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도서관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과 프로그램 운영의 상관관계 연구

        윤혜진,차미경,Yoon, HyeJin,Cha, Mikyeong 한국비블리아학회 2017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8 No.1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과 어린이서비스 중 프로그램 운영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문헌조사를 기초로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은 6가지 영역으로 구성하고 프로그램 운영은 기획과 진행으로 나누어, 공공도서관 어린이서비스 담당 사서 262명(응답률 58%)을 대상으로 이메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어린이 프로그램 기획은 어린이 사서 전문성의 모든 영역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프로그램 진행은 전문성 계발을 포함한 3가지 영역에 속한 역량과 관련성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 강화 및 어린이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ism of children's librarians and the program operation in children's service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librarians' expertise was divided into 6 areas, and the program operation was divided into planning and proceeding, and an e-mail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62 public librarians (response rate 58%).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children's program planning was correlated with all areas of professionalism of children librarians, and the program progress was related to the competence of the three areas including professional development.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s for strengthening the professionalism of children's librarians and preparing ways to activate children's programs.

      • KCI등재

        변단면 콘크리트 주탑공사의 슬립폼 시스템 적용을 위한 설계기술 연구

        윤혜진,김영진,진원종,김희석,Yoon, Hyejin,Kim, Young Jin,Chin, Won Jong,Kim, Hee Seok 한국건설관리학회 2014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5 No.3

        This paper studied design of slip form system considering the erection of a pylon mock-up. The height of the pylon is 10 m. A rectangular hollow cross-section was considered. The outer and inner dimensions of the pylons were varied with respect to the height. The thickness of 1 sides among the 4 faces were varied. Accordingly the slip form was designed to respond to continuous changes in its dimensions and thickness. Structur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structural safety of the slip form. Virtual construction by BIM proved its practicality. The developed design technologies were successfully applied to the erection of a 10m high pylon executed for field verification test. 이 논문에서는 콘크리트 고주탑 시공을 위한 최첨단 공법이라 할 수 있는 슬립폼 시스템 공법의 기술자립을 목적으로 슬립폼 설계기술을 연구하였다. 대상 주탑은 10m의 높이를 갖으며 보통 케이블 교량의 주탑에서 적용하는 사각 중공 형상으로 계획하였다. 슬립폼 시스템은 콘크리트의 연속 타설을 고려하여 슬립폼이 연속적으로 단면의 치수변화와 두께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시공시 슬립폼에 작용하는 다양한 하중에 대한 안전성을 검토하고, BIM에 의한 가상 시공으로 실용성을 사전 검증하였다. 설계된 제작 도면을 바탕으로 슬립폼 시스템을 제작하고 10m 높이의 주탑을 성공적으로 시공함으로써 개발된 변단면 슬립폼 시스템의 효율성을 입증하는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 SCOPUSKCI등재

        Successful Birth after Transfer of Re-frozen Blastocysts Developed from Immature Oocytes Retrieved from a Woman with Polycystic Ovarian Syndrome

        윤혜진,윤산현,이소영,김해균,이원돈,임진호,Yoon, Hyejin,Yoon, Sanhyun,Lee, Soyoung,Kim, Haekwon,Lee, Wondon,Lim, Jinho The Korean Society for Reproductive Medicine 2005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32 No.1

        본 연구는 이식 후 남은 잉여의 포배기 배아를 두 번의 냉동과 융해 과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한 후 이식한 결과에 관한 보고이다. 사람 포배기 배아의 동결보존에서 높은 생존율과 성공적인 임신율이 보고되고 있으나 미성숙 난자로부터 발달한 포배기 배아에 두 번의 초급속 냉동 방법을 실시한 후 이식한 보고는 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낭성 난소 증후군 환자에게서 얻은 미성숙 난자로부터 발달한 포배기 배아를 artificial shrinkage 후 초급속 냉동함으로써 생존율을 높이는 방법을 이용하여 재냉동 이식하였을 때 임신에 성공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29세의 환자로부터 채취한 55개의 미성숙 난자들(germinal vesicle stage oocytes)을 체외배양 하여 성숙한 37개의 난자들로부터 30개의 수정란을 얻을 수 있었다. 12개의 배아가 포배기 배아까지 발달하였으며 이 중 3개의 양질의 포배기 배아를 선별하여 이식하였고, 이식을 한 후에 남은 9개의 포배기 배아들은 artificial shrinkage의 과정을 마친 후에 초급속 냉동 방법을 이용하여 동결보존 하였다. 그 중, 4개의 포배기 배아들을 융해한 후 이식을 하지 않고 다시 재냉동을 하여 보관하였고 이 후 재냉동 되었던 4개의 포배기 배아들을 다시 융해 하여 이식을 한 결과 임신이 되어 건강한 남아를 분만하였다. 이로써 미성숙 난자로부터 얻은 포배기 배아가 두 번의 냉동과 융해의 과정을 통해 크게 손상을 입지 않고 생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융해이식 후 남은 잉여의 포배기 배아를 다시 냉동 보관하여 다음 주기에 이용함으로써 축적된 임신율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근로자의 안전할 권리

