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 아동의 보호 만족도 비교에 관한 종단적 연구

        이상정(Lee, Sang Jung),강현아(Kang, Hyunah),노충래(Nho, Choong-Rai),우석진(Woo, Seok Jin),전종설(Chun, JongSerl),정익중(Ick Joo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17 No.4

        가정외보호 서비스는 그 유형에 따라 서비스의 질과 만족도에 많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지만, 우리나라의 대표적 가정외보호 유형인, 아동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 서비스를 비교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으로부터 보호 서비스를 받고 있는 481명의 5,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5년간 보호 만족도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더 나아가 가정외보호 아동의 보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층모형 분석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그룹홈 아동의 보호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가정위탁, 아동양육시설 순이었으며 추후 4년 동안의 추적 조사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 친구관계, 사회적지지, 시설종사자의 관심도, 그리고 가정외보호 서비스 유형이 가정외보호 아동의 보호 만족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의 가정외보호 적응을 돕고 보호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re has been no studies that compare services of residential care centers, group homes, and foster homes although out-of-home care services differ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types of out-of-home care. This study measured and compared care satisfaction of 481 children in residential care centers group homes, and foster homes for five years. Futhermore, factors that predict care satisfaction of the children were identified using multi-level modeling analyses. As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care satisfaction of children in group homes was the highest and children in foster homes presented higher care satisfaction than children in residential care centers. The results were the same across four year follow-ups. In addition, self-esteem, friend relationship, social support, out-of-home care practitioners’ support and types of out-of-home services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predictors of care satisfact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suggestions to help children adapt to out-of-home care and improve out-of-home care satisfaction were made.

      • KCI우수등재

        가정외보호 아동의 보호 만족도에 관한 종단적 연구

        이상정(Lee, Sang Jung),강현아(Kang, Hyunah),노충래(Nho, Choong-Rai),우석진(Woo, Seokjin),전종설(Chun, JongSerl),정익중(Chung, Ick-Joo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사회복지학 Vol.69 No.3

        가정외보호 서비스는 그 유형에 따라 서비스의 질과 만족도에 많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지만, 우리나라의 대표적 가정외보호 유형인, 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 서비스를 비교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으로부터 보호 서비스를 받고 있는 494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5년간 보호 만족도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더 나아가 가정외보호 아동의 보호 만족도 변화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층모형 분석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그룹홈 아동의 보호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가정위탁, 아동양육시설 순이었다. 둘째,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그리고 가정외보호 서비스 유형이 가정외보호 아동의 보호 만족도 변화 궤적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의 가정외보호적응을 돕고 보호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re has been no studies that compare services of residential care centers, group homes, and foster homes although out-of-home care services differ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types of out-of-home care. This study compared care satisfaction of 481 children in residential care centers, group homes, and foster homes for five years. Futhermore, factors that predict care satisfaction of the children were identified using multi-level modeling analyses. As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care satisfaction of children in group homes was the higher than that in foster homes and residential care centers. In addition,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types of out-of-home services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predictors of changes in care satisfact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suggestions to help children adapt to out-of-home care and improve out-of-home care satisfaction were made.

      • KCI등재

        아동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에 관한 메타분석

        이상정 ( Lee Sang Jung ),정익중 ( Chung Ick-joo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保健社會硏究 Vol.38 No.3

        아동기는 자아존중감 형성의 결정적 시기이다. 따라서 수많은 아동복지 실천 현장에서 아동의 건전한 성격 발달과 사회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자아존중감 향상을 목적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프로그램에 대해, 문헌고찰을 통하여 그 정보를 체계화하고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종합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RISS, DBpia, KISS의 학술정보시스템과 Google 학술검색을 통해 총 271개의 관련 연구 논문이 검색되었으며, 이 가운데 47개 논문으로부터 52개 프로그램이 자료 추출과 분석에 포함되었다. 변량효과모형에 기반한 메타분석 결과, 아동을 대상으로 제공되고 있는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종합적인 효과 크기는 0.89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 단일 목적 프로그램, 프로그램 유형(예능 활동), 프로그램 회기, 대상 아동의 특성(가정외 보호), 연구 설계에 따라 자아존중감 효과크기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반하여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성 연구에 관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organize information about the programs that were designed to improve children’s self-esteem and to examine the overall effectiveness. Relevant literatures were searched through academic information system including RISS, DBpia, KISS, and Korean Google Scholar. From 271 studies searched, 52 programs out of 47 studies were finally included for data extraction. A meta-analysis resulted in that the programs were generally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self-esteem with an effect size of 0.89. Subsequent meta-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in effect size depending on moderators. As results,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s and study methods differenti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Based on our findings, we mad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s for children.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야간보호교사의 소진과 이직이 아동의 학교적응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정익중(Chung, Ick-Joong),이정은(Lee, Jeong-Eun),이상균(Lee, Sang-Gyu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37

