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VID-19에 따른 체육교사 간 온라인 수업 운영 차이 분석

        유은혜,조건상,양동석,권용철,Yoo, Eun-Hye,Cho, Gun-Sang,Yang, Dong-Suk,Kwon, Yong-Chul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체육 수업을 위한 초·중·고교 체육교사 간 온라인 수업 운영의 차이와 온라인 교육의 개선점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체육교과연구회에 소속 된 166 명의 체육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교차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개학을 시작으로 성별에 차이가 없었다. 둘째, 고용 유형에 따라 온라인 체육 수업의 방법과 동기에 차이가 있었고 개선에는 차이가 없었다. 셋째, 교직 경력에 따라 온라인 체육 수업 동기에 큰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체육 수업을 위한 교육 및 교사의 적응 및 개선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the teaching method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for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he improvement of online education. To this end, an onlin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166 physical education teachers belonging to the Busan Metropolitan Physical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community, and cross-analysis were conducted. There 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gender, starting with online school.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method sand motivation so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according to the type of employmen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improvement. Thir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tivation for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according to the teaching career.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expected that various efforts will be needed to promote the adaptation and improvement of education and teachers for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 KCI등재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학생의 창작무용수업을 통한 Kolb학습유형에 따른 창의적 마인드셋 및 공연자신감에 대한 관계

        유은혜(EunHye Yoo),조건상(GunSang Cho),권용철(YongChul Kwo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1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6개 도시의 예술고등학교 무용과 학생들의 Kolb 학습유형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창의적 마인드셋과 공연자신감에 대한 영향 분석을 이해하고 향후 관련 연구 수행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 6 개 도시의 예술고등학교 무용과 남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하였으며 총 260명의 자료를 수집하고 이 중 불성실한 답변 11부를 제외한 249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은 SPSS 25.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일원변량분산분석,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작 무용 수업에서 학습유형에 따른 창의적 마인드셋의 하위요인인 창의적 고정 마인드셋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 둘째, 무용전공 학생의 창의적 마인드셋의 하위요인인 창의적 고정 마인드셋과 창의적 성장 마인드셋은 공연자신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및 논의를 바탕으로 예술고등학교 무용과 고등학생들의 창작 무용수업 및 창작 발표회 실력향상을 돕고자하였다. 따라서 수업 방안 개선 및 학생들의 학습 유형에 따른 개인 역량 향상에 대한 연구탐색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ypes of Kolb learning of dance students at art high schools in six cities in Korea, to understand the impact of creative mindsets and performance confidence, and to derive implications necessary for future research. To this end, a total of 260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dance department of art high schools in six cities nationwide were collected and used based on 249 data, excluding 11 unfaithful answers. As for the research method,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univariate variance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to derive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factors except the creative fixed mind set, which is a sub-factor of the creative mind set according to the learning type in the creative dance class. Second, it was found that creative fixed mindsets and creative growth mindsets, which are sub-factors of creative mindsets of students majoring in dance, had a positive (+) effect on performance confidenc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nd discussions, it was intended to help high school students in dance department of art high school improve their creative dance classes and creative presentation skills. Therefore, the necessity of research exploration on improving class plans and improving individual competencies according to students" learning types was proposed.

      • KCI등재

        비서직종사자의 일과 생활의 균형(WLB)이 정서적 몰입, 직무몰입 및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유은혜(Yoo, Eun-Hye),김명옥(Kim, Myong Ok) 한국비서학회 2015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4 No.1

