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기억을 둘러싼 회상과 망각의 역동성 - 망각의 유형과 매체를 중심으로

        이영주 ( Lee Youngju )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22 獨語敎育 Vol.85 No.85

        Diese Arbeit konzentriert sich auf die Tatsache, dass der Akt des Vergessens in der jüngeren Erinnerungskultur vernachlässigt wurde, obwohl er ein natürliches Phänomen des menschlichen Lebens ist. Der größte Teil unserer Vergangenheit wird mit der Zeit vergessen. Teile der Erinnerung können durch kunstliche Anstrengungen - auch Erinnerungsarbeiten genannt - in die Realitat zuruckgeholt werden. In diesem Fall sind verschiedene Vorbedingungen oder Stimulanzien für den Rückruf des Gedächtnisses erforderlich. Oberflächlich betrachtet scheinen das Vergessen und das Erinnern gegensätzliche Phänomene zu sein, aber tatsächlich ist der größte Teil der vergessenen Vergangenheit eine Art bewahrendes Gedächtnis, das jederzeit bereit ist, in die Realität zurückzukehren. Auch das Erinnerte wiederum kann jederzeit in Vergessenheit geraten. In diesem Sinne impliziert die Technik des Vergessens eine Erinnerungsfunktion. Die Situation, in der sich Vergessen und Erinnern ungewollt gegenseitig bedingen, will ich als Dynamik des Gedächtnisses bezeichnen. An die Vergangenheit, die wir vergessen wollen, erinnern wir uns leicht, und die zur Erinnerung geschaffenen Medien verursachen oft das Vergessen. Wenn wir diese Dynamik gut verstehen, können wir beurteilen, woran sich unsere Gesellschaft erinnern soll und was unsere Identität und Kultur darin prägen wird.

      • KCI등재

        스마트기기 사용 관련 역기능 진단도구 타당화 연구

        이영주(Lee, Youngju),권동택(Kwon Dongtaik),유형근(Yu, HyungKeun),장진희(Jang, Ji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9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diagnostic scale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measuring adverse effects of their using mobile devices. Based on our literature review, we developed preliminary items composed of three categories: mobile device addiction, online deviation, and cyberbullying. The preliminary scale was distributed to a total number of 2370 students at the 20 elementary schools and 9 middle schools for the validation of the scale. As a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 extrated 5 factors for the elementary school version and 9 factors for the middle school scale. We believe this diagnostic scale will be used as a comprehensive instrument to assess problems occurred from students’ use of mobile devices and contribute to practical use in the field. 본 연구는 초중등학생의 스마트기기 사용 관련 역기능을 진단 할 수 있는 검사지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스마트 기기 사용에 관한 문헌 분석을 바탕으로 스마트기기 중독, 사이버 일탈, 사이버폭력별 진단척도 예비문항을 작성하였다. 예비문항에 대 한 척도의 타당화 검증을 위해 초등학교 20개교, 중학교 9개교를 대상으로 총 2370명에게 배포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초등학생 대상 검사도구는 총 5개의 요인이 추출되었고 중학생용 검사도구는 총 9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타당화된도구는 학교현장에서 스마트 기기 사용 관련 역기능 문제를 진단하는 종합적 도구로실용적 기여를 할 것이다.

      • KCI등재

        기억과 역사 -“피난, 추방, 화해” 재단을 예고써

        이영주 ( Youngju Lee ) 한국뷔히너학회 2015 뷔히너와 현대문학 Vol.0 No.45

        19세기 최고의 전성기에 다다랐던 역사서술은 양차 세계대전 이후 인간의 이성에 대한 신뢰성이 무너지면서 그 동안 누렸던 인간의 기원과 본질에 대한 척도로서의 역할을 상실하였다. 역사는 새로운 역사서술을 위해서 사실 뿐 아니라 이제 생생하게 살아있는 기억의 도움이 필요하게 되었고 개개인의 삶 속에서 기억을 통한 역사의 나레티브가 시작되었다. 이로써 지금까지 공적인 역사적 영역에서 밀려나 사적이고 개인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던 기억이 이제 본격적으로 무대로 등장하면서 역사와 기억의 관계는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되었다. 이에 대한한가지 예로서 2차 세계대전 이후 터부시되어 오던 희생자로서의 독일인들의 기억이 “피난, 추방, 화해” 재단이라는 구체화된 형태로 2008년 베를린에 설립이되면서, 기억의 반란, 즉 반기억(Gegengedachtnis)이 등장하였고 이는 사회적으로큰 파장을 일으켰다. 이러한 독일의 상황은 역사와 기억의 상호충돌 뿐 아니라 독일과 폴란드의 정치적, 사회적, 학문적 권력 작용의 행태도 가늠해볼 수 있는 예라 할 수 있다. 독일의 “피난, 추방, 화해” 재단은 단순히 억압되어 왔던 기억의 해제로만 이해될 것이 아니라, 기억문화와 역사문화의 상호작용의 일례로 보아야한다. 벤야민의 언급처럼 역사서술이란 승자에 의해 쓰이는 지극히 힘의 논리에 의한 것이지만, 또한 그것은 수많은 기억문화들, 기억공동체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영향을 받고 변화된다. 따라서 이 논문은 홀로코스트 박물관과 나란히 위치한 이 재단의 설립과 활동, 그 과정에서 기억과 역사 간에 일어나는 정치적, 사회적 충돌과이를 통해 어떻게 역사문화와 기억문화가 서로 발전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KCI등재

