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사적 탐구와 통합된 지역사회봉사학습 프로그램의 교사평가 및 실행사례 분석

        온정덕 ( Jung Duk Oh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9 시민교육연구 Vol.4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civic education program, called CiviConnections, by examining how a group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integrated historical inquiry in community service-learning. The program was developed from the perspective that community service-learning should be defined and implemented as a way of solving social problems in an integration with academic knowledge and skills, to help students` service experiences be transformed into learning experiences.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ttended a three-day summer workshop to learn how to engage students in identifying a problem in their local community, investigating it using historical inquiry skills, and acting for the improvement of their community. Then the teachers developed and implemented their own class projects for one year in collaboration with local community agencies. Sources of data to examine whether the workshop was effective, and how the teachers involved students in historical investigation in the process of solving their local community issues included survey responses completed by the teachers, analysis of 14 classroom projects, and survey responses completed by community agency members. The study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and opportunities to reflect on and discuss how the integration of historical inquiry and community service-learning can be successfully adapted for social studies teach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핵심역량 개발 방안 연구

        온정덕(Ohn Jung-Duk),이나연(Lee Na-yeon)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교육논총 Vol.4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핵심역량과 하위요소를 개발하여 역량기반 교대 교육과정 설계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사 역량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예비교사에게 길러주어야 할 핵심역량으로 교수역량, 자기개발역량, 공동체역량을 선정하였다. 교수역량은 교과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자기개발역량은 스스로 자기 개발의 방향성을 갖고 전략을 수립하여 성취해나가는 능력을 의미한다. 공동체역량은 학교를 넘어 지역사회와 세계 공동체 구성원에게 요구되는 가치와 태도를 가지고 교육공동체 발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전문가 검토를 거쳐 각 역량별로 하위요소를 규명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문항을 개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에게 어떠한 능력을 길러주어야 할 것인지 목표를 명확하게 제시하고 역량을 중심으로 일관성 있는 교육과정 개발과 실행하는 기반을 마련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key competencies and identify sub-elements for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hich can be a foundation for designing competency-based teacher education curricula. Through an in-depth review and examination of related studies on teacher competency, three key competencies were selected: teaching competencies, self-development competencies, and community competencies. “Teaching competency” refers to the ability to provide students with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based on a deep understanding of a subject. “Self-development competency” refers to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the will to pursue professionalism. “Community competency” refers to the ability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community with values and attitudes required for members of both the community and the global community beyond school. After the review of related expertise, sub-elements were identified for each competency, and on their basis questions were developed and surveys were conducted to ensure reliability. This study clearly presents the desired learning results for pre-service teachers and provides a foundation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consistent curriculum based on competency.

      • KCI등재

        2009개정 초등통합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온정덕 ( Jung Duk Oh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3 교육과정연구 Vol.31 No.2

        통합교육과정은 학교 교육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되고 실행되어 왔으나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교육 목표는 학습의 전이를 도모하여 학생들이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데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통합교육과정을 제 4차 교육과정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과교육을 통해서 실행하여 왔으며, 2009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에서는 주제중심의 탈학문적 접근을 취하면서 Drake가 개발한 KDB모형을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였음을 밝히고 있다. 본고에서는 교육과정 통합의 교육적 의미를 ``이해``와 관련지어 살펴보고, Drake의 통합교육과정 개발 방식을 논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09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에서 학습의 실생활 전이라는 교육적 의도를 어떠한 방식으로 실현하고 있는지 학습내용 선정 및 조직의 방식과 평가방법의 측면에서 그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우리나라 통합교육과정이 취하는 탈학문적 접근의 관점은 Drake가 본래 제시한 아이디어와는 큰 차이가 있으며, 소재적 주제와 활동중심의 교육과정 구성은 그가 제시한 통합의 본래 의도에 비추어 볼 때 오히려 상반된 학습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integrated curriculum has been developed and enacted in various way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but those different approaches share a common goal of promoting the transfer of learning to real life. The integrated curriculum in Korea has been developed and implemented mainly through Integrated Subjects. It has its own national curriculum, accompanied by textbooks and teachers` manual.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e Integrated Subjects took a theme-based, transdisciplinary approach and adopted Drake`s KDB(KnowDoBe) for its curriculum development model. In this article, I discussed the meaning of ``integration`` in relation to ``understanding`` followed by a brief presentation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delineated by Drake. Then, I analyzed the 2009 revised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in light of the meaning of integration and Drake`s original ideas about a transdisciplinary approac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 that the transdisciplinary approach the 2009 revised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took does not reflect Drake`s ideas about integrated curriculum design. Instead, the topical theme-based, activityoriented curriculum organization may lead to unintended consequences, such as superficial learning that resembles mere adaptation to real life.

