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세기 중국과 대만 예술의 현대성 정황

        왕가치(王嘉驥) 한국미술연구소 2017 美術史論壇 Vol.- No.44

        Chinese artists in the early and mid 20th century argued that they should correct the problem of ‘xiěyì(寫意, arts freehand brushwork in traditional Chinese painting)’ focusing on ‘xíngsì(形似, likeliness in form)’ by taking the factual spirit of the western painting in order to modernize the Chinese painting. From the early 1920s, a word ‘guóhuà(國畵, Chinese painting)’ became to have a meaning of opposition to the western painting due to a strong chauvinistic idea. In 1930s, many artists turned their interest from oil painting to the study and creation activity of Chinese water and ink painting. It is connected to the ‘New Chinese Painting(新國畵)’ which the mainland Chinese government claimed in 1950s. The Nationalist Party government that retreated to Taiwan after the complete defect at the Chinese Civil War in late 1949 asserted themselves as the authenticity of the Chinese culture and exercised Fascism. Since 1950s, the Taiwanese artistic world, and furthermore art education supported ‘guóhuà’ that revitalized traditionalism and conservatism ideology. But, there were some young Taiwanese artists who sought a new creation. Among them, ‘Fifth Moon Group(五月畫會)’ promoted by Liu Kuo Sung and ‘Dong Fang Group(東方畫會)’ founded bi Li Zhong Sheng accepted western artistic trends, especially the abstract expressionism making a challenge to closed, rigid and conservative artistic system and environment. Nonetheless, in the midst of grim reality of the political conservatism,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art of Taiwan was frustrated from 1960s. The avant-garde modernity was not allowed by the political authorities and many founding members of Fifth Moon Group and Dong Fang Group moved to Europe and the USA. The international status of Taiwan was unstable up to 1970s. Even though a new historic phase was open with the mainland China, the controversy regarding the identity of Taiwan still continues.

      • KCI등재

        명청교체기 또 다른 최초의 해로조천록 - 최응허(崔應虛)의 조천일기(朝天日記)

        왕가,한종진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2022 韓中關係硏究 Vol.8 No.1

        Jocheonilgi (朝天日記) of Choi Eungheo (崔應虛 1572-1636), who departed from Joseon in May 1621, is another the first envoy writings to be written at the same time as Gahaejocheonrok (駕海朝天錄) of An Gyong (安璥, 1564-1640) who belonging to the same envoy group to Ming by sea. Currently, the manuscript of Jocheonilgi remains in Modeok Temple and is handed down to the world. Jocheonilgi is the book that records every day what he experienced and feelings during his mission from February 22 to November 20, 1621. As it is compared with An Gyong’s Gahaejocheonrok, First, Choi Eunheo’s is smaller and simpler than An Gyong’s. Second, Jocheonilgi describes a longer schedule than Gahaejochonrok, as it includes the journe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efore and after departure by ship. Third, the two show differences in content composition. Fourth, the narrative attitude between two is different. Choi Eungheo’s Jocheonilgi has a primary meaning as a historical material that supplements the authenticity of Gahaejochonrok records. In addition, unlike Gahaejocheonrok, it has detailed records of the preparation period before formal diplomatic activities. This makes it possible to clearly understand the full aspect of diplomatic activities carried out in 1621. On the other hand, Choi Eungheo’s Jocheonilgi shows an objective fact-oriented narrative attitude so that it can be used as a travel guide for the diplomatic mission by sea in the future. This narrative attitude is believed to have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birth of sea diplomatic records with a humanistic geographic book style that was not see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However, in order for this assumption to be more convincing, Further review is needed on the description of the diplomatic records of the sea routes during the Ming-qing transition period, including the diplomatic records of the land routes written before the Ming-qing transition period. 1621년 5월 조선을 출항한 사은사 정사 최응허의 조천일기는 동일 사행단 서장관 안경의 가해조천록과 동일한 시기에 저술된 또 다른 명청교체기 최초의 대명 조선 해로사행록이며 현재 모덕사에 행초체의 필사본이 남아 세상에 전해지게 되었다. 조천일기는 1621년 윤2월 22일부터 11월 20까지의 사행 임무를 수행하면 겪은 일과 견문, 그에 대한 소감을 일기체로 하루도 빠짐없이 매일 기록한 책이다. 최응허의 조천일기를 안경의 가해조천록과 비교해보면 첫째, 최응허의 조천일기는 안경의 가해조천록보다 분량이 적고 간략하다. 둘째, 조천일기는 배에 승선하여 출항하기 전과 하선 후의 일정 기간의 여정까지 포함하고 있어 가해조천록보다 더욱 긴 일정을 기술하고 있다. 셋째, 둘은 내용 구성에서 차이를 보인다. 넷째, 문장의 서술 태도가 다르다. 최응허의 조천일기는 가해조천록 기록의 역사적 진실성을 보충하는 사료로서 1차적인 의미를 가지며 가해조천록과 달리 본격적인 사행에 앞선 준비 기간의 상세한 기록까지 남아 있어 1621년에 이루어진 사은 사행의 전면모를 명확히 알 수 있게 한다. 한편, 최응허의 조천일기는 차후에 있을 해로사행단의 여행지침서로서의 기능을 염두에 둔 객관적인 사실 위주의 서술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서술 태도는 조선전기에는 볼 수 없었던 인문지리서적 체계를 갖춘 해로조천록이 조선중기에 탄생하는 데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이러한 추정이 좀 더 설득력을 얻으려면 명청교체기 이전 쓰여진 주요 육로 산문 일기체 사행록을 포함하여 명청교체기 산문 일기체 해로사행록의 서술 방식에 대한 통시적인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

