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불교문화유산의 디지털콘텐츠화 현황과 전략 연구 : 디지털복원과정에서 디지털스토리텔링의 역할

        유동환 동국대학교 전자불전연구소 2006 전자불전 Vol.8 No.-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look at the influence of digital story-telling in the process of turning Buddhist cultural heritage into digital content. The Buddhist cultural heritage has been Korea’s national cultural archetype for 1,700 years. As is widely known, that heritage includes both the religious culture and the national culture at the same time. As fantasy genre using traditional culture as material become increasingly popular, the Buddhist cultural heritage has been put into the spotlight as a source of material and stories for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Nevertheless, due to regulations for the protection and preservation of the Buddhist cultural heritage, it is hard to utilize the cultural content. The process of rendering cultural heritage digital content is as follows. First, the information on cultural heritage that has been excavated and studied is digitized. Then the content is stored so it isavailable to be categorized, integrated and searched in a systematic way. Then, using information on humanitarian, social and art fields, the data is digitally restored. Finally, the data offers activities on a range of experiences, so Websurfers can experience the data as if traveling in a time machine. Thanks to this process, people can go beyond the usual digital technology and demand fancy stories and messages,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of the Buddhist cultural heritage. As a result, a 4-D Ride Film, a futuristic type of film that can best describe the cultural heritage, is coming into the spotlight.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4-D Ride Film for the Maitreya Hall in Geumsan Templeis presented step-by-step. In this process, we are looking at a variety of experiences that the interactive digital story-telling model can offer. 이 원고는 1700여 년 동안 민족 문화원형(cultural archetype)으로 자리 잡고 있는 ‘불교문화유산’의 디지털콘텐츠화 과정에서 디지털서사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는 글이다. 널리 알려진대로 불교문화유산은 종교문화인 동시에 전체 민족문화유산이기도 하다. 최근 전통문화를 소재로 한 환타지 콘텐츠가 붐을 이루면서 불교문화유산은 문화콘텐츠산업에 소재와 이야기를 제공하는 무궁무진한 문화자원으로 새롭게 주목받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불교문화유산은 보존정책에만 묶여 있어서 제대로 활용되어 콘텐츠화 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문화유산의 디지털콘텐화 과정은 다음과 같다. 그동안 널리 발굴, 연구된 문화유산 관련 지식정보를 디지타이징(digitizing)하고, 체계적으로 분류, 집적, 검색할 수 있도록 아카이빙(archiving)한 다음, 인문-사회-예술학적 지식정보를 활용하여 원형 디지털 복원(Digital Restorologing)하는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다양한 체험콘텐츠로 개발되어 타임머신 여행을 하는듯한 체험(experience) 단계에 이르게 된다. 이 과정에서 그동안 디지털기술에만 만족하였던 단계를 넘어서 불교문화유산 본래의 환상적인 이야기와 메시지를 요구하는 단계로 진화하게 되었다. 그 결과 문화유산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미래 영상(Future Film)인 4D Ride 영상(4D Ride Film)이 새롭게 각광 받게 되었다. 그리하여 불교문화유산인 ‘금산사 미륵전’을 소재로 하여 4D Ride 영상 시나리오가 개발되는 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쌍방향(interactive) 디지털서사(Digital Story-telling) 모델이 제공하는 다양한 체험의 가능성을 점검해 보았다.

      • 백서의 실험적 치아이동시 열충격 단백질의 발현

        유동환,김은철,김상철 원광대학교 생체재료·매식연구소 1997 원광생체재료·매식 Vol.6 No.1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xpression of heat shock protein in tooth and surrounding tissue during the experimental movement of rat incisors, by LSAB(labelled streptavidine bioti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heat shock protein. Twenty seven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a control group(3 rats), and 6 experimental groups(24 rats), to which 75g of force was applied from helical springs across the maxillary incisors. Rats of experimental groups were sacrificed at 0.5, 1, 4, 7, 14 and 28 days after force application, respectively. And the periodontal tissues of a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were studied immunohistochemical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control group, the expression of HSP47 was rare in gingiva, dentin and cementum, and mild in periodontal ligament and alveolar bone. But it was more evident than that of HSP70. 2. The expression of HSP47 or HSP70 was rare or mild in dentin, cementum and odontoblast of experimental group, regardless of the duration of force application, which was not different from experimental group, regardless of the duration of force application, which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control group. 3. In experimental group, the expression of HSP47 got to the highest degree in periodontal ligament and alveolar bone at 4 days after force application, and then decreased. And the expression was more evident in the pressure side than in the tension side of periodontal ligament 4. The expression of HSP70 began to increase at 12 hours after force application and got to the highest degree at 4 days, in the capillary of pulp and periodontal ligament. And the expression was more evident in the pressure side than in the tension side of periodontal ligament 5. The expression of HSP70 in alveolar bone of experimental group was rare, which was similar to that of control group.

