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fficiency and Its Determinants in Regional Innovation Systems in South Korea 1999-2014: The Network Data Envelope Analysis

        엄익천,천세봉,황광선 한국학술연구원 2022 Korea Observer Vol.53 No.1

        Various studies have evaluated efficiency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s (RIS) and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it. However, there have been some limitations in these studies, such as the lack of analyzing dynamics in the efficiency of RIS and insufficient consideration of the internal processes of RIS. Therefore, we use a two-stage approach in employing network DEA, first constructing balanced panel data for 16 local governments over 16 years (1999-2014) and then analyzing the efficiency and determinants of the Korean innovation system. The implication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 negative side of the disparity of regional imbalance for the general RIS efficiency was found; (2) the R&D investment role of central government was confirmed to strengthen RIS; (3) government's simultaneous efforts to develop R&D efficiency as well as economic efficiency for the innovation system were requested; and (4) variances in South Korean RIS efficiency were unveiled.

      • PEST-SWOT-FUZZY-AHP를 활용한 한국 과학기술경쟁력의 제고 전략

        엄익천,조주연 한국정책학회 2014 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

        과학기술 분야는 고도의 전문성과 복잡성,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과학기술 전문가 집단의 동료평가(peer reviews)에 의존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활용된다. 하지만 과학기술 전략을 한결 체계적으로 수립하려면 서로 상이한 경험과 지식을 갖춘 과학기술 전문가들의 복합적인 다기준 의사결정들을 하나로 모아내는 방법론을 모색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 과학기술경쟁력과 연구개발 분야의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과학적?실증적인 방법론을 제시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퍼지집합이론(fuzzy sets theory)을 활용해서 의사결정자의 응답 신뢰도를 반영하는 PEST-SWOT-FUZZY-AHP 방법론을 새로 제안하고 한국 과학기술경쟁력의 제고 전략을 모색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의 과학기술경쟁력을 제고하려면 기초연구의 투자를 더욱 강화해서 부족한 원천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이를 통해 중국의 급격한 기술추격에 대응하는 전략 마련이 시급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아울러 PEST-SWOT-FUZZY-AHP 방법론을 개선하기 위한 향후 연구주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정부출연연구기관의 R&D 효율성 분석: 정부수탁과제와 출연금과제의 비교

        엄익천,류영수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9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29 No.3

        The Project-based System (PBS) has been introduced and implemented since 1996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GRIs) in order to promote demand-oriented research and development. However, PBS has been pointed out as a major factor that hinders creativity and autonomy, rather than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GRIs. In the meantime, the efficiency analysis of GRIs has been carried out variously to improve PBS including institutional discussions. Nevertheless, there is littl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efficiency of PBS projects and that of grant projects.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efficiency of PBS projects to that of grant projects which were conducted by thirty-three GRIs and then examined the determinants of the efficiency. As a resul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during the last 5 years (2012-2016), the efficiency of PBS was somewhat higher than that of grant. However, in terms of the performance index that are consistent with the mission of each GRI, the efficiency of grant is higher than that of PBS. 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government-sponsored R&D expenditure to total research expenditure has a positive impact (+) on the efficiency of GRIs, while the proportion of direct cost to total research expenditure has a negative impact (-) on tha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GRIs. 연구과제중심운영제도(Project-based System, PBS)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의 효율성 제고와 수요 중심의 연구개발 추진 등을 위해 1996년부터 도입되어 시행 중이다. 하지만 PBS는 당초 제도 도입의 취지와 달리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생산성을 제고하기보다 창의성과 자율성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지적받고 있다. 그동안 PBS를 개선하기 위한 제도적 논의들을 비롯해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효율성 분석이 다양하게 수행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PBS에 의한 정부수탁과제와 출연금과제 간 효율성의 비교분석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계 33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을 대상으로 PBS에 따른 정부수탁과제의 효율성과 출연금과제의 효율성을 비교분석하고 그 영향요인들을 고찰하였다. 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지만 최근 5년(2012년~2016년) 동안 정부수탁과제의 효율성은 출연금과제의 효율성보다 다소 높았다. 하지만 각 정부출연연구기관별 임무에 부합하는 성과지표의 관점에서는 출연금과제의 효율성이 정부수탁과제의 효율성보다 높았다. 특히 정부출연연구기관의 효율성에는 총 연구비의 정부연구비 투자비중이 긍정적인 영향관계(+)를 미치는 반면, 총 연구비의 직접비 투자비중은 부정적인 영향관계(-)가 실증되었다. 이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철강 분야의 과학기술경쟁력 제고전략 : PSFA 방법론을 중심으로

        엄익천,박문수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3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7 No.11