      • KCI등재

        재만(在滿)시기 안수길 소설 연구

        왕가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7 No.-

        이 글은 재만(在滿) 시기 안수길(Ahn Soogil) 소설의 주제적 특성을 살펴보고,나아가 일제강점기 재만 조선인 소설의 성격을 밝혀보는 데 목적을 둔다. 재만(在滿) 시기 안수길 소설은 흔히 재만 조선인의 이주·정착에 관한 생생한기록, 또는 간도 보고서라고 평가받고 있다. 안수길은 20여 년에 걸쳐 가족과 함께 용정·장춘 등지에 거주한 자신의 간도 체험을 바탕으로 재만 조선인, 특히 조선인 농민들이 이 지역에서 “어떻게 살아왔느냐”에 관심을 기울이고, 그들의 간고한삶을 소설화한다. 「벼」, 「새벽」은 그 한 예이다. 그러나 그는 만주국 건국 이후 급변한 만주 공간의 정치·사회적 상황과 이에 따라 더욱 간고해진 조선인 사회의 생존 환경에 주목, 이러한 생존 조건 속에서 “어떻게 사느냐”의 문제를 천착하고 이를 소설로 담아낸다. 만주국 건국이 가져온 상황 변화에 어떻게 대응하여 살아남을 것인가 고민하고 작가 나름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축기(牧畜記)」, 『북향보(北鄕譜)』등에서 보는 ‘이상촌’ 건설, ‘아름다운 제2의 고향’이 그것이다. 말하자면, 재만 시기 안수길 소설은 「벼」에서 『북향보』에 이르기까지 주제의식의 변화를 드러내는데, 이는 만주와 만주에 이주한조선인의 삶을 바라보는 작가의 시각 변화에 기인한다. 재만 시기 안수길 소설에 나타나는 주제의식의 변화는 먼저 중국 또는 만주라는 공간과 중국인에 대한 긍정적인 묘사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의 소설에 등장하는 중국인은, 지주나 관리 같은 지배계층의 인물이든 또는 소작 농민이나 머슴 같은 하층민이든, 이주 조선인에 대해 우호적이며, 조선인과 조선말로 소통하며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조선의 문화까지 이해하고 있는 인물로 형상화되어 있다. 「벼」, 「목축기」, 『북향보』의 중국인들이 그러하다. 이는 만주국 건국 이전 시기최서해·주요섭 소설에서 중국인의 형상이 불결하고 인색하며 의심이 많고 인간성이 없는 인물로 묘사된 것과는 사뭇 다르다. 그만큼 중국인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게 된 것이다. 이는 오랜 기간 중국인과 조선인이 함께 지내면서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게 되고, 이에 따라 더 이상 적대관계가 아니라 더불어 공존할 수 있는 상대로 인정하게 된 데서 비롯한다. 그러나 한편, 이는 만주국 건국 이후 판이하게 달라진 사회 상황에서 불가피한 선택이기도 하다. 다음으로, 중국 또는 만주 공간에 대한 묘사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최서해·주요섭의 소설이 내보이는 중국 또는 만주의 자연 환경은 춥고 불결하여 극도로 열악하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 제시와 상황 묘사는 이주 조선인들이 겪게 될 수난을암시한다. 그러나 안수길 소설에서는 만주 황무지가 희망의 땅이고 인간성이 가득찬, 그래서 내일을 도모하는 데 부족함이 없는 삶의 터전으로 그려지고 있다. 황무지에 다름없는 지형 조건이지만 개간하면 농사짓고 살 만한 터전으로 그려지고,나아가 벌판 가득한 논에 벼의 물결이 넘실거리는 풍요로운 땅, 만주 벌판을 정처없이 떠돌며 이곳저곳을 옮겨 다니던 조선인 이주민들이 ‘이상촌’을 건설하기에 더이상 바랄 것이 없는 천혜의 땅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는 물론 재만 조선인의 정착에의 갈망과 당위를 드러낸다고 하겠는데, 이는 ‘북향정신(北鄕精神)’에 집약되어있다. ‘북향정신’은 만주라는 현실 공간에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 This thesis aims to study the main ideas expressed in the novels created by Ahn Soogil, while he was staying in China, in the period of Manchuria. And it also elabor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written by the Korean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novels of Ahn Soogil created In the period of Manchuria are honored as the vivid records of the migrancy and settlement of the Koreans in China and they are also regarded as the written reports of the Gando Convention. Ahn Soogil has lived in Longjing, Changchun as well as many other places in China for about twenty years, together with his families. Based on his experience in Gando Convention, many famous novels are created by him,Most of which focus on the problems that met by the Koreans, especially the Korean peasants, in struggling to live on in Manchuria and examines the laborious life led by them, such as the rice plant and the dawn. As the establishment of Manchuria, the