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극성장애 환자의 뇌자기공명영상에서 보이는 피질하 고신호광도의 임상적 상관변수에 관한 예비적 연구

        윤대현,권준수,한문희,장기현,Yoon, Dae Hyun,Kwon, Jun Soo,Han, Moon Hee,Chang, Kee Hyun 대한생물정신의학회 1997 생물정신의학 Vol.4 No.1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에 입원하여 뇌자기공명영상촬영을 시행한 32명(남자 18명, 여자 12명)의 양극성장애환자를 대상으로 피질하 $T_2$ 강조-고신호광도의 임상적 변수에 관한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32명의 환자중 피질하 고신호광도를 보인 환자의 수는 7명(21.8%)이었고, 8명의 40세 이상의 환자중에서는 5명(62%)이 고신호광도를 보였다. 2) 피질하 고신호광도를 보인 환자군이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연령이 높았고(p<0.01), 연령과 정량화된 피질하 고신호광도 점수와의 상관분석에서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51, p<0.01). 3) 피질하 고신호광도를 보인 환자군에서 정신병적 증상의 빈도는 증가되고(p=0.06), 정동장애 가족력의 빈도는 감소한 경향을 보였다(p=0.01). 이상의 결과는 발병연령이 늦은 양극성장애 환자의 상당수에서 발견되는 피질하 고신호광도가, 유전적요인에 주로 영향을 받는 조기 발병군과는 다른 경과나 임상양상 등을 보이는 만발성 양극성장애 환자의 원인적 요소일 수 있다는 가설을 뒷받침해주는 소견이다. Objective : Accumulating evidence suggests a greater number of subcortical hyperintensities in the brain of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We studied the Clinical correlates of subcortical hyperintensities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 Methods : Magnetic resonance images of the brain were obtained for 32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The presence and location of hyperintensities were assessed. We compared clinical variables between patients with subcortical hyperintensities and patients without them. Results : Seven patients(21.8%) had subcortical hyperintensities, but among 8 patients who were 40 years or older, 5 patients(62%) had them. Age and age at onset of patients with subcortical hyperintensities were significantly older than patients without them. Psychotic symptoms were more frequent in patients with hyperintensities. Patients without hyperintensities had more familial loadings. Conclusion : Given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our results should be seen as preliminary. This study, however, provides preliminary evidence supporting the notion that the onset, clinical feature and course of some bipolar disorders of late onset may be determined by underlying subcortical abnormalities, with such abnormalities being the consequence of factors related to aging or neurodegeneration(such as impaired cerebral circulation) rather than genetic factors which predispose to early-onset bipolar disorders.

      • 한국 여성에서 우울증상과 혈당 조절의 연관성

        윤대현,박진호,박민정,신찬수,조상헌,오병희,Yoon, Dae-Hyun,Park, Jin-Ho,Park, Min-Jeong,Shin, Chan-Soo,Cho, Sang-Heon,Oh, Byung-Hee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6 정신신체의학 Vol.14 No.1

