its denotation, i.e. they could have a similarity and distinction.

      • KCI등재

        이사회의 독립성 개선여부에 따른 기관투자자의 반대 의결권 행사의 실효성

        이윤아(Yoona Lee),연강흠(Kang Heum Yon),김한나(Hanna Kim) 한국증권학회 2017 한국증권학회지 Vol.46 No.1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14년까지 기관투자자의 반대 의결권 행사내역을 공시한 유가증권시장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이사회의 독립성 개선여부에 따라 기관투자자의 안건 반대율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투자자의 안건 반대율이 높을수록 타깃 기업의 내부지배구조인 이사회의 실질적인 독립성이 개선되는 유인효과가 존재함을 입증하였다. 특히 경영진제안 안건 유형별로 세분화하여 사내이사와 사외이사 즉, 이사회 구성원의 선임관련 안건에 대한 반대율이 높을수록 이러한 개선효과가 더 강하게 관측되었다. 둘째, 기관투자자의 반대 의결권 행사가 기업가치를 제고하는 효과는 이사회의 독립성 개선이 수반되는 경우에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 당기보다 차기의 기업가치에 보다 강한 유의성을 보였다. 셋째, 경영자지분율과 기업가치 간 비선형적 U자형 2차 곡선관계가 존재함을 확인하고 변곡점을 기준으로 그룹을 분리하여 구간별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영자안주 효과가 지배하는 경영자지분율의 하위구간에서만 기관투자자의 안건 반대율과 이사회 독립성 개선여부 간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관측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관투자자의 적극적인 주주행동이 타깃 기업의 지배구조를 개선시키고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유인을 통제하는 직간접적인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기관투자자가 수탁자로서의 책임과 주주 일원으로서의 권리 행사를 충실히 이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relationships between shareholder activism of institutional investors and independence of the board of directors affect firm value in KOSPI from 2005 to 2014. We measure shareholders activism in `vote no` ratio and use independence of the board of directors to independent outside board of directors. We find that the higher opposite ratio of institutional investors` voting right, the better improving the independence of board of directors. In addition, the improving effect of firm value by opposite voting from institutional investors is more significant in case of being better independence of board of directors. Also, the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no` voting ratio and improvement of board of directors` independence is observed significance in the bottom section that is satisfied with managerial entrenchment hypothesis. As a result, active shareholder behaviors of institutional investors improve the governance of target firm and control the optimistic managers. So, we suggest that institutional investors carry out their duties faithfully.

      • KCI등재

        미술비평의 해석학적 본질

        이윤아(Lee Yun-Ah) 대한철학회 2006 哲學硏究 Vol.97 No.-

        이 논문은 ‘미술비평은 본질적으로 해석학’이라는 것을 구명함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의 해석학은 도상해석학이 아니다. 오히려 도상해석학의 해석학이라고 할 수 있다. 비평가들은 언제나 자기만의 일정한 입장을 가지고 들어가서 미술작품을 평가하고 재단한다. 이러한 입장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사람들은 그것을 작품해석을 위한 비평의 여러 가지 방법이라고 한다. 혹은 미술비평은 ‘창조적 방향 제시’를 해야 한다거나 ‘예술교육적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거나 ‘문명진단’의 기능을 해야 한다고 말한다. 전자는 미술 비평의 방법에 해당하고 후자는 미술비평의 당위 또는 방향에 해당한다. 전자이든 후자이든 미술작품을 떠나서 비평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미술작품은 그 자체만으로 보았을 때 화가의 창작정신이 통째로 녹아든 비정신적 대상, 즉 사물에 불과하다. 그러나 그것은 보통의 사물이 아니라 화가가 미적으로 형성한 작품으로서의 사물이다. 비평가는 사물로서의 작품을 보는 것이 아니라 작품으로서의 사물을 본다. 화가의 창작정신과 비평가의 평가적 시각이 서로 접근하여 하나로 융합하는 데서 온전한 비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로 이 융합이 해석학적 지평융합이다. 그러니까 화가의 창작지평과 비평가의 해석지평이 하나의 접점에서 만나는 것이 해석학적 지평융합이다. 이러한 지평융합은 ‘놀이’ 개념으로서 설명될 수 있다. 미술작품은 하나의 놀이가 이루어지는 특별한 공간이며 세계이다. 거기에는 바깥 세계와는 다른 독특한 규칙이 있고 화가나 비평가는 그 규칙의 지배를 받는다. 바로 그러한 규칙이 지배하는 작품이라는 세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놀이가 예술경험이고 미술비평이다. 그런 의미에서 ‘미술비평은 놀이이다’라는 명제는 해석학적으로 성립되며, 이것은 곧 ‘미술비평의 본질은 해석’이라는 말이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at the Art Criticism is essentially Hermeneutics. Here, Hermeneutics is not Ikonologie. Instead, it is the Hermeneutics of Ikonologie. Critics always evaluate and cut out an art work with their fixed positions. There can be several positions. They call the positions as several methods of Criticism for the work-interpretation. Or they say that the Work-Interpretation should do the creative direction-presentation, or should be done on the art-educational level or should do the function of civilization- diagnosis. The former falls under the method of Art Criticism, and the latter falls under the oughtness or direction of Art Criticism. Whether it is in the case of the former or the latter, Criticism cannot be made without Art Works. An Art Work in itself is a non-mental object into which the creation spirit of the artist filters. That is to say, it is no more than a Thing. However it is not a common thing but the thing as a Work that an artist made aesthetically. Critics don’t see a Work as a Thing. Instead, they see a Thing as a Work. A flawless Criticism can be made when the creation spirit of an artist and the evaluative sight of a critic come to each other closely and fuse into one. This fusion is Hermeneutic Horizon Fusion. That is to say, the meeting of the Creation Horizon of an artist and Interpretation Horizon of a critic on one contact is Hermeneutic Horizon Fusion. This Horizon Fusion can be explained as a concept of ‘Play’. An art work is a special space and world where a Play can be made. There is a unique rule that doesn’t exist in the external world and an artist and a critic are dominated by the rule. The Play that is made in the world of Work which the rule dominates is the Art Experience and the Art Criticism. In this sense, the thesis ‘The Art Criticism is Play’ can be made hermeneutically, and this means that ‘The essence of the Art Criticism is Interpretation.’

      • KCI우수등재

        이사 후보에 대한 의결권 반대 사유와 이사회 효율성 및 기업가치와의 관계

        이윤아(Yoona Lee),이지윤(Jiyoon Lee) 한국경영학회 2022 經營學硏究 Vol.51 No.6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issent in director elections and board effectiveness. In our analysis, we categorize reasons for dissenting in board votes into prior irresponsible behavior, lack of independence, lack of past attendance, and serving on multiple board seats. We find that having a director who faced dissent on a board of directors reduces board effectiveness, especially in cases involving inside directors who have prior irresponsible behavior on their records, inside directors who serve on multiple boards, and outside directors who lack independence. Moreover, having a director who faced dissent on a board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orporate value. We also find that having a nominating committee that is composed only of outside directors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is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dissent in director elections and board effectiveness(firm value). We find similar results in an analysis of proxyvoting advice offered by an advisory firm. Our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incorporating a wider range of board-member characteristics beyond such commonly used measures as outside director ratios and gender d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