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Effects of Tacrolimus versus Cyclosporine on Acute Graft Rejection Episode and Acute Renal Dysfunction Following Pancreas Transplantation

        오정미,Oh, Jung Mi,Klassen, David Korean College Of Clinical Pharmacy 1999 한국임상약학회지 Vol.9 No.2

        췌장이식의 성공률은 지난 10년 동안 상당히 상승되었다. International Pancreas Transplant Registry에 따르면 1995년 이래 미국에서만 매년 1,000건 이상의 췌장이식이 실시되고 있다. 장기이식후 나타나는 급성 거부반응은 이식 후 6개월 이내에 가장 높은 빈도수로 나타난다. 췌장이식환자에서는 신장을 이식한 것보다 두배나 높은 거부반응을 나타나며 이로 인한 입원율의 증가 항림프제(antilyinphocyte) 사용과 감염의 증가로 이환율이 높다. 더구나 Cyclosporine (CsA)을 기초로 한 면역억제제요법의 사용은 높은 급성 거부반응률(acute graft rejection)을 초래하여 이식한 장기의 조직손실이 문제가 되고 있다. 새로운 면역억제제인 Tacrolimus (FK506)의 사용은 이식환자에서의 거부반응을 감소시켜 생존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acrolimus는 neutral macrolide로 cyclic peptide인 CsA과는 화학 구조는 매우 다르나 비슷한 면역억제 효과를 보인다. 하지만 Tacrolimus의 사용시 신경독성, 신독성, 특히 고혈당증의 발생률이 높아 일부 이식센터에서는 장기 이식 후에 사용하기를 꺼리기도 한다. 하지만 여러 연구논문에서 간과 신장 이식 후 급성 거부반응 예방에 Tacrolimus는 CsA에 비해 이점이 있는 결과를 발표하였다. 결과적으로, 현재 췌장이식 후 Tacrolimus를 기초로 한 면역억제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94-1996년 사이에 Tacrolimus 또는 CsA를 기초로 한 면역억제요법을 투여 받은 췌장이식환자 101명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Tacrolimus (n=54)와 CsA(n=57)의 급성 거부반응 예방 효과와 신부전 발생률을 비교하였다. 모든 환자는 항림프구 약물, Azathioprine, Prednisone을 이식 후 면역억제제로 투여 받았다 기준선으로부터 $20\%$ 이상의 혈청 creatinine의 상승이 있는 환자에서는 급성 신부전으로 정의하였고 신장생검법으로 거부반응을 진단하였다 Matched-pair analysis에 따르면 췌장이식환자의 6개월 생존율은 CsA군에서 $97\%$, Tacrolimus군에서 $96\%$로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며 (p=0.57), 6개월간의 이식한 췌장의 보존율은 CsA군에서는 $88\%, Tacrolimus에서 $91\%$.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9). 췌장이식 후 6개월 동안 Tacrolimus의 사용은 생검으로 증명되는(biopsy-proven) 급성 거부반응의 발생빈도는 CsA보다 유의하게 낮았을 뿐만 아니라 (p<0.05) 거부반응 증상의 심각도 또한 감소시켰다 (p=0.03). 급성거부반응 발생빈도의 감소로 Tacrolimus군에서 antilymphocyte 치료가 유의하게 줄어들었다(p=0.01). CsA군에서 Tacrolimus보다 신부전의 발생률이 높았으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췌장이식후의 최적의 면역억제요법의 결정하기 위해서는 향후 Tacrolimus와 CsA을 비교하는 전향적 무작위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액체배지에서 눈꽃동충하초균(Paecilomyces tenuipes)의 계대증식에 따른 증식 특성

        오정미,이재경,구현나,우수동,Oh, Jeong-Mi,Lee, Jae-Kyung,Koo, Hyun-Na,Woo, Soo-Do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7 No.2

