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갑상선 양성 낭종의 초음파 유도하 에탄올 주입술의 유용성

        유영신,유민아,안정현,안미섭,박원식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 2011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지 Vol.2 No.1

        목적 : 양성결절 중 종괴효과로 통증이나 기도압박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수술요법 시 미용적인 문제와 함께 재발할 수 있는 점, 지속적으로 갑상선호르몬을 투여해야 하는 점 등이 문제가 될 수 있어 그 대체요법으로 에탄올 치료가 시행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에탄올치료에 적응되는 결절의 특징을 알아보고 시술 전, 후 크기 및 부피를 비교하여 에탄올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09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양성 낭결절로 진단 받은 후 에탄올 치료를 시행한 3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초음파적 특징 및 크기를 측정하였고, 에탄올 치료 시 낭성결절의 배액량과 주입량을 비교하였다. 측정된 크기로 부피를 계산하여 에탄올 치료 전,후의 부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전체 환자 36명 중 남자는 6명(16%), 여자는 30명(84%), 평균연령은 42.58세이었다. 에탄올 치료가 1회 시행된 경우는 33명(92%), 2회는 3명(8%)이었다. 에탄올 치료 전 장축, 단축, 높이의 평균은 3.0, 2.09. 3.59㎝으로 부피는 약 13.95±8.26㎖로 측정되었다. 치료 후 평균 1.91, 1.28, 2.65㎝으로 부피는 4.53±3.30ml 로 약 65%의 부피감소율을 보였다. 전체 환자의 치료성적을 부피감소율에 따라 판정하였을 때 90% 이상의 부피감소는 5명 (13%), 70~89%의 감소는 12명(33%), 50~69%의 감소는 8명(22%), 50% 미만의 감소는 8명(22%)이었다. 병변의 배 액량은 1~33㎖ 로 평균 10.22±7.26㎖ 이었으며, 에탄올 주입량은 0.8~6.5±1.15㎖로 평균 3.07㎖로 배액량에 대한 주입량은 51.25%로 나타났다. 결론 : 갑상선 양성 낭종에서 에탄올 주입 시 낭종 내 격벽이 있는 환자의 경우 제한이 있지만, 대부분의 환자의 크기 및 부피가 크게 감소함으로 에탄올 치료는 그 유용성이 크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또한 환자로 하여금 간단한 시술에 비하여 큰 만족도를 얻을 수 있어 큰 장점을 가지고 있기에 효과적인 치료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에탄올 주입술에 대해 재발의 유무에 대해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지 못한 부분이 있으므로 앞으로도 더 많은 연구가 필요 할 것이다.

      • KCI등재

        우리나라 사물인터넷 산업의 경쟁력 분석과 시사점

        유영신,주혜영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8 전자무역연구 Vol.16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evaluation model to evaluate the competitiveness of the Internet of Things (IoT) industry in Korea and to assess the competitiveness of the IoT industry based on the evaluation model. Composition/Logic: Chapter 1 introduces the purpose and background of the study.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hapter 2, we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Internet of things. In Chapter 3, we reviewed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evaluation model and developed a research model for AHP analysis. In Chapter 4, AHP analysis was applied to evaluate the importance of the IoT industry and set priorities. The conclusions of Chapter 5 are summarized and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re discussed. Findings: From AHP analysis, we was able to confirm that ICT related and support industries factor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erms of importance of higher level factors, so it is crucial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IoT industries and ICT industries. In the lower level of each factor, we could find that R&D factor is a key factor in production requirements importance, consumer factors in the importance of demand conditions, technology competitiveness in the ICT industry in the related and supporting industries factor, and business performance factors in the corporate strategy, structure and compet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ignificance of the determinants of 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IoT industry, the technical competitiveness of the ICT industry, consumer and domestic market factors are the most important 3factors for enhancing competitiveness of the IoT industry. Originality/Value: The research originality is recognized in that it constructs the empirical model based on the Porter’s diamond model which is famous for analysis of industry competitiveness. And then, the study reveals important factors in the Korean IoT industry using AHP analysis. This study provides what resources to put in order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IoT industry.

