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어의 청자존칭을 통해 본 사물주체존칭

        이두원(Lee, Doo-Wo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2

        청자와 주체(즉, 주어)가 동일인일 때, 청자존칭(addressee honorification) 어미와 주체존칭(subject honorification) 어미가 함께 쓰일 수 있다. 이 때, 주체존칭은 청자에 대한 정중성(politeness) 정도를 가중시켜서 청자에 대한 정중함을 극대화한다. 한국어의 청자존칭에서 청자존칭어미 ‘요’의 사용은 will you…?정도의 정중성을 표현하고 주체존칭 선어말 어미 ‘시’와 청자존칭어미 ‘요’의 병행 사용은 would you…?와 같은 정도의 정중성을 갖는다. 한국어에서 청자존칭구문에 쓰이는 ‘시’는 영어에서 will you…?와 would you…?간의 정중성 간극을 전달한다. 이것이 반영된 것이 최근 대두되고 있는 사물주체존칭(impersonal subject honorification)이다. 이것이 백화점 높임말로 일컬어진다. 본고에서는 백화점 높임말을 다음 세 가지로 규정한다. 첫째, 백화점 높임말은 청자존칭의 극대화이다. 둘째, 백화점 높임말에서 주체존칭 선어말 어미 ‘시’가 쓰인다. 셋째, 백화점 높임말에서 ‘시’는 호격 높임말과 동지시된 사물주체와 일치를 이룬다. ‘시’가 호격 높임말과 동지시된 사물주체와 일치될 때, 그 사물주체존칭은 청자에 대한 존칭의 극대화로 나타난다. 사물주체존칭 현상에 대한 구조적 설명은 다음과 같다. ‘시’는 핵 T의 위치에서 그 주체존칭자질을 지정어인 Spec-TP에 있는 주체와 존칭자질을 점검하면 그 자질은 방출된다(discharged). 한편, 호격 핵 Voc에 있는 ‘요’의 존칭자질은 호격의 지정어인 Spec-VocP에 있는 존칭자질을 점검하여 방출된다. 호격 높임말과 주체 높임말이 각각의 지정어-핵 관계에서 존칭자질에 의해 동시에 점검받을 때, 청자존칭은 극대화된다. In the concept of Chomsky"s (1993, 1995) earlier version of Minimalist Program, checking is in the Spec-head relation between the subject and [uHon] of the subject-honorific marker si on T or between the vocative element and [uHon] on Voc (Lee 2014a). The subject honorification marker si-marked predicate in Korean must have an honorific subject in Spec-TP in order for the unchecked feature of the subject honorification marker si on T to be discharged in the Spec-head relation with the honorific subject, which induces subject honorification. When the honorific vocative element appears in Korean, its corresponding verbal ending markers such as (e)yo occur as a head of VocP, which induces addressee honorification at the speech level. Specially in the context of commercial conversation, the young clerks usually use the subject honorification marker -si when the impersonal subject appears in the addressee honorification, which triggers impersonal subject honorification (J.-B. Lee 2010). In Korean, addressee honorification is realized in the vocative construction: The vocative element must appear overtly or covertly (Lee 2014a). The eccentric phenomenon of impersonal subject honorification occurs only when the subject honorification marker -si requires the impersonal subject coindexed with the honorific vocative element. When the unchecked honorific feature of the subject honorification marker -si on T checks the matching feature of the honorific impersonal subject coindexed with the honorific vocative element in Spec-VocP in Chomsky"s (1993, 1995) Spec-head relation, the addressee honorification gets maximized, which induces the sentence to have the utmost politeness. Thus, Lee"s (2010) concept of the situation subject, which is the honorific vocative element here, is gone.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목적어인상구문의 주변자질 이동: 숙어를 이루는 주어의 목적어인상을 중심으로

        이두원 ( Doo Won Lee ) 경희대학교 언어연구소 2008 언어연구 Vol.25 No.3

        Idiomatic elements cannot be assigned focus (Yang 2008). The Subject-to-Object Raising induces the discourse effect (i.e., D-effect) of focus, which is the factor that makes the idiomatic meaning disappear (Lee 2008). Chomsky (2005) proposes that all A`-movements are solely induced by the edge feature (EF) of a phase head, which is the so-called EF-movement. This is based on his (2001) proposal that optional operations can apply if they have an effect on outcome (i.e., D-effect). This paper argues that the raised object should undergo Chomsky`s (2005) EF-movement to the upper Spec-v*. This is a non-argument position. That is, the raised object is not in the argument position of the higher clause; hence, its accusative Case marker should not be dropped. In this paper, it is also noted that at the colloquial speech, Subject-to-Object Raising can occur with the stage level predicate as well as the individual level predicate; hence, the idiomatic meaning disappears. (Chungju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국제경제 : 한국의 아프리카 무상원조의 효과분석: Human Development Index에의 영향을 중심으로