politics and social environment began to deteriorate, so Ahn Soogil turned his eyes on the tuff living condition of the Koreans in China, he tries to expose as well as put forward his own view on the question that how the Koreans, as aliens, facing the transformation of the society, survive the hostile environment. In his novels,such as 「Mokchookgi」, 『Bukhyangbo』, Ahn Soogil describes the construction of the ‘ideal village’ and the ‘the beautiful second hometown’. In other words, these novels show the alteration of the subject consciousness, which means the shift of the writer’s angel of view in observing the survival of the Koreans in Manchuria. The alteration of the subjective consciousness shown in Ahn Soogil’s novels can be affirmed through his positive attitude towards China and the Chinese people. All the Chinese figures that show up in his novels, from the ruling class, such as the landowner and the government officials to the people from the bottom of society, such as the tenant peasants and the farm labourers, show their friendship to the immigrants, for example, they communicate with the Koreans in Korean, establish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m and try to learn the Korean cultures. The Chinese figures appear ingin 「Riceplant 」, 「Mokchookgi 」,『Bukhyangbo』are all this kind of people, which are different from that described in the novels created by Choi Suhae and Joo Yosup whose novels contain the Chinese persons who are dirty, mean, suspicious and inhuman. The conversion of their awareness towards the Chinese people is caused by many reasons, on one hand, the Koreans and Chinese began to understand and respect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living together and they also realiz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should not be hostile but harmonious, on the other hand, this is the unavoidable choice for the persons from both countries with the transformation of the society after the Manchuria was founded. What’s more, the conversation can also be confirme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nvironment of Manchuria or China. The natural circumstance depicted in the novels of Choi Suhae and Joo Yosup are freezing, sordid and extremely rugged. In addition, the presentation of the environment and the description of the surroundings suggest the hardship undergone by the Korean immigrants, While, in Ahn Soogil’s novels, the uncultivated land is full of hope and human touch and it is the basis for a well-fed and well-clothed life. Although wild, it is the guarantee of the prosperous life if cultivated. Furthermore, as far as the homeless and miserable Korean immigrants are concerned, the land is the heaven-sent ground on which their ‘ideal village’ can be setup. The descriptions of the land in Manchuria in the novels written by Ahn Soogil embody the desire for settlement, which can be summarized by the concept ‘the spirit of a northern hometown’. ‘The spirit of a northern hometown’ penetrates throughout the whole novel of 『Bukhyangbo』which expo...