      • KCI등재

        기독교 인물기념관 내 디지털미디어를 활용한 전시기법에 관한 연구

        유동환,이종길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7

        본 논문은 디지털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기독교 인물기념관의 전시기법에 관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두 가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기독교 인물기념관의 전시 현대화를 위한 시대의 흐름인 디지털미디어의 도입이다. 디지털미디어는 체험형 전시로 정적이고 고정적인 전시로 인해 관람객의 전시 정보 제한의 한계를 벗어날 수 있으며 실감 미디어인 VR, AR, MR과 시대의 흐름인 AI인공지능을 활용한 디지털 휴먼을 통해 과거를 경험하고 인물의 서사를 경험하게 함으로써 인물의 정신세계와 신앙관, 그리고 그의 삶에 나타난 그리스도의 정신을 경험하는 과정을 통해 기독교 세계관 배양 및 신앙의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본 논문이 추구하고자 하는 목적은 기독교 인물기념관의 신학적 정의를 내리고 기념관 전시기법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제시를 통해 기독교 신앙의 전승과 보전, 보존을 위해 그리고 인물이 남긴 발자취를 통해 신앙의 고취를 위한 방편으로 세우고자 한다. 기독교 인물기념관은 한 인물을 조명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역사 속에서 기독교가 어떤 발자취를 남겼는지를 보여주는 장소로서 온전한 역할을 담당하는 기독교 문화의 또 다른 콘텐츠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선 학문적 관심과 신학적 접근이 좀 더, 활성화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연구와 더불어 한국 기독교 역사에 남겨진 인물을 조명함으로써 기독교인에게는 신앙 고취의 장으로서 비기독교인에겐 기독교 전파의 장으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제안하고자 한다. 두 가지 제안을 통해 종교적 친근감을 도모하고 기독교 인물이 보여준 신앙의 자세를 디지털에 익숙한 이들에게 보여줌으로써 신앙에 대한 교육적 접근과 신앙적 도전을 갖도록 유도고 기독교의 관심에서 벗어나 있는 기독교 인물기념관이 갖는 기독교 역사성과 공동체 아카이브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첫 단추를 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디지털미디어를 통해 제한적 전시, 유물이나 유품 위주의 전시에서 벗어나 인물이 보여준 신앙적, 철학적, 정신적 산물을 디지털미디어를 통해 전시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SCOPUSSCIEKCI등재

        백서의 실험적 치아이동시 열충격 단백의 발현

        유동환,김은철,김상철 대한치과교정학회 2001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1 No.2

        치주인대가 외과적 혹은 병리적으로 손상을 입은 후 재생이나 수복을 위해 체계화된 특정 단백 성분이 합성되고 증식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바, 치주인대에서의 열충격 단백(heat shock Protein, HSP)의 발생과 역할에 대하여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염증 반응 및 치유 과정으로 여겨지고 있는 치아이동 및 그에 따른 치주조직 변화에서도 열충격 단백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견인력에 의한 치아이동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열충격단백의 발현 정도 및 분포 변화를 알아보고자, Sprague-Dawley계 백서 27마리를 대조군(3마리)과 실험군(24마리)으로 나누었으며, 실험군은 견인력 (75g)을 가한 후 12시간, 1일, 4일, 7일, 14일, 28일이 경과한 후 각각 4마리씩 희생시켜, HSP47, HSP70의 발현 정도 및 분포를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대조군의 HSP47의 발현은 HSP70보다 전반적으로 많았는데, 치은, 상아질, 백악질에서 경미하였지만, 치주인대와 치조골에서 약양성의 발현을 보였다. 2.실험군의 상아질,백악질,상아모세포에서의 HSP47, HSP70은 견인력 적용 기간에 관계없이 대조군과 큰 차이 없이 경미하거나 약양성의 발현을 보였다 3.실험군의 HSP47은 4일째의 치주인대 및 치조골에서 가장 많은 발현을 보였다가 이후 감소되었는데 전반적으로 견인측보다 압박측에서 많은 경향을 보였다. 4.HSP70의 발현은 교정력을 가한 12시간째부터 치수, 치주인대 내의 모세혈관 부위에서 증가하기 시작해 4일째에 가장 많았으며 견인측보다 압박측에서 많았다. 5.실험군의 치조골에서 HSP70의 발현은 대조군과 유사하게 경미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xpression of heat shock protein in tooth and surrounding tissue during the experimental movement of rat incisors, by LSAB(labelled streptavidine bioti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heat shock protein. Twenty seven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a control group(3 rats), and 6 experimental groups(24 rats), to which 75g of force was applied from helical springs across the maxillary incisors. Rats of experimental groups were sacrificed at 0.5, 1, 4, 7, 14 and 28 days after force application, respectively. And the periodontal tissues of a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s were studied immunohistochemical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In control group, the expression of HSP47 was rare in gingiva, dentin and cementum, and mild in periodontal ligament and alveolar bone. But it was more evident than that of HSP70. 2.The expression of HSP47 or HSP70 was rare or mild in dentin, cementum and odontoblast of experimental group, regardless of the duration of force application, which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control group. 3.In experimental group, the expression of HSP47 got to the highest degree in peridontal ligament and alveolar bone at 4 days, after force application, and then decreased. And the expression was more evident in the Pressure side than in the tension side of periodontal ligament. 4.The expression of HSP70 began to increase at 12 hours after force application and got to the highest degree at 4 days, in the capillary of pulp and Periodontal ligament. And the expression was more evident in the pressure tilde than in the tension side of periodontal ligament 5.The expression of HSP70 in alveolar bone of experimental group was rare, which was similar to that of control group.