        윤혜진 ( Yoon Hye-jin ) 한국동서철학회 2017 동서철학연구 Vol.0 No.83

        산업 현장에서 직접 일을 하고 있는 근로자들은 매일매일 수많은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런 까닭에 위험한 일로 인해 생명과 건강을 위협받을 수 있는 근로자들의 안전성 문제는 실로 심각한 것이 아닐 수 없다. 언뜻 보면, 산업 현장에서 근로자들이 어떠한 위험 요소로부터도 생명과 건강을 위협받지 말아야 한다는 것은 폭넓은 동의를 얻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이 문제는 그렇게 단순하게 결론날 수 있는 성격의 문제가 아니다. 근로자의 안전성에 대한 논쟁은 어떠한 산업 현장이라도 모든 위험 요소가 완벽하게 제거된 완전히 안전한 작업장은 없다는 우선적 문제로부터 발생한다. 그리고 다음으로 이러한 작업장에서 일을 하는 위험을 근로자들이 임금과 같은 이유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승인하게 된다는 문제로부터 발생한다. 이런 까닭에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의 핵심은 작업 현장의 안전성 여부에 대한 근로자의 개인적 판단을 윤리적으로 어떠한 난점도 없는 진정한 자율적 판단으로 여길 것이냐 하는 데 있다. 즉, 기꺼이 받아들이고자 하는 진정한 자율적 선택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근로자 스스로 위험을 선택했다는 이유로 고용주나 경영자들이 수많은 산업재해를 근로자의 부주의 탓으로 여기는 경향에 우리가 과연 동조할 것이냐 하는 데 있다. 하지만 만일 그렇지 않다면, 우리는 생명과 건강을 위협받지 말아야 할 근로자의 안전성 문제를 도덕적 권리문제로 간주할 필요가 있다. 즉, 근로자가 자신에게 닥칠 위험을 임금이나 일자리와 거래하지 않고 모든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받은 상태에서 진정한 자율적 선택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도덕적 권리문제로 간주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은 `근로자의 안전할 권리`를 근로자의 도덕적 권리로 수립하는 일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리고 근로자의 안전권을 생명권과 같은 중요한 사항으로 정착시킬 필요가 있다는 관점에서, 이 논문은 근로자의 안전에 대한 권리를 좀 더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근로자의 안전할 권리를 `위험에 대해 알 권리`로 먼저 논의하고 있다. 그리고 이보다 더 심화된 적극적 권리로서 `위험에 대해 선언할 권리`로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at worker rights to safety in the workplace is obviously an important one. Therefore, first, I shall examine that worker have a right to safe and healthy workplace. I will deal with questions of the rights of workers with regard to the workplace environments under which they work. And I will deal with how worker`s safety and healthy are best protected, and how worker`s rights are explained in relation to ethical issues of safety and healthy in workplace. Second, I shall argue that employers and managers have the responsibility to inform worker and potential worker of all safety and healthy risk involved in their workplace. And then, I shall obviously reveal that workers should have a rights to know the risks associated with their workplace. That is, I shall reveal that workers should have the right to be informed about hazardous workplace. Third, finally, I shall argue that workers should have the right to participate or refuse hazardous work. I will examine Robert Sass`s discussion that should be extended and deepened to ethically permit worker`s manifesto rights to participate or refuse a job believed to be hazardous work. And then, I shall reveal that not only do workers should have the right to know about risks in hazardous workplace, but they also should have manifesto rights about risks in hazardous workplace. Therefore, according to Sass, I will believe there is a need to permit worker`s rights, that is, the right to know about his or her risks, the right to participate in controlling the all work process, and the right to refuse hazardous workplace environment.

