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싸이클로헥센 증기 공정에 의한 산소량이 적은 실리콘카바이드 섬유의 개발

        윤병일,최우철,김명주,김재성,김정일,강홍구,Yoon, Byungil,Choi, Woo Chul,Kim, Myeong Ju,Kim, Jae Sung,Kim, Jung il,Kang, Hong Gu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17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20 No.5

        A chemical vapor curing method(CVC) was developed to cure polycarbosilane(PCS) fibers by using cyclohexene vapour as a non-oxygen active reactant, instead of air in oder to prepare the silicon carbide(SiC) fiber with low oxygen content. A cross-linked PCS fibers by cyclohexene vapor showed a completely different variation in IR spectra in comparison to the air-cured PCS fiber. CVC method resulted in less than 3 wt% in oxygen content. In this experiment conditions, The average tensile strength and modulus of SiC fiber obtained by CVC had 1995 MPa and 183 GPa respectively, which is higher than that of SiC fiber prepared by air-curing process.

      • SCOPUSKCI등재

        말에서 급성장염과 관련된 페장에서의 Aspergillus감염증

        윤병일,허권,김대용,박응복,하태영,서일복,Yoon, Byung-Il,Hur, Kwon,Kim, Dae-Yong,Bak, Ung-Bok,Ha, Tae-Young,Seo, Il-Bok 한국임상수의학회 1998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ol.15 No.1

        A 5 year-old male Throughbred horse housed in Korean Racing Association died after having enteritis and respiratory disorder for about 10 days. At necropsyi the left and right caudal lung lobes were reddenedi swolleni and contained numerous well-defined sublobular consolidated foci. The large intestine was diffusely reddened and covered with pseudomembranous exudates. Microscopicallyi multifocal areas of necrosis with mild to moderate infiltration of neutrophilsi macrophages and Iymphocytes as well as hemorrhage and edema were noted in the lung. The fungi having conidiophorei dome-shaped vesicles phialides and conidia which are characteristic of Apergillosis fumigatus was isolated from the lung. The colonic mucosa was transmurally necrotic and severe congestions edema and thrombi were observed in the submucosa. The embolic mycotic pneumonia present in this case Probably occured secondary to antibiotic therapy given for treatment of enteritis.

      • KCI등재
      • KCI등재

        한강하구 염하수로 주변에서의 조석·조류 비대칭과 창·낙조 우세 분석

        윤병일,우승범,Yoon, Byung-Il,Woo, Seung-Buhm 한국수자원학회 2012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5 No.9