        근로자들은 일과 생활의 균형(WLB: work-life balance)으로 삶의 통제력을 확보하고, 조직에서는 신체적·정신적 에너지를 업무수행에 쏟을 수 있기에 집중, 몰입도가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 초기의 WLB 연구는 기혼여성의 가정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나, 현재 여성인력을 개발하기 위해 인적자원개발과 경영학적인 관점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증가하고 있다. 여성의 직업으로 인식되고 있는 비서직종사자들은 업무 특수성 때문에 WLB를 유지하기 힘들다고 논의되고 있지만, 이미 다양한 직업유형에서 WLB에 관한 연구가 선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비서직종사자의 WLB와 조직생활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서직종사자들의 WLB 수준을 측정하고, WLB 수준과 정서적 몰입, 직무 몰입, 그리고 주관적 경력성공과의 관계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현직비서 184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한 결과, 일-성장 균형에서만 뚜렷하게 정서적 몰입, 직무몰입과 주관적 경력성공(경력만족, 고용가능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가정 균형과 일-여가 균형은 다른 변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비서직종사자의 삶과 조직 및 개인의 경력에 있어 핵심적인 요소는 일-성장 균형임이 실증적으로 규명되었으며, 비서직종사자가 갖는 자기계발 및 성장욕구의 중요성과 경력성장에 대해서도 충분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 있다. Through work-life balance(WLB) employees have started gaining control over their lives and have been able to concentrate their physical/mental resources on work. Hereupon, organizations have become concerned with their employees’ such desire to improve their welfare and put emphasis on employees’ WLB in organizational administration, personnel affairs, and management. The initial researches on WLB mainly concentrated on issues of married women’s social and personal lives. However, office professionals, predominantly consisting of females, find it hard to maintain their WLB due to the special nature of the profession; despite a number of researches on WLB in various areas,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work done to figure out relationship between office professionals’ WLB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 WLB and dependent variables affective commitment, job commitment,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184 office professionals, and data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ork-growth balance clearly showed positive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job commitment,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career satisfaction and employ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work-family balance and work-leisure balance showed no meaningful effect on any other factors. This research empirically presents that work-growth balance is the essence for office professionals’ career life and suggests to tak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nto consideration when a strategic human resource development plan is prepared for office professionals.

      • KCI등재

        정보보호법의 전 세계적인 확산에 관한 연구

        유은혜(Eun Hye Yoo) 한국사회정책학회 2013 한국사회정책 Vol.20 No.3

        본 연구는 인터넷의 확산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이슈화되고 있는 정보보호법의 제정에 대한 사회적 조건을 연구한 논문이다. 기존 정보보호법에 관한 연구들이 주로 법학이나 행정학, 혹은 경제학 측면에서 정보보호법의 내용이나 정책적인 함의, 혹은 국가 간 상거래에 정보보호법이 끼치는 영향을 연구한 반면 정보보호법의 제정에 영향을 끼치는 사회적 조건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편이다. 본 연구는 정보인권의 측면에서 전 세계 정보보호법 제정의 확산 경향을 지적하고 이에 영향을 끼치는 국가의 내재적 변수와 외재적 변수의 효과를 분석했다. 1960년부터 2011년까지 총 117개국을 대상으로 각 국가의 정보보호법 제정 사건이 일어날 수 있는 확률을 사건사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인터넷의 확산과 국제인권레짐의 확산이 정보보호법 제정률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제적인 무역자유화나 한 국가의 내재적인 인권존중 수준, 기술발전 수준 등은 정보보호법 제정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effects of international and national factors on the legislation of data privacy law in 117 countries from 1960 to 2011. Previous research on data privacy law usually put its emphasis on the contents of data privacy law, legal interpretation of data privacy law or legal cases; yet it lacks academic approaches from human rights perspectives. This paper points out the diffusion of data privacy law in nation states and analyzes the effects of national international factors affecting the legislation of data privacy law using an event history analysis. It turns out that the increasing number of internet users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regime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likelihood of having data privacy law. Contrary to our hypotheses, FDI, internal human rights practices, and the level of high technology do not show any effects on the likelihood of having a data privacy law.