      • KCI등재
      • 1900-1930 年越南明清小说翻译潮出现的原因及特点

        王嘉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10 동아한학연구 Vol.- No.6

        동일한 한자문화권에 속해 있는 일본이나 한국과 비교해 볼 때, 베트남은 중국문화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국가라 할 수 있다. 중국 문화는 이미 베트남 사회 및 문화의 각개 방면에 침투해 있는데, 그 가운데는 문학도 포함된다. 中古?期의 한자로 기록된 문학이든 ?字로 기록된 문학이든, 아니면 현대 베트남어로 창작된 문학이든 할 것 없이 모두 中國 古典文學의 영향을 지대하게 받았으며 또 지금에도 그 영향을 받고 있다. 20세기에 들어선 이후, 혹은 프랑스 식민통치자의 주장 하에 혹은 베트남 본토 학자들의 추진 하에, 베트남에서는 中國 古典 小說을 라틴어로 번역하는 붐이 일어났다. 이러한 풍조의 열기를 타고, 明?小說 또한 베트남에서 이전에 비해 더욱 폭넓게 전파되었으며, 이는 동시에 베트남의 사회와 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베트남 문학의 현대화는 明?小說을 포함하는 中國 古典 小說을 번역하는 풍조에서부터 비롯되었다고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풍조가 형성되게 된 가장 주요한 동인은 바로 베트남문자를 보급하기 위한 필요에 의해서였다. 그러나 초창기 베트남문자를 사용하기 시작하던 때에는, 베트남 본토의 문학 창작이 아직 개척되지 않은 황무지와 같아서, 그럴듯한 문학작품이 등장하지 않았다. 이러한 까닭에 明?小說은 자연스레 베트남 본토의 소설보다 더욱 강하게 독자들을 사로잡았다. 또 이러한 까닭에 많은 베트남 작가들은 처음에는 明?小說을 번역하는 작업을 하다가, 나중에 창작의 길로 들어선 경우에 해당된다. 1900년대에서 1930년대 사이에는, 베트남에서 다량의 중국 明?小說이 번역되었다. 이들 소설 가운데는 개별의 몇몇 고전 소설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이름도 채 알려지지 않은 통속 소설들이었다. 이러한 明?小說 작품의 번역은 베트남에 민중들의 환영을 받으면서 널리 확산되었다. 베트남 민중들은 또한 이러한 소설 작품에 대한 감상을 통해, 중국 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갔으며, 이를 통해 이 소설 작품들은 또한 20세기 초반 베트남의 민중 생활 및 베트남어 문학 창작에까지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 KCI등재

        조선사신의 海路使行路線 중 山東 萊州府 朱橋驛 ― 萊州府城 노정의 인문 지리적 고찰(1) ― 朱橋驛에서 平利店까지

        왕가,한종진,당윤희 중국어문연구회 2019 中國語文論叢 Vol.0 No.92

        This article, from the diachronic perspective, based on the field surveys and interviews verifies the present geographic names of the places passed by the Joseon envoys from the Zhuqiao ancient courier station(朱橋驛) to Laizhoufucheng(萊州府城) in the Dengzhou-Beijing shipping routes of the envoys during the alternation of Ming and Qing Dynasties as well as reconstructs the routes. This thesis supplements the missing records in the relative documents according to Sahaeng record and corrects Joseon envoys’ inaccurate records of the names of some places basing on the local records. According to the analysis and field surveys, the names of the places passed by the Joseon envoys from the Zhuqiao ancient courier station(朱橋驛) to the Pinglidian Village(平里店村)are reconstructed as follows: Dalangya Village and Xiaolangya Village(大瑯琊村與小瑯琊村), Langya Mountain(瑯琊嶺), Xinzhuang Village(辛莊村), Jiadengzhanjia Village in Pinglidian Town(平里店鎮賈鄧戰家村), Wang River(王河), Pinglidian Village(平里店村).

