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노인의 사회참여활동은 사회적 고립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이묘숙(Myo Sook Lee)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2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0 No.3

        최근 노인의 고독사와 노인 단독가구가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적 고립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그 과정에서 사회참여활동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1년 7월~8월간 전국13개 시도에서 65세 이상을 대상으로 9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 중 830부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분석을 위해서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했으며 분석방법으로는 t-test, ANOVA, 구조방정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자살생각에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이 높은 노인, 배우자가 있는 노인, 배우자만족도가 높은 노인, 본인의 집에서 사는 노인, 주관적 경제상태가 높은 노인, 만성질환이 없는 노인 그리고 기초생활수급자가 아닌 노인집단에서 자살생각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고립감이 높아질수록 노인의 자살생각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고립감은 사회참여활동을 통해서 노인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참여활동이 사회적 고립감과 노인의 자살생각 간에 간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노인들의 자살예방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Suicidal ideation is a common characteristic among the elderly these days. This study examined to test the role of social activity as mediators in the social isolat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elderly. Subjec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830 elderly who aged 65 years and over in Korea except in Jeju.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by SPSS 18.0, AMOS 18.0.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ducation level, partner satisfaction level, surviving spouse, health status, economic level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bjective suicidal ideation. Second, social isolation of the elderly did show the direct relationship to Suicidal ideation. Third, social activity worked as mediators between social isolation and suicidal idea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proposed.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이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윤명숙 ( Myeong Sook Yoon ),이묘숙 ( Myo Sook Lee ),민수영 ( Soo Young Min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2 청소년복지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초기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 경험이 학교폭력가해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학교폭력 방지를 위한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라북도 초, 중학교 80개교의 초등학교 5-6학년, 중학교 1-2학년 총 682명을 대상으로 2012년 6-7월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성별, 학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게임시간이 길거나, 친척과 동거하거나, 부자가정 청소년들의 학교폭력 가해행동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에 노출된 경험이 많을수록 청소년의 우울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이 우울할수록 학교폭력 가해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부부갈등 노출경험이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우울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부모의 부부갈등에 노출경험은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우울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만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부모의 부부갈등에 노출된 자녀들의 정신건강문제에 대한 개입과 학교폭력 가해행동 예방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onflict exposure and school violence,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on those relationship and to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services for those adolescents.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the use of a survey instrument completed by 682 adolescents in 5-6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1-2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Jeollabuk Do.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AMOS 18.0 and SPSS 19.0.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re longer game playing, living with father, living with relatives showed more higher school violence. Second, parental conflict exposure had on significant relationship to the depression of adolescent. Third, depression worked as full mediators between parental conflict exposure and school violenc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 discussion reinforced the importance of family focused services to prevent the school violence and suggested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s.

      • KCI등재

        이혼가정 자녀의 상실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윤명숙 ( Myeong Sook Yoon ),이묘숙 ( Myo Sook Lee ),김남희 ( Nam Hee Kim ),정향숙 ( Hyang Suk Jeong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가족복지학 Vol.35 No.-

        본 연구는 우리사회에 증가하고 있는 이혼으로 인하여 이혼가정 자녀들이 경험하는 상실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자아존중감이 매개하는지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지역에 거주하는 만 10세-15세의 이혼가정 자녀 188명을 대상으로 상실감, 자아존중감, 우울을 측정하였고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이혼가정 자녀들의 우울을 분석한 결과 학교성적이 낮고, 생활수준이 낮으며, 학대경험이 있고, 아버지의 음주수준이 높은 집단 자녀들의 우울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혼특성 요인에 따른 우울을 분석한 결과 이혼 후 가족 경제수준이 그대로이거나 나빠진 경우, 비양육부모와 불규칙적으로 만나는 경우에 우울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이혼에 따른 상실감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고, 자아존중감은 상실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자녀들에 대한 효과적인 사회복지 개입 방안들을 제언하였다. Parental divorce have adversely affected children`s mental heal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ss of parental divorce and depression amo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8 children of divorce, aged from 10 to 15, were included. Each child completed a test of loss, self-esteem, depress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AMOS 18.0 was adopted to examine measurement model and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by using Bootstrapping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children of poor academic grade, low economic status, father`s heavy drinking, child abuse experiences showed more higher depression. Second, children who had irregular meeting with non custodial parent while children who no longer meet their non custodial parent showed more higher depression. Third, the analysis resulted confined the full mediation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ss of parental divorce and depression.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social work intervention, case management should be developed for divorced families.

      • KCI등재

        노인의 경제상태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윤명숙(Yoon, Myeong Sook),이묘숙(Lee, Myo Sook) 한국노년학회 2012 한국노년학 Vol.32 No.2

        본 연구는 노인의 경제 상태와 행복의 관계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4대 광역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641명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변인, 경제상태, 자아존중감, 행복을 직접 면접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t-test, ANOVA,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행복의 차이 분석에서 학력이 높고, 배우자가 있고, 결혼관계에 만족하고, 직업, 종교가 있는 경우, 부채가 적은 경우, 만성질환이 없는 경우, 기초생활수급자가 아닌 경우, 자원봉사활동을 하는 노인들의 행복수준이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노인의 경제 상태와 행복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의 경제상태가 좋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아지고, 높아진 자아존중감은 노인의 행복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노인행복감 증진을 위한 방안 및 향후 연구에서 고려할 점들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status and happiness among the elder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41 people over 65 years old around 4 metropolitan are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AMOS 18.0 was adopted to examine measurement model and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by using Bootstrapping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subjects who had higher education, higher income, married, religion, higher marital satisfaction, no chronic disease, voluntary work participation showed more higher happiness. Second, the analysis resulted confined the full mediation effects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economic status and happiness of the elderly.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social work intervention service should be discussed to increase the level of self-esteem for the happiness among the elderly.

      • KCI등재

        외식조리전공 대학생이 인지하는 개인-전공적합성이 사회적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최동주(Choi, Dong-Joo),이묘숙(Lee, Myo-Sook) 한국외식경영학회 2019 외식경영연구 Vol.22 No.6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개인-전공적합성과 사회적자기효능감 사이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개인-전공적합성은 사회적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에 각각 정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 전공만족도는 사회적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공만족도는 개인-전공적합성과 사회적자기효능감 사이에서 완전매개 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전공만족도를 통해서 사회적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사회적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공적합성은 물론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교내외의 정책이 개발되고 실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an Person-Major Fit effect of food & culinary arts students on a Social Self-efficacy, This study was also intended to identify the Major Satisfaction‘s mediating effect in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ceived Person-Major Fit and Social Self-efficac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erson-Major Fit’s effect on the Social Self-efficacy. Second, Person-Major Fit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Major Satisfaction. Third, the Major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Social Self-efficacy. Fourth, the Major Satisfaction full mediating effect was validated. Therefore, university should offer programs that various opportunities are provide to increase th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which appreciate improve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nd Social Self-efficacy. We suggested the limitation and direction of research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