        연구목적 : 우울증상은 여성에게 흔하며 적절한 혈당 조절은 당뇨병 치료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당뇨병 환자에서 우울증은 상대적으로 흔히 발견된다. 그러나 아직 우울증과 혈당조절의 상호관계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 본 연구는 한국 여성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과 우울증상 사이의 상호관계를 평가하려 한다. 방법: 여성 당뇨병 환자 216명을 포함한 연구 대상자 4,567명을 대상으로 Beck 우울 척도와 장기 혈당조절 지표인 $HbA_{1c}$ 수치를 측정하여 우울증과 혈당조절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공복 혈당 수치와 비만도 지표인 체질량지수도 함께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임상적으로 우울증을 의심할 수 있는 분할점은 16점으로 하였다. 결과: 당뇨병 보유 여성군에서 우울 여성군이 유의미하게 많았고(P<0.001), Beck우울 척도 평균치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우울 여성군에서 $HbA_{1c}$, 평균치 (p<0.01)와 공복 혈당 평균치 (p<0.05)가 유의미하게 높았고, 혈당 조절의 장애가 심할 수록 우울 여성군의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01). 결론: 본 연구는 한국 여성에서 우울증상과 당뇨병 및 혈당 조절간 연관성이 존재함을 지지하는 결과를 보였다. 향후 종적 연구를 통한 우울장애와 당뇨병간 상호작용에 대한 원인-결과론적 이해가 요구된다. Backgrounds : Depression has been prevalent in women and maintaining optimal glycemic control is an important goal of diabetes management. Although depression is common in adults with diabetes, its relationship to glycemic control remains unclear, espacilly in Korean women.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depressive symptomatology with glycemic control in Korean women. Methods :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HbA_{1c}$ as an index of long-term glycemic control, fasting glucose level and body mass index (BMI) were measured in sample of 4,567 women of whom 4.7%, 216 women had diabet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glycemic control was analyzed. BDI Scores of 16 and above is a cut off point to indicate possible clinical depression. Results The frequency of depressed women (p<0.001) and the mean score of BDI (p<0.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diabetic women. The mean level of $HbA_{1c}$ (p<0.01) and fasting glucose (p<0.05) were higher in depressed women. There was a graded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ntile of depressed women and a degree of glycemic control impairment (p=0.001). Conclusion : The current study found the relationship of depressive symptomatology with glycemic control in Korean women. This relationship may be mediated by decreased self-care behaviors or by neurobiological dysregulation. Improving identification and treatment of depression in women with diabetes might have favorable effects on diabetic outcomes.

      • 한국 여성에서 비만과 우울증의 연관성

        윤대현,박진호,이철민,신찬수,조상헌,오병희,Yoon, Dae-Hyun,Park, Jin-Ho,Lee, Cheol-Min,Shin, Chan-Soo,Cho, Sang-Heon,Oh, Byung-Hee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7 정신신체의학 Vol.15 No.1

        연구목적 : 비만과 우울증은 모두 심각한 공공 의료 문제이고 특히 주된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이다. 비만과 우울증 상에 관한 해외 연구는, 일정한 결론은 아니나, 여러 연구에서 연관성 존재를 보고하고 있고 특히 일부 연구는 여성에서 그 연관 정도가 큼을 보고 한 바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여성에서 있어 비만, 특히 복부비만과 우울증상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여성 연구 대상자 4,609명을 대상으로 Beck 우울 척도 및 체계측을 시행한 결과를 이용 우울증상과 비만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비만도는 체질량지수로 정하였으며 체질량지수 $25kg/m^2$ 이상을 비만으로 하였고 복부비만은 허리둘레 85cm 이상으로 정의하였다. 임상적으로 우울증을 의심할 수 있는 Beck 우울척도 분할점은 16점으로 하였다. 결과: 정상 체중군에 비해 비만 여성군에서 우울 여성의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았고(27.6% VS. 23.2%, p<0.01), 복부 비만 여성에서도 우울 여성군의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26.9% VS. 22.7%, p<0.01), 비만 여성군 중 우울 여성에서 복부 비만 가진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93.2% VS. 86.9%, p<0.01).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여성에서 비만, 특히 복부비만과 우울증간 연관성이 존재함을 보였고 향후 전향적 연구를 통한 비만과 우울증간 상호 역할에 대한 적극적 이해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Backgrounds: Obesity and depression are serious health problem and also constitut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Some studies found an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higher rates of depression in women but not in men.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obesity, especially central obesity in Korean women. Methods : The participants were 4,609 Korean women aged 20-85 years. Each individual was assessed for the presence of obesity and central obesity using the criteria suggested by WPRO(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the Western Pacific). Depressive symptomatology was measured by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Results : In obese women, rate of depressed women i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normal group(27.6% VS. 23.2%, p<0.01). The rates of depressed women is higher in women who had central obesity(26.9% VS. 22.7%, p<0.01). Depressed women had higher rates of central obesity(93.2% VS.86.9%, p<0.01). Conclusion Our findings show obesity especially central obesity is associated with depressed women and suggests that further investigation for interaction between depression and obesity is needed.

