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생지별 해국 계통의 형태학적 특성연구

        이로영 ( Ro Young Lee ),배태웅 ( Tae Woong Bae ),김태훈 ( Tae Hoon Kim ),권용락 ( Yong Rak Gwon ),조경진 ( Kyung Jin Cho ),권오웅 ( Oh Woung Kwon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해국은 우리나라 및 일본의 해안가에 분포하고 있는 중요한 유전자원 이다. 본 연구는 해국의 재배시험 특성조사 방법 개발을 위하여 국내 자생지에서 수집한 계통별 종자를 이용하여 발생단계별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해국 종자수집 지역은 변산, 영랑동, 동명동 3지역에서 채집하였고, 수집된 종자는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포지에 파종하여 발생시기별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형태적 특성 조사는 종자에서 발아된 유묘로부터 개화기까지 식물체의 높이, 줄기 및 가지 수, 잎의 길이 및 너비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해국은 종자로부터 개화기까지 2년이 소요되었고, 해국 1년생 개체에서 식물체 높이를 비교한 결과 동명동 집단(약 19.5cm)이 영랑동과 변산면 집단들(약 33.0cm) 보다 왜성형질이 나타났다. 잎의 크기는 차엽별로 차이가 나타났으나 약 11~20차엽의 경우에는 비교적 일정한 크기로 자랐다. 동명동 집단의 잎 길이와 너비(평균 4cm, 2.5cm) 는 영랑동과 변산면 집단의 잎 길이와 너비(약6cm, 3cm) 보다 비교적 작게 나타났다. 2년생 개체에서 식물체의 높이, 줄기 및 가지 수, 잎의 크기등은 1년생 식물체에서 나타난 표현형과 유사하게 동명동 집단이 다른 두집단 보다 왜성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해국의 DUS 시험평가 시에 식물체의 특성조사형질을 시기별로 측정부위를 선정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ster spathulifoliusMaxim is important genetic resources and narrowly distributed in coastal regions of Korea and Japan. To improve DUS test method, the three genetic line of seed collected from different natural habitats was investigated for sever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n developmental stage. The seeds was collected from Byeonsan, Yeongnang, and Dongmyeong in coastal regions of Korea. The investigation fo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plant height, number of stem and branch, leaf length and width, carried out from germination to flowering. In the result, Aster sphathulifolius Maxim. flowered in the second year after germination. Dwarfism was observed in plant height of Dongmyeong line. The size of leaves were various on each developmental stage, but maintained relatively even leaf size from 11th to 20th leaves. The leaf of Dongmyeong line(about 4cm length, about 2.5cm width) was more shorter than the other populations(ca. 6cm length, ca. 3cm in average). In the second year growth, the fou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plant height, branch number, leaf length and width) were similar with phenotypic characteristics of first year.

      • 원추리 품종의 형태적 특성 및 유연관계 분석

        황준,이로영,추갑철 한국산림공학회 2022 산림공학기술 Vol.20 No.3

        국내에 유통되는 원추리 품종 185품종 중 형태적 특성이 균일한 14개 품종을 대상으로 품종별 특성 및 유연관계를 분석하여 향후 품종 심사 및 육종 방법에 대한 효과적인 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자료는 2019년 6월부터 2019년 9월에 걸쳐 조사되었 으며, 시험구는 난괴법으로 3반복씩 재식거리 30×30㎝ 간격으로 60개체씩 정식 하였다. 품종의 특성조사는 정상인 생육개체를 대상으로 20-30반복 실시하였다. 원추리 품종의 양적 특성을 품종 간 던컨 방법에 의한 다변량 분석한 결과 모든 특성이 구별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크기와 그 형 태의 변이가 다양하였다. 주성분 분석결과 꽃의 너비, 내화피의 열편길이, 외화피의 열편길이, 수술 화사의 길이, 암술 화주길이 등이 품종 간 구별성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형질로 높은 기여도를 나타 냈으며, 비가중평균결합법을 이용한 군집분석을 진행한 결과 던컨 다중검정의 결과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vegetation management plan of the Somaemuldo Island in the Tongyeong-si. Vascular plants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439 taxa including 95 families, 267 genera, 382 species, 1 sub-species, 46 varieties, and 10 forms. It accounted for 8.99% of vascular plants(4,881 species) in Korea. Gramineae was the most abundant as 50 taxa, followed by Leguminosae as 22 taxa, Liliaceae as 18 taxa. The survey showed 9 taxa of rare plants such as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Celtis choseniana, 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etc. The endemic plants were 5 taxa including 5 families, 5 genera, 5 species. The floristic special plants were 95 taxa including 53 families, 82 genera, 88 species, and 7 varieties. Naturalized plant species were 34 taxa including 10 families, 26 genera, 34 species appeared. The naturalization rate and the urbanization index were 7.7% and 10.59%, respectively. The survey indicated 28 taxa of Halophytes such as Ixeris repens, Aster spathulifolius, Silene aprica var. oldhamiana etc. Ecological disturbance species were 2 taxa.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may has harmful effects on native plants, these plant must be completely removed.

