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강도 모르타르용 결합재의 유동특성 및 역학특성에 관한 연구

        이상수,이윤성,이강필,Lee, Sang-Soo,Lee, Yun-Seong,Lee, Kang-Pil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09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지 Vol.4 No.4

        본 연구에서는 고가의 실리카흄의 대체재로 활용가능한 메타카올린, HMBA의 치환율에 따른 고강도모르타르의 유동특성 및 역학특성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여 그 성능을 규명하여 실리카흄의 대체재로 활용가능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유동특성 및 역학특성 실험결과 굳지않은 모르타르에서 목표 플로우를 도달하기 위하여 치환율이 커질수록 고성능감수제의 첨가량이 증가하였으며, 공기량은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역학특성에서 압축강도, 인장강도, 휨강도에서는 Plain보다 실리카흄과 메타카올린 HMBA을 치환한 배합이 강도가 높았으며, 치환율이 커질수록, 재령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각각의 혼화재를 치환한 배합의 강도는 큰 차이를 나타내진 않았지만, HMBA보다 실리카흄과 메타카올린을 치환한 배합이 강도가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메타카올린과 HMBA를 첨가한 모르타르의 유동특성 및 역학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고가의 실리카흄의 대체재료로 활용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It's important to study about suitable substitutional material of expensive silica fume because it used widely for silica fume as a high-strength mortar binding agen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which is the most efficient binder for the expensive silica fume's alternative material. And this study also present basic data about to make high-strength mortar when we use alternative material instead of silica fume through research outcome. Also writers analzed flow properties respectively, so it was founded out the substitutional goods fare like meta-kaolin, HMBA which are less expensive than silica fume because they are in domestic enough.

      • KCI등재

        역혈행성 비복 동맥 피판술을 이용한 연부 조직 결손의 재건

        이상수,이영호,김주성,최재혁,이영현,유연식,남일현,Lee, Sang-Soo,Lee, Young-Ho,Kim, Joo-Sung,Choi, Jae-Hyuck,Lee, Young-Hyun,You, Yeon-Sik,Nam, Il-Hyu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2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6 No.1

        Purpose: We would introduce the reverse superficial sural artery flap to reconstruct soft tissue defect on lower leg, ankle, and hind-foot. Materials and Method: From October 1998 to December 2001, we reconstructed 12cases (l2patients) of soft tissue defect around the hind - foot, ankle, and distal lower extremity with the reverse sural artery flap. Results: The time for flap dissection was 28 minutes in average. The size of the flap was from $4\times3cm$ to $14\times10cm$. All flaps survived. Conclusion: The reverse superficial sural artery flap is the useful technique for the soft tissue defect in the lower leg and the foot.

      • K11 RNA 중합효소의 Cloning 및 발현

        이상수,Lee, Sang-Soo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97 自然科學論文集 Vol.9 No.1

        PCR 방법을 이용하여 K11 RNA 중합효소를 coding하는 Klebsiella phage gene 1을 cloning 하였고 lac 전사촉진제 조절 하에 발현시켰다. K11 RNA 중합효소는 DAEA-sephacel과 Affigel blue column chromatographies를 사용하는 상용 방법으로 분리하였다. DAEA-sephacel의 0.2-0.3 M $NH_4Cl$ 분획에서 K11 RNA 중합효소의 활성을 보였고, 다음 단계의 Affigel blue column에서 SDS-polyacryl amide gel 상의 단일 band로 분리되었다. K11 RNA 중합효소는 T7 그룹 phage RNA 중합효소로 다른 T7 그룹phage RNA 중합효소와 많은 상동성을 보인다. (대장균 phage T7, T3과 Salmonella tyhimurium phage SP6 RNA 중합효소). 이미 우리는 T7과 SP6 전사촉진제 변이체를 제조한 바 있고 T7과 SP6 RNA 중합효소의 전사촉진제 특이성을 연구한 바 있다 (이상수와 강창원, 1993). K11 RNA 중합효소의 전사촉진제 특이성을 알아보기 위해 SP6 전사촉진제 변이체를 사용하여 in vitro K11 RNA 중합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이 변이체 중 K11 전사촉진제와 가장 유사한 것이 가장 높은 K11 RNA 중합효소 활성을 보였다. Using the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gone 1 of phage K11 coding for K11 phage RNA polymerase has been cloned and expressed under the control of lac promoter. K11 phage RNA polymerase was conventionally purified through the DEAE-sephacel and Affigel blue column chromatographies. The 0.2-0.3 M $NH_4Cl$ fractions of DAEA-sephacel column chromatography showed K11 phage RNA polymerase activity and further purification with Affigel blue column chromatography showed nearly single protein band on SDS-polyacryl amide gel. K11 phage RNA polymerase, which is one of the T7 group phage RNA polymerase (E. coil phage T7, T3 and Salmonella tyhimurium phage SP6 RNA polymerase), shares high degrees of homology with the other T7 group phage RNA polymerase. Previously we constructed T7 and SP6 promoter variants and revealed promoter specificity of T7 and SP6 RNA polymerase (Lee and Kang, 1993). To investigate the promoter specificity of K11 RNA polymerase in vitro K11 promoter activity was measured with SP6 promoter variants. The SP6 promoter variant share highest degrees of sequence homology with K11 promoter sequence show strongest promoter activity.