      • KCI등재

        明淸交替期朝鮮對明海路使行路線之 山東靑州府城附近地名考察

        왕가,한종진,당윤희 한국중국산문학회 2022 중국산문연구집간 Vol.13 No.-

        This study, from the diachronic perspective, based on the field surveys and some interviews, verifies the present geographic names of the places which were passed by the Joseon(朝鮮) envoys, especially around the castle of Qingzhou Fu(靑州府城). From Nanyang river(南陽河) to Fugong pavilion(富公亭), Joseon(朝鮮) envoys passed Wannian bridge(萬年橋), Biaohai pavilion(表海亭), Mituo temple(彌陀寺), Qingshe station(靑社驛), Zhenqing gate(鎮靑門), Fugong pavilon(富公亭), and looked over Yunmen mountain(雲門山). It will help to confirm and reconstruct the shipping routes of the Joseon(朝鮮) envoys in Qingzhou Fu(靑州府) during the alternation of Ming(明) and Qing(靑) Dynasties.

      • KCI등재

        연행(燕行)현장답사를 활용한 상호문화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인 고급한국어 학습자 대상 중국 내 조선 사신의 연행 유적 현장 답사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

        왕가,김영미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2 한국언어문화학 Vol.19 No.3

        최근 한국과 중국 간의 문화갈등이 고조되면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인과 상호문화적으로 원활히 의사소통을 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므로 다양한 방식의 상호문화교육방안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역사현장 답사 활동이 일종의 문화여행으로서 학습자로 하여금 공동체 기억이 보존된 역사유적지를 체험함으로써 자아와 세계와의 관계를 총체적으로 재인식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자아의 정체성을 재정립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상호문화적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이론적으로 확인하였고, 이어서 설문조사를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상호문화교육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으며, 영상매체(드라마, 영화, 예능, 다큐 등)와 문학작품 등 보조자료의 활용, 한국인 원어민이 참여하는 대화식 토론이나 역할극, 현장답사 활동 등을 병행하는 수업방식을 선호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탐색과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조선 중기(명청교체기) 서해 바다를 배로 건너 지금의 산동성 옌타이시에 상륙하여 북경으로 갔던 조선사신들의 연행록을 대상 텍스트로 하고, 그들이 경유한 산동성 웨이팡시(濰坊) 일원을 답사목적지로 정하여, 사전학습-도입-토론-현장답사-역할극과 재토론-성취도 평가 및 과제 등으로 구성된 교육방안을 마련하여 웨이팡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적용해보았고 그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With the recent escalation of cultural conflicts between Korea and China,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often have difficulty communicating with Koreans interculturally, so various methods of intercultural education need to be devised. This study theoretically confirmed that field trips to historical sites can be a good way to improv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by providing learners with an opportunity to re-recogn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 and the world through visits to historical sites where community memories are preserved. Subsequently, through the survey conducted, Chinese learners agree with the need for intercultural educ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 of auxiliary materials such as video media (dramas, films, entertainment programs, documentaries, etc.) and literary works, as well as discussions, role-plays, field trip activities involving native Korean speakers, etc. are preferred. Based on these theoretical exploration and survey results, the records of Joseon envoys who crossed the West Sea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landed in Yantai, Shandong Province, before going to Beijing were used as class materials, and Weifang, Shandong Province, an area they passed through, was designated as a field trip area. An educational plan consisting of pre-learning, introduction, discussion, field trip, role play and re-discussion, achievement evaluation, and assignments was prepared and taught to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attending university in Weifang, and its usefulness was confi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