        한강하구 염하수로 주변의 조석 조류 변형과 창 낙조 우세를 분석하기 위해서 4개 정점에서 동기간에 관측한 조류자료와 기 관측된 조석자료를 분석하였다. 조석 및 조류의 변형 정도는 $M_4/M_2$ 진폭비를 분석한 결과 상류로 갈수록 증가하며, 조석의 상대 위상차($2M_2-M_4$)를 계산하면 모든 정점의 값이 $180^{\circ}C$ 이하로 창조 우세를 보여준다. 그러나 조류자료의 통계분석 결과를 보면 조석 조화상수의 상대 위상차 결과와는 다르게 최강 평균 낙조가 창조에 비하여 강하게 나타나며, 정조시각을 이용하여 창조, 낙조 지속시간을 계산하면 낙조 지속시간이 길게 나타난다. 각 조류 관측정점의 주축 방향 유속성분의 상관도를 분석한 결과 인천항 이후 염하수로 북쪽입구까지는 상관도 값이 0.9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류 분석결과에서 보여지는 낙조가 우세하고 낙조 지속시간이 긴 형태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서 조화분해 결과를 재구성하였다. 주 분조($M_2$)와 천해 분조($M_4$)를 결합하면 창조가 우세하고 낙조 지속시간이 긴 전형적인 창조우세 형태의 곡선이 나타난다. 그러나 이 곡선에 조류 성분의 산술 합으로 계산한 비 조류성분(잔차류)의 값을 더하면 낙조가 강해지고 낙조 지속시간이 긴 형태로 나타난다. 즉, 천해분조에 의해서 발생하는 상류방향의 흐름을 극복하는 담수와 하구 비선형 효과에 의해서 생성되는 장주기 조류성분과 같은 낙조방향의 평균적인 흐름이 존재하기 때문에 독특한 낙조심화 현상이 염하수로에서 나타난다. Han River estuary (HRE) is located at the middle of the western coast of Korea, and tidal currents were measured at 4 stations in this estuary during the winter season, and previously observed tide data was analyzed. The results of amplitude ratio of $M_4/M_2$ showed that increasing upward to estuary in the HRE. Tide harmonic constants of relative phase $2M_2-M_4$ represent flood dominance, with under 180 degree. But this method has a limit of analysis that typically based on the non-linear distortion of the tidal current in tidal lagoon system where freshwater discharge is assumed to be relatively small. The results of statistically tidal current data indicated that ebb current velocity would be great unlike tide data. Ebb and flood duration time is calculated by slack time of tidal current showed that ebb duration time is longer than flood. The results of correlation of analysis show high value (0.9) between tidal current stations from Incheon harbor to north entrance of Yeomha channel. We reconstructed to find the reasons for the features of ebb dominance the results of harmonic analysis. As major component ($M_2$) in combination with shallow water component ($M_4$), the tidal curve was presented flood dominance that has a flood current is stronger. However, these curve were changed to ebb dominance add up the non-harmonic components that had ebb direction flow by calculated tidally averaged current. The characteristic of enhancement on ebb is showed around the Yeomha channel in the HRE, because averaged flow which acts seaward such as long-term tidal current components due to non-linear effect and freshwater which overcome the flood current.

      • KCI등재

        한강하구 수로별 순 수송량과 대·소조기 변화에 따른 염하수로의 순 수송량 변동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윤병일(Yoon, Byung-Il),우승범(Woo, Seung-Buhm)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2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4 No.4

        경기만과 한강하구를 유기적으로 연결한 고해상도 격자시스템의 EFDC수치모델을 이용하여 한강하구 수로별 순 수송량을 연구하였다. 수치모델의 모의기간은 2009년 5월부터 8월까지 총 124일 동안 모의하였으며, 담수 유입량은 모의 기간 동안 실제 한강과 임진강의 담수량을 입력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치모델 결과는 관측된 조석 조화상수를 이용하여 보정 작업을 수행하였고 조류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강화 북쪽수로와 염하수로에서 평수기 담수량이 유입되는 30일 동안의 순 수송량을 계산하면, 염하수로와 강화 북쪽수로를 통해서 경기만으로 유출되는 수송량은 56:44의 비율로 나타났다. 평수기 30일 동안에 염하수로로 유입된 순 수송량의 방향은 세어도 인근 지역까지 하류 방향이고, 인천항 전면과 영종대교 인근 지역의 순 수송량은 상류 방향으로 나타났다. 영종대교 인근 해역에서 하류와 상류 방향에서 유입된 순 수송량의 수렴대가 형성되고 강화도와 영종도 사이의 수로를 통해서 서쪽으로 유출된다. 염하수로의 대 소조기 변동에 따른 순 수송량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대 소조기 각 4 조석주기 동안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외해에서 유입되는 순 수송량과 하구 상류에서 유출되는 순 수송량의 수렴대 위치가 대 소조기 변동에 따라서 상류 또는 하류로 이동되며, 서쪽으로 유출되는 위치가 다르게 나타난다. 대조기에 비하여 소조기 때 수렴대의 위치가 상류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유는 1)대조기 때 수위의 증가에 의한 강화도와 영종도 사이의 수로를 통한 유출량 증가, 2)대조기 때 상류와 하류의 해수면 차이에 의한 하류 방향으로 순압력 증가, 3)소조기 때 혼합 작용의 감소에 의한 주 수로의 상류 방향으로의 경압력 증가라고 판단된다. The EFDC model with find grid resolution system connecting the Gyeong-Gi bay and Han River estuary was constructed to study on spring-neap variability of net volume transport at each channel of the Han River estuary. The simulation time of numerical model is 124 days from May to August, 2009 with freshwater discharge at Han, Imjin and Yeseong River. The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of model results was confirmed using harmonic components of water level and tidal current. The net volume transport was calculated during 30 days with normal freshwater conditions at Seokmo channel and Yeomha channel around Ganghwado. The ebbing net volume transport of 44% and 56% is drained into Gyeong-Gi bay through Yeomha and Seokmo channel, respectively. The ebbing net volume transport nearby Seodo at Yeomha channel convergence flooding net volume transport at Incheon harbor, and drain (westward direction) through channel of tidal flat between Ganghwado and Yeongjongdo to the Gyeong-Gi bay. The averaged net volume transport during 4 tidal cycles was compared to variation of spring-neap periods of the Yeomha channel. The convergence position is moved up- and down-ward according to spring-neap variability. The movement of the convergence zone is appeared because 1) increasing of discharged rate tidal flat channel between Ganghwado and Yeongjongdo at the spring period, 2) The growth of barotropic forcing with downward direction at the spring tide, and 3) The strength of the baroclinic pressure gradient is greater than spring with mixing processes.