      • KCI등재후보

        한약자원식물 회양목의 보존ㆍ증식을 위한 생태ㆍ생장 특성 연구

        이정현,양선규,이로영,문병철,최고야 한약정보연구회 2015 한약정보연구회지 Vol.3 No.2

        To investigate how environmental conditions influence the growth of the medicinally important Buxus koreana (Nakai ex Rehder) T.H. Chung, P.S. Toh, D.B. Lee & F.J. Lee, we established 10 × 10 m field plots at four sites within Korea and surveyed floristic composition and species abundance. Although species richness was the highest at Maepo-eup, but species composi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his degree of rich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lcium content in the soil. Because we found no other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growth of B. koreana and environmental factors, we conclude that performance by this species is not necessarily dependent upon any specific external influences. Therefore, we believe that this plant is suitable for mass production via commercial cultivation.

      • KCI등재

        다변량 분석에 의한 산초나무(Zanthoxylum schinifolium) 신품종의 잎과 가시의 형태 특성

        안미연,송현진,김기윤,이로영,양병훈,한치복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6 No.3

        본 연구는 다양한 결실기로 육성한 산초나무 5개의 신품종(한초 915호, 한초 930호, 한초 10호, 한초 1020호, 한초 1030호)에 대해 잎과 가시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조사는 질적 특성과 양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으며, 양적 특성은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과 Scheffe의 다중검증(Scheffe's multiple range test)으로 품종 간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조사한 특성의 기여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잎 길이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지 못했으나, 정소엽의 거치 수, 소엽의 수, 가시의 크기에서 품종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요인분석도 유사한 결과를 확인 하였다. 또한 비가중평균결합(Unweighted pair-group method using arithmetic averages) 군집분석을 수지도(dendrogram)로 확인한 결과, 한초 1020호와 1030호가 근접하고, 한초 915호와 930호가 근접하였으나 개화기와 결실기에서 뚜렷한 차이로 품종이 구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leaf and prickle in five varieties (Hancho 915ho, 930ho, 10ho, 1020ho, 1030ho) from Zanthoxylum schinifolium that were investigated as new varieties with different fruiting season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haracters were investigated separately. For quantitative characters, differences in characters between varieties were confirmed using ANOVA and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In addition, the validity of whether the quantitative characters of five varieties can be explained by factor analysis was reviewed. Using UPGMA,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ve varieties was confirmed by dendrogram. As a result of ANOVA and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f blade length. However, leaflet serra, number and prickle size had a high contribution to distinguishing varieties, which was similar to the PCA results using factor analysis. As a result of dendrogram using cluster analysis, Hancho 1020ho, 1030ho and 915ho, 930ho were similar, but there was a distinct difference in the characters of different flowering and fruiting periods, confirming that they were different varieties.

      • KCI등재

        월악산 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장창석,양선규,장현도,이로영,박민수,김기홍,오병운 한국자원식물학회 2015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8 No.1

        A floristic, field research was conducted from March 2005 to October 2012 the Woraksan National Park (N36°46´~36°59´, E 128°02´~128°19´) to characterize the flora of the region. Especially, we divided the surveyed regioninto nine representative collection areas based on floristic componen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is field studydiscovered significant plants in various categories. The 41 surveys revealed that the vascular plants in this region comprised815 taxa: 116 families, 429 genera, 717 species, 4 subspecies, 78 varieties and 16 forms. In this study, 80 taxa were firstlyrecorded from this region. Korean endemic plants numbered 22 taxa, and the fifteen taxa rare plants designated by KoreanForest Service as were found in this region. The taxa in the category II of rare and endangered plants and the taxa with thehigher rank than the third degree among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designated by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were one and 56, respectively. From a geographical perspective, limited distributions of Matteuccia struthiopteris, Spiraeatrichocarpa, and Aster tataricus at a latitudes higher than that of Woraksan National Park. Moreover, this study hasconfirmed that the Woraksan National Park is the species diversity center for Asarum koreanum, Elsholtzia angustifolia,and Allium linearifolium in the central province of the Korean peninsula. Inaddition, the naturalized plants of 54 taxa wererecorded. 적 요월악산 국립공원 지역(북위 36°46´~36°59´, 동경 128°02´~128°19´)에 자생하는 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2005년 3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총 41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은 116과 429속 717종 4아종 78변종 16품종의 총 815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이 중기존의 조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본 조사에서 최초로 밝혀진 분류군은 80분류군이었으며, 조사지역을 9개 대표 채집지로 구분하여 채집지별 주요 식물들을 비교·분석하였다. 월악산 국립공원에 자생하는 식물들 중에는 한국 특산식물 22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15분류군,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식물 II급 1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III등급 이상에 해당하는 56분류군 등이 생육하고 있었다. 또한 월악산 국립공원지역이 한반도 분포의 남한계인 식물로 청나래고사리, 갈기조팝나무, 개미취 등이, 중심지인 식물로 자주족도리풀, 가는잎향유, 선부추 등이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은 54분류군이 조사되었다.