        사회복지 종사자의 소진이나 이직이 클라이언트의 발달과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는 논의는 많이 되어 왔으나 이에 대한 실증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 야간보호교사의 소진과 이직이 아동의 학교적응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야간요보호아동통합지원사업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선형모형(HLM: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분석을 실시하였다. 원자료 중 조직수준에서 지역아동센터(시설장 및 야간보호교사) 자료 127개, 개인수준에서 아동(아동 및 주양육자) 자료 528개가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되었다. 센터 및 야간보호교사의 특성과 아동 및 주양육자 특성 변수를 통제하고, 야간보호교사의 소진과 이직을 독립변수로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야간보호교사의 소진은 아동의 학교적응에, 야간보호교사의 이직은 아동의 학업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아동센터 야간보호프로그램을 개선하기 위한 사회복지 실천적, 정책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re is currently a dearth of research on the effect on the teachers" burnout and turnover on children"s developmental outcomes in community child centers because of the difficulty in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hierarchical nature of data.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night care teachers" burnout and turnover as a level-2 predictor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ing(HLM) to reflect the nested nature of data. Subjects consisted of 528 children and primary care givers and 127 night care teachers nested within 127 community child cen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ontrolling for children"s and primary care givers"(level-1), centers" (level-2), and teachers"(level-2) characteristics, night care teachers" burnout as a level-2 predictor appeared to have negative effects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while night care teachers" turnover as a level-2 predictor appeared to have negative effects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in social welfare practice and policy were discussed to improve a night care program in community child centers.

      • KCI등재후보

        뇌실내 Calcitonin 투여로 인한 위산분비 억제에 대한 뇌내 신경전달체의 역할

        장우익(Woo Ick Jang),이동기(Dong Ki Lee),권상옥(Sang Ok Kwon),고창만(Chang Mann Ko),현재헌(Jae Hun Hyun),김상태(Sang Tae Kim),이상인(Sang In Lee),최흥재(Heung Jai Choi),김경환(Kyung Hwan Kim) 대한내과학회 1991 대한내과학회지 Vol.40 No.5

        Peptides that are common to the brain and gut are thought to play intermediary roles as neurotransmitters or neuromodulators in the regulation of gut function. Calcitonin is a polypeptide hormone of 32 amino acid residues. Recently, much evidence has been accumulated to suggest that calcitonin may inhibit gastric acid secretion by a central action, but the neurohumoral pathways mediating the antisecretory effects of calcitonin in rats are not well elucidated. In the present study, using a gastric perfusion technique, the effects of ICV administration of calcitonin on gastric acid secretion stimulated by baclofen were investigated in rats. We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 serotonergic system is involved in calcitonin's effect of gastric acid secretion.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ICV administration of baclofen stimulated gastric acid secre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Central administration of baclofen was approximately 200-400 times more sensitive than subcutaneous administration. 2) Baclofen-induced gastric acid secretion was partially suppressed by bilateral vagotomy. 3) Gastric acid secretion stimulated by baclofen was markedly suppressed by ICV administration of calcitonin. 4) Depletion of brain serotonin with the neurotoxin 5, 7-dihydroxytryptamine did not influence calcitonin-induced gestric acid suppression. In this study it was demonstrated that centrally- administered calcitonin suppresses baclofen-induced gastric acid secretion. Also. it is suggested that the serotonergic system is not involved in calcitonin-induced gastric acid suppression.

      • KCI등재

        한의학과 아유르베다의학의 약재 비교 고찰(I)

        박지하,이봉효,이상,송익수,안상영,한창현,Park, Ji-Ha,Lee, Bong-Hyo,Lee, Sang-Nam,Song, Ick-Soo,Ahn, Sang-Young,Han, Chang-Hyun 대한본초학회 2010 大韓本草學會誌 Vol.25 No.4

        Objectives & Methods : To compare the medicinal herbs between Ayurvedic medicine and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we took reference of major publications related to Ayurvedic medicinal herbs such as Indian Herbal Remedies, Prime Ayurvedic Plant Drugs, with those of TKM. We selected most widely used 130 herbal species of Ayurvedic medicine and compar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TKM. Comparative factors were the origin, habitation, synonyms, usage, medicinal parts, and precautions. Results : 1. The medicinal herbs Resinatum Lignum(沈香), Arecae Pericarpium(大腹皮), Arecae Semen(檳榔), Carthami Flos (紅花), Camphorum(樟腦), Crotonis Semen(巴豆), Curculiginis Rhizoma(仙茅) used in TKM did exactly correlate in their origins with those of Ayurvedic medicine. 2. Varieties of allied species were found in their origins. Benincasae Pericarpium(冬瓜皮), and Benincasae Semen(冬瓜子) derive from the same plant Benincasa hispida Cogn. for both Ayurvedic medicine and TKM. Interestingly, B. cerifera Savi. is also claimed for same uses in Ayurvedic medicine. This broadened use of allied species is found in various Ayurvedic herbal medicine such as Cannabis Semen(火麻仁) using Cannabis indica Lam., and Curcuma Longae Rhizoma(薑黃) using Curcuma domestica Valeton.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their usage also in TKM. 3. Myrrha(沒藥), and Curculiginis Rhizoma concorded their usage with TKM. While Arecae Pericarpium(大腹皮), Arecae Semen(檳榔), Aquilariae Resinatum Lignum(沈香), Pericarpium(冬瓜皮), Benincasae Semen(冬瓜子), Cannabis Semen(火麻仁), Carthami Flos(紅花), Camphorum(樟腦), Crotonis Semen(巴豆), Curcumae Radix(鬱金), Curcuma Longae Rhizoma(薑黃) and Zedoariae Rhizoma(莪朮) revealed varied efficacies according to their part used or usage forms. Conclusion : Both Ayurvedic medicine and TKM reflect the traditional medicine of its regions where is founded. Mutual understanding improves the capability of coping of diverse ailments of present days and also replacing some plants in the days of increasing threat to our environment. Abundant external applications of various plants found in Ayurvedic medicine were particularly useful for TKM to complement its strength in herbal intak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