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동아시아 문학 속의 ‘桃花源’

        이국화(李菊華)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16 동아한학연구 Vol.- No.11

        陶淵明의 桃花源은 한문학을 공유한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서양의 유토피아와 대적할 수 있는 이미지를 거론할 때 제일 먼저 떠오르는 형상 중의 하나이다. 근대 도화원의 관한 연구에서 도화원은 흔히 근대관념인 유토피아, 이상향, 낙원 등의 개념으로 대치되기도 하고, 동아시아 고전 한문학에서는 沃野, 勝地,福地, 洞天, 樂土, 福山, 仙境 등의 용어로 표현하기도 한다. 그만큼 1600년 전 도연명이 그렸던 도화원은 인간이 추구하고 있는 보편적 가치를 내포하고, 이 내포된 보편적 가치는 시간의 흐름과 지역의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동아시아 문학 속에서 계승 및 전파를 통해 동아시아인의 인식 속에 이상적인 공간 형상으로 자리잡아왔다. 그러나 도연명이 도화원을 통해 추구했던 보편적 가치란 과연 동아시아 고전문학이나 근대의 도화원 연구에서 흔히 거론된 仙境이나 정치적 제도를 통해 건설돼 이상세계-유토피아의 형상과 일치한 것일까? 이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본고는 먼저 도화원 이후의 중국문학작품과 도화원에 관한 토론을 神仙說, 紀實說, 寓意說로 나눠 도화원의 형상이 어떠한 재해석의 경로를 통해 선경에서 유토피아로 遞變되어 왔는지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이 체변의 과정에서 필자는 도화원의 계보학적 의미를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그 다음으로 도화원이 중국문학사에서 유기적인 재해석의 사슬을 이룰 수 있었던 건 도화원 본문이 神仙, 紀實, 寓意의 요소들을 지니고 있기에 派生, 歧出, 追認 등의 재해석 현상이 가능하였다고 본다. 그러므로 본고는 문학 작품의 기능적 역할에 착안하여 도연명에 의해 기호화된 意象群, 典故적 의미와 神話적 스토리의 출처를 먼저 밝히고, 그가 신화와 전고의 재편성을 통해 구현하고자 한 심미적 효과와 보편적 가치를 살펴보고자 한다. The image of The Peach Blossom Land of Taoyuanming is one of the major counterparts of the western utopia. It has been regarded as the contraposition of utopia or paradise, while it was described with the terms like 沃野, 勝地, 福地, 洞天, 樂土, 福山, 仙境 in Eastern Asian classical literary tradition, which shows Taoyuanming"s fantastic imagination has universal value for times and spaces and thus has been succeeded through literature as the ideal image of paradise among Eastern Asians. Still, we have to question whether the universal value of The Peach Blossom Land really corresponds to the image of fairyland or political sense of utopia. To find the answer, this thesis categorizes classical literary works and arguments about the theme into three categories - debate on immortal hermit (神仙說), records (紀實說) and allegory (寓意說) - to establish the genealogy of the peach blossom land changing from fairyland to utopia. The reason why the Taoyuanming"s work produces constant and various explanationsin Chinese literary sphere is that its writing style itself has characteristics of 神仙, 紀實, 寓意 which raise derivatives, variation and ratification. To find out aesthetic effects and universal value of the work achieved by reconstructing myths and old stories, the thesis searches iconic images created by Taoyuanming and its sources in the basis of the functional role of literary work.

      • KCI등재
      • KCI등재

        Icare Rebound Tonometer와 Goldmann 압평 안압계의 비교

        이국,이지영,문정일,박명희 대한안과학회 2013 대한안과학회지 Vol.54 No.2

        Purpose: To compare Icare rebound tonometer (IRT) and Goldmann applanation tonometer (GAT) and investig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IRT. Methods: In a retrospective study of 131 eyes with glaucoma and glaucoma suspect, intraocular pressure (IOP) was measured with IRT and GAT. The correlation between IRT and GAT and the influence of refractive error (spherical equivalent; SE) and central corneal thickness (CCT) were analyzed. Results: A distinct correlation between IRT and GAT was found. IOP measured with GAT was 2.23 ± 3.16 mm Hg higher than with IRT (p < 0.001). As CCT increased, IOP was measured higher with both GAT and IRT. IOP in myopic eyes (SE ≥ -5 diopter) was measured relatively lower than in hyperopic eyes (SE < -5 diopter) with GAT (+1.50 ± 0.68 mm Hg) and IRT (+1.88 ± 0.75 mm Hg). Conclusions: IRT showed strong correlation with GAT, but IOP measured approximately 2 mm Hg lower. The IOP tends to measure lower at low CCT and in myopic eyes.

      • KCI등재

        조기 진통 임신부의 양수내 일부 Cytokine 의 측정치 자궁내 감염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이국,김세광,이윤호,박용원,서경,조재성,김석영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12

        조기진통과 자궁내감염과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조기 임신 비진통군, 조기임신 진통군, 만기임신 비진통 군, 만기임신 진통군의 4군의 임신부를 대상으로 양수내 IL-1 b, IL-6의 증가 및 기타 자궁내감염소견 발생율 을 서로 비교하였다. 양수내 IL-1은 3예를 제외하고는 100pg/ml 이하의 낮은 수준을 보여 조기진통의 발생과 관련성이 적었다. 양수내 IL-6는 조기진통 및 만기진토에 구별없이 진통이 있는 임신부에서 공히 증가하였으 며 특히 자궁경관의 개대가 진행할수록 IL-6의 증가가 더욱 현져하였다. 따라서 양수내 IL-6의 증가는 조기진 통원인의 일부인 자궁내 감염에 의해서 증가된 것으로 해석하기보다는 진통 및 자궁개대에 수반되어 결과적으 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Subclincal instrauterine infection was suggested as a cause of idiopathic preterm labor. Four groups of 66 pregnant women were studied. Women in the midtrimester of pregnancy undergoing genetic amniocentesis were studied as a preterm without labor group. Women with preterm labor were also studied. Term pregnant women undergoing repeat cesarean section were included as a term without labor group Women with term labor group were also included in the study. Amniotic fluid was obtained through amniocentesis. The fluid was culturd for aerobic and anaerobic bacterias. After centrifugation an aliquot of amniotic fluid was frozen(-70 C) for futher analsis. Interleukin-1(IL-1) and interleukin-6(IL-6) levels were measured by hexokinase method. Placentas were examined for histologic choriamninitis after delivery. Only two women with term labor showed opsitive amniotic fluid culture. Glucose levels were lower in the amniotic fluid of erm pregnant women than perterm pregnant women. IL-1 level in the amniotic fluid were increased over 290 pg/ml in 2 case of term labor group. IL-6 were found in all samples of amniotic fluid. The levels were increased in the women having either preterm or term labor IL-6 levles in the amniotic fluid were proportional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cervical dilatat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increased level IL-6 was a resullt of labor and/or cervical dilatation rather than a cause of intrauterine infection evoking preterm labor. Histologic choriamnionits were increased in the placenta of both preterm labor. Histologic choriamnionits were increased in the placenta of both preterm labor group and term labor group. The incidence rates of histologic choreioamnioniti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among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