      • KCI우수등재

        언택트 시대 체육계 비정규직 청년 강사의 직무활동 탐색에 따른 정책 제언

        유은혜 ( Yoo Eunhye ),조건상 ( Cho Gunsang ) 한국체육학회 2021 한국체육학회지 Vol.60 No.1

        본 연구는 언택트 시대 국내 비정규직 스포츠 전공 청년 강사들의 직무활동을 탐색하고, 이에 따른 정책제언을 하고자 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체육계 비정규직 청년 강사 9명을 대상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면담과 심층 면담을 교차적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의 기본분석방법에 따라 구성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상생활의 어려움을 중심현상으로 볼 수 있었으며 인과적 상황은 제한적 실기 수업 진행, 스포츠 전공 온라인 실기 수업 방안 부족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맥락적 상황은 계속되는 실기현장의 멈춤과 실기수업 방향성을 잃게 된 것을 문제로 보았으며 직업에 대한 불안감, 수업을 하고자 하는 의지로 중재적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그러나 연구참여자들은 동료장학, 스포츠 전공에 대한 온라인 수업 시도, 새로운 수업 방안 제시의 상호작용전략을 구상하여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탐색 과정에서 결론적으로 언택트 수업의 가능성, 실기수업에 대한 생각 전환으로 일상회복 의지가 보였다. 이에 따른 정책 제언은 체육계 비정규직 고용안전을 위한 대책 수립, 온라인 실기 지도 중심의 직무교육컨텐츠 활성화, 위기를 기회로 만들 수 있는 온라인 실기수업환경 구축으로 세 가지의 제언으로 두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에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job activities of youth instructors majoring in non-regular sports in Korea during the Untact era and to make policy suggestions accordingly. Participants in the study cross-referenced FGI (Focus Group Interview) interview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nine non-regular youth instructors in the sports world. As a result, the collected data were organized in accordance with the basic analysis method of the theory of evidenc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difficulties of daily life could be seen as a central phenomenon, and causal situations were found to be limited in the course of practical classes and lack of online practical classes for sports majors. Accordingly, the contextual situation was viewed as a problem that the continuous suspension of the practice site and the direction of the practical classes were lost, and the job insecurity and willingness to take classes were placed in a mediating situation. However, participants wanted to supplement their interaction strategies of peer scholarship, online class attempts for sports majors, and presenting new class plans. In the course of this search, the possibility of untect classes and the change of thinking about practical classes showed the willingness to restore daily life. The policy suggestions are based on three suggestions: establishing measures for the employment safety of non-regular workers in the sports community, revitalizing job education contents centered on online practical skills guidance, and establishing an online practical class environment that can turn crisis into an opportunity, and we hope that this will help follow-up research.

      • KCI우수등재

        스포츠 스타-팬 SNS상호작용 역할

        유은혜 ( Eunhye Yoo ) 한국체육학회 2021 한국체육학회지 Vol.60 No.4

        현대사회에서 SNS에 대한 관심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최근에 들어서 스포츠 스타-팬의 상호작용은 SNS의 등장으로 인해 더욱 용이해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NS상호작용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 SNS의 상호작용이 스포츠 스타와 팬에게 있어 어떠한 역할을 하고, 이가 갖는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스포츠 스타-팬의 SNS상호작용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온라인 민속지 연구인 ‘네트노그라피’를 통해 게시물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스포츠 스타-팬의 SNS 상호작용은 크게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으로 드러났다. 긍정적인 면에서는 ‘관계촉진’, ‘익명성으로 인한 소통’, ‘새로운 지지감 형성’이 드러나 SNS에서 스포츠 스타, 팬에게 있어서 보다 친밀하고 용이한 상호작용이 가능하게 되었고, 부정적인 면에서는 ‘계정의 휘발성’가 드러났다. SNS를 사용하면서 게시물의 삭제 및 계정 삭제로 인한 관계의 휘발성에 대한 두려운 감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스포츠 스타-팬 SNS상호작용의 역할에 대해 고려해 볼 때 SNS에서 상호작용의 이점을 통해 보다 긍정적인 스포츠 스타와 팬의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Interest in SNS is increasing in modern society. Recently, sports star-fan interaction has become more accessible due to the advent of SNS. Therefore, this study explored to learn about the meaning of SNS interaction and its role for sports stars and fans. In response, this study analyzed the posts through the “Netnography” to find out the meaning of SNS interactions between sports stars and fans. As a result, the meaning of social media interaction between sports star-fans turned out to be largely positive and negative. On the positive side, “promoting relationships,” “communication due to anonymity,” and “building new support” were revealed, enabling closer and easier interaction for sports stars and fans on SNS, and “volatility of accounts” on the negative side. While using SNS, there was a fear of the relationship’s volatility caused by the deletion of posts and account deletion. Considering the role of sports star-fan SNS interaction through this study, the benefits of interaction on SNS provide a foundation for building a more positive sports star-fan relationship.