      • KCI등재

        물윤리의 기초 - 물 협력 이론을 중심으로 -

        윤혜진 ( Yoon Hye-jin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99

        인간이 마음껏 아무렇지도 않게 사용한다 해도 물은 언제나 인간을 위해 존재하는 편리한 수단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수질 악화와 물 부족 사태 같은 문제들이 불거지면서 강이나 호수 그리고 샘물이나 지하수 같은 천연자원에 대한 윤리적 접근의 필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했다. 물의 위기에 대한 우리의 윤리적 관심, 그리고 물을 대하는 우리의 태도와 관련된 적절한 전략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특히, 물 사용 및 관리 형태에 대한 평가와 인간 활동이 물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에 대한 윤리적 평가가 요구되며, 이러한 요구는 물을 대하는 인간 행위에 대한 규범적 개념 마련의 필요성을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일들은 모두 ‘물윤리’라는 이름으로 진행된다. 물윤리란 물의 위기와 관련된 인간 행위에 초점을 맞춘 실천적 추론에 관한 연구이다. 이에 따라 우리가 도전해야 할 물윤리의 핵심 문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눠진다. 하나는 생태학적으로 물이 계속해서 깨끗하게 유지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며, 다른 하나는 어떤 누군가에 의해 물이 특별히 남용되지 않고 공평하게 사용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물과 관련된 생태학적 안정성 파괴에 따라 인간을 비롯한 수많은 종의 생존이 위협받을 수 있기 때문이며, 물의 불공정한 사용에 따라 다른 어느 누군가는 실질적으로 삶의 위기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자원에 대한 오용 및 남용과 그에 따른 갈등이 증폭되면서 이를 극복할 물윤리 이론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그리고 하천 생태계나 수생 생태계의 안정성도 함께 고려할 물윤리 기초 이론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 논문은 물의 생태학적 지속가능성을 도모하고 사회적으로 정당한 물 사용 및 관리 체계를 확보할 대표적 이론으로 안젤라 칼호프의 ‘물 협력 이론’을 제시한다. 물 협력 이론을 통해 이 논문은 올바른 물 사용 및 관리를 위한 실천적 추론에 집중한다. 상호 협력의 윤리를 합리적 대안으로 주장하면서 물에 대한 인간의 오용과 남용을 방지하는 방향으로 우리의 윤리적 태도변화를 촉구한다. 물윤리의 기초 확립을 시도하는 이 논문은 이러한 이론적 배경 제시와 함께 물윤리의 기초 개념을 정립하는 일에 주안점을 두고자 한다. 그리고 환경윤리의 한 분야로 물윤리가 정착되도록 하는 데 일조하고자 한다. Water was always considered a convenient resource for human beings. However, the need for ethical access to natural resources such as rivers, lakes and springs and groundwater is becoming recognized as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and water scarcity have emerged. The need for appropriate strategies related to our ethical attention in the water crisis and our attitude toward water treatment have been raised. In particular, an evaluation of the forms of water use and management and ethical assessment of the negative effects of human activities on water is required, and this demand has prompted the need to develop a normative concept of human behavior in dealing with water. These things are being carried out under the name of 'water ethics'. Water ethics is a study of practical reasoning that focuses on human behavior related to the water crisis. There are two main problems of water ethics that we need to challenge. One is the question of whether water can continue to be ecologically clean, and the other is whether water can be used fairly and not specifically abused by someone. This is because the destruction of the ecological stability associated with water can threaten the survival of many species, including humans, and because of the unfair use of water, anyone could face a real-life crisis. As misuse and abuse of water resources and subsequent conflicts escalate, the need to prepare a theory of ethics to overcome them is raised. There is a need to come up with a basic theory of ethics that will also consider the stability of the river ecosystem or aquatic ecosystem. This paper presents Angela Kallhoff's 'theory of water cooperation' as a model theory to promote the ecological sustainability of water and to secure a socially legitimate water use and management system. This paper focuses on practical reasoning for correct water use and management. Claiming the ethics of mutual cooperation as a reasonable alternative, we urge changes in our ethical attitudes in a way that prevents human misuse and abuse of water. This paper, which attempt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water ethics, focuses on presenting this theoretical background of water ethics and establishing the basic concept of water ethics. And through this, this paper intends to help establish water ethics as a field of environmental ethics.