      • KCI등재

        예비 특수체육지도자가 경험하는 서비스-러닝에 관한 주관적 의미 탐색

        윤대현,이재환 한국특수체육학회 2023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31 No.3

        이 연구는 예비 특수체육지도자가 서비스-러닝을 통해 경험하는 주관적 의미를 탐색하여 서비스-러닝 활용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Q방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예비 특수체육지도자 2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고 문헌연구를 통해 총 107개의 Q모집단(진술문)을 구축한 후 특수체육전문가와 면담을 실시하여 총 38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다. 둘째, P표본은 2학년 남 6명, 여 6명, 3학년 남 6명, 여 6명, 4학년 남 6명, 여 6명으로 전체 36명으로 선정하였다. 셋째, P표본에게 최종 선정된 38개의 Q표본과 Q분류판을 주어 주관적 판단에 의해 분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가장 동의하는 진술문과 가장 비동의하는 진술문을 선택한 이유에 대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분류한 결과를 QUANL PC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주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1유형 현장경험 중시형은 21명의 P표본으로 구성되어 있는 유형으로 서비스-러닝을 통해 현장에서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경험과 학습을 중요시 여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2유형 교육 요구형은 8명의 P표본으로 구성되어 있는 유형으로 아동 정보, 부모님과 상담하는 방법, 지도 방법 등 서비스-러닝을 준비하고 실행하면서 필요한 지식들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3유형 전공역량 성찰형은 7명의 P표본이 구성되어 있는 유형으로 아동이 낮은 운동수행능력을 가지고 있거나, 의사소통이 되지 않고 수업을 거부하는 등 문제행동에 대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3가지 유형 모두가 ‘아동이 성장하는 모습을 보며 뿌듯함을 느끼고’, ‘장애인을 직접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기회가 좋았다는 것’에 적극적으로 동의를 나타냈다. 반면, ‘내가 맡은 아동이 다른 아동들보다 수행 수준이 떨어진 것이 나의 무능함 때문인 것 같다’, ‘장애아동의 비위생적인 행동, 학부모와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느꼈다는’ 것에 적극적으로 비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제언은 후속 연구에서는 서비스-러닝에 대한 교육, 상담 및 지도 방법 등 현장 중심의 교육을 보완한 서비스-러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subjective meanings of what pre-service adapted physical activity instructors feel during their service-learning experiences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thus providing basic data for service-learning utilization.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employed the Q methodology to move forward the study: first, the study selected a total of 38 Q samples after conducting an in-depth interview with 23 pre-service adapted physical activity instructors, building a Q population(statements) of 107 in total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having an interview with adapted physical activity experts; second, the subjects(P samples) included six men and women each in the sophomore year, six men and women each in the junior year, and six men and women each in the senior year, who totaled 36; third, the P samples were provided with the final selection of 38 Q samples and the Q classification plate to classify according to their subjective judgments. In an interview, they gave reasons for choosing statements that they agreed and disagreed with most; and lastly, a ke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of the classification results with the QUANL PC program. The finding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ype 1 of emphasis on field experiences included 21 P samples, who valued positive experiences and learning that they could have on-site through service-learning; second, Type 2 of educational demand included eight P samples, who felt a need for education on the knowledge they would need to prepare and implement service-learning including children's information, counseling methods with parents, and instructional methods; third, Type 3 of self-examination into major competence included seven P samples, who had difficulties with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including low performance in exercise, absence of communication, and rejection of lessons; and finally, all of the three types actively agreed with "I feel great about how the child is growing" and "I loved the chance to instruct children with disabilities first-hand" and actively disagreed with "I feel like it is due to my incompetence that my students have a lower performance level than other students" and "I had difficulties with the unhygienic ac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relations with parents.”In subsequent studie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develop and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service-learning programs that complement field-oriented education such as education, counseling, and guidance methods for service-learni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