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집청액 종류를 달리한 구운 강정의 품질 특성

        이보배,김진숙,김기창,김경미,Lee, Bo-Bae,Kim, Jin-Sook,Kim, Gi-Chang,Kim, Kyung-Mi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5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1 No.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ximate composition, sweetness, color, texture, and sensory properties of baked Gangjung prepared using different coating syrups (maltose syrup, oligosaccharide, rice syrup, and maltitol syrup). The crude protein content was 3.22~3.28% in baked Gangjung prepared with maltose syrup, oligosaccharide, or rice syrup, while that prepared using maltitol syrup had 2.61%. Crude ash was the highest when rice syrup was used (1.08%), and the lowest when maltose syrup or oligosaccharide was used (0.64% and 0.68%, respectively). The sweetness of the baked Gangjung was the highest in the rice syrup group, at $70.07^{\circ}Brix$, and lowest in the maltose syrup group, at $33.5^{\circ}Brix$ (p<0.05). The hardness of the Gangjung prepared with the different coating syrups was the highest for the grain syrup (1.42), followed by the oligosaccharide group at 0.96, maltose syrup (0.40), and maltitol syrup (0.35) (p<0.05). The number of peaks and the indirect measure of crispness also showed the highest values for the rice syrup group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values in the other groups. Lightness was in the range of 63.26~73.04 depending on the coating syrup, decreasing from the oligosaccharide to the maltitol, rice syrup, and then to the maltose syrup group (p<0.05). The a-value was the highest for the maltose and rice syrup groups at 10.69 and 10.38, respectively (p<0.05), and the b-value showed the same trend. Baked Gangjung showed the highest scores for color, flavor, and overall preference when prepared using maltitol syrup.

      • 사이버 공간에서의 혐오표현(Hate Speech) 규율을 위한 입법방향 검토

        이보배 ( Lee Bo-bae )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KHU 글로벌 기업법무 리뷰 Vol.9 No.2

        대한민국은 국가의 통합과 단일성이 그동안 강조되어 왔고, 상대적으로 국가내부의 집단별 대립은 주목받지 못하였다. 그러나 사회가 고도화되면서 집단간의 대립이 격화되었다. 최근에는 개인이 SNS 서비스 등의 다양하고 편리한 의사표현 수단을 사용하면서 상대집단에 대한 차별적, 비하적인 표현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혐오표현(Hate Speech)은 인종, 성, 연령, 민족, 국적, 종료, 성정체성, 장애, 언어능력, 도덕관 또는 정치적 견해, 사회적 계급, 직업 및 외모, 지적능력, 혈액형 등 특정한 그룹에 대한 편견, 폭력을 부추길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의도적인 폄하, 위협, 선동 등을 담은 발언을 뜻한다. 혐오표현 중에서 `집단에 대한 차별, 적의 또는 폭력을 선동하는 행위`를 `차별선동`이라고 별도로 구분하는 견해가 있는데 혐오표현의 규제를 검토하는 측면에서 타당한 견해라고 생각된다. 혐오표현은 개인과 집단의 구성원에게 불쾌감을 주며, 혐오범죄의 전단계이기도 하고, 집단사이의 차별을 제도화시키고 각 집단사이의 갈등을 심화시키는 폐해가 있다. 이제 사인간의 자율분쟁해결방식이나 형법상 명예훼손죄, 모욕죄 등 기존의 처벌조항에 맡기는 방식에서 벗어나 혐오표현을 규율하는 독자적인 형사처벌 조항을 신설하는 방법을 고려할 때가 되었다. 우리 국회도 새로운 법적규율을 위한 입법안을 제시하기도 하였으며 이 논문은 이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다만 표현의 자유는 우리 헌법상의 기본권 중에서도 극히 중요한 기본권 중의 하나로 최소한의 제한이 되도록 신중하게 접근하여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아래와 같은 입법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표현의 자유의 침해의 소지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집단에 대한 차별, 적의 또는 폭력을 선동하는 행위`인 차별선동을 내용으로 하는 혐오표현을 규제한다. 그중에서도 인터넷 공간상에서 반복적으로 집단의 구성원에 대해 강력범죄를 가할 것을 선동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차별선동 혐오표현을 처벌하는 것을 검토한다. 또한 차별선동 표현의 처벌에 대한 이념적 기초로서 포괄적인 차별금지에 대해 규율하는 기본법의 제정을 진지하게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The Republic of Korea has been emphasized the unity of the nation. However, as society has advanced, the confrontation between groups has intensified. Recently, it is easy to find negative expressions about the opponent group by using various convenient means of expression such as SNS service. `Hate Speech` refers to a group of people who have a prejudice against certain groups such as race, gender, age, nationality, nationality, termination, gender identity, disability, language ability, moral or political opinion, social class, occupation and appearance, Intentional intimidation, intimidation, incitement, etc., aimed at raising violence. There is a viewpoint that distinguishes `discrimination against group, act of aggression or violence` as `Incitement to discrimination` separately. Hate speech expressions are disgusting to individuals and group members, they are also a prelude to hate crimes, institutionalizing discrimination between groups, and deepening conflicts between groups. It is now time to consider how to create a new criminal penalty clause that governs `Hate Speech` expressions. The National Assembly also proposed legislation for new legal discipline. However, freedom of expression is one of the fundamental rights of our constitutional fundamental rights and should be approached with caution to be the minimum limit. This paper proposes the following legislative direc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infringement of the freedom of expression, regulate `incitement of discrimination, hostility or violence against the group` Among them, the punishment of the expressions of disgust with the incitement to commit violent crimes against the members of the group and repetitive discriminatory expressions on the Internet space is examined. It should also seriously consider the necessity of enacting a basic law regulating comprehensive discrimination as an ideological basis for the punishment of discriminatory incitement.