        눈꽃동충하초균(Paecilomyces tenuipes)의 균사 및 포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계대증식에서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액체배지로써는 누에 유충분말이 함유된 SL배지와 일반적인 PD배지를 이용하였고, 고체배지로는 누에 번데기 분말을 넣은 현미배지상에서, 세대증식이 이루어진 각 균주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액체 배지에서의 포자 생산량은 세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으나, 현미배지에서의 포자 생성율은 세대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으로써, 액체배지에서 계대증식이 고체배지에서의 포자생산량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미배지에 대한 최적 포자 접종량은 각각 $1{\times}10^{10}$ conidia/ml, $1{\times}10^6$ conidia/ml, $1{\times}10^6$ conidia/ml의 농도로 접종하였을 경우 농도에 따른 생산량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서 $1{\times}10^6$ conidia/ml만으로도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Paecilomyces tenuipes according to the passage in the two kind of liquid media were investigated by comparing the mycelium and conidium formation degrees. The potato dextrose broth medium and the silkworm larvae medium containing the silkworm powder were used as the liquid media, and the potato dextrose agar medium and the brown rice medium containing the powder of silkworm pupa were used as the solid media. The conidium formation degree in liquid media differed by the passages but that in solid media was not. This suggested that the passage in liquid media did not affect significantly the conidium formation in solid media. When the brown rice media were inoculated with the concentration of $1{\times}10^{10}$ conidia/ml, $1{\times}10^8$ conidia/ml and $1{\times}10^6$ conidia/ml, respectively, the conidium formation degrees were similar. This indicated that the optimal inoculation concentration of conidium to the brown rice media is $1{\times}10^6$ conidia/ml.

      • KCI등재
      • KCI등재

        민간요법의 현대적 존재양상의 일고찰

        오정미(Oh, Jung Mi),김기덕(Kim, Ki Duk)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통일인문학 Vol.57 No.-

        민간요법은 전통사회에서뿐 아니라 현대사회에서도 살아 숨쉬는 문화이다. 다만, 사회가 변화한 것처럼 민간요법의 존재양상도 변화하고 있을 뿐이다. 이 글에서는 <경기 동북부지역 민간요법 발굴조사>에서 만난 이의영 촌장의 ‘명품 산야초’를 통해 변화하고 있는 현재의 민간요법의 존재양상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현재 우리 주변의 평범한 이웃들에게 민간요법이 어떠한 양상으로 전승되고 존재하는지 살펴본 것이다. 현대의 민간요법은 전통사회에 비해 자가 치료가 더욱 중요해졌다. 이름 모를 아무개가 행한 민간요법은 더 이상 현대사회에서 존재하기 어려워졌기에, 구체적인 특정인물, 특히 자가 치료가 중요해진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이의영이라는 특정 인물의 자가 치료를 바탕으로 한 민간요법은 민간요법의 현재적 존재양상을 이해하기 위한 좋은 텍스트이다. 이의영의 ‘명품 산야초’를 통해 알 수 있는 민간요법의 현대적 존재 양상은 세 가지이다. 첫째, 민간요법 관련 블러그와 카페, 홈페이지들이 전통사회에서의 마을을 대신하고 있다. 전통사회에서 마을을 중심으로 민간요법이 존재해 왔던 것처럼, 현대에는 온라인이라는 마을 속에서 사람들이 서로의 민간요법에 대해 소통하고 있다. 둘째, 산업적 형태의 민간요법이 강화되고 있다. 이의영 촌장과 같이 민간요법을 삶의 일환으로 수용하며 전승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민간요법을 수익창출로까지 발전시키고 있다. 민간요법 관련 블러거들은 실제로 자신이 개발한 다양한 효소와 차들을 판매하며 민간요법을 통해 수익창출을 도모하고 있다. 셋째, 현대의 민간요법에서는 학문적 형태를 필요로 한다. 대량 생산되는 민간요법 관련 상품들 속에서 사람들은 과학적인 검증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이의영이 자신의 민간요법 경험을 과학적으로 증명하기 위하여 학계와 함께 학술논문 3편을 발표한 것이 좋은 사례이다. Traditional home remedies are not the relic of the past, but a living, breathing part of the Korean culture today. Only as the society changes, the details of home remedies are also changing too. Examined in this article is the current status of present day’s traditional home remedies, through Lee Ui Young’s <Myeongpum Sanya-cho(Well-made native grass extract)> which I came to be aware during the ‘Home Remedy’ Excavation project in the Gyeonggido province’s northeast sector. The objective of this project was to determine how the traditional home remedies have been handed down to the people today. There are three new aspects of traditional home remedies that we can identify from Lee Ui Young’s <Myeongpum Sanya-cho>. First, online blogs, internet cafes and homepages are now serving as substitutes for the traditional village communities and the roles they played in the past. Back in those days, traditional home remedies were developed, shared and consumed only within the scope of village communities. Today, people who live in different places are nonetheless sharing online information, by exchanging ideas and their own experiences through a global web-based network on the internet. Second, traditional home remedies are being supported by corporate sponsorship and becoming items of professional businesses. People like village leader Lee Ui Young are not only integrating home remedies into their lives, but also creating profit from such practice. Internet bloggers are selling various kinds of enzymes and tea leaf products which they themselves developed. Third, an academic aspect is added to the home remedies’ development. People today, who are facing a vast market of mass produced home remedy items, are requiring academic inspection and verification. Lee Ui Young announced three published articles to prove the scientific nature of his own experiences in traditional home remedies.