      • KCI등재

        초등학교 통합교과교육과정 재구조화 방향 탐색

        온정덕(Ohn, Jung D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2

        통합교육과정은 교육과정 개발과 구성에 있어서 오랫동안 쟁점의 대상이었고 다양한 방식으로 현장에 시도되었다. 우리나라 초등의 경우 통합교육과정은 저학년에 통합교과라는 교과의 지위를 가지고 실행되어왔다. 2009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서는 교육과정 개발 모형으로 학생의 흥미와 관심을 중심으로 탈학문적인 통합의접근을 취하였으며 주제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교육과정을 구성하였다고 명시한다. 이러한 관점은 미국 초기 진보주의의 아동중심 관점에서 받아들여진 아이디어와 유사해 보인다. 하지만 구체적인 교육과정 설계모형을 살펴보면 학습자의 ‘이해’와 학문기반의 교육내용을 강조하는 관점을 반영하는 모형을 근거이론으로 삼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아동중심과 학습자의 이해를 강조하는 두 관점에서 나타나는 통합 교육과정 설계의 특징을 제시하였다. 또한 현 2009개정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재구조화의 방향으로 교육과정 문서상에서는 여러 교과를 아우르는 핵심 지식과 기능을 제시하고, 수업에서 교수학습활동을 구성할 때 실생활 맥락과 수행을 강조할것을 제안하였다. Integrated curriculum has been enacted in various way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Integrated curriculum in Korea is enlisted as a subject in a national curriculum with it being called Integrated Subject.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e integrated subject curriculum is said to take a transdisciplinary integration to guide a theme-based learning in elementary classrooms. This position seems to resemble the idea during the progressive era in the United States. However, the curriculum design model that the integrated subject is based was taken from Drake’s model, which reflects a perspective emphasizing ‘understanding’. Therefore, in this paper, I discussed the two seemingly conflicting perspectives includ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focuses of each. Then, I presented ideas to reconstruct the current curriculum and suggest that the curriculum should explicitly provide essential knowledge and skills to be taught through various activities.

      • KCI등재

        이해중심교육과정의 적용 사례 고찰: 초등예비교사들을 중심으로

        온정덕 ( Jung Duk Oh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1 교육과정연구 Vol.29 No.1

        이해중심교육과정 은 미국 (Understanding by Design) 내에서 교과의 심층적 ``이해``를 목표로 하는 교육과정 개발 및 단원 설계의 틀로서 주목을 받고 있는 모델이다.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높이고자 하는 현 교육과정 개혁에서 주목할 점은 현장에서 교사들에 의한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 내 많은 주에서는 주 수준의 교육과정 개발의 틀로서 이해중심 교육과정을 채택하고 있으며 이의 효과적 실행을 위해서 현직 교사들에게 다양한 연수의 기회들을 제공할 뿐 아니라 교사양성 프로그램에 이해중심교육과정을 가르치는 교과목들을 신설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해중심교육과정을 주 교육과정 틀에 반영한 버지니아 주에서 초등예비교사들이 이해중심교육과정과 그와 관련된 개념들을 어떻게 해석하고 단원 개발에 적용시키는지를 분석하였다. 한국에서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심층적 학습의 도모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교사에 의한 ``설계``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결과는 한국 현장에서 교과서 중심의 선행학습과 활동 중심 수업이 갖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고 보다 질적으로 향상된 수업을 도모하는 데에 함의점을 제공할 것이다. Understanding by Design (UbD) is gaining educators` attention and popularity in the United States as a new curriculum design model. Wiggins and McTighe criticize activity-oriented lessons and argue that we cannot plan how to teach until we know what we want our students to learn. In this curriculum design model, teachers identify desired learning results by unpacking "big ideas" from existing curriculum, develop various assessment tasks requiring students to apply concepts in new situations, and then plan lesson activities in a way supporting students to successfully complete the assessment tasks.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how a group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developed understandings and applied the concepts related to UbD through their unit development. I evaluated their units based on a rubric and then administered a survey where they indicated how much they felt confident in their ability to use the UbD and its related concepts in their classroom. Study findings provide implications for how teacher education programs can strengthen instruction pertaining to UbD as well as how the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can be developed to reflect the key ideas of UbD to advocate teaching for understanding in classrooms.