      • KCI등재

        감압 튀김 방법이 산패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보배 ( Bo Bae Lee ),이진원 ( Jin Won Lee ),박장우 ( Jang Woo Park ),정윤경 ( Yoon Kyung Chung ),이현주 ( Hyun Joo Lee ) 한국식품영양학회 2013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6 No.1

        본 연구는 수준별 압력(760, 560, 360, 160 mmHg)에 따른 튀김유의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상압(760mmHg) 및 감압(560mmHg, 360mmHg, 160mmHg) 상태에서 튀김유를 일정한 온도(180℃)로 유지하고, 8시간 간격으로 튀김반죽을 교체하면서 채취한 튀김유를 이용하여 상압과 감압 상태에 따른 튀김유의 산패 정도를 acid value(AV), peroxide value(POV) 및 지방산 측정, 색도, 갈변도를 통해서 알아보았다. 산가의 경우, 네 압력 모두 튀김의 시간이 증가할수록 유지의 산가 또한 증가하였다. 48시간 튀긴 후 채취한 유지의 산가에서는 760, 560, 360, 160mmHg 각각 1.28, 1.58, 1.34, 0.40으로 160mmHg가 다른 압력들과 비교하면 확연히 더디게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8시간 동안 튀긴 후 채취한 식용유지의 과산화물가는 160mmHg가 0.81meq/㎏으로 760mmHg의 1.52meq/㎏에 비해 50%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지방산 조성에서는 네 압력 모두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렌산(오메가 6)은 증가하였고, 리놀레산과 리놀렌산(오메가 3)은 각각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색도에서는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에서는 네 압력 모두 튀김 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b값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갈색도의 결과는 네 압력 모두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160mmHg는 다른 압력들보다도 가장 낮은 증가를 보였고, 급속하게 갈색도가 증가하는 40시간에서도 다른 압력들 만큼 큰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감압상태에서 식품을 튀겼을 때 튀김유의 산패도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이 결과에 따라 튀김유 산패로 인한 빈번한 튀김유 교체를 줄여 비용적인 절감효과와 튀김유의 장시간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로 인해 튀김유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어 업체의 경제성 향상 및 발생되는 폐유를 줄여 환경보호를 겸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oxidative stability of oils when dough was fried under a lower pressure than the ambient atmosphere. The pressure during the frying process was controlled at measures of 760, 560, 360 or 160mmHg. The oil containing the dough was heated at 180℃ for 48 hours. Rancidity values, including acid value, peroxide value, fatty acid analysis, color changes, and browning of oil samples, were measured every 8 hours. As the frying process continued at all 4 pressure levels, the acid values (AV) increased. However, compared to the other pressure levels, the increase in AV was the least at 160mmHg. In addition, the peroxide value at 160mmHg was only 0.81meq/㎏ compared to 1.52meq/㎏ at 760mmHg. For all pressure levels, stearic acid, oleic acid, ω-6 linolenic acid were increased, while linoleic acid and ω-3 linolenic acid were decreased. In terms of color, a-values representing redness were decreased, whereas b-values were increased as the frying proceeded. These results revealed that the oxidation of frying oil was decreased under reduced pressure condition. Thus, the usage of frying oil may be extended, owing to less oxidative concerns. This leads to a lower cost to the manufacturer, and furthermore, helps the environment by reducing industrial wastes.