        문화관광형시장 활성화를 위한 공공디자인 사례연구

        이영주 ( Youngju Lee ),이병훈 ( Byunghoon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3

        (연구 배경 및 목적)오늘날 전통시장은 유통구조의 변화와 시설의 노후화로 점차 그 기능이 약화되고 있어, 2008년부터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은 전통시장 활성화 일환으로‘문화관광형시장 육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지속사업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인 개선을 위한 기준은 마련되지 않아 개발내용간의 연계성과 효과성이 낮은 실정이다. 특히 전통시장은 그 지역의 역사성과 문화성, 지역성을 담는 커뮤니티 장소로서의 의미를 가지므로 공공적 차원에서 개선방향이 접근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z관광 자원과 연계하여 시장 활성화에 기여한 국내외 우수사례를 분석하여 공공디자인적 측면에서 문화관광형시장 기본계획 시 고려해야할 개선항목에 대한 구성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문화관광형시장은 지역의 문화와 관광적 요소를 개발하여 쇠퇴되고 있는 전통시장을 활성화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으므로 공공의 가치증진을 위한 공공디자인적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문화관광형시장 육성사업의 개념과 사업내용을 관련 자료를 통해 선행연구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문화관광형 육성사업 추진 내용과 공공디자인 요소와의 연관성을 찾아내어 분석모형을 구축, 사례분석을 실시하여 문화관광형시장 개선항목 구성방향에 대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문화z관광 자원과 연계하여 시장 활성화에 기여한 분석사례들은 모두 공공디자인적 측면이 고려되어 기반설비와 디자인, ICT융합이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선행 연구를 통해 추출된 9가지 공공디자인 요소인 문화성, 장소성, 여가성, 편의성, 정체성, 정보성, 조형성, 상징성, 상호 작용성이 문화관광형시장 계획 시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연구를 통해 문화관광형시장이 전통시장이 가지는 고유한 문화ᆞ역사자원과 연계하여 문화관광명소로 탈바꿈하기 위해서는 공공디자인적 관점에서 접근해야하며, 단순히 물리적 환경개선을 넘어 다양한 문화체험과 능동적인 참여가 가능하도록 개선항목을 구성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ckground and Purpose)These days, the functions of the traditional market have gradually become degraded amid changes in the distribution structure and the aging of facilities. Since 2008, the Small Enterprise and Market Service (SEMAS) has pushed ahead with a project that aims to promote the cultural tourism market as part of its efforts to stimulate the traditional market. However, no standard has been established to ensure systematic improvement of the traditional market despite continuous implementation of such projects to date; therefore, the connection between the details of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has remained weak. In particular, the traditional market serves as a community space that reveals the historic, cultural, and local characteristics of a specific region, and for that reason, a basic course of improvement should be implemented at the public level.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basic course of action related to the dimensions of improvement that would nee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implementing a basic plan for encouraging the cultural tourism market from the standpoint of public design by analyzing excellent domestic and overseas cases of market stimulation pursued in conjunction with cultural tourism. (Method) The cultural tourism market aims to stimulate the traditional market that has been declining by developing the cultural and tourism-related elements of various region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design for increasing its value. Moreover, the concept of projects to promote the cultural tourism market and their details was investigated in advance through examination of related data and materials. Based on our examination, we identified the connections between the details of cultural tourism market promotion projects and public design elements, which was followed by modeling and a case analysis. Through these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rived in connection with the basic course of action for the area in which improvement would need to be achieved in cultural tourism markets. (Results) The cases included in the analysis, which contributed to the promotion of markets in conjunction with cultural tourism resources, were considered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design, which suggested that there was a convergence among infrastructures, design, and ICT. In addition, 9 types of public design elements that were derived from the preliminary study, including culture, locality, leisure value, convenience, identity, informativeness, formative artistry, symbolism, and interaction, would need to be considered when mapping a cultural tourism market pla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n approach would need to be taken from the standpoint of public design to transform cultural tourism markets into cultural tourism attractions in conjunction with their unique cultures, histories, and cultural resources and that the improvement items should be structured in such a way that various cultural experiences and positive participation could be encouraged beyond simple physical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