      • 국소적 섬유연골성 이형성증(FFCD)에 의한 경골 내반 - 증례 보고 -

        이상수,황호연,이동희,남일현,백애란,손경락,이상언,Lee, Sang-Soo,Hwang, Ho-Yeun,Lee, Dong-Hee,Nam, Il-Hyun,Paik, Ae-Lan,Sohn, Kyung-Rak,Lee, Sang-Un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0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6 No.2

        국소적 섬유연골성 이형성증(FFCD)은 소아에서 일측성 경골 내반 소견을 보이는 드문 양성 질환이다. FFCD는 근위 경골 내측 골간단과 골간의 이행부에 오목한 방사선 투과 음영 소견을 보이는 전형적인 방사선 소견을 지니고 있다. 경골 내반이 병변 부위에서 발생한다. 내반의 교정과 골결손의 치유가 흔히 자발적으로 일어나기도 하지만 골교정술을 요하기도 한다. 저자들은 절제 조직 생검술로 진단하고 절골술 및 골이식술을 시행함으로써 치유한 FFCD에 의한 일측성 경골 내반 1예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Focal fibrocartilaginous dysplasia(FFCD) is an uncommon, benign condition associated with unilateral tibia vara among young children. FFCD has a typical plain radiographic finding, which has a concave radiolucent defect in the metadiaphyseal junction of medial aspect of the proximal tibia. The varus deformity occurs at the site of the lesion. Spontaneous remodeling and resolution of bony defect may be expected, but the corrective osteotomy may also be needed in some cases. The authors described a case of unilateral tibia vara caused by FFCD, diagnosed by excisional biopsy and treated with dome-shaped proximal tibial osteotomy and bone graft.

      • KCI등재
      • KCI등재

        샌드플럭스 장치를 이용한 순환모래의 생산횟수별 품질변화 및 모르타르의 역학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이상수,송하영,김준석,김재환,이종석,Lee, Sang-Soo,Song, Ha-Young,Kim, Joon-Seok,Kim, Jae-Hwan,Lee, Jong-Suk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09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지 Vol.4 No.1

        본 연구에서는 습식방식 생산시스템의 품질의 대폭적인 향상이 가능한 건설폐기물 재활용을 위한 이물질 분리 선별 장치인 샌드플럭스(Sand Flux)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써, 샌드플럭스 장치에서 생산된 순환모래의 기초물성을 평가하고 모르타르의 공학적 특성을 실험 실증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본 연구 장치의 성능을 검증하고 하였으며, 본 연구의 기초물성 실험결과, 절건밀도의 경우, RS-II($2.25g/cm^3$)~RS-VI($2.37g/cm^3$), 흡수율의 경우, RS-II(6.46%)~RS-VI(4.36%)의 경향을 나타내어 샌드플럭스 장치를 거친 순환모래가 소폭의 개선효과를 보이고 있어 본 연구의 목표성능(KS F 2573)에는 대부분 만족하였지만 구조체용 콘크리트용 잔골재의 품질 기준에는 만족하지 못하였다. 또한, 0.08mm체 통과량의 경우, RS-II(7.34%)~RS-VI(0.86%), 점토덩어리량의 경우, RS-II(19.49%)~RS-VI(0.87%), 유기이물질 함유량의 경우, RS-II(1.24%)~RS-VI(0.09%) 등으로 품질성능이 크게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내어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목표 품질수준 만족하여 본 연구 샌드플럭스 장치의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모르타르 품질실험 결과, 샌드플럭스(Sand Flux) 장치를 거친 최종 생산된 순환모래 RS-VI를 사용한 RS-II를 사용한 모르타르 보다 플로우 및 압축강도가 다소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수축특성 또한 샌드플럭스 장치를 거쳐 최종 생산된 순환모래 RS-IV를 사용한 모르타르의 균열발생량이 현저히 감소되는 성상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has shown the tendency to enhance Sand Flux, a device of separating screening the foreign matter, for the recycling of construction waste possi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wet type production system meaningfully as part of research. As a result of experiment on the basic material properties, this study had a tendency to improve the quality and performance significantly in case of absolute surface dried density, 0.08mm sieve throughput, volume of clay lumps, and content of organic foreign matter.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ortar, this study has shown the tendency that the flow and compressive strength more increased than the mortar using RS-II by utilizing RS-VI recycled sand produced finally through the device Sand Flux. As for the shrinkage properties, this study has shown the character the generation rate of crack of mortar using RS-IV recycled sand produced finally through the device Sand Flux.