      • KCI등재

        감압 튀김 방법이 감자튀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이보배 ( Bo Bae Lee ),이진원 ( Jin Won Lee ),박장우 ( Jang Woo Park ),이현주 ( Hyun Joo Lee ),정윤경 ( Yoon Kyung Chung ) 한국식품영양학회 2013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6 No.1

        압력별(760, 560, 360, 160mmHg)에 따른 감자튀김의 품질 변화를 호화도, 수분·지방 함량 변화, Texture 측정, 관능평가를 통해 알아보았다. 압력별(760, 560, 360, 160mmHg)에 따라 감자튀김의 호화도는 각각 60.0, 60.0, 60.0 및 58.0%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수분 함량은 네 압력 조건에서 모두 감소하는 반면, 지방 함량은 약 2.5배 이상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직감에서는 경도(Hardness)가 5.5N으로 160mmHg가 가장 좋았으며, 상압인 760mmHg가 3.3N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점착성(adhesiveness)과 탄력성(springiness)에서는 네 압력 모두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지만, 부서짐성(fracturability)에서는 160mmHg가 3.64값으로 다른 압력과 비교해 큰 차이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색(갈색도), 맛, 바삭한 정도의 조직감에서 160mmHg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전체적인 기호도는 압력이 낮을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감압 상태로 감자를 튀김 조리하였을 때, 튀김의 호화 정도나 수분·지방 함량에 있어서는 일반 상압 조건 하의 튀김과 유사하면서 관능적인 측면에서 기호도가 높기 때문에 제품으로 적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이를 위해서는 영양적인 성분 변화에 대한 연구도 더 진행되어야 하고, 경제적인 측면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nges of French fries when cooked under a lower pressure than the ambient atmosphere. This was derived from the concept of boiling point depression of water under reduced pressure. The pressure during the frying process was controlled at measures of 760mmHg, 560mmHg, 360mmHg, or 160mmHg. The frying apparatus was manufactured to cook foods up to 200℃ and to have a valve to control the pressure. French fries were cooked at 180℃ for 4 minutes. After each pressure level was achieved, the French fries were dipped into a frying oil bath and cooked for 4 minutes. The quality changes, including moisture content, starch gelatinization,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of the French fries were measured. The moisture contents were decreased at all 4 pressure levels after frying. Starch gelatiniza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amples. The hardness of French fries cooked at 160 mmHg was the best. In addition, the sensory properties including brown color, taste, and crispiness of French fries cooked at 160 mmHg was the best. The overall preference was higher when the frying pressure was lower.

      • KCI등재

        갈변방지제 처리에 따른 슬라이스 유자의 품질 변화

        이보배,조혜성,조윤섭,남승희,Lee, Bo-Bae,Cho, Hye-Sung,Cho, Youn-sup,Nam, Seung-Hee 한국식품영양학회 2020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ative changes of the citron by identifying the type of solution and addition of the solution to prevent the browning reaction of the citron in a way that inhibits the browning of the citron. The browning inhibitor solution was investigated using the individual and mixture, and the results of the degree of browning and chromaticity showed that vitamin C+NaCl+cyclodextrin (CD) had the lowest browning of 0.52. In chromaticity, the ΔE values indicate that the higher the value, the greater the change in color, and the lowest value of the vitamin C+NaCl+CD mixture was 47.0, indicating that there was minimal browning compared to other treatment. The active change of the polyphenol oxidase (PPO) in the citron increased enzyme activity as the browning progressed, and the vitamin C+NaCl+CD solution was the lowest at 68.40 μ/g among the anti-browning solu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seems that the CD mixing solution can be used as a citron browning inhibitor.