      • KCI등재

        ‘홀림’에 나타난 공포의 양가성 연구 : 호랑이, 도깨비, 여우를 중심으로

        오정미(Oh, Jeong-Mi) 한국구비문학회 2021 口碑文學硏究 Vol.- No.61

        ‘공포’는 그동안 구비문학에서 중점적으로 논의되지 않았던 영역의 하나이다. 공포의 근저에는 역사적 · 문화적 · 사회적 요인이 내재하여 해당 문화를 이해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는 인간이 공포의 대상에 투사하고 있는 본질이 무엇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호랑이, 여우, 도깨비는 유구하게 전승되어온 공포의 캐릭터이다. 세 유형의 비교연구는 ‘홀림’이라는 기능을 새롭게 조명하는 동시에 ‘공포’라는 장르에 도전하는 새로운 시도라 할 수 있다. 또한 ‘홀림’이라는 유형군의 탐색은 세부적으로는 유형들의 주제적 의미를 심화하고 넓게는 ‘공포’, ‘공포와 유혹’, ‘공포와 양가성’ 등의 파생되는 연관 주제들을 통해 공포의 영역을 확대한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홀림군’은 공포라는 상위 주제 아래에 ‘결핍’, ‘변신’, ‘홀림’, ‘죽음’이라는 동일한 기능을 공유하며, 이야기상에서 대체 가능한 상호 보완적 관계를 이룬다. 이 연구에서는 홀리는 괴물과 희생자인 타자와의 관계를 통해 공포의 자질을 확인하고자 했다. 홀림군과 주체들은 ‘결핍’을 통해 소통하고 있으며, 의미를 형성한다. 세 유형군은 타자화된 우리의 모습을 투영한다. 즉, 타자화된 우리의 가장 친숙한 존재이다. 홀림군은 인간을 위협하는 ‘친숙함’과 ‘낯섦’이라는 두 가지의 측면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경계에서 태어났으며 경계에 선 존재이다. ‘변신’이라는 기능 자체는 존재의 불완전성을 내포한다. 이 고정되지 않는 존재에 대한 불확실성에 대해 우리는 기묘하고도 낯선 감각을 갖는다. 이것이 바로 홀림의 공포이다. 그들은 주체를 위협하려 다가오는 가장 친근한 존재이다. 그래서 그들이 증여하는 환상은 비극적이며 공포스럽다. ‘Fear’ is one of the areas that has not been discussed intensively in the oral literature. At the root of fear, historical, cultural, and social factors can be inherent and indicators of cultural understanding. In that sense, we need to see what the essence of humans projecting at the object of fear. Tiger, fox, and Dokkaebi are characters of horror that have been handed down forever. Also, the three types of comparative research can newly illuminate the function of ‘bewitchment’ and at the same time a new attempt to challenge the genre of fear. The research for the ‘bewitchment’ type specifically deepens the thematic meaning of the type and broadly enlarge derived related themes such as ‘fear’, ‘fear and temptation,’ and ‘fear and Ambival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is to expand the area of ​​fear. Bewitchment types share the same functions of ‘Lack’, ‘transformation’, ‘bewitchment’, and “death” under the subject of fear, and It forms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that can be replaced in the story. In this study, we sought to confirm the qualities of fear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seducing monsters and the victims. The bewitchment group and the subject communicate through ‘lack’ and form meaning. The three types project our appearance as ‘others’. In other words, it is our most familiar being who has become another person. The bewitchment type has two aspects: ‘familiarity and ’Unfamiliarity’ that threaten humans. They are born on the boundary and stand on the boundary. The function of ‘transformation’ itself contains imperfections of existence. Due to the uncertainty of this unfixed existence, we have a strange but Unfamiliarity feeling. This is a fear of being attracted.They try to threaten the subject and are the closest to them in the future. So the illusions they give are tragedy and fear.

