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외기온도 및 시험체 크기를 고려한 콘크리트의 간이-단열온도 상승시험에 관한 실험적 연구

        온정권 ( On Jeong-kwon ),김영선 ( Kim Young-sun ),문형재 ( Moon Hyoung-jae ),남정수 ( Nam Jeong-soo ),김규용 ( Kim Gyu-yong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21 No.6

        최근 초고층 아파트 및 주상복합 건축물의 증가로 두께 3m이상의 메가급 매스콘크리트 부재의 설계가 다수 수행되고 있다. 초고층 주상복합 건축물은 기초부재 뿐만 아니라 특수한 구조형태로 전이 보 및 슬라브 등과 같은 매스콘크리트 시공이 증가하고 있어 매스콘크리트의 온도균열저감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매스콘크리트의 온도균열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열특성 검토가 중요하나 현장에서 단열온도상승 시험기를 활용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간이-단열온도상승시험을 주로 활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간이-단열온도상승시험에 의한 콘크리트 열특성 결과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열손실을 보정하기 위한 방안과 열손실 보정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검토하여 제시하였다. Recently, due to the increase in high-rise apartment and residential-commercial complex buildings, a number of mega-class mass concrete members with a thickness of 3m or more have been designed. As the construction of mass concrete such as transfer beam and slab is increasing not only in foundation members but also in special structures, research on reducing temperature cracks in mass concrete is being conducted. To review temperature cracks in mass concrete, it is important to review the thermal properties of concrete, but it is difficult to use an adiabatic temperature rise tester in the field, so the semi-adiabatic temperature rise test is mainly used. In this study,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results of concrete heat characteristics gained by the semi-adiabatic temperature rise test, various factors affecting heat loss compensation and methods were reviewed and presented.

      • KCI등재

        교과 교육과정 지식과 기능 영역의 의미와 설계 방식 고찰: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온정덕 ( Jungduk Ohn ),윤지영 ( Jiyoung Yoo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1 교육과정연구 Vol.39 No.2

        본 연구는 교과 교육과정의 구성요소로서 지식과 기능 영역의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 절차적 지식을 중심으로 다루는 교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설계 방식을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OECD 학습 나침반 2030의 개념을 기반으로 하여 지식과 기능 영역의 내용을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기능 교과로 대표되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문서의 내용 체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식 영역에 있는 전략, 과정의 절차적 지식이 기능 영역의 내용과 중복되어 있는 점, 내용 영역에서 제시한 기능의 역할과 수준이 서로 다른 점, 지식 영역의 내용 요소는 핵심개념을 뒷받침하기에 충분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해,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는 지식 영역에서 서술적 지식뿐만 아니라 절차적 지식을, 기능 영역에서 사고 과정과 사고 기능을 다룰 필요가 있으며, 지식과 기능 영역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학습 기준을 설정하고, 전 학년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학습 요소를 중심으로 지식과 기능을 심화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knowledge and skills as the framework of subject curriculum and to analyze the content framework of subject curriculum focused on mastering skills in order to discuss and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curriculum design. To achieve the purpose, we reviewed the meaning of knowledge and skills for curriculum design in OECD Learning Compass 2030, and analyzed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document. As a result of analysis, procedural knowledge like strategies and processes in knowledge category was duplicated in Skill category, the skills presented in content categories have different roles and level. And key concepts in Knowledge category are not supported by content elements. This study provide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Knowledge category in content frameworks should contain procedural knowledge and Skill category should deal with thinking processes and thinking skills. Second, the learning outcome should be presented in the way of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thinking processes/skills. Third, content elements presented in all grades should be designed to deepen knowledge and skills.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핵심역량 개발 방안 연구