      • KCI등재

        한국인의 동성혼에 대한 인식 연구 : 개신교의 역할과 생존 vs. 자기표현가치를 중심으로

        유은혜(Eunhye Yoo)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1 현상과 인식 Vol.45 No.1

        본 연구는 2016년 한국종합사회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한국인들의 동성혼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들의 경우, 주로 종교의 역할, 혹은 종교성의 역할에 강조점을 둔 연구가 많았고, 한국의 경우 동성애 혐오 담론을 소비/생산하고 있는 개신교의 특수성으로 인해 개신교의 역할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본 연구는 개신교를 포함한 한국의 다양한 종교와 종교성이 한국인의 동성혼에 대한 인식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살펴보고, 기존의 개인의 가치들 중 아직 연구되지 않은 생존 vs. 자기표현 가치의 영향력도 포함시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한국의 경우 개신교와 종교집회 참석빈도수의 상호작용이 존재하며 개신교도들 중 종교집회에 자주 참석하는 사람들일수록 동성혼에 대해 비개신교도들보다 더 높은 수준의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생존 vs. 자기표현가치의 인덱스 변수를 통한 분석에서도 생존 가치를 중요하시는 사람일수록 동성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견지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This study examine individual level variables affecting the Korean’s attitudes towards homosexual marriage using 2016 KGSS (Korean General Survey Data 2016) dataset. Previous research on individual attitudes toward same-sex marriage emphasizes the role of religion and religiosity as important factors determining individual attitudes towards homosexuality. Also scholars point out that individuals’ attitudes on authority, gender roles, and survival vs. self expression values are relevant in influencing individuals’ attitudes towards homosexuality. Combining these factors altogether,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role of religion and survival-self expression values in Korean’s attitudes towards homosexuals. The findings suggests that Korean protestants are more negative towards same-sex marriage than non-protestants and this gap widens as protestants’ visits to religious gatherings more. In addition, individuals who values more survival values-economic security, obedience to authority than self-expression values tend to hold negative values on same-sex marriag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uture research needs to analyze discourses against homosexuality in South Korean churches and to investigate how individual perceptions on survival vs. self-expression values can change their attitudes toward minorities including homosexuals.

      • KCI등재후보

        인권교육, 사회자본과 아동 · 청소년의 차별경험에 관한 연구

        유은혜(Eunhye Yoo)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사회과학논총 Vol.21 No.2

        본 연구는 2015년 아동 · 청소년인권실태조사에서 추출된 5,454명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아동 · 청소년들의 차별가해-피해경험(성차별가해-피해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 · 사회학적 변수, 인권교육 · 지식 · 도움에 대한 접근성, 그리고 사회자본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권교육의 횟수와 인권도움에 대한 접근성의 여부는 아동 · 청소년들의 차별가해-피해경험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인권지식의 경우 차별가해경험(성차별가해경험 포함)을 줄이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자본 변수의 경우, 아동 · 청소년들의 동아리나 청소년단체 가입 여부는 차별가해-피해경험에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 그러나 고민을 상담할 사람이 있는가의 여부는 차별가해경험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차별피해경험을 감소시키는 이중적인 효과를 보여주었다. 고민 상담자의 대상을 범주화시킨 변수를 분석에 포함시킨 결과, 신뢰할만한 사회 네트워크의 존재는 네트워크를 맺는 대상이 누군가에 따라 차별가해-피해경험에 다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본 연구는 성차별가해-피해경험과 중학생 이상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개별적으로 분석을 실시하여 기존 차별가해-피해경험의 연구를 보다 확장시키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인권교육 정책과 아동 · 청소년들의 사회자본 연구에 유용한 제언을 제시한다. Using the 2015 children and youth human rights survey of Korea National Policy Institute data of 5,454 individuals, I ran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s for analyzing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factors, human rights education, knowledge, access to human rights support resources, and social capital on their acts of discrimination and experiences of being discrimina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number of human rights education and the availability of human rights support resources do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however, the more knowledge on human rights individuals have, the less they got discriminated. For social capital factors, whether they have memberships to activity groups or any youth groups do not affect their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Yet, there is a dual effect of social capital. If someone has a meaningful advice-seeking relationship to their peer groups, he or she has more chance to discriminate and, at the same time, has less chance to be discriminated. This suggests that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discrimination can differ by its social capital types and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esults, I offer several suggestions for human rights education polic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 KCI등재

