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신문읽기’ 수업의 PBL적용 사례 연구

        오혜정(Oh, Hye-Jung)(吳惠貞) 대한중국학회 2020 중국학 Vol.70 No.-

        본 연구는 중국 신문읽기 수업을 PBL에 적용한 사례로 기존의 언어교육 중심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중국 지역학과 통상학에서 필요로 하는 기초적인 지식과 중국 사회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중국어 향상을 위한 어학적 측면의 이해와 중국 시장 진출 방안 모색이라는 실제 직무와 관련된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정보수집능력, 지식습득능력,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과 협동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문제제기, 수업설계, 평가의 과정을 통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중국어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여 학습동기를 향상시키고, 중국신문이라는 기본 텍스트를 바탕으로 중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전반적인 부분을 이해하는데 PBL수업의 긍정적인 효과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As a case applying the Chinese newspaper reading class to the PB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basic knowledge and Chinese society required by Chinese local studies and commerce studies, going one step further from the existing focus o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aims at presenting solutions to problems related to the actual job of understanding the linguistic aspects and seeking ways to enter the Chinese market, and improving the information gathering ability, knowledge acquisition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ooperative learning ability. Through the process of raising questions, designing lessons, and evaluating, this study will be able to examine the positive effects of PBL classes in enabling learners to increase motivation for class by inducing interests in Chinese language, and understanding the overall part of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of China based on fundamental text of Chinese newspaper.

      • KCI등재

        메타버스 플랫폼의 유형별 사례를 통한 콘텐츠 활용방안

        오혜정 ( Hyejung Oh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메타버스는 현실과 가상의 융합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연결과 소통을 지원하는 플랫폼으로 가상세계에서 모든 영역과의 활용과 융합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하고 있다. 현 시점에서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들은 긍정적 측면의 효과와 그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향후 소통의 수단으로 보편화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의 유형별 플랫폼 사례분석을 통해 콘텐츠 활용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메타버스+교육’, ‘메타버스+관광’, ‘메타버스+문화도시’, ‘메타버스+부동산’ 등 현실세계와 가상세계의 경계를 넘나들 수 있는 플랫폼과 콘텐츠를 제작하여 물리적 제약이 없는 소통의 공간을 만들고, 각 분야별 기술 도입과 관련 정책을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다. Metaverse is a platform that supports various types of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through integration of reality and virtualism. Its main goal is to facilitate application and integration of every area such as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in virtual world. At this point of time, examples of Metaverse applications are suggesting their positive effects and necessity, and considered generalization as a future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contents application methods of Metaverse platforms by type examples as follows. Platforms and contents which cross over borders between real worlds and virtual worlds such as ‘Metaverse+Education’, ‘Metaverse+Tourism’, ‘Metaverse+Culture City’, ‘Metaverse+Real Estate’, and etc. should be produced so that communication space without physical limitation could be facilitated. And introductions of technology in each field and related policies are also required.

      • KCI등재
      • 학교조직의 교사문화가 학교평가에 미치는 영향

        오혜정 ( Oh Hea-jung ),강경석 ( Kang Kyung-seo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06 교육문화연구 Vol.12 No.-

        연구는 학교조직의 교사문화 유형에 따라 시ㆍ도 교육청에서 실시한 학교평가의 결과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학교조직의 교사문화와 학교평가 사이에는 서로 어떤 관계가 있으며, 학교조직의 교사문화가 학교평가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해 봄으로써 학교교육의 질 향상과 학교교육의 책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학교교육활동 및 학교경영활동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학교조직의 교사문화 수준이 높을수록 실제 학교평가 수준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학교조직의 교사문화와 학교평가 상호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학교조직의 교사문화가 학교평가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교조직의 교사문화를 혁신문화, 합리문화, 집단문화, 위계문화로 나누어 그 영향을 분석하였는데, 혁신문화가 학교평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다음으로 합리문화, 집단문화, 위계문화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교구성원인 교사집단에게 학교교육활동을 자율적으로 실현해 갈수 있도록 자율권과 책임감을 부여해야 효과적인 학교교육활동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type of the culture of teachers in school organization mad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 results of school evaluation conducted by local educational authorities, what relationship there was between their culture and school evaluation and what impact the former had on the latter in an attempt to improve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and to explore how school education and school management could be efficient enough to further the accountability of school education. As it result, a higher level of culture among teachers in school organization led to better school evaluation result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wo. Besides, teacher culture exerted a lot of influence on school evaluation. Four different types of teacher culture were selected, including innovative, rational, collective and hierarchical ones, and what effects each type of teacher culture produced was investigated. And it's found that the innovative culture had the biggest impact on school evaluation, followed by the rational, collective and hierarchical culture. Th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teacher group, who are one of primary school members, should be given a more free hand in conducting education and be more responsible for that in order to ensure the efficiency of school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장애유아 언어와 관련된 국외 실험연구의 내용분석