      • KCI등재

        대흑산도의 관속식물상

        장창석,양선규,장현도,이로영,박민수,김기홍,오병운 한국자원식물학회 2014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7 No.5

        The flora in the region of Daeheuksando (N34˚37´~34˚42´, E125˚23´~125˚38´) was surveyed from June 2010 to October 2011. The vascular plants from 22 field surveys were revealed to total of 496 taxa: 113 families, 316 genera, 446 species, four subspecies, 43 varieties and three forms. 124 taxa were the first records from this region. This field study discovered significant plants in various categories. Korean endemic plants numbered 7 taxa, and 6 taxa designated by Korean Forest Service as rare plants were investigated in this region. The taxa in the category II of rare and endangered plants and higher than the third degree among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designated by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one taxon and 47 taxa, respectively. Especially, it was proved that Spiraea chartacea, Hosta yingeri, Hemerocallis hongdoensis and Saussurea polylepis were endemic to Heuksan-myeon including Daeheuksando in Korean peninsular. In addition, the naturalized plants of 46 taxa were recorded. 대흑산도 지역(북위 34˚37´~34˚42´, 동경 125˚23´~125˚38´)에자생하는 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2010년 6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총 22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은 113과 316속 446종 4아종 43변종 3품종의 총 496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이 중 기존의 조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본 조사에서 최초로 밝혀진 분류군은 124분류군이었다. 대흑산도에 자생하는 식물들 중에는 한국특산식물 7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6분류군, 환경부 지정멸종위기 야생식물 II급 1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III등급 이상에 해당하는 47분류군 등이 생육하고 있었다. 특히 특산식물 중 떡조팝나무, 흑산도비비추, 홍도원추리, 홍도서덜취등 4분류군은 한반도에서는 대흑산도를 포함하는 흑산면 도서지역에서만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은 46분류군이 조사되었다.

      • KCI등재

        울릉도의 관속식물상

        양선규,장현도,남보미,정규영,이로영,이재현,오병운 한국식물분류학회 2015 식물 분류학회지 Vol.45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flora of the vascular plants of Ulleungdo Island. Fieldwork related to the study was carried out 55 times from 2007 to 2011.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flora of Ulle- ungdo Island consisted of a total of 494 taxa, with 93 families, 313 genera, 462 species, 6 subspecies, 52 varieties and 4 formas. Among the collected plants, there were 9 taxa of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 (CR), 6 taxa of endangered species (EN) and 12 taxa of vulnerable species (VU). Furthermore, protected species and those of floristic regional plants above degree III according to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included 4 taxa and 72 taxa, respectively. In addition, 33 taxa were endemic to Ulleungdo Island and 66 taxa were naturalized plants. 울릉도에 자생하는 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을 위해 2007년부터 2011년에 걸쳐 총 55일간의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현지조사 결과 조사지역의 관속식물 93과 313속 462종 6아종 52변종 4품종 등 총 494분류군을 확인하였다. IUCN 기준에 따른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멸종위기종(CR) 9분류군, 위기종(EN) 6 분류군, 취약종(VU) 12분류군,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식물은 1급 1분류군, 2급 3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 물 중 III등급 이상에 해당하는 71분류군의 분포를 확인하였으며 울릉도 특산식물은 33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귀화식물은 66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생태계교란종은 애기수영, 돼지풀, 가시상추 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가거도의 관속식물상

        양선규,장창석,장현도,이로영,박민수,김기홍,오병운 한국자원식물학회 2013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6 No.5

        The flora of Is. Gageodo (N 34˚02´∼34˚05´, E 125˚05´∼125˚08) in Sinangun (Province Jeollanamdo) wassurveyed from April 2010 to October 2011. The vascular plants from the results of 23 field surveys were revealed as 385taxa; in total 98 families, 258 genera, 348 species, three subspecies, 31 varieties and four forms. Fifty taxa were the firstrecords in this region. The plants in various categories were discovered in this study. The number of Korean endemic plantswere 7 taxa, and 8 taxa designated by Korean Forest Service as rare plants were investigated in this region. The plants abovethe third degree among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designated by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30 taxa. In addition, 28 taxa of the naturalized plants were recorded. 전라남도 신안군 가거도(북위 34˚02´∼34˚05´, 동경 125˚05´∼125˚08´)에 자생하는 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파악하였다. 2010년 4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총 23회에 걸쳐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은 98과 258속348종 3아종 31변종 4품종의 총 385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이중 기존의 조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본 조사에서 최초로밝혀진 분류군은 50분류군이었다. 가거도에 자생하는 식물들중에는 한국 특산식물 7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8분류군,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III등급 이상에 해당하는 30분류군등이 생육하고 있었다. 귀화식물은 28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