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다문화가정 어머니가 자녀양육에서 경험하는 의사소통의 어려움에 관한 연구

        오혜정 ( Hae Jeong Oh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어머니가 자녀양육에서 경험하는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를 향후 다문화교육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다문화가정 어머니 6명을 대상으로 개별적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질적인 연구 방법을 통하여 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구 문제와 관련된 2개의 주제와 7개의 관련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다문화가정 어머니가 경험한 자녀양육에 관한 범주로는 양육 환경 및 주 양육자의 역할 혼동, 자녀양육에 대한 가치관의 갈등, 그리고 자녀교육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와의 의사소통과 관련된 범주로는 자녀와의 갈등, 자녀와 의사소통의 어려움, 자녀와의 원만한 의사소통을 위한 노력, 그리고 자녀교육과 자녀와의 원만한 의사소통을 위한 지원에 대한 요구가 도출되었다. 범주에 따라 나타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들은 출산 이후 자녀를 양육하는데 있어서 적잖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어머니 자신이 자녀의 주 양육자임에도 불구하고 자녀의 성장과정을 잘 모르거나 이로 인하여 부모 역할에 대한 죄책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들이 자녀양육과 관련한 여러 가지 갈등 중에서 가장 어려워하고 있는 것은 자신의 언어적 장벽으로 인하여 자녀와 원만한 의사소통을 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연구에 참여한 다문화가정의 어머니들은 지역사회에서 다문화가정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다문화교육을 시행할 때, 획일적인 교육 내용이나 방법이 아닌 다문화가정의 특성과 요구에 맞는 교육과 지원이 제공될 수 있기를 기대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향후 우리 사회가 실행해야 할 다문화교육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ifficulties some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experience in conversation with their children.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an in-depth interview has been executed to respectively for six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wo subjects and seven categories related to this study were drawn by analyzing interview data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category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experience in rearing their children were the difference of parenting environment, role conflict of fosterer, value conflict of their children- rearing and difficulties of their children-rearing. As for the category of communication with their children, conflict with their children, difficulties of their children-rearing, effort to communicate with their children and demand of support for communic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were draw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had some difficulties rearing their children. Even though mothers were main fosterers, they sometimes had a hard time understanding their children and they felt guilty that they could not foster their children well. Second, the most difficult thing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face was that they can not communicate well with their children. Therefore,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xpected different proper education and supports adaptable for their families rather than monopolistic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 when providing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a futur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our society should pursue is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가족지원-가정중재에 대한 청각장애유아 어머니의 인식 및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오혜정 ( Oh Hae-jeo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8 No.4

        연구목적: 이 연구는 청각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가족지원-가정중재에 대한 인식과 경험의 정도와 자녀와의 의사소통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의사소통 기술 전략에 대한 가정방문 형태의 가족지원을 받고 가정중재를 경험한 이후에 나타난 변화를 알아보고자 이루어졌다. 연구방법: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청각장애유아를 자녀로 둔 3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고, 질적 분석을 통해 연구 문제와 관련된 2개의 주제와 6개의 관련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구에 참여한 청각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들은 가족지원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거나 종전의 부모교육과 같은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가족들의 요구나 필요에 의한 가족지원이나 가정중재를 경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지원의 개념과 이점, 그리고 중요성을 이해하고 난 후에는 가족지원프로그램에 참여할 의사를 밝혔으며, 실제로 관련 연구에 참여하여 청각장애자녀를 대상으로 가정중재를 실시하게 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어머니들은 가족지원을 받고 가정에서 직접 청각장애 자녀에게 의사소통 기술 향상을 위한 가정중재를 실행한 이후에 가족지원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청각장애 자녀와의 의사소통방법에 변화가 나타났다. 이밖에도 비장애 자녀의 정서적 안정감, 어머니의 자녀양육에 대한 자신감 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이 연구결과는 장애자녀를 둔 가족들의 요구를 반영한 가족지원 실행의 효과와 그에 따른 필요성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또한 현재 시점에서 우리나라 특수교육 현장이나 지역사회에서 실행되고 있는 가족지원의 정도를 점검해 볼 필요가 있으며, 그 결과를 반영한 정책적인 강화와 실질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할 수 있다. Purpose: This paper aimed to explore recognition and experience of family support-home based intervention for mothers with hearing-impaired young children and also to find out their changes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intervention. Method: Three mothers with hearing-impaired young children had in-depth interviews and two subjects and six categories were drawn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Through the interview data analysed, it was found that the mothers with hearing-impaired young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didn`t know the accurate conception of family support-home based intervention and they just recognized it as the previous general parents education. They show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family support program after they understood the conception, advantage and importance of family support. Then, the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executed family support-home based intervention for their hearing-impaired young children. Through the family support-home based intervention executed, the mothers` conception for family supports have been changed and their methods of communication with their young children have been changed considerably as well. Besides, the emotional stability of non-disabled siblings has been improved and the mothers` self-confidence for their young children-rearing has also been improved. Conclusion: This research emphasized the effect and necessity of the family support reflected the demands of family. It is necessary to examine and analyze the levels of family support which haven been executing in special education field or in community. It is also emphasized the political reinforcement and practical support reflected the result of this study needs to be established.