      • KCI등재

        기준중심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우리나라와 미국 사회과 교육과정상의 내용 선정과 제시방식 비교 분석

        온정덕 ( Jung Duk Oh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4 초등교육연구 Vol.27 No.2

        우리나라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집중이수제와 수업시수 증감의 자율성을 통해 교육내용 적정화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교육내용을 성취기준 중심으로 구성하고 성취기준의 수를 줄임으로써 축소된 수업시수와 내용감축에 대응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겉보기에 성취기준의 수는 줄었지만 학습내용은 감소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따라서 교육내용 적정화는 이처럼 양적으로 접근하기 보다는 교육내용 선정과제시방식의 철저한 숙고를 통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2009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을 미국 NCSS의 교육과정 기준과 캘리포니아주의 내용기준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기초로 국가 교육과정을 성취기준 중심으로 구성하는 경우 내용체계표상의 학습 내용은 핵심 개념, 일반화, 기능을 포함해야 하며 성취기준은 수행의 용어로 진술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e issue of determining an appropriate level of content amount has been a key issue when revising a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curriculum was designed based on performance standards and attempted to regulate the amount of content by reducing the number of standards. However, the issue cannot be solved through quantitative adjustment. Rather, it should be approached by thoroughly evaluating and reflecting the nature of content and the way of content being organized. Therefore,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Korean and the US social studies curriculum document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standards-based curriculum in Korea.

      • KCI등재후보

        교과 역량 함양을 위한 교과서 단원 설계 방안 탐색

        온정덕(Jung duk Ohn),윤지영(Ji young Yoon)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미래교육학연구 Vol.30 No.1

        최근 고시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생의 역량 계발을 개정의 비전으로 설정하였고, 이는 교수・학습 및 평가에 변화를 요구한다. 우리나라에서 교과서는 교육과정의 비전과 목적을 구현하는 수단이며 교실 수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행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역량 교육에서 보는 학습의 의미와 역량의 특징을 고찰하여 교육과정, 교수・학습, 평가에의 함의점을 도출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교육과정 설계모형으로 백워드 설계의 가능성을 논의한 후 교과서 단원 설계 및 구성 방식을 제안하였다. 교과서 단원 설계는 심층 학습 및 학생 맞춤형 수업, 실생활 맥락 속에서 지식의 습득과 적용, 학생 학습의 과정을 중시하는 평가에 초점을 두었다. 전체 구성은 학생들에게 학습의 방향과 결과를 안내하는 도입부, 학습 내용의 의미를 탐색하고 적용하며 더 나아가 새로운 상황에서 배운 내용을 적용하도록 하는 수행부, 스스로 자신의 학습을 돌아보고 성찰하도록 하는 정리부로 체계화하였다. The key competencies are embedded as the vision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it requires changes in teaching and learning as well as assessment. Textbook is a fundamental material for teaching and learning and is supposed to embody the vision and goals of national educ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meaning of learning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reviewed three characteristics of competency to look for implications for curriculum design, instruction, assessment. In addition,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implications drawn from the characteristics of competency and backward design, and proposed a direction of unit design based on the backward design.

      • KCI등재후보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맞춤형 수업의 통합: 초등예비교사들의 현장 적용을 중심으로

        온정덕 ( Jung Duk Oh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1

        이해중심 교육과정은 백워드 설계라고도 불리며, 이해를 목표로 하면서 동시에 교육의 내용으로 삼는 교육과정 설계 모형이다. 반면 맞춤형 수업은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하여 학습자들의 다양한 특성에 따라 내용, 과정, 결과를 다양화하는 수업에 관한 모형이다. 본 연구에서는 맞춤형 수업이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어떻게 통합적으로 계획되고 실행될 수 있는지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미국에서 초등예비교사들이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맞춤형 수업을 한 학기에 걸친 교생 실습기간 동안 어떠한 방식으로 어느 정도로 적용할 수 있었는지를 분석하여 두 모델의 실행가능성을 점검하였다. 또한 예비교사들이 두 모형을 현장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인식한 효과를 분석하여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맞춤형의 수업의 통합적 실행을 위한 시사점과 함께 우리나라에서 여러 차례 시도되고 있는 수준별 수업의 실행을 위한 하나의 대안을 제시한다. Understanding by Design is a curriculum design model to help students develop understandings, whereas differentiated instruction is an instructional model to ensure ``all`` students succeed by responding to their various needs. However, these two models have a natural point of integration, because all students should reach the same goal of understanding, with different instructional paths and options provided. Otherwise, differentiated instruction can be ended up with ``more or less`` or ``fun or dull`` approach for students of different needs. In this article, I presented how these two models can be integrated by using the framework developed by Tomlinson and McTighe. Then, I investigated how a group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pplied both models in their student teaching classrooms as well as their perceived effects of each model. The study results imply what should precede before we ask our teachers to implement differentiated or leveled instruction in their classrooms in Korea.