        이두원 ( Doo Won Lee ),금규현 ( Gyu Hyun Kim ) 국제지역학회 2010 국제지역연구 Vol.14 No.3

        본 연구에서는 패널 데이터 분석(Panel Data Analysis)을 통해 아프리카 53개국가를 대상으로 한 한국의 사업 분야 별 무상원조가 HDI 지수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패널 분석결과 정보통신분야에 대한 원조와 HDI 지수는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반면, 행정제도, 환경 및 기타 부분에 대한 원조는 HDI지수와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국가의 고정효과를 고려한 패널 분석에서도 정보통신 부분에 대한 원조는 HDI 지수와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행정제도에 대한 원조는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원조의 효과는 사하라 이북과 이남에 걸쳐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사하라 이북에서는 보건에 대한 원조가 HDI지수를 개선시킨데 반해, 사하라 이남에서는 정보통신에 대한 원조가 HDI 개선에 더 유의적이었다. 이는 건강 및 교육, 소득을 총체적으로 반영하는 HDI 지수를 기준으로 할때, 아프리카 각국에 대한 무상원조는 분야별 그리고 지역별로 차별화된 전략적인 원조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원조 공여국인 대한민국과 아프리카 수원국이 상호 발전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Korea`s grant aid to 53 African countries, focusing on its impacts on improving HDI (Human Development Index) of each recipient country, through panel data analysis. According to the OLS panel analysis, Korea`s grant ai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C) sector showed positive an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HDI, but aid on administrative system and environment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HDI. Also, according to the fixed effect panel analysis, aid on IC sector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HDI, but aid on administrative system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HDI. In particular, effects of aid was different across the region. In North African region, aid on health improved HDI. However, in Sub-Saharan African region, aid on IC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HDI. This results imply that grand aid on Africa needs to be coordinated strategically across regions and sectors. This paper is meaningful in providing ways that can be mutually beneficial both to donor and recipient countries of grant aid.

      • SCOPUSKCI등재
      • KCI등재

        A Syntactic Approach to Intervention Effects between Interrogative C and Wh-in-situ

        이두원(Lee, Doo-Won),김경열(Kim, Kyung-Yul)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0 No.33

        초점요소가 의문 보문자(C)와 의문사 사이에 쓰일 때, 소위 간섭효과가 발생한다. 그러나, 그 요소가 전제해석이나 특정성과 같은 담화효과를 나타낼 때, 간섭효과는 취소된다. 신정보가 주어지는 동사 앞 위치에서 초점의 현저성(focal prominence)를 보이는 요소가 문두로 뒤섞기를 겪을 때, 그 요소는 전제해석이나 특정성을 지니게 된다. 특정성이나 전제해석을 갖는 요소는 의문 보문자 지정어(spec-C)에 위치한다. 특정성을 갖는 주어 또한 그렇다. 이 때 그 요소들은 본래의 초점을 잃게 된다. 의문 보문자인 탐색자(probe)는 해석자질인 [iQ, iF]를 갖고 의문사인 목표(goal)는 [uQ, uF]를 갖는다. 이 때, 목표의 비해석 자질인 [uQ, uF]는 그 비해석 자질을 제거하기 위해 탐색자 해석자질인 [iQ, iF]에 대해 점검받는다. 그러나 해석 자질인 초점요소의 [[iF]가 그 사이에 위치하면, 목표의 비해석 자질인 [uQ, uF]는 점검 받을 수 없다. 왜냐하면, 초점요소의 [[iF]는 [iQ]가 없어서 비해석 자질인 [uQ, uF]를 지울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때, 일치상의 간섭효과가 발생하여 문장은 비문이 된다. 이 현상이 반향 의문문(echo question)에서는 사라진다. 왜냐하면, 이 때 초점요소가 전제해석의 담화효과를 보여서 spec-C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An intervening effect occurs whenever a focus-bearing element intervenes between an interrogative C and wh-in-situ. There arises cancellation of intervention effects, when the focus-bearing elements carry discourse effects such as a presupposed interpretation or specificity, which is syntactically explained in this paper. When the elements with focal prominence in question undergo from the preverbal position to the sentence-initial position (viz. spec-C, here), they come to carry the discourse effect such as a presupposed interpretation or contrastiveness. That is, the scrambled argument to the sentence-initial position cannot bear any focus between C and wh-in-situ. When the focus-bearing element in the subject position comes to bear a specific interpretation pragmatically, it is reanalyzed to spec-C. which induces it not to bear focus. At this point, the probe [iQ, iF] in C and the goal [uQ, uF] in wh-phrase are in an Agree relation; hence, the sentence is acceptable. Under my system, the wh-phrases have uninterpretable features [uQ, uF], which needs to be checked against the interpretable features of a matching operator. Only the interrogative C has the complete set of interpretable features [iQ, iF] of the wh-in-situ and so only it can Agree with the wh-in-situ, eliminating all of the uninterpretable features. However, when the intervening focus operator with the interpretable focus feature [iF] which comes with the focused element, appears between C and wh-in-situ, the intervention effect arises. At this point, the closest c-commanding Foc cannot match on every feature with wh-in-situ, since it does not have the feature [iQ]. Hence, the probe [iQ, iF] in C and the goal [uQ, uF] in wh-phrase cannot be in an Agree relation. In an echo question, a focus-bearing element preceding wh-in-situ cannot be a focus, since the hearer is likely to reanalyze the NP-man as discourse-old (viz. presupposed). When the focus-bearing element is reinterpreted as presupposed or specific in spec-C, the intervention effects are cancelled.