        온라인 상 사생활 침해와 과학,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위험 인식에 대한 연구

        유은혜(Yoo, Eun Hye)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8 사회과학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2013년 한국사회종합조사에서 수집된 한국의 위험사회의 다양한 측면들 중 정보사회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두 가지 측면-사생활침해(CCTV, 도청, 몰래카메라 등에 의한)의 위험과 과학기술 및 정보통신기술의 위험(유전자 복제, 컴퓨터 바이러스, 온라인 상의 개인정보 유출)-을 중심으로 개인들이 가지고 있는 위험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정부 대처, 사회 취약성, 본인 발생 가능성, 사회 노출이라는 4가지 측면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개인의 위험인식에 있어 인구학적인 변수 외에도 개인들의 제도에 대한 신뢰 변수가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전제하에 일반화된 신뢰, 정부에 대한 신뢰, 여론기관에 대한 신뢰가 개개인의 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구학적 변수 중에서는 세대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정부에 대한 신뢰와 여론기관에 대한 신뢰는 사생활 침해,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의 위험 인식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ased on 2013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this study analyzes two dimensions of information society: invasion of privacy(CCTV, wiretapping, micro spycamera) and risks of science/information technology(DNA replication, computer virus, hacking, online privacy invasion). By categorizing how individuals recognize the risks of invisions of privacy and science/information technology, this analysis explores the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s of generalized, government and media trust on individuals’ recognition of risks. As a result, this study shows that the effects of cohorts are significant in rethinking indivdiuals recognitions of societal risks. Government trust and media trust are not significant in recognizing risks of privacy invasion and science/information technology.

      • KCI등재

        코로나19 전후 한국인의 법의식 변화 비교: 법에 대한 당위성과 기본권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유은혜(Eunhye Yoo)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法學論叢 Vol.59 No.-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대표되는 사회적 사건이 개인의 법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특히 기본권 침해의 문제에 있어 코로나19가 개인의 법의식 변화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법의 공정성과 개인의 사생활 보호와 같은 변수를 중심으로, 통계적 방법론을 사용하여 법의식의 변화를 조사했다. 결과적으로, 법의 당위성 인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개인의 준법수준, 거주지역의 규모, 직업군 차이였다. 특히, 코로나19는 대도시 거주민들과 비교하여 중소도시 거주민들의 기본권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직업군별로도 법의식에 차이가 나타났다. 본 논문은 국가의 재난 관리와 인권침해 문제를 다루면서, 사회적 사건이 법의식에 미치는 장기적인 변화를 추적하는 것이 정책 입안과 인권 보호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impact of social events like COVID-19 on individuals legal consciousness, particularly examining the role of fundamental rights infringements in these changes. COVID-19 has affected individual rights such as freedom of movement, privacy, and health rights, leading to shifts in legal consciousness. Centering on themes like the fairness of the law and individual privacy protection, the study employs statistical methodologies to investigate changes in legal consciousness. Results indicate that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the normativity of law were the individuals level of law-abiding behavior, the size of the residential area, and occupational differences. Notably, COVID-19 negatively influenced the perception of fundamental rights among residents of smaller cities compared to those in larger cities, and differences in legal consciousness were also observed among different occupational groups. This paper suggests that tracking the long-term changes in legal consciousness due to social events can aid policy-making and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while addressing issues of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and human rights infring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