      • KCI등재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관계 중심의 생태학적 접근

        정나라(Jung, Nara),온정덕(Ohn Jung-Duk),임재일(Lim Jaei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교육과정 중 연계와 관계를 강조하는 통합교육과정은 그 성격상 관계 측면의 생태적 요소와 맞닿아 있는 부분이 많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생태학점 관점에서 통합교육과정의 의미와 성격을 살펴본 뒤, 앞으로의 생태학적 통합교육과정의 방향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생태학, 통합교육과정과 관련된 문헌들을 연구한 뒤, 생태적 담론에서 강조되는 요소를 관계와 전체성으로 정리하고 이 관점을 바탕으로 교육과정에서 통합의 의미를 확인하고, 기존의 통합교육과정의 한계점과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결과 형식적이며, 수단적 접근이 아닌, 내재적 목적과 분과와 통합의 관점에서 모두 접근 가능한 개념기반 교육과정, 인격적 통합, 사회적, 공동체와의 통합 등 통합의 방향을 전체성의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는 Forgaty의 통합모형, Drake의 KDB모형, Beane의 교육과정 통합 이론을 통해 앞으로의 통합교육과정 방향은 내재적, 외재적 목적의 균형, 통합적, 총체적으로 추구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결론 이런 방향을 고려한다면, 학교 전체적 접근, 질문을 바탕으로 한 학습자 중심, 학습자 주도 학습, 평생학습, 전인적 교육, 유연한 통합교육과정 적용, 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 신장은 앞으로 더욱 강조될 통합교육과정의 방향이 될 것이다 Objectives The integrated curriculum, which emphasizes connections and relationships, has many aspects that are in line with ecological factors in terms of relationships. In this regard,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meaning and nature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from the ecological perspective, and examine the direction of the integrated ecological curriculum. Methods To this end, review of literature on ecology and integrated curriculum was conducted, and the elements emphasized in ecological discourse were organized into relationships and totality, and based on this perspective, the meaning of integration was identified Results By examining Erickson’s concept-based curriculum, Forgati s model of integration, Drake s KDB model and Beane s theory of integration, we propose that curriculum integration should be pursued in a balanced of internal and external purposes, and holistic manner. Conclusions We provided suggestions for the direction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which include the need for whole approach of the school, student centered learning, holistic education, flexible applic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and the development of teachers’ curriculum literacy

      • KCI등재

        미국 InTASC 핵심교사기준의 교사역량 탐구: 교사역량 기반 교사양성 교육과정 설계에 주는 시사점

        백남진 ( Nam-jin Paik ),온정덕 ( Jung-duk Oh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7 교육과정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미국의 InTASC 핵심교사기준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교사역량에 기반한 교사양성 교육과정 설계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교사역량과 교사기준의 의미를 알아보고, 둘째, 핵심교사기준의 개정 배경 및 내용을 살펴보고, 셋째, 핵심교사기준이 우리나라의 교사역량에 기반한 교사양성 교육과정 설계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역량을 교사기준으로 구체화하고 이를 교사양성 교육과정 설계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사양성 교육과정은 예비교사에게 역량을 길러줄 것을 목표로 재개념화되어 설계되어야 한다. 셋째, 교사양성 교육과정은 학교 교육과정 개혁의 방향과 일관성 속에서 설계되어 학생이 길러야 할 역량을 길러줄 수 있는 교사역량이 개발되도록 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ASC model core teaching standards and to explore ways to design a competency-based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reviews the definitions of teacher competencies and teaching standards. Second, it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InTASC model core teaching standards. Finally, it examines 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a competency-based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These implications include the notion that teacher competencies should be specified for teaching standards and that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designed based on these standards. Also, the curriculum design for teacher education should be restructured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s` competencies, and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aligned with the school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