      • KCI등재

        현대 한국화에서 화훼의 전치효과와 알레고리

        오정미(Oh, Jung-Mi) 동서미술문화학회 2012 미술문화연구 Vol.1 No.1

        한국화가 현대회화에 포함되면서 새로운 면모를 드러내기에 이른 데는 서구의 현대적 기법의 세례를 받은 바 크다. 그 가운데서도 소재나 주제를 다루는 방식에서 혁신을 가져온 바, 보이는 형상을 묘사하고 서술하는 대신, 이를 빌려 작가의 의도나 컨셉을 이와 비교될 수 있는 사물을 빌려 전치하여 표현하는 데서 찾아볼 수 있다. 이 방식은 수묵화 계열, 특히 실경산수를 제외한 한국화의 여러 장르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났다. 원로세대로는 천경자를 시발점으로 하는 신 한국화 세대가 이 추세를 이어 받았다. 그러나 아직 이 경향은 그 이념과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바로 이 점에 주목한다. 이 방향에서 연구자는 전치의 방법을 사용하는 회화의 논리와 방법을 고찰한다. 광범위하게 등장하는 전치의 방법이 우리의 한국화에서 어떻게 전개될 수 있었는지를 천경자의 작품을 통하여 그 가능성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Western modern techniques have been of great influence in the process that Korean paintings became part of modern paintings and came to reveal its new aspects. Among others, one sees the influence in the renovation of the way that deals with subjects and themes, in which the artist expresses her or his own intention or concepts not just by depicting or describing things as one sees them but displacing them with the comparable things. In Korean paintings, the methods of displacing the objects to express ?isang had appeared widely in many genres but in the ink-and-wash painting, especially the realistic landscape. The young generation of the 1960s and the 1970s had represented the trend by their Korean painting movement that focused on coloring. Among the older generation, the Korean painters led by Chun Kyungja had taken up this trend. Yet, this trend does not have a proper ideology or a method established. This study addresses the paucity. A method or style may have an apparent frame but one seeks to establish its horizon more securely in line with the effort to study one`s art works.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delves into the rationale and methods of paintings that utilize displacement. It contemplates how the displacement that appears widely both in Eastern paintings came to develop in Korean paintings and what its possibilities are.

      • KCI등재

        〈물귀신설화〉에 대한 일고찰(一考察)