      • KCI등재

        유방조직등가 팬텀을 이용한 디지털유방촬영장치의 FFDM과 DBT의 선량과 영상품질에 대한 융합 연구

        유영신,한동균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2

        본 연구는 디지털 유방촬영장치의 DBT(Digital Breast Tomosynthesis)와 FFDM(Full Field DigitalMammography)의 비교를 위해 유방조직등가팬텀을 이용하여 두께와 밀도를 변화시켜 선량 및 화질을 평가하여 DBT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측정 결과 평균유선선량은 팬텀 두께 6 ㎝이상·밀도 70% 이상일 때, 두께 7 ㎝이상·밀도 50% 이상일 때 FFDM 보다 DBT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영상 측정 결과, 섬유소는 DBT에서 우수하다고 측정 되었고, 작은 석회화 그룹과 종양에서는 FFDM 이 우수하였다. 유방의 복잡한 조직과 유사한 BR3D 팬텀에서는 모든 두께와 섬유소, 석회화 및 종양 그룹 모두 DBT 가 우수하다고 측정 되었다. DBT는 FFDM보다밀도가 높고 두께가 두꺼운 두께가 두껍고 밀도가 높은 유방에서 영상 품질 우수하고 낮은 선량을 제공함으로서, 한국 여성의 많은 분포를 차지하는 치밀유방에 더 유용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In this study, we measure dose against various density and thickness using phantom to compare FFDM to DBT of Digital mammography equipment and evaluate usefulness of DBT through compare the image quality of FFDM and DBT. We use mammography equipment, Selenia Dimensions ; this is able to examine breast by both FFDM and DBT, The results are that when the thickness of phantom is 6cm or more and density is 70% or more and the thickness of phantom is 7cm or more and density is 50% or more, AGD of DBT is lower than that of FFDM. The evaluation results of image quality are that in the tumor and small calcification group that composed by mammary tissue and fat, FFDM is great and in fibrin, DBT is great. But in the all thicknesses of BR3D phantom that reflected overlapped tissue of breasts, DBT is great in calcification group, fibrin and tumor. DBT is greater image quality and lower dose more than FFDM in Thick and high density breast, Therefore, DBT is more useful in Korean women’s breast that is characterized dense breast than FFDM.

      • A simple proficient method for targeted genome editing in Escherichia coli

        유영신,( Chandran Sathesh-prabu ),김경철,이성국 한국공업화학회 2015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5 No.0

        The ability to precisely and seamlessly modify the targeted genome is needed for metabolic engineering and synthetic biology aiming to create potent bio-systems. Here, we report a promising method in Escherichia coli developed by combining short single stranded DNA (oligos)- or long double stranded DNA-mediated genome editing and TetA dual selection system. This method could be successfully and rapidly used for targeted genome engineering including deletions, insertions, replacement and point mutation without the inactivation of methyl-directed mismatch repair (MMR) system and plasmid cloning. It was observed that even single recombination event was sufficient to get the positive genome edited mutants with the efficiencies of over 90% (insertion) or 70% (replacement/deletion) by the optimized selection process on NiCl2.

      • KCI등재

        텍스트 기반 AAC 중재가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자소 인식과 낱말 재인에 미치는 영향

        유영신,이영선,연석정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7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텍스트 기반 AAC 중재를 실시하여 자소 인식과 낱말 재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방법: 본 연구는 대상자 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적용하여 구어 표현이 제한된 6세 이상의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3명을 대상으로 텍스트 기반 AAC 중재를 실시하였다.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에서의 자소 인식 능력과 낱말 재인 능력의 살펴보았다. 결과: 본 연구결과 텍스트 기반 AAC 중재는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자소 인식 능력과 낱말 재인 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자소 인식 능력과 낱말 재인 능력은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초기 문해력 발달에 중요한 기초 능력이다. 다양한 시각적 체계를 사용한 텍스트기반 AAC 중재는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초기 문해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구어 표현이 제한되더라도 텍스트 기반 AAC 체계 활용을 통해서 그림상징에서 텍스트 상징으로 확장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 3차원 입체 디스플레이 기술동향 및 시장전망

        유영신,Yu, Y.S.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1 전자통신동향분석 Vol.16 No.6

        차원 입체 디스플레이는 시각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전달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자로 하여금 3차원적으로 인식하게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이는 현재 상용화가 진행중인 HDTV와 함께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되었고, 이에 따르는 의료, 광고, 방송, 군사, 영화 등 인접산업으로의 폭넓은 파급효과가 기대되어 일본, 미국, 유럽 등을 중심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3차원 입체 디스플레이의 국내외 기술개발과 시장 동향을 통해, 국내 업계가 관련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주력해야 할 분야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 정보통신산업의 지속가능성장 역량분석과 시사점