      • KCI등재

        부모지원-가정중재가 청각장애 유아 어머니의 의사소통 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오혜정 ( Hae Jeong Oh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9 No.1

        이 연구는 청각장애아를 자녀로 둔 어머니가 자녀와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위하여 부모지원을 통해 의사소통 기술 전략을 습득하도록 하고, 자녀에게 가정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해봄으로써 어머니의 의사소통 기술이 얼마나 향상되었는지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청각장애 유아를 자녀로 둔 3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였고, 가정방문 형태의 부모지원이 이루어졌다. 3명의 대상 어머니들은 부모지원을 통해 새로운 의사소통 기술 전략을 습득하였고, 자녀와의 상호작용에서 의사소통 기술이 향상되었다. 또한 중재를 적용하지 않은 다른 활동이나 상황에서도 일반화되었으며, 중재가 종결된 4주후에도 유지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부모지원 및 가정중재의 방향 등에 대해 논의되었다. This study is to allow the mothers of infants with hearing impairments to acquire communication skills so that they can carry out efficient communications with their children, and to find out how their communication skills can be improved when intervention programs are adopted in their homes.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structured home based intervention programs which support parents to help their infants with hearing impairments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and also supports parents to communicate with their infants through various activities in the context of natur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designed and adopt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home based intervention programs, the multiple-prob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for three mothers. Analyses of the data indicated that three mothers acquired various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parents support and their communications skills in the interactions with their children was improved. The result was generalized in the different setting where intervention was not employed, and maintenance still continued after four weeks after the conclusion of the intervention phase.

      • KCI등재

        청각장애 및 비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경험과 비장애자녀를 위한 가족지원 요구 분석

        오혜정 ( Oh Hae-jeong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8 No.4

        이 연구는 청각장애자녀와 비장애자녀 어머니의 양육경험을 통한 어려움과 어머니가 생각하는 장애자녀와 비장애자녀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비장애자녀를 위한 가족지원의 요구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청각장애자녀와 비장애자녀를 둔 어머니 3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질적 분석을 통해 연구주제에 관련된 9개의 관련 범주가 도출되었다. 면담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구에 참여한 어머니들은 청각장애자녀를 양육하는데 어려움이 큰 반면에 비장애자녀의 경우에는 양육의 어려움보다는 미안한 마음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들이 인식하고 있는 청각장애자녀와 비장애 자녀의 관계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공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들은 두 자녀를 동시에 양육하면서 비장애자녀에게 소홀할 수밖에 없는 안타까운 상황과 현실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고, 부모와 비장애자녀가 건강하게 대처해 나갈 수 있도록 도움을 받을수 있는 체계적인 가족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어머니들이 원하는 구체적인 가족지원의 유형은 비장애자녀의 심리 진단 및 상담지원과 비장애형제자매가 청각장애형제자매를 긍정적으로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같은 상황에 처해있는 비장애형제자매들의 자조모임 프로그램, 그리고 장애인 돌보미 지원을 받아서 어머니가 비장애자녀와 함께 할 수 있는 가족 캠프 등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청각장애형제자매의 비장애형제자매와 부모들의 요구를 반영한 가족지원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도록 가족지원 정책의 확산에 대해 논의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some difficulties the mothers rearing hearing-impaired and non hearing-impaired children are experiencing and how the mothers feel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children, and finally find the demand of family support for non hearing-impaired childre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three mothers having hearing-impaired and non hearing-impaired children and nine categories related to the research subject were drawn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s showed that the mothers have more difficulties rearing hearing-impaired children and felt sorry rather than difficulty for non-disabled. As for the relationship the mothers recognize between hearing-impaired and non hearing-impaired , there ar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at the same time. The mothers confessed that they could not but to neglect the non hearing-impaired and this situation made them feel sorry for their children and they emphasized the need of systematic family support for the non hearing-impaired to cope with pitiful situations and practical problems wisely. As for the types of support, they suggested psychological diagnosis and counseling support for the non hearing-impaired, support program that non-disabled siblings can understand and accept hearing-impaired siblings positively, and family camp program that mothers can participate in with their non hearing-impaired children through the disabled care service support.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need of family support policies for non hearing-impaired siblings of hearing-impaired siblings and for their mothers was discussed.