        오혜정 ( Hae Jeong Oh ),황도순 ( Do Sun Whang ),박현옥 ( Hyeon Ok Par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7 No.4

        이 연구는 국외 장애유아를 대상으로 한 언어 연구 중 실험연구의 내용을 분석하여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1990년부터 2005년 사이에 발간된 해외학술지 중에서 장애유아 언어와 관련된 실험연구 논문 52편을 선정하였다. 분석 유형은 연구방법의 내용으로는 장애유형, 중재환경, 교수 상황, 중재자 유형, 신뢰도 및 연구의 부수적인 결과, 그리고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으로 세부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유형에서는 언어장애유아를 대상으로 한 논문이 가장 많았으며, 중재 환경 유형에서는 치료실 상황에서의 개별교수 형태가, 언어중재를 실시한 중재자로는 실험자가 직접 중재를 실시한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신뢰도를 평가하여 보고하였으나, 그 이외에 부수적인 연구결과들인 일반화와 유지 자료나 중재 충실도, 사회적 타당도 등에 관한 평가를 실행한 연구들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내용 중 독립 변인 유형으로는 기능적 중재 방법 중환경중심 중재를 가장 많이 적용했으며, 종속변인 유형으로는 표현언어 중 언어의 내용에 해당하는 의미론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By analyzing the research contents of the papers on the language of preschoolers with disability which have been presented in research paper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such a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와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 n」「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Topics in Language Disorders」and 「Focus on Exceptional Children」,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trend of language research for preschoolers with disability and also to present some tasks which have to be studied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52 papers on language for preschoolers with disability were chosen and subsequent categories for research contents were also analyzed. The subsequent categories for research methods of contents included type of disability, intervention setting, instruction situation, type of intervention, intervention agents and additional outcomes and the subsequent categories for intervention method or effectiveness include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researches on preschoolers with language delay for the types of disability, researches on clinical environment for intervention setting and researches on researchers for intervention agents were done most in number respectively. Most of the researches evaluated reliability but only a few researches evaluated generalization data, maintenance data, data on treatment fidelity and social validation measures. In the type of research intervention method content, milu teaching was used the most for independent variables while expressive language was more used than receptive language for dependent variables.

      • KCI등재

        중국 애니메이션산업 발전의 특징과 경제적 파급 효과

        오혜정(Oh, Hye-Jung)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3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37

        Animation industry is one of several sections of cultural industry, the major growth industry in china.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of Chinese animation industry in two categories of governmental policy and economy. First, development of animation industry is characterized by the governmental policy. Chinese animation industry is currently experiencing a rapid development based on the various policies and support. On the statement of ‘Plans for Promotion of Chinese Film & Animation Industry’ by State Administration of Radio, Film, and Television (SARFT) in 2004, governmental support on the section has begun. Starting in 2006, China’s 11th five-Year Plan for National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FYP) has enhanced the development of the animation industry. With governmental support, Chinese animation industry has been broadening its boundaries through development of new cultural contents. Second, in economic aspect, derivative products have been developed by the progress of the animation industry. Governmental support has brought an industrial conversion focused on Research & Development and Creation, and income increase has resulted in an increased spending on culture. Those changes have led to the development of derivative industries such as animated film, accessory, animated publication industries. Success of the animations has promoted development of the derivative products and enlarged the market size. As a higher value-added business with these huge economic impacts, Chinese animation industry will continue its growth.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