        유영신(Young-Shin Yu),주혜영(Hye-Young Joo)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3 전자무역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수출에 많은 기여하고 있는 정보통신산업의 지속가능성장 역량을 측정하고 정책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정보통신산업은 기술적, 환경적 니즈의 변화가 심하여 시장 예측의 불확실성이 크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IT산업의 불확실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경쟁력 유지와 육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책적 고려가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실증적 분석을 위해 8개 IT분야에 대해 관련 분야 전문가들로부터 설문을 수집하였으며 유효 표본은 189개이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IT산업에서 무형자원과 산업생태계 역량이 글로벌 경쟁기업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역량은 기업 경쟁력의 달성과 지속성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인 만큼 이러한 취약점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때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sustainable growth capacity of ICT Industry which contributes to increase exports of Korea and to propose policy directions for government to boost the industry. ICT industry has the feature that market uncertainty is high, not least because technological and environmental needs undergo a sharp change.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construct policy alternatives to control global ICT market uncertainties and to maintain its competitivenes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study collected 189 questionnaires focused on 8 IT industry sectors from related experts. The empirical study shows that intangible resources and industry eco system capability of Korean firms are lower than those of their global rivals. As these capabilities are critical factors for companies to achieve corporate competitiveness and to sustain their market position, it is time for supplementing these weakness to improve its competitive power from strategic point of view.

      • KCI등재후보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문제행동의 관계

        유영신 ( Young Shin Yoo ),유연옥 ( Youn Oak Yu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5 열린부모교육연구 Vol.7 No.3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문제행동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 한 어린이집 8곳과 유치원 4곳의 만 5세 총 120명과 그들의 어머니이다.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문제행동 검사를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고,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기질 중 생리적 규칙성과 정서성이 유아의 문제행동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반응성은 남아와 유아 전체에서만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온정·격려와 한계설정은 유아의 문제행동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과보호·허용, 거부·방임은 유아의 문제행동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중 어머니의 과보호·허용은 유아의 문제행동과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거부·방임은 여아와 유아 전체에서만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남아와 여아의 문제행동에 가장 의미 있게 영향을 주는 요인은 어머니의 과보호·허용적인 양육행동이며, 추가적으로 여아의 경우에는 기질 중에서 생리적 규칙성, 정서성, 적응성이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의 문제행동을 예방하는 데 있어 바람직한 자녀양육을 위해 기초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young children``s temperament,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you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0 five-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from eight child centers and four kindergartens in D city. Data was collected utilizing tests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mother``s parenting behavior and K-CBCL. For data analysis,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hysiological regularity and emotionality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you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The reactivity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among boys and all you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Second, warm-hearted compassion/encouragement and restriction on certain activities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you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Third,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mong all young children``s behavior problems was overprotection/permission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 Additionally for girls, the significant factors were physiological regularity, emotionality, and adaptability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d to prevent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for parents.

      • KCI등재

        구개파열 아동과 정상 아동의 마찰음과 파찰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비교

        유영신(Young-Sin You),장승진(Seung-Jin Jang),백승재(Seung-Jae Baek),최예린(Yae-Lin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5

        소음에너지가 시작되는 주파수 즉, 선행 모음이 끝나는 지점을 절삭주파수라 한다. 본 연구는 구개파열 아동과 정상 아동을 대상으로 마찰음과 파찰음의 절삭주파수 값, 후행모음에 따른 절삭주파수 값, 절삭주파수와 비음 치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아동으로 구개파열 진단을 받고, 생활연령이 6세 이상인 아동, 생활연령과 성별을 일치시킨 6세 이상 정상 아동 각각 6명씩 총 12명이었다. 실험과제는 마찰음 및 파찰음의 무의미음절 환경과 문장 환경(50환경)으로 구성하였다. 구개파열 아동 집단은 정상 아동 집단에 비해 마찰음, 파찰음의 절삭주파수 값이 무의미음절 환경 및 문장 환경 모두에서 낮게 나타났다. 구개파열 아동과 정상 아동의 절삭주파수와 비음치 간 상관관계 연구 결과 정상 아동 집단에서는 무의미음절 환경과 문장 환경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구개파열 아동 집단에서는 문장 환경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The frequency in which noise energy is generated, that is, the point where the preceding vowel ends is the cut-off frequency. Thereupon,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correlations between, cut-off frequencies, cut-off frequencies changed by the following vowel, and cut-off frequencies and nasalance score, of fricatives and affricates with the subjects of children with the cleft palate and normal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otal 12 children resid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 Six are the children diagnosed to have the cleft palate and whose chronological age are more than six, and another six are the normal children who are also more than six and whose chronological age and sex correspond to those of the former. Each subject was presented with nonsyllable environment and sentence environment(50 environment) of fricatives and affricates. Regarding meaningless syllable environment and sentence environment of fricatives and affricates, children with the cleft palate had lower cut-off frequencies than normal children. As a result of comparative study on correlations between cut-off frequencies and nasalance score of children with the cleft palate and normal children, it doesn’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both meaningless syllable environment and sentence environment of normal children, but it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in sentence environment of children with the cleft pal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