      • KCI등재

        감성요소에 의한 시지각적 연속성이 적용된 개방형 복합쇼핑몰 사례 연구 ; 디큐브시티(D-Cube City)의 진입공간을 중심으로

        이영주 ( Youngju Lee ),이정교 ( Junggyo Lee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7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1 No.2

        ICT기술의 접목과 도시기능적 연계로 개방형 공간으로 변화되고 있는 복합쇼핑몰은 도시적 차원에서 점차 복합화ㆍ대형화 되고 있다. 이러한 대형공간에서는 목적 공간까지 원활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진입공간 계획이 중요하며, 자연스러운 동선의 흐름을 위한 디자인 방법론으로 시지각적 연속성의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진입공간 계획시 시지각적 연속성의 연출에서 감성요소가 중요한 요소임을 분석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시지각적 연속성의 개념과 감성요소를 상관연구하고, 문헌자료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연속성을 위한 표현요소와 감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그 대상으로 디큐브시티의 진입공간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진입공간에 연출된 감성요소는 이용자에게 호기심과 주의력을 일으켜 새로운 체험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감성요소는 시지각적 연속성의 표현요소에 의해 요소간의 질서관계를 만들어 보다 순차적으로 인식하게 하게하고, 공간특질 파악에 중요하게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개방형 복합쇼핑몰 진입공간에서 이용자가 흥미로운 공간흐름으로 공간을 질서 있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시지각적 연속성의 연출이 필요하며, 특히, 그 영향인자인 감성요소를 적극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Multi-complex shopping malls, which have been transformed into an open space through incorporation of ICT and interconnection with urban functionalities, are evolving more complex and larger structures in urban dimensions. The approach space planning is crucial which enables the undisrupted and smooth access to targeted space in such large space. As a design methodology for natural flow of circulation, researches need to be conducted to investigate visual-perceptive sequence. For the purpose, this author examined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pt of visual-perceptive sequence and sensibility elements in this study, and furthermore, derived expression elements and sensibility elements for sequence by analyzing relevant literatures and preceding studies. In addition, this author analyzed the approach space of D-Cube City.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sensibility elements presented in the approach space aroused curiosity and attention in users, thus providing them with a new experience. Those sensibility elements created a relationship of order among elements through expression elements of visual -perceptive sequence, enabling more sequential perception, and were foun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spatial properties. Thus, visual - perceptive sequence needs to be presented to allow users to grasp the space in an orderly manner based on interesting spatial flow in the approach space of open multi-complex shopping mall, and particularly, the sensibility elements which are influential factors, would need to be applied actively.

      • KCI등재

        독일 그뤼네스 반트 사례를 통한 「DMZ 평화의 길」 조성 및 보존에 관한 연구

        이영주(Youngju Lee),박영준(Youngjun Park)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21 한국군사학논집 Vol.77 No.1

        After the two Koreas jointly agreed on the “Panmunjom Declaration for Peace Prosperity and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on April 27, 2018, a plan to transform the Demilitarized Zone (DMZ) into a peace zone began to develop. As interests in the DMZ border area increased, this plan named “DMZ Peace Road” supported by seven ministries is to be integrated with the “Korea Dulle-gil” project, which started in 2017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DMZ Peace Road” project aims to open the restricted region to the public so that the DMZ border area can be revitalized and new jobs can be created along the long-distance walking tour crossing the DMZ border from east to west. In accordance with this purpose, detailed plans are being made to discover routes for a safe and comfortable walking tour and special sections that can be only experienced in the DMZ border area. In the process of pursuing this project, however, many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military problems are being identified. The process of making the path of peace is not progressing smoothly due to many demands and difficulties. Therefore, I would like to analyze the problems derived from the project and to examine the solu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Grünes Band, a German demilitarized zone conservation projectthat prioritizes the preservation of the ecosystem and the environment. Grünes Band, which used to be the border between East and West Germany, has been reborn as a space of peace and nature conservation through the cooperation of environmental groups, state and federal governments, private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By looking at the success stories of this project, I would like to look for clues that can solve the problems arising from our peace road project.

      • KCI등재

        K-MOOC 참여 학습자 경험에 관한 연구: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이영주 ( Youngju Lee ),조규락 ( Kyoo-lak Cho ) 한국교육공학회 2018 교육공학연구 Vol.34 No.4