      • KCI등재
      • KCI등재

        적대적 단체교섭에서 협력적 단체교섭으로

        윤혜진(Yoon, Hye-Jin)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87 No.1

        이 논문은 우리 사회의 경제적 현실에서 아주 중대한 문제로 떠오른 노사협상에 관한 문제, 특히 고용인들이 선출한 대표자 집단과 고용주가 임명한 경영자 집단 사이에 이루어지는 단체교섭에 관한 문제를 조명하고 있다. 이에 따라 먼저 이 논문은 현행 단체교섭 형태의 윤리적 심각성을 파악하고 있다. 노사 양 측 사이의 뿌리 깊은 불신으로 인해 서로를 무너뜨리기 위한 온갖 술수와 모략으로 점철되는 단체교섭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있다. 그리고 이 논문은 이러한 현행 단체교섭을 서로에 대한 힘만 과시하면서 대부분 합의에 실패하고 마는, 그래서 극단적으로 감정의 골만 깊어지는 ‘적대적 단체교섭’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런 까닭에 이 논문은 이런 문제들의 근본적인 이유가 서로에 대한 뿌리 깊은 불신이라고 보고, 이를 해소시키기 위한 윤리적 방안으로서 상호 신뢰 수립의 원칙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신뢰 수립의 원칙을 통해 현행 단체교섭의 결정적 난점들을 수정할 수 있는 ‘협력적 단체교섭’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역설하고 있다. 협력적 단체교섭으로의 전환에 대한 윤리적 당위를 요청하면서, 이를 위해 이 논문은 노사가 서로 협력하는 단체교섭의 실제 형태를 다섯 단계로 묘사하고 있다. 다섯 단계의 주요 과정들은 현행의 적대적 단체교섭과 달리, 정직성, 공평성, 공개성 등을 기초로 한 합리적인 협상 모델임이 드러나도록 했다. 그리고 그에 따라 예상해볼 수 있는 협력적인 단체교섭 모델의 윤리적 장점들도 드러나도록 했다. The major aim of this paper is to study collaborative collective bargaining(CCB). Therefore this paper is to request a shift to collaborative collective bargaining from adversarial collective bargaining(ACB).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ve bargaining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is very well explored in the article of Frederick Post. In his article "Collaborative Collective Bargaining: Toward an Ethically Defensible Approach to Labor Negotiations", Post addresses the problem of labor and management antagonism. According to Post, present methods of collective bargaining are based on an adversarial negotiations that fosters immoral tactics of bargaining, that is, immoral adversarial collective bargaining. Also, according to Post, it is clear that necessary of shift to a method of collaborative collective bargaining that fosters a non-adversarial environment and encourages mutual trust and efficacy in the practical negotiation process. Hence, this paper is to explain a model of what he calls "CCB" and critique the present model ACB on ethical grounds. And then this paper is to argue that shifting to CCB model from ACB model will result in better long term results for all parties, in particular, labor and management altogether.

      • 지역관광 연구트랜드 분석: 텍스트마이닝 활용

        윤혜진(Yoon, Hyejin),김창식(Kim, Chang-Sik),곽기영(Kwahk, Kee-Young) 한국관광레저학회 2017 한국관광레저학회 학술발표대회 Vol.2017 No.1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ends on local tour studies. The abstracts of 764 articles were extracted from web of science database published between 1990 and 2011. The text mining results showed that the research topics were mainly 20 topics. The time series regression results indicated that all 20 topics were hot topics.