      • KCI등재

        The Dative Agent in the Passivization of the SVC and Morphological Construction

        이두원(Lee Doo-Wo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0 No.28

        한국어의 여격(dative)은 세 가지 유형, 즉 간접목적어, 수동태의 여격 행위자, 여격주어로 쓰인다. 본 연구에서는 이 중에서 수동태 여격 행위자의 쓰임에 주목한다. ‘영희가 철수를 때렸다’의 수동구문인 ‘철수가 영희한테 맞았다’에서 여격요소가 행위자로 기능한다. 나아가, 이 여격요소는 ‘철수가 영희에게 상처를 입혔다’와 같은 형태사역구문(morphological causative construction)의 수동구문인 ‘영희가 철수한테 상처를 입었다’에서도 행위자로 쓰인다. 이 때, 형태사역구문의 어휘동사(lexical verb)가 그대로 그 수동형에 쓰인다. 나아가 전형적인 타동사 수동형태인 ‘주어지다’ 또는 ‘찢어지다’와는 달리 형태사역구문의 수동태는 ‘??(상처가) 입혀지다’나 ‘*엿 먹여지다(숙어사라짐)’에서 보듯이 비문법적이다. 본고에서 그 이유를 밝힌다: Chomsky (2001)의 최소주의에서 사역형태소와 수동형태소는 경동사(light verb) 위치인 소동사(v)에 위치하는데, 이 같은 위치에 두 요소가 연이어 쓰일 수 없다. 또한, 본고는 한국어의 동사 복합체가 연속동사(serial verb)일 수 없다는 Zubizarreta & Oh (2007)의 주장을 반박한다. 그들에 의하면, ‘잡아-만/도/는/들 먹었다’가 문법적임으로 ‘잡아 먹다’의 동사 복합체는 연속동사로 볼 수 없다. 연속동사는 그 두 동사사이에 다른 요소가 삽입될 수 없다는 것이 그 판단 기준이다. 그러나 ‘*(쥐가 고양이한테) 잡아-만/도/는/들 먹-히-었다’는 비문법적이다. 이를 근거로 한국어에 연속동사(예, 잡아 먹히다)가 존재하고 그 능동형인 ‘잡아 먹다’가 형태 복합어(morphological compound)로 기능함을 보인다. 목적어를 하나만 취하는 것이 연속동사의 전형적 특성이다. 그러나 타동사로 결합된 연속동사가 각각 목적어를 취할 수 있다는 흥미있는 관찰(예, 철수가 영희를 잡아 팔을 끌었다)이 J. Lee (2010)에 의해 제기되었다. 이 관찰에 근거하여 연속동사가 형태 복합어로 쓰이는지, 통사적 형태(syntactic form)로 쓰이는지를 구별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