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16세기 조선의 목활자 인쇄와 1577년 조보(朝報) 인쇄의 가치

        영정(Ok, Young Jung) 한국출판학회 2020 한국출판학연구 Vol.46 No.3

        2017년에 4월에 처음 공개된 1577년 발행 인쇄 조보는 가장 이른 시기에 발행된 상업적 활판 신문으로 평가받는다. 이 연구는 이러한 민간 인쇄 조보의 가치에 주목하면서, 특별히 “조보 발행의 바탕으로서 목활자 인쇄”라는 측면에서 16세기 출판 방식 중에 목활자를 통한 인쇄방식의 다변화 현상을 고찰하여 그 인쇄사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했다. 인쇄방식의 변화는 곧 지식을 습득하고 향유하는데 의미 있는 핵심적인 요소이기에 지식의 생산, 보급, 활용 등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특히 필사에서 활자 인쇄로 진행된 조보의 변화는 비록 3~4개월의 짧은 기간이었지만, 서울에서 사용되었고 민간의 서적 생산, 상업적 유통 등에도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충분히 예상해 볼 수 있다. 인쇄조보 생산 당시에 이미 확대된 인쇄방식의 다변화가 1577년 조보의 존재로 인해서 보다 명확히 확인될 수 있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16세기 중반 이후부터 점차 빈번해지는 목활자인쇄에 의한 인쇄사례가 1577년 인쇄 조보의 생성배경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조선의 상업출판물 또는 방각본의 개념에 대한 논의에서도 1577년 인쇄조보는 그 제작주체와, 인쇄시기가 명확하게 드러나는 것으로 조선전기 인쇄문화의 변화를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In April 2017, the existence of Jobo(朝報, Morning News) printed and published in 1577 was first disclosed. Jobo is evaluated as the first commercial newspaper in Korean history. This research, focusing on the value of Jobo, the privately printed newspaper, trie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it in the Korean printing history in the respect that it was printed with wooden movable types in the 16th century, while examining diversification of printing methods in the period. As the change of printing method is the significant and core element in learning and enjoying knowledge, it had great effect on production, distribution and use of knowledge. In particular, we can assume that the change of hand-writing to movable type printing must have affected the publication of books and commercial distribution of them, even if Jobo was only published in Seoul for as short as 3~4 months. Diversification of printing method which had been going on before Jobo was published in 1577 can be more clearly identified with the existence of the newspaper. This research identified that the wooden movable type printing which had increasingly been used from the mid-16th century was the background on which Jobo was published. In the discussion on the concept of commercial publication or banggakbon, the significance of Jobo published in 1577 is very valuable from which we can directly identify the changes of printing culture in early Joseon era.

      • KCI등재

        여말선초 문인들의 개인 문집 간행

        영정(Ok, Young Jung) 포은학회 2017 포은학연구 Vol.19 No.-

        이 연구는 여말선초(麗末鮮初)의 시기에 간행된 개인문집 중에서 현존하고 있는 서적을 대상으로 서지학적인 측면에서 다룬 것이다. 국내외에 전해지고 있는 한국고서적에 대한 서지학적인 연구를 기반으로 삼고 그 중에 특히 여말선초에 간행된 문집에 대한 조사와 함께, 해당 서적에 대한 서지적 평가로 판본을 감정하고 간행시기를 확인해본 것이다. 약 21종에 이르는 여말선초의 문집 현존본의 간행은 주관자의 대부분이 혈연관계에 의한 것이 많으며 문집 상호간에도 저작주체간 관련도가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문집의 간행경향과 인쇄문화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나 초기문집의 현전본이 매우 드물고 그 계통 수립에 필요한 원자료 접근이 매우 제한 되기 때문에 그 구체적 정황을 정리하고 체계적으로 제시하기가 쉽지 않지 만 제한된 여건 속에서 조금씩 진전된 학술적 논의를 위해서라도 새로운 간본을 발굴하고 유형화된 흐름을 확인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초간(初刊) 문집의 기본적인 문제(범주 설정, 간행시점 고증) 에 관한 기초자료의 확보라는 측면에서 1차적 접근을 위한 현존본과 서지적 사항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서 여말 선초에 간행된 문집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과 함께 간행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을 확인해서 그 근거를 마련하였다. 특히 현존본으로 남아 있는 초기 문집의 전승 상황은 연구 기초자료의 확보라는 측면에서 의미를 지닐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bibliographic aspects of existing books among the personal collections published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period of the 14th century. Based on a bibliographic study of Korean books and books published in and out of the country, especially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period, a bibliographic evaluation of the book was conducted to check the edition and check the publication period.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period, about 21 kinds of publications of the present Bible were found to be mostly related by blood relations, and there was a very high correlation between authors. Also, the publishing trends of literature and printing culture are closely related. However, it is not easy to summarize the specific context and present it systematically because it is very rare and the access to the original data necessary for establishing the system is very limited. However, for the academic discussion which progresses gradually in limited circumstances, and to confirm the flow that was typed.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existing bibliographic and bibliographic items for the primary approach in terms of securing the basic data on the basic problems (category setting, publishing point confirmation) of the first periodicals. In order to do this, a brief description of the literary works published in the Goryeo shrine was made, and the contents confirming the period of publication were confirmed and grounds were established. Especially, the status of the early literary works remaining in the existing bibliography can be meaningful in terms of securing the basic data of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경상감영 책판목록의 현황과 기록내용 분석 -『루판고(鏤板考)』와 『서책목록(書冊目錄)』을 중심으로-

        영정 ( Ok Young-ju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7 嶺南學 Vol.0 No.61

        The woodblock is a living piece of evidence that contemporarily testifies to the lives of everyone involved in the production, dissemination and acceptance of knowledge. The list of the woodblocks related to the woodblocks is organized after the first woodblock is created, and the list of the bookbindings that summarize the status of each region or place of residence is made after the first bookbind is created, And the type of records associated with the preservation of the woodblock, including the publication of the woodblock, the replacement and dismantling through the woodblock, and so on. The list of woodblock is a document which can confirm the cross section of all the books that have been published or kept in the province since the woodblock scattered throughout the country are recorded by region at the time of writing. Daegu`s Gyeong-sang-Gam-yeong also includes the realities of the woodblock listed on these lists, and most of the remains of the book were left in the book at that time. In this study, we compiled a list of the woodblock in which the woodblocks are recorded mainly in Yeongnamprovince, especially Gyeong-sang-Gam-yeong. Among them, the woodblocks of Daegu and Gyeong-sang-Gam-yeong in Nupango and Woodblock List were examined. Among the two book catalog lists, NuPangyo is the official record of the museum, and Woodblock List is noted as the last record remaining as the original data. It is possible to give meaning to the list closest to the present time, and it is also possible to compare with the current version of yeong-yoengjang- pan, which will help to secure authenticity of the woodblock.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