      • KCI등재

        오픈소스(Open Source)를 매개로한 도시브랜드의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경험 연구

        윤혜진 ( Yoon Hyejea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8 No.-

        오늘날 도시브랜드는 세계화와 뉴미디어의 발달로 사용자의 참여에 따라 상호작용하는 가변적인 아이덴티티가 되었다. 그 배경에는 도시가 시민과 소통하고 타 도시와 차별화된 정체성을 수립하고자 하는 것에서 비롯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고정된 아이덴티티는 이러한 시대적 적용에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세계 주요 도시에서는 플렉서블 아이덴티티를 적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도시브랜드의 플렉서블 아이덴티티를 수집하여 시민과 도시의 매개역할을 하는 오픈소스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생성된 경험과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플렉서블 아이덴티티는 로고타입, 형태, 컬러, 크기, 패턴의 시각적 가변을 통해 감각적 경험을 창출하였으며 시민을 대상으로 아이디어나 슬로건을 공모, 조사. 의견수렴을 통하여 도시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는 인지적 경험을 창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참여적 경험을 통해 시민이 직접 참여하여 완성되는 도시브랜드로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국내와 해외라는 이분법적 관점에서 보면 해외도시브랜드는 시민이 직접 제작하여 아이덴티티를 확장시키거나 새로운 디자인을 창출하는 경험이 많은 반면 국내도시브랜드는 이미 제시되어 있는 아이덴티티를 다른 매체에 적용하거나 활용할 수 있는 경험이 더 많았다. 또한 해외가 다양한 미디어로 오픈소스를 노출시키고 플렉서블 아이덴티티의 확장성에 한계를 지정하지 않은 점, 공동 창조된 아이덴티티를 도시 곳곳에 공유한 것에 비해 국내는 직접참여하여 제작할 수 있는 미디어가 적으며 실제 시민이 도시브랜드를 활용한 디자인 사례 또한 많지 않았다. 앞으로 도시는 시민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여 공동 창조하는 도시브랜드를 구축해야만 시민의 삶속에 지속적으로 투영될 수 있을 것이다. Today's city brand has become a variable identity that interacts with users' participation due to glob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The background came from the city's desire to communicate with citizens and establish an identity differentiated from other cities. However, since the existing fixed identities have limitations, flexible identities are being applied in major cities around the world. This study analyzed open source that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citizens and cities by collecting domestic and foreign flexible identities, and analyzed the experiences and contents generated through them. As a result, the flexible identity created a sensory experience through the visual variation of logotype, shape, color, size, and pattern. A cognitive experience that induces interest in the city was created through the gathering of opinions. Through participatory experience, citizens directly participate and form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ity brand that is completed. Overseas city brands had more experience in expanding their identities or creating new designs by making their own, while domestic city brands had more experience in applying or utilizing the already presented identities to other media. In addition, foreign countries expose open source through various media and do not set limits on the extensibility of flexible identities. Compared to the fact that co-created identities are shared throughout the city, domestically, there are few media that can be produced by direct participation and real citizens There were also few design examples using city brands. In the future, cities will be able to be continuously projected into the lives of citizens only by building a city brand that co-creates by providing various experiences to citizens.

      • KCI등재

        음악개념 기반 음악교육에 대한 장애영유아 담당교사의 인식과 실제

        윤혜진(Yoon, Hye-Jin),정대영(Jeong Da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4

        본 연구는 장애 영유아들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음악개념 기반 음악교육에 대한 이들의 인식과 실제 수준 간의 차이 및 관련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경남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장애 영유아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 25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2018년 3월 5일부터 15일까지 2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음악개념 기반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에 비해 실제 수행 수준이 낮게 나타났고, 음악개념 기반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음악개념 기반 음악교육의 실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음악 개념 기반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제 수준 간에는 매우 높은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음악개념 기반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이 실제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직 영유아 교사들을 대상으로 음악개념 기반 음악교육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실천적인 현직연수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established following research problems, aiming to analyze difference and relation between the cognition of teachers who take care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are in a decisive period of musical development, on music concept based education, and the actual level.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s, this research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250 teachers who take care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t the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in Gyeongnam. This research perform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correlation,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program.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is research derived following conclusion. First, a difference appeared between the level of cognition on music concept based music education and the actual level. Second, a significant relation appeared between the cognition of music concept based music education and the actual level, and the cognition of music concept based music education displayed a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This research suggested the material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actuality of teaching activity of music concept based music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difference of the actuality of music concept based music education according to teacher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music experience and characteristic and for the efficient teacher trai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