        철강산업은 탄소중립이 정책적 화두로 등장하면서 철강 R&D을 통한 기술개발의 중요성이 더욱 중요해 지고 있다. 특히 탄소저감을 위한 수소환원제철법은 탁월한 기술력을 갖춘 ㈜POSCO조차 단독으로 기술개발을 추 진하기에 많은 도전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탄소중립 등에 대응하기 위한 철강 분야의 과학기술경쟁력 제고전략 수립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 선행연구들을 검토해보면 철강산업의 대응전략 수립은 주로 정성적인 동료평 가가 대부분으로 철강 분야의 과학기술경쟁력 제고전략에 대한 정량화된 상대적인 우선순위는 거의 찾아볼 수 없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사결정자의 응답에 대한 태도와 신뢰도를 반영해낼 수 있는 Um et al.(2015)[1]의 PSFA(PEST-SWOT-FUZZY-AHP)를 활용해서 철강 분야의 과학기술경쟁력 제고전략을 정량적으로 제시하였 다. 분석결과, ‘ⓛ철강 R&D의 투자 확대[공격전략]’와 ‘②차세대 철강 제조기술의 R&D 역량 제고[만회전략]’, ‘③ 철강제품의 고부가가치화[우회전략]’, ‘④철강 중소·중견기업의 육성·지원(생존전략)’이 도출되었다. 특히 ⓛ철강 R&D의 투자 확대[공격전략]’의 상대적 우선순위가 제일 높아 가장 먼저 추진할 철강 분야의 과학기술경쟁력 제고 전략으로 나타났다. The steel industry is becoming increasing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through steel R&D as carbon neutrality takes the spotlight as a policy priority.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hydrogen reduction steel method for carbon reduction, even POSCO, which has excellent technology, requires many challenges to promote technology development alone. Accordingly, it is very important to establish a strategy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steel field to cope with carbon neutrality. However, upon reviewing existing research, the development of response strategies in the steel industry has mostly relied on qualitative peer review methods. Consequently, quantified relative priorities for enhancing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in the steel sector are scarcely found. In this study, strategies for enhancing science and technology competitiveness in the steel field were quantitatively sought by using PSFA(PEST-SWOT-FUZZY-AHP) of Um et al. (2015)[1], which can reflect the attitude and reliability of decision-makers’ respons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xpanding investment in steel R&D (attack strategy)”, “enhancing R&D capabilities of next-generation steel manufacturing technologies (catch-up strategy)”, “high value-added steel products (detour strategy)”, and “fostering and supporting small and medium-sized steel companies (survival strategy)” were derived. In particular, among these four enhancement strategies, the “expansion of investment in steel R&D (attack strategy)” has the highest relative priority, indicating that it is a strategy to enhance science and technology competitiveness in the steel sector to be pursued first.

      • KCI등재

        R&D 투자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공공 R&D 투자와 민간 R&D 투자의 비교

        엄익천,황원식 산업연구원 2022 산업연구(JIET) Vol.6 No.1

        Various discussions have been conducted on the efficiency of R&D investments in Korea. Most of them pointed out that Korea’s public R&D investment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major developed countries based on certai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 However, unlike private R&D investment that seeks to maximize corporate profits, public R&D investment has the ultimate goal of maximizing public uti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socio-economic impacts of public R&D investment from the viewpoint of maximization of public welfare. We analyze the socio-economic impacts of public R&D investment over the next 10 years (2021-2030) by establishing the computational general equilibrium (CGE) model to analyze whether the expansion of public R&D investment improves income inequal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ublic R&D investment had greater spillovereffects on other industries than private R&D investment, generating positive externalities across all industries. On top of that, i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income inequality.

      • KCI우수등재

        다중대체법을 활용한 국가혁신체제의 효율성 진단과 개선방안 연구

        엄익천 한국행정학회 2018 韓國行政學報 Vol.52 No.1

        Various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suggest improvements by analyzing the efficiency of National Innovation Systems (NIS) since Nasierowski and Arcelus(2003). However, we can point out many limitations of these studies. For example, most existing studies have not considered the internal operations of NIS and use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models, which insufficiently reflec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R&D. Also, most have overlooked the efforts on the sensitivity analysis of the calculated efficiency index, neglected the qualitative indicators of NIS, and have not accounted for endogeneity in determinants of the efficiency. Specially, sometimes the countries with missing values are excluded when analyzing efficiency at the national level. Consequently, these analyses of the efficiency of NIS have been biased toward OECD countries, for which diverse data on input factors and output factors from a short-term perspective within five-year and ten-year periods could be easily obtained. Therefore, this study uses multiple imputation(MI)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tudies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NIS and its determinants in a total of 41 countries, including the OECD countries plus seven other countries(Argentina, China, Romania, Russia, Singapore, South Africa, and Taiwan) from 1995 to 2014.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dicates that we need to take a differentiated approach to improving the total efficiency of NIS, further strengthen the institutional infrastructures of technical commercialization, provide financial support considering the attributes and usage fields of funding, and highly develop the division of roles between the government domain and the private domain in terms of technology levels. Nasierowski and Arcelus(2003) 이후 국가혁신체제의 효율성을 분석해서 개선방안을 논의하는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하지만 ①국가혁신체제의 내부 처리과정 고려 미흡과 ②연구개발 분야의 특수성을 반영한 효율성 분석모형 설정 부족, ③산출된 효율성 지수의 민감도 분석과 질적 지표 반영 소홀, ④효율성 결정요인의 내생성 미고려 등의 다양한 한계점이 존재한다. 특히 국가 단위로 효율성을 분석할 경우 결측치가 존재하는 국가는 분석대상에서 임의로 제외하기도 하였다. 이로 인해 대부분 투입・산출지표의 자료획득이 비교적 용이한 OECD 국가를 중심으로 10년 이내 단기적인 관점에서 국가혁신체제의 효율성을 분석한 경우가 많았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한계점들을 극복하고자 다중대체법(Multiple Imputation: MI)으로 1995 년~2014년까지 OECD 34개국을 포함한 7개국(아르헨티나와 중국, 루마니아, 러시아, 싱가포르, 남아프리 카공화국, 대만), 총 41개국을 분석대상으로 설정해서 국가혁신체제의 효율성과 그 결정요인들을 분석하였 다. 분석결과, ①국가혁신체제의 총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각 국가별 차별화된 접근과 ②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한 제도적 기반 정비 강화, ③재원의 속성과 활용분야 등을 고려한 자금 지원, ④기술 수준을 고려한 정부와 민간 간 역할분담의 정교화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