      • KCI등재

        조석 전파 특성을 활용한 한강하구 주요 수로의 지형학적 수렴과 바닥 마찰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윤병일(Yoon, Byung-Il),우승범(Woo, Seung-Buhm)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11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3 No.5

        경기만 해역에 위치한 한강하구역은 연안개발 압력이 지속적으로 대두되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하구 순환 흐름에 대한 기본적인 연구가 충분히 수행되지 못하였다. 한강하구의 해양학적 현상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이 지역의 가장 큰 외력 조건인 조석의 전파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석 관측 자료와 수치모델 결과를 이용하여 한강하구의 주요 수로별 조석 전파 특성을 분석하였다. 각 수로의 조석 전파 특성은 hyper-synchronous 형태를 보여주었으며, 각 수로에서의 조석 전파 특성은 수로 형태의 지형학적 수렴정도와 마찰에 의해서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적인 수로에서 수렴 항과 마찰 항의 균형 정도를 비교하는 해석 해를 분석한 결과는 각 물리적 인자의 영향 정도가 주요 수로 별로 차이가 나타남을 보여주었으며, 염하수로에서 수렴 항 대비 마찰 항의 비율이 석모수로 보다 약 4배 정도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영향으로 염하수로에서 최대 진폭이 나타나는 위치는 석모수로에 비하여 하류에서 나타났으며, 정점 간의 단위 거리당 진폭 감소 비율과 위상의 증가율이 석모수로에 비하여 염하수로에서 크게 나타났다. 조석 전파 특성을 활용하여 한강하구 주요 수로를 분류하면 모든 수로에서 hyper-synchronous 형태를 보여주지만, 상대적으로 염하수로는 마찰의 영향이 석모수로에 비하여 크게 나타난다. The basic research of the estuarine circulation at Gyeong-Gi bay has not been well studied up to now, although coastal development pressures have been continuously increased. To understand the oceanographic phenomena at the Han River estuary, it'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 of tidal wave which is the strongest external forcing in this reg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tidal wav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along the 3 major channels using observation data and numerical model. It is found that 3 channels are all hyper-synchronous and the most important physical factor controlling the tidal wave propagation is topographical convergence of estuary shape and friction. The result of analytic solution at ideal channel considering the topographical convergence and friction show that the contribution of physical role of convergence and friction varies at 3 different channel. And the ratio of convergence and friction at Yeomha channel is four times larger than Seokmo channel. Because of this effect, the location of maximum amplitude at Yeomha channel is showed up downward than Seokmo channel. The ratio of decreasing amplitude and increasing phase per unit distance between stations is bigger than Seokmo channel. Although 3 major channel show a hyper-synchronous pattern, Yeomha shows more frictionally dominant channel and Seokmo channel is more dominantly affected by convergence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