        오정미(Oh, Jeong-mi) 실천민속학회 2021 실천민속학연구 Vol.38 No.-

        호랑이와 여우, 도깨비는 ‘유혹’과 ‘홀림’, ‘죽음’과 관련하여 공포가 발견된 사례들이다. 물귀신 역시, 유사한 기능들을 보유한 캐릭터라 할 수 있다. 물귀신은 ‘물’이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등장하는 일군의 캐릭터이다. 현대의 괴담에서 역시 대부분 낚시터 저수지, 강가 등을 중심으로 구술되는 등 일정한 장소성을 갖는다. 〈물귀신설화〉의 진행은 결국 물이라는 공간에서 발생하는 연쇄적인 죽음에 귀결되어 있다. 희생자는 또 다른 희생자를 야기하는 원인이 되고, 결국 희생은 또 다른 희생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죽음의 반복적인 과정이 물귀신이 생성되는 메커니즘이 된다. 물귀신은 기존의 원혼담이라 할 수 있는 귀신형에서 탈피한 새로운 유형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여귀나 원혼담의 하위분류가 아닌, ‘기능(function)’면에서 재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제는 원혼과 여귀라는 모티프에서 벗어나 유혹과 홀림, 죽음과 죽음의 연쇄라는 서사적 맥락에서 이야기의 기능을 살피고 물귀신의 존재적 의미를 재조명해야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물귀신 설화와 현대괴담을 비교하여 연결성을 찾는 동시에 비슷한 기능을 가진 창귀와의 관련성도 검토할 예정이다. 물귀신설화에 대한 접근은 ‘물’이라는 물질의 원형적 상상력과 결합한 새로운 캐릭터와 기능을 ‘홀림’의 유형에 포함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이다. 물귀신이 등장하는 설화를 중심으로 홀림과 죽음의 연관성에 대해 고찰하고, 장소에 묶여있는 존재로서의 물귀신의 의미를 공포의 영역에서 논의해보고자 한다. Tigers, foxes, and demons are examples of fears found in relation to “temptation,” “seizure,” and “death.” It can be said that it is a character that possesses the same function as a water demon. Water Demon is character that often appears in water. Even in modern ghost stories, most of them are dictated mainly in fishing reservoirs, rivers, etc., and have a certain location. The progress of the 〈Water demon fairy tale〉 ultimately results in a chain of deaths that occur in a space called water. Victims cause other victims, and ultimately sacrifices lead to other victims. The iterative process of these deaths becomes the mechanism by which Water demons are created. The water demon can be seen as a new type that has escaped from the Wonhon(寃魂) ghost type, which can be regarded as a traditional circular marriage. Therefore it’s as if the water demon is not a subcategory of ‘female ghost’ or ‘Wonhon(寃魂) ghost tale’, and must be reviewed in terms of “function”. Now we have to get out of the motif of ‘Wonhon(寃魂) ghost’ and ‘women ghost’, and explore the function of the story in the grand context of temptation and confusion, and the chain of death and death, and relight the existence meaning of the Water demon. In this article, we will compare the demon tales with modern ghost stories to find connections, and at the same time, examine the relevance of window ears with similar functions. The approach to the water demon tale is a discussion on whether new characters and functions combined with the original imagination of the substance called ‘water can be included in the type of ‘Seizure’. I would like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 that I am attracted to the story of the water demon and the transmission of death, and discuss the meaning of the demon god as a place-bound existence in the realm of fear.

      • KCI등재

        설화 <아기장수>의 다문화적 접근과 문화교육

        오정미(Jung-Mi, Oh)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4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6

        다문화적으로 접근한 설화 <아기장수>는 설화의 새로운 교육적 가치를 구현하기 위함이며 동시에 다문화사회에서 문화적응을 목표로 한 문화교육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설화 <아기장수>는 6개의 문화적응아래서 ‘소통’이라는 요인에 주목하여 분석되었다. 이주자격의 아기장수의 소통의 방식을 살피고, 그로인해 파생된 문화적응을 분석한 결과 ‘분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해석은 기본적으로 설화가 가진 다문화적인 특성을 활용한 결과이다. 다문화사회가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인류의 문제라는 점에서, 설화를 다문화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은 충분히 설득력을 가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설화 <아기장수>에서도 날개를 가지고 태어난 아기는 이주자이다. 그리고 기존의 질서 체계 속에 살아가는 부모와 그 외의 인물들은 정주자들이다. 그 아기를 보며 두려워하다 죽이고 마는 부모의 행동도 이주문화의 유입을 두려워하는 배척주의로 이해할 수 있다. 설화 속에서 다문화사회의 이주자와 정주자, 그리고 그 속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문화적 현상들을 쉽게 발견할 수 있었다. 즉 설화는 다문화사회의 특징과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는 작은 교과서와 같다고 하겠다. 따라서 설화의 다문화적 접근을 통해 설화의 새로운 교육적 가치를 재발견하였으면 나아가 현재의 다문화사회를 이해하고, 긍정적인 문화적응을 모색하는 문화교육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how the mean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which is emphasized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are materialized in the folktales. In a multicultural society, based on immigrant’s communication style, there are two types of acculturation: adaptation and maladjustment. For a successful daptation, successful communication is necessary between immigrants and permanent residents. In this respect, Baby Hero; “Agijangsu” shows a good example of how the mean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are materialized. However, the consistent communication style of the baby hero in the folktale Baby Hero; “Agijangsu” is unconventional from the point of view of multicultural society. Approaching the story of the baby hero born with wings and its abandonment by its mother and expulsion by the government troops and permanent residents, this study examines the “Revolutionary” character of the “wing” and focuses on its unconventional communication style, whereby the acculturation of the baby hero demonstrates not adaptation, but “Separation” failed in successful communication.