      • KCI등재

        순천만국가정원의 장소성 구축을 위한 공간스토리텔링 연구 - 오래된 상상력을 체화(embodiment)하는 새로운 낙원

        유동환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6 南道文化硏究 Vol.0 No.31

        2013년 국제박람회를 마치고 난 뒤, 새롭게 개장한 순천만국가정원은 박람회 공간과 정원 공간이 가지고 있는 2가지 속성을 모두 가지고 탄생하다. 이제 이곳은 보다 많은 사람이 찾아오게 하는 집객력(ticket power)과 한 번 방문한 사람들이 다시 찾아오게 하는 재방문(repeater)을 하게 해야 하는 2가지 과제를 가지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 기 위해서 박람회와 정원 원형으로부터 발전한 테마파크의 집객력과 재방문 전략과 비교 하고, 그 핵심에 ‘공간적 상상력’과 ‘체화’라고 하는 매우 중요한 개념이 자리하고 있음을 논증하고자 한다. ‘공간적 상상력’은 인간이 공간을 경험할 때에 갖가지 상징과 의미 등 상상력과 연계 되며, 이는 신체를 통해서 내재화된 시나리오로 ‘체화’되어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리 고 이를 극대화 하는 것이 정원, 박람회, 테마파크와 같은 공간콘텐츠의 특징이다. 이러 한 체화의 과정을 심화시키는 과정은 장소를 주체적으로 자기화 하는 ‘테마설계(theme design)’단계를 거쳐, 오래된 장소기억을 통해서 새롭고도 익숙한 공간을 창조하는 ‘공 간디자인(space design)’의 단계로 발전하게 된다. 디즈니랜드의 마법왕국(magic kingdom)의 테마설계에 비해서 순천만국가정원을 관통하는 테마가 ‘치유(healing)와 느림(slow)’이라는 일반적인 정원의 주제에 멈추고 있는 점을 살펴 볼 수 있다. 또한 테마를 현실화 하는 공간디자인에서 디즈니랜드가 중앙광장을 갖고 있는 중세고성의 형식을 계승한 것과 달리, 순천만국가정원은 한 방향 으로만 움직이는 ‘끊어진 루프(loop)’구조에 각국 정원문화를 보여주지 못하는 외관모습 등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많이 보인다. 이렇게 순천만국가정원은 단순히 정원이 아니라, 엑스포를 치른 현대적인 공간콘텐츠이다. 방문자들이 오래된 상상력을 자기화 하는 ‘체 화(embodiment)’의 과정을 통해서 순천만국가정원의 장소성을 충분히 체감할 수 있도 록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After finishing the International Expo in 2013, the newly opened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was born with two attributes of fair and garden space. Now the challenge is to sell more tickets and get more people to attend these events. Also, there is a challenge to get people to come multiple times. To solve this problem, we compared the attractiveness of the theme park developed from the fair and the garden prototype and the return visit strategy. There is a very important concept called spatial imagination and embodiment at the core of these spaces. ‘Spatial imagination’ emphasizes that human beings connect imagination using various symbols and meanings when they experience space. This is embodied as an internalized scenario through the body. Maximizing this is characteristic of space contents like gardens, fairs, and theme parks. The process of intensifying embodiment happens through the ‘theme design’ phase where the place is subjectively magnetized, and the ‘space design’ stage, which creates a familiar space through the old place memory. As you can see from the theme design of Disneyland’s magic kingdom, you can compare that the themes that pass through the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stop on the theme of the general garden of ‘healing and slow’. In addition, unlike Disneyland with the medieval castle inside a central square, the space design of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has a “looped” structure that moves only in one direction. There are many areas that need improvement since it does not show the appearance of facades that show each nation’s culture. The theme and design principle of the unfamiliar and familiar space all maximize the experience through ‘embodiment’ in which the visitor’s body magnetizes the old imag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