      • KCI등재

        보편적 학습 설계(UDL)에 대한 통합학급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질적 연구

        오혜정 ( Hae Jeong Oh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1

        이 연구는 통합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통합학급교사와 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보편적 학습 설계에 대한 인식과 실행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3년 이상 통합학급을 운영해 오고 있는 일반교사 3명과 특수교사 2명을 대상으로 개별적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하여 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구 문제와 관련된 2개의 주제와 8개의 관련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 교사들은 보편적 학습 설계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다양한 원리에 대해서도 잘 알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합교육 상황에서 보편적 학습 설계를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보편적 학습 설계의 개념과 원리를 알고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통합교육을 실행하는 방법론적인 접근이 보편적 학습 설계의 원리와 일치하는 것에서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통합교육 상황에서 가장 많이 적용하고 있는 보편적 학습 설계의 원리는 상호작용을 통한 공동체 인식과 공평한 사용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편적 학습 설계를 실행하는데 가장 어려운 점은 교사 자신들이 보편적 학습 설계의 원리와 구체적인 적용방법을 모른다는 것과 교사간의 협력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이라고 밝혔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향후 보편적 학습 설계의 활발한 실행을 위한 교사의 역할과 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degree of recognition and implementation of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n-depth interviews for five teachers who have been in charge of inclusive classes for more than three years at least were don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two subjects and eight sub-categories related to this study were drawn up through a qualitative analysis. The teachers were found to perform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n the context of inclusive education. It was not because the teachers knew the concept and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well but because the methodological approach they used in inclusive education was incidentally in agreement with th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The principles of universal learning applied the most in the context of inclusion education were found to be a community spirit and fair application through interactions among the students and teachers as well. The participants told the most difficult things in performing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were that they did not know the principles of it and did not know how to apply it properly and also they did not know how to work together for it. In conclusion, some efficient teacher training for better understanding the principles and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needed to be developed and cooperation among teachers for it needs to be promoted.

      • KCI등재

        장애유아 언어와 관련된 국외 실험연구의 내용분석

        오혜정 ( Hae Jeong Oh ),황도순 ( Do Sun Whang ),박현옥 ( Hyeon Ok Par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7 No.4

        이 연구는 국외 장애유아를 대상으로 한 언어 연구 중 실험연구의 내용을 분석하여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1990년부터 2005년 사이에 발간된 해외학술지 중에서 장애유아 언어와 관련된 실험연구 논문 52편을 선정하였다. 분석 유형은 연구방법의 내용으로는 장애유형, 중재환경, 교수 상황, 중재자 유형, 신뢰도 및 연구의 부수적인 결과, 그리고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으로 세부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유형에서는 언어장애유아를 대상으로 한 논문이 가장 많았으며, 중재 환경 유형에서는 치료실 상황에서의 개별교수 형태가, 언어중재를 실시한 중재자로는 실험자가 직접 중재를 실시한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신뢰도를 평가하여 보고하였으나, 그 이외에 부수적인 연구결과들인 일반화와 유지 자료나 중재 충실도, 사회적 타당도 등에 관한 평가를 실행한 연구들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내용 중 독립 변인 유형으로는 기능적 중재 방법 중환경중심 중재를 가장 많이 적용했으며, 종속변인 유형으로는 표현언어 중 언어의 내용에 해당하는 의미론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By analyzing the research contents of the papers on the language of preschoolers with disability which have been presented in research paper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such a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와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 n」「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Topics in Language Disorders」and 「Focus on Exceptional Children」,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trend of language research for preschoolers with disability and also to present some tasks which have to be studied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52 papers on language for preschoolers with disability were chosen and subsequent categories for research contents were also analyzed. The subsequent categories for research methods of contents included type of disability, intervention setting, instruction situation, type of intervention, intervention agents and additional outcomes and the subsequent categories for intervention method or effectiveness include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researches on preschoolers with language delay for the types of disability, researches on clinical environment for intervention setting and researches on researchers for intervention agents were done most in number respectively. Most of the researches evaluated reliability but only a few researches evaluated generalization data, maintenance data, data on treatment fidelity and social validation measures. In the type of research intervention method content, milu teaching was used the most for independent variables while expressive language was more used than receptive language for dependent variabl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