      • KCI등재

        아시아 트릭스터담을 활용한 상호문화교육에서의 공감교육 - ‘다름’이 아닌 ‘같음’을 바탕으로 -

        오정미(Oh, Jung-Mi)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69

        이 연구는 다름을 바탕으로 한 기존의 상호문화교육의 방향과 달리 문화 간의 ‘같음’을 바탕으로 한 상호문화교육을 모색하고자 ‘공감교육’을 제안하고 있다. 공감교육이란 다르다고 생각한 타문화 혹은 이문화 속에서 같음을 발견하고, 같음을 통해서 나와 너가 수평적으로 같다는 의미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공감교육을 실현하고자 한국, 중국, 베트남, 카자흐스탄에서 전승되고 있는 ‘트릭스터담’을 소개한 후 트릭스터담을 통해 실현할 공감교육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설화 속 트릭스터는 자기중심적 삶의 욕망을 실현하는 인물이면서 동시에 정주민과 이주민이 함께 똑같은 인간으로서 공감대를 형성케 하는 인물이다. 이러한 트릭스터가 주인공인 트릭스터담은 마치 벌거벗은 임금처럼 사람들이 서로의 민낯을 공유하며 그 속에서 서로의 욕망, 상처, 치유 등의 복합적인 감정을 함께 교감하게 한다. 트릭스터담을 통해 경험하는 인간의 상처와 욕망 그리고 치유라는 다층적인 감정은 공시 및 통시적으로 모두가 공통의 삶을 살아가는 똑같은 인간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할 것이다. 즉 설화를 통해 사람들은 문화 간의 차이보다 삶의 같음을 발견하고 이 속에서 공감을 경험하는 것인데, 이것이 같음을 바탕으로 한 상호문화교육에서의 공감교육인 것이다. 트릭스터담을 통해 공감교육의 의미와 방향을 모색한 것은 최종적으로 같음을 바탕으로 한 상호문화교육의 단초를 열기 위함이었다. 문화 간의 다름뿐 아니라 같음에 주목한 상호문화교육은 결혼이주여성이 중심인 한국의 다문화사회에 반드시 필요한 교육 방향으로, 긍정적인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s intercultural education, with a focusing on ‘sameness,’ unlike conventional ‘difference-based’ intercultural education, suggesting ‘empathy education.’ ‘Empathy education’ refers to the formation of empathy in which all people are equal under the concept of ‘sameness’ by discovering sameness among different cultures. To realize this such empathy education, this study covered trickster tales that arehave been told in the Republic of Korea, China, Vietnam, and Kazakhstan and proposed contents of empathy education to be implemented through such tales. In these tales, a trickster is a character that realizes his egocentric life desire, and at the same time, isforms empatheticy, by treating both immigrants and natives equally. In trickster tales, people share everything. Specifically, they share emotions, such as desire and pain. Such multilayered emotions are experienced through trickster tales, ultimately making people realize that they are all the same with common life goals. In other words, they discover ‘sameness,’ not intercultural differences, through such tales and experience sameness-based empathy. TheA search for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empathy education through trickster tales was to introduce intercultural education based on ‘sameness.’ It is anticipated that such intercultural education focusing on ‘sameness’, not ‘difference’, would positively impact an immigrant women-led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