        온정덕(Ohn Jung-Duk),이나연(Lee Na-yeon)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교육논총 Vol.4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핵심역량과 하위요소를 개발하여 역량기반 교대 교육과정 설계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사 역량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예비교사에게 길러주어야 할 핵심역량으로 교수역량, 자기개발역량, 공동체역량을 선정하였다. 교수역량은 교과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자기개발역량은 스스로 자기 개발의 방향성을 갖고 전략을 수립하여 성취해나가는 능력을 의미한다. 공동체역량은 학교를 넘어 지역사회와 세계 공동체 구성원에게 요구되는 가치와 태도를 가지고 교육공동체 발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전문가 검토를 거쳐 각 역량별로 하위요소를 규명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문항을 개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에게 어떠한 능력을 길러주어야 할 것인지 목표를 명확하게 제시하고 역량을 중심으로 일관성 있는 교육과정 개발과 실행하는 기반을 마련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key competencies and identify sub-elements for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hich can be a foundation for designing competency-based teacher education curricula. Through an in-depth review and examination of related studies on teacher competency, three key competencies were selected: teaching competencies, self-development competencies, and community competencies. “Teaching competency” refers to the ability to provide students with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based on a deep understanding of a subject. “Self-development competency” refers to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the will to pursue professionalism. “Community competency” refers to the ability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community with values and attitudes required for members of both the community and the global community beyond school. After the review of related expertise, sub-elements were identified for each competency, and on their basis questions were developed and surveys were conducted to ensure reliability. This study clearly presents the desired learning results for pre-service teachers and provides a foundation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consistent curriculum based on competency.

      • KCI등재
      • KCI등재

        2009개정 초등통합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온정덕 ( Jung Duk Oh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3 교육과정연구 Vol.31 No.2

        통합교육과정은 학교 교육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되고 실행되어 왔으나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교육 목표는 학습의 전이를 도모하여 학생들이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데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통합교육과정을 제 4차 교육과정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과교육을 통해서 실행하여 왔으며, 2009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에서는 주제중심의 탈학문적 접근을 취하면서 Drake가 개발한 KDB모형을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였음을 밝히고 있다. 본고에서는 교육과정 통합의 교육적 의미를 ``이해``와 관련지어 살펴보고, Drake의 통합교육과정 개발 방식을 논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09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에서 학습의 실생활 전이라는 교육적 의도를 어떠한 방식으로 실현하고 있는지 학습내용 선정 및 조직의 방식과 평가방법의 측면에서 그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우리나라 통합교육과정이 취하는 탈학문적 접근의 관점은 Drake가 본래 제시한 아이디어와는 큰 차이가 있으며, 소재적 주제와 활동중심의 교육과정 구성은 그가 제시한 통합의 본래 의도에 비추어 볼 때 오히려 상반된 학습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integrated curriculum has been developed and enacted in various way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but those different approaches share a common goal of promoting the transfer of learning to real life. The integrated curriculum in Korea has been developed and implemented mainly through Integrated Subjects. It has its own national curriculum, accompanied by textbooks and teachers` manual.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e Integrated Subjects took a theme-based, transdisciplinary approach and adopted Drake`s KDB(KnowDoBe) for its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In this article, I discussed the meaning of ``integration`` in relation to ``understanding`` followed by a brief presentation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delineated by Drake. Then, I analyzed the 2009 revised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in light of the meaning of integration and Drake`s original ideas about a transdisciplinary approac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 that the transdisciplinary approach the 2009 revised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took does not reflect Drake`s ideas about integrated curriculum design. Instead, the topical theme-based, activityoriented curriculum organization may lead to unintended consequences, such as superficial learning that resembles mere adaptation to real life.

      • KCI등재

        역사적 탐구와 통합된 지역사회봉사학습 프로그램의 교사평가 및 실행사례 분석

        온정덕 ( Jung Duk Oh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9 시민교육연구 Vol.4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civic education program, called CiviConnections, by examining how a group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integrated historical inquiry in community service-learning. The program was developed from the perspective that community service-learning should be defined and implemented as a way of solving social problems in an integration with academic knowledge and skills, to help students` service experiences be transformed into learning experiences.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ttended a three-day summer workshop to learn how to engage students in identifying a problem in their local community, investigating it using historical inquiry skills, and acting for the improvement of their community. Then the teachers developed and implemented their own class projects for one year in collaboration with local community agencies. Sources of data to examine whether the workshop was effective, and how the teachers involved students in historical investigation in the process of solving their local community issues included survey responses completed by the teachers, analysis of 14 classroom projects, and survey responses completed by community agency members. The study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and opportunities to reflect on and discuss how the integration of historical inquiry and community service-learning can be successfully adapted for social studies teach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