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노인의 사회참여활동은 사회적 고립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이묘숙(Myo Sook Lee)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2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0 No.3

        최근 노인의 고독사와 노인 단독가구가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적 고립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그 과정에서 사회참여활동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1년 7월~8월간 전국13개 시도에서 65세 이상을 대상으로 9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 중 830부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분석을 위해서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했으며 분석방법으로는 t-test, ANOVA, 구조방정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자살생각에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이 높은 노인, 배우자가 있는 노인, 배우자만족도가 높은 노인, 본인의 집에서 사는 노인, 주관적 경제상태가 높은 노인, 만성질환이 없는 노인 그리고 기초생활수급자가 아닌 노인집단에서 자살생각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고립감이 높아질수록 노인의 자살생각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고립감은 사회참여활동을 통해서 노인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참여활동이 사회적 고립감과 노인의 자살생각 간에 간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노인들의 자살예방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Suicidal ideation is a common characteristic among the elderly these days. This study examined to test the role of social activity as mediators in the social isolat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elderly. Subjec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830 elderly who aged 65 years and over in Korea except in Jeju.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by SPSS 18.0, AMOS 18.0.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ducation level, partner satisfaction level, surviving spouse, health status, economic level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bjective suicidal ideation. Second, social isolation of the elderly did show the direct relationship to Suicidal ideation. Third, social activity worked as mediators between social isolation and suicidal idea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proposed.

      • KCI등재
      • KCI등재

        여성노인의 죽음불안과 주관적 안녕감에 관한 연구

        이묘숙(Myun Sook Lee),윤명숙(Myeong Sook Yoo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0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6 No.-

        본 연구는 노인들의 노화과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죽음에 대한 불안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기반하여, 여성노인의 죽음불안과 주관적 안녕 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두 변수 간에 사회적 지지가 매개역할을 하고 있는지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9년 12월 26일부터 2010년 2월 5일까지 전라북도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한 자료 총 235부를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도시지역, 배우자가 있는 경우, 나이, 건강상태, 경제상태, 자원봉사 경험에 따라 여성노인의 주관적 안녕 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노인의 죽음불안은 여성노인의 주관적 안녕 감에 직접적인 효과를 미치지 못하고 사회적 지지를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년의 질 높은 삶을 위해 노인의 부정적 정서인 죽음불안을 감소시키고 긍정적 정서인 주관적 안녕 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들을 제언하였다. Death anxiety was a common characteristic among the elderly. This study examined to test the role of social support as mediators in the death anxiety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elderly women. Subjec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235 elderly women who aged 65 years and over in Jeollabuk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by SPSS 18.0, AMOS 18.0.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ge, surviving spouse, health status, economic level, volunteer experienc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Second, death anxiety of the elderly women didn`t show the direct relationship to subjective well-being. Third, social support worked as mediators between death anxiety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proposed.

      • KCI등재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 수준과 건강행위

        이묘숙(Lee, Myo-Suk),장미경(Jang, Mi-Kyung),김경희(Kim, Kyung-Hee) 한국웰니스학회 2015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0 No.2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 수준을 조사하고 인터넷 사용 수준과 일반적 특성 및 건강행위 관련특성과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조사를 위해 제5차(2009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 수준은 잠재적 위험 사용군 11.9%, 고위험 사용군이 3.1%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터넷 사용수준은성별, 학교급, 학교성적, 부모 동거형태, 부모 학력, 경제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건강행위관련 특성에 따른 인터넷사용수준은 평생 흡연, 현재 흡연, 평생 음주, 현재 음주, 평생 약물 사용, 현재 약물 사용, 성경험, 주관적 수면 시간 만족도 및주관적 건강상태, 격렬한 신체운동 실천, 스트레스 인지 정도, 우울감, 자살생각 및 자살시도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청소년의 잠재적 위험 사용군과 고위험 사용군의 비율은 높은 수준이었으며 건강위험 행위를 할수록 고위험 사용군의비율이 높았다. 따라서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 수준에 따른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별적인 건강교육 프로그램마련과 이에 대한 효과 검증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internet usage levels and health behaviors of adolescents in Korea. Data from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09 collected by the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were analyzed using χ2-test. The potentially dangerous group was 11.9%, and high-risk group was 3.1%. Difference in internet usage level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 gender, school, school record, parental living arrangement, level of father's education, level of mother's education, and economic status. And difference in internet usage levels according to health behavior related factors were as follows. : lifetime smoking, current smoking, lifetime drinking, current drinking, lifetime drug, current drug, sexual intercourse, subjective sleep time satisfaction, subjective health status, strenuous exercise practice(3days/week), stress level, depression, suicidal thinking, and suicidal attempt. The findings suggest that board intervention programs should be provided to prevent problem of internet addiction.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가족친화 조직분위기가 직장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일-가정 균형과 일-가정 갈등의 다중매개 효과 검증

        최동주(Choi Dong Joo),이묘숙(Lee Myo Sook) 한국외식경영학회 2017 외식경영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외식업체 조리사들의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와 직장행복감 사이에서 일-가정 균형(WLB)과 일-가정 갈등(WFC)의 두 개 변수를 매개변수로 설정하고,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두 변수의 역할을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4가지 가설에 대한 검증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는 직장행복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두 번째,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는 일-가정 균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세 번째,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는 일-가정 갈등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네 번째,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와 직장행복감 사이에서 일-가정 균형과 일-가정 갈등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조리사들의 직장행복감을 높이기 위해 일-가정 균형을 높이고, 일-가정 갈등을 낮추어야 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Family-Friendly Atmosphere’(FFA) in an organization corelates ‘Workplace Happiness’(WH) with ‘Work-life Balance’(WLB) and Work-Family Conflict’(WFC) mediating between FFA and WH.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group of 251 cooks;work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FFA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WH. Second;FFA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WLB. Third;FFA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WFC. Fourth;WLB and WFC as mediator between FFA and WH. The study shows that WLB and WFC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WH.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 of WH;the level of WLB should be improved and the level of WFC should be reduced at work.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이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윤명숙 ( Myeong Sook Yoon ),이묘숙 ( Myo Sook Lee ),민수영 ( Soo Young Min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2 청소년복지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초기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 경험이 학교폭력가해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학교폭력 방지를 위한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라북도 초, 중학교 80개교의 초등학교 5-6학년, 중학교 1-2학년 총 682명을 대상으로 2012년 6-7월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성별, 학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게임시간이 길거나, 친척과 동거하거나, 부자가정 청소년들의 학교폭력 가해행동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갈등에 노출된 경험이 많을수록 청소년의 우울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이 우울할수록 학교폭력 가해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부부갈등 노출경험이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우울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부모의 부부갈등에 노출경험은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우울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만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부모의 부부갈등에 노출된 자녀들의 정신건강문제에 대한 개입과 학교폭력 가해행동 예방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onflict exposure and school violence,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on those relationship and to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services for those adolescents.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the use of a survey instrument completed by 682 adolescents in 5-6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1-2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Jeollabuk Do.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AMOS 18.0 and SPSS 19.0.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re longer game playing, living with father, living with relatives showed more higher school violence. Second, parental conflict exposure had on significant relationship to the depression of adolescent. Third, depression worked as full mediators between parental conflict exposure and school violenc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 discussion reinforced the importance of family focused services to prevent the school violence and suggested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