        다문화가정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문학치료 연구

        오정미 ( Oh Jung-mi ) 한국문학치료학회 2021 문학치료연구 Vol.59 No.-

        인간의 관계 속에서 자기서사를 발견하고 건강한 자기서사가 치료의 목표인 문학치료는 다양한 국적과 인종 그리고 문화를 표상하는 다문화사회에서 더욱 필요한 학문이다.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 다문화가정, 다문화인에서 나오는 ‘다문화’라는 용어에 주목하여, 다문화가정 구성원이 한국사회와의 관계에서 갖게 되는 자기서사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자기 자신을 사회에서의 타자 혹은 소수자의 위치에서 운영하는 이주민 서사를 발견하였다. 인간관계를 중심으로 한 자녀서사ㆍ남녀서사ㆍ부부서사ㆍ부모서사가 보편적 인간관계 속에서 견인한 문학치료의 자기서사라면 이주민 서사는 다문화로 규정된 공동체 속에서 발현되는 유형성 내지 정형성을 지닌 자기서사이다. 자신을 타자화하는 서사가 강하다면 우리는 누구나 이주민 서사를 가질 수 있으며, 특히, 다문화가정 구성원은 한국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이주민 서사를 자기서사로 가질 수밖에 없다. 그래서 결혼이주여성 혹은 한국 남편의 부부서사 문제의 심연에는 이주민 서사가 원인으로써 작동할 가능성이 크다. 다문화가정 구성원의 문학치료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그들이 가진 이주민 서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이에 다문화가정의 구성원인 결혼이주여성, 한국 남편,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이주민 서사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마틴 부버(Martin Buber)의 인간의 관계론, ‘나와 그것’과 ‘나와 너’의 이론을 통해 건강하지 못한 방향과 건강한 방향으로 이주민 서사를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설화 <막산이>를 통해 이용과 목적 수단을 위한 도구의 비인격적 관계, 즉 건강하지 못한 이주민 서사인 ‘나와 그것’을 제시하였고, 설화 <반쪽이>를 통해 직접적이며 순수한 인격적 관계, 건강한 이주민 서사인 ‘나와 너’를 제시하였다. 이주민 서사는 다문화가정 나아가 다문화사회를 구성하는 이주민과 정주민 모두에게 존재할 수 있는 자기서사로, ‘나와 너’의 관계 속 이주민 서사를 통해 문학치료의 지평을 넓히길 기대한다. Literature therapy, whose goal is to discover and promote healthy story-in-depth of self in human relations, is a particularly critical field of study in a multicultural society. This study closely examined the term ‘multi-culture’ from the viewpoints of a multicultural society, multicultural families, and multicultural people. It also, examined the story-in-depth of self that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have i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Korean society and found the following: An immigrant epic, in which the self is from the perspective of others or minorities was found. If son-daughter, man-woman, husband-wife, and father-mother epics are story-in-depth of self in literature therapy, an immigrant epic is the story-in-depth of self found in multicultural communities. If the epic to make one’s self be an outsider is strong, anyone can have an immigrant epic. In particular,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cannot help but have such an immigrant epic as a story-in-depth of self i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Korean society. Therefore an immigrant epic can be the primary cause of an immigrant woman's or her husband’s psychological issues. It is important for literature therapy on multicultural families to understand their immigrant epic and further examine it against immigrant women, their husbands, and their children. This study suggested an immigrant epic with healthy and unhealthy aspects through Martin Buber’s Interpersonal Theory (“I-Thou Relations” and “I-It Relations”). It also proposed a non-personal “I-It relation” through the folk tale ‘Maksani’ and a direct and pure “-Thou” interpersonal relation through ‘Banjjogi.’ An immigrant epic is a story-in-depth of self that can be found in both immigrants and settlers in a multicultural society and a multicultural family.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ill broaden the scope of literature therapy through an immigrant epic with “I-Thou re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