        K-MOOC가 출현한지 3년 정도의 시간이 흘렀다. 아직까지 정착단계라 주로 해외 MOOC 사례 분석이나 개발과 운영 전략에 관한 교수자 측면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K-MOOC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참여 학습자에 대한 깊은 이해가 선행되어야하고, 설문 조사나 양적 연구로는 학습자 경험의 본질에 대한 이해가 충분히 이루어지기 어렵다. 이 연구는 실증주의적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인간의 주관적 경험의 의미를 있는 그대로 파악하는데 중점을 둔 현상학적 질적 분석을 통해 K-MOOC 학습자의 경험의 과정과 본질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기준 표집과 눈덩이식 표집을 활용하여 총 17명 K-MOOC 찹여자를 자발적으로 모집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개인별로 1:1 면담을 진행하였고, 면담에 녹취된 자료는 전사되었다. 면담자료는 참여자의 공통된 속성 도출에 초점을 둔 Colazz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적용하였고, 총 2개의 범주, 8개의 주제묶음, 19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의 경험의 과정으로는 1)낮은 인지도와 낮은 기대, 2)부담없이 자유로움, 3)작은 성취감과 만족감, 4)학습자 지원, 질관리 부실로 불편함, 5)기존 이러닝과 차별화에 대한 기대를 표출하고, 참여자의 학습 경험의 의미로 1)우물안 개구리를 벗어나 사고의 확장, 2)자율적이고 성숙한 학습 참여 경험, 3)성인의 지속적 학습을 위한 토대임을 발견하였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K-MOOC 교수자와 운영자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It has been 3 years since K-MOOC launched. Most of the studies have focused on case analysis of MOOC or development and operation strategies from a perspective of instructors since it’s on early stage. However, understanding students should take a precedence in order for a sustained growth of K-MOOC and it is not sufficiently accomplished with survey or quantitative research.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process and essence of learners’ experience in K-MOOC, which is difficult to achieve by positivism approach. We recruited a total number of 17 participants through criterion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Th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1:1 and recorded data were transcrib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lazzi’s phenomenological method and resulted in 2 categories, 8 theme clusters, and 19 themes. The findings are as follow: For learners’ experience process, participants demonstrated 1) low level of awareness and expectation, 2) freedom with no burden, 3) little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4) lack of learner support & quality control, and 5)expectations of differentiated online courses. With regard to learners’ meaning, participants expressed 1) expansion of thoughts and get out of a man of narrow view, 2) self-regulated and mature learning experiences, and 3) foundation for continuous learning for adults. Based on the findings, we suggested implication for instructors and administrators at K-MOOC.

      • KCI등재

        수사학으로 본 ‘수치심과 안녕감(well-being)의 관계’ 시론

        이영주(Lee, Youngju) 한국수사학회 2021 수사학 Vol.- No.40

        수치심은 도덕규범에 어긋나는 사태를 초래하거나 관계했을 때에 일어나지만, 곧 이를 바로잡아 같은 잘못을 저지르지 않으려는 마음가짐을 지니게 하는바 도덕감정으로 자리매김 된다. 본 연구는 그런 마음가짐의 주된 기제가 안녕감이라고 본다. 이 ‘안녕감’은 잘못에 따른 고통 즉 편찮은 마음을 해소하고 얻고자 하는 마음의 평화인바, 이를 지칭하는 학술 용어 ‘well-being’도 글자 그대로는 ‘잘삶’ 또는 ‘선한 존재(로서 삶)’ 정도의 도덕성을 포함한다. 그러나 학계(본 글에서는 주로 심리학)에서는 그 의미의 무게를 행복에 둔다. 이런 관점은 ‘자연의 조화가 깨져 야기된 고통에서 조화를 되찾음이 곧 쾌락’이라는 철학적 해석에서 그 타당성을 찾을 수 있겠으나, 외연을 행복주의로 좁힘으로써 웰빙이 지닌 수사(rhetoric)의 사회적 작용에 한계를 안기게 된다고 본다. 특히 발화 주체의 신뢰를 가늠하는 에토스라는 거울에 비추어, 웰빙이 말하는 안녕감이 수치심을 도덕감정으로 작동케 하는 데 부족함이 없는지 짚어본다. 또 왜 지금 도덕과 관련하여 안녕감을 수치심과 연계하여 고찰해야 할 필요가 있는지를 규명한다. Shame occurs in relation to situations that are antithetical to moral norms, but it soon becomes a moral sense which aims to correct behavior so that the same mistake is not made again. This study attempts to demonstrate that the main mechanism underpinning this is a sense of well-being. This well-being is a form of peace of mind that seeks to relieve the pain of a being at fault, or to ease mental discomfort, and the concept includes the morality of the ‘good life’ that is aimed for. However, in academic terms (in relation to this study, the field of psychology), the weight of its meaning lies in the idea of happiness. This view can be found in the philosophical perspective that pleasure is derived from the restoration of natural harmony in the wake of the pain and dissonance we have caused. However, narrowing its field of application to the attainment of happiness limits the social action entailed in attaining true well-being. In particular, in light of the mirror called Ethos, which is a gauge of the impetus behind our actions, the question is whether the goal of well-being is sufficient to allow shame to function as a moral emotion. In this light, this paper examines wh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ense of well-being in tandem with shame, in relation to morality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