      • KCI등재
      • KCI등재

        갈변방지제 처리가 슬라이스 유자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이보배,이진원,박재옥,조윤섭,남승희,Lee, Bo-Bae,Lee, Jin-Won,Park, Jae-Ok,Cho, Youn-sup,Nam, Seung-Hee 한국식품영양학회 2021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t how the quality of citron changed during storage as a result of the browning inhibitor treatment. In the browning inhibitor treatment, Vit.C, Vit.C+NaCl, Vit.C+NaCl+CD substances were use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browning degree, Vit.C+NaCl+CD showed the lowest value of 0.76 when stored for 12 weeks. The 𝚫E of the chromaticity value indicated that significant color change occurred when the value was high. As the Vit.C+NaCl+CD mixture showed the lowest value of 46.01 at 25℃, it was found that browning did not occur much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The change in polyphenol oxidase (PPO) activity of citron increased as browning progressed. Among the browning inhibitor solutions, Vit.C+NaCl+CD solution showed the lowest value 118.8 u/g at 25℃ after 12 weeks. Based on these findings, it seems that CD mixing solution can be used as a citron browning inhibitor.

      • 딥러닝을 이용한 MNIST 데이터 분류 값 예측

        이보배(Lee Bo Bae) 한국IT서비스학회 2019 한국IT서비스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9 No.2

        최근 컴퓨터 비전이나 기계학습 분야에서 학습 데이터의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딥러닝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계학습에서 트레이닝, 테스트에 널리 사용되는 MNIST 필기체 숫자 데이터 세트를 이용하여 이미지 인식률을 높이기 위한 분류 알고리즘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성능 비교에 사용된 알고리즘은 의사결정트리(Decision Tree)와 k-NN(k-Nearest Neighbors), 로지스틱 회귀(Logistic Regression)로 총 3개이며 MNIST 데이터를 각 알고리즘에 학 습시키고 Feature 값을 조정하여 인식률을 높이는 과정을 통해 어떤 알고리즘이 이미지 인식에 더 효율적인지 연구하였다.

      • SCOPUSKCI등재

        제비꽃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α-Amylase와 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

        이보배,박순례,한창석,한동열,박은주,박해룡,이승철,Lee, Bo-Bae,Park, Soon-Rye,Han, Chang-Suk,Han, Dong-Youl,Park, Eun-Ju,Park, Hae-Ryong,Lee, Seung-Cheol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Viola mandshurica. Antioxidant activity was evaluated by measuring total phenolic contents, reducing power,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2,2'-azino-di-2-ethyl-benzthiazoline sulphonat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hile anti-diabetic activity was measured by inhibition activities on ${\alpha}$-amylase and ${\alpha}$-glucosidase. V. mandshurica extracts were prepared by extracting with four different solvents (methanol, ethanol, acetone, and water). The methanol extract showed the highest total phenol content (34.49 mg/g gallic acid equivalents) among the extracts. The water extract showed the highest reducing power (0.454) at the concentration of $1,000{\mu}g$/mL. The acetone extract showed the most poten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acetone extract at the concentration of $1,000{\mu}g$/mL were 21.13% and 43.53%, respectively. The inhibitory activity of acetone extracts against ${\alpha}$-amylase and ${\alpha}$-glucosidase showed more than 100% at the concentration of $1,000{\mu}g$/mL. The results indicate that V. mandshurica might have potential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activities. 민간요법에서 화농성 피부질환이나 염증성 질환에 대해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제비꽃(Viola mandshurica)의 항산화 활성과 항당뇨 활성을 조사하였다. 제비꽃 10 g에 200 mL의 네 가지 용매(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물)를 각각 가하여 추출한 다음, 농축하여 각각의 용매별 추출물을 얻었다. 이용매별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메탄올 추출물이 34.49 mg/g 갈산 당량으로 가장 높았고, DPPH 라디칼과 ABTS 라디칼 소거능은 아세톤 추출물이 $1,000{\mu}g/mL$ 농도에서 각각 21.13%와 43.53%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환원력의 경우에는 물 추출물이 $1,000{\mu}g/mL$ 농도에서 0.454의 값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항당뇨 활성은 ${\alpha}$-amylase와 ${\alpha}$-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으로 측정하였는데 아세톤 추출물이 가장 활성이 높았으며 $1,000{\mu}g$/mL 농도에서 모든 효소 활성들을 저해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제비꽃 추출물은 항산화능과, 당뇨 관련 효소에 대한 저해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