      • KCI등재
      • 파지 K11 라이자소임의 amidase 활성도

        이상수,Lee, Sang-Soo 배재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6 自然科學論文集 Vol.17 No.1

        이 연구에서는 6개의 히스티딘이 첨부된 파지 K11 라이소자임의 제조 분리 및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첨부된 히스티딘에 의한 이 효소의 활성도의 변화는 없었으며, 효소 활성의 최적 pH는 7.2-7.4 이었다. 여러 다른 종류의 양이온 존재하의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칼슘과 마그네슘 이온에 의해 효소 활성이 완전히 억제되었으나, 아연이나 나트륨 이온은 효소의 활성도를 이 이온들이 없을 때와 같은 정도로 유지하였다. 단지 100 mM 이상의 아연 이온 농도에서 K11 라이소자임 효소 활성도를 완전히 억제하였다. The construc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exahistidine-tagged phage K11 lysozyme are carried out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nzymatic activities of K11 lysozyme are not affected by the purification tag. The optimum pH of K11 lysozyme is 7.2-7.4. The amidase activity of K11 lysozyme was also measured in the presence of different cations. The addition of $Ca^2+$ and $Mg^2+$ almost completely shut down the amidase activity but $Zn^2+$ and $Na^+$ maintained the amidase activity. In the presence of 100 mM $Zn^2+$ the amidase activity was nearly abolished.

      • Passive Star형 광상호연결망에서 광/전 변환을 고려한 최적의 전송 스케쥴링

        이상수,위규범,홍만표,예홍진,Lee, Sang-Su,Wi, Gyu-Beom,Hong, Man-Pyo,Ye, Hong-Jin 한국정보과학회 2001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28 No.7

        본 논문은 N개의 노드로 구성된 파장분할다중화(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의 Passive Star형 광상호연결망에서 K개의 파장이 사용가능 할 때 패킷 전송 스케쥴링 문제를 다루고 있다. 모든 노드는 파장조율이 가능한 송신기와 특정 파장에 고정된 수신기를 각각 한 개씩 가지고 있으며, 하나의 패킷이 송신기로부터 수신기까지 전송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은 항상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최적의 패킷 전송 스케쥴이란 송신노드 입장에서 임의의 파장에서 다른 파장으로 송신기를 조율하는 데에 따른 지연시간(turning delay)을 고려하여 같은 시간에 최대한 많은 서로 다른 파장을 사용하도록 함과 동시에, 수신노드의 입장에서 수신된 패킷들의 광/전 변환에 따른 지연시간(conversion delay)을 고려하여 패킷의 수신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모든 패킷이 최소시간 내에 전송될 수 있도록 언제 어떤 파장을 사용하여 패킷들을 전송할 것인지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파장조율에 따른 지연시간을 $\delta$로 나타낼 때 모든 노드가 자기 자신을 제외한 다른 모든 노드에 주기적으로 전방송(all-to-all broadcast)을 반복하는 경우에 임의로 주어진 N, K, $\delta$의 값에 대하여 최적의 패킷 전송 스케쥴을 구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N이 K로 나누어 떨어지면 최적의 전방송 주기는 [NK($\delta$+1)/{$N_2$-N-NK+K$^2$+K}](N-1)임을 증명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