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추심의 소와 채무자의 당사자적격, 중복된 소제기의 금지

        양진수 민사판례연구회 2015 民事判例硏究 Vol.- No.37

        A creditor who obtains an order of garnishment can file a debt collection lawsuit against a garnishee. Some scholars regard this kind of lawsuit as an exercise of a creditor's intrinsic right, but it should be classified as a litigant with statutory standing, because a collection right is not a substantive right, and a creditor who obtains garnishment acquires both the authority and right to collect debts on behalf of a debtor. Some scholars say that even when a creditor obtains an order of garnishment, a debtor retains a standing to file a lawsuit against a garnishee based upon the seized claim. However, in my opinion, a debtor shall lose the legal standing or litigation right as long as the garnishment is valid for the following three reasons. First, the Civil Execution Act allows a creditor to select a garnishment as a way of compulsory execution and thereby allowing both the collection authority and litigation right against a garnishee, with the aim of fulfilling a creditor's own right to debts. Second, the loss of a debtor's standing is not against judicial economy nor put the garnishee at disadvantage. Third, a debtor already has another private law remedies, and he/she should bear that his/her position becomes slightly inferior by complying with the execution. When a creditor prosecutes an action against a garnishee and obtains a valid final judgment, a debtor is no longer able to initiate another action against the garnishee based upon the same claim, due to res judicata, regardless of a creditor's winning (or losing) the lawsuit or a debtor's recognition of the lawsuit. This is because Article 218 (3) of the Civil Procedure Act stipulates that a final and conclusive judgment rendered to the person, who became a plaintiff or defendant for another person, shall be binding on the said another person also. And when a debtor suffers a damage because a creditor violates a duty of notice of an action, the conflict should be settled between the creditor and the debtor, without making a garnishee who has not contributed to the arise of a collection right to contest a lawsuit more than once. Furthermore, after a debtor initiates a lawsuit against a garnishee and obtains a valid final judgment, a garnishee can use res judicata as a defense against a creditor filing another action against him/her based on the same claim.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a creditor who acquires a garnishment after a conclusion of an oral proceeding of the debtor's lawsuit constitutes the “successor” to the status of legal standing or the subject of the litigation. According to legal theories and precedents, in cases where one party can use res judicata as a defense against the other party, like a successor of the litigation after a conclusion of an oral proceeding, the parties can be treated as ‘the same parties’ which is a key requirement to apply a prohibition of duplicative litigation, although the parties of the former and later lawsuits in fact are not the same. If we hold this point of view, it is probable that a creditor who obtains a garnishment after a conclusion of an oral proceeding of the debtor's lawsuit be regarded as ‘the same party’ in a prohibition of duplicative litigation. However, I insist that the debt collection lawsuit initiated by a creditor after a pendency of a debtor's lawsuit should not be treated as a duplicative litigation referred to in Article 259 of the Civil Procedure Act for the following grounds. First, the Civil Execution Act provides for the institution of garnishment to be selected by a creditor as means of execution for the purpose of fulfilling a creditor's own right of claim. Second, allowing the creditor's debt collection lawsuit does not violate the purpose of the Civil Procedure Act for the prohibition of duplicative litigation to prevent waste of time and inconsistency and contradiction of judgment caused by double acceptance of lawsuit and repeated hearing. This judgment reconfirmed p... 채무자의 금전채권에 대하여 압류 및 추심명령이 있으면 채권자는 제3채무자를 상대로 압류된 채권의 이행을 청구하는 소를 제기할 수 있다. 이러한 추심의 소의 성질에 관하여 압류채권자가 자신의 고유한 권리를 행사하는 것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으나, 우리 민사집행법 하에서는 추심권에 실체적 권리로서의 성격이 없고, 추심채권자는 추심권이라는 권능과 함께 타인인 채무자의 채권을 대신 추심해 준다는 자격도 함께 가지므로, 법정소송담당으로 보아야 한다. 추심명령이 있는 경우 피압류채권에 대한 채무자의 소송수행권 내지 당사자적격이 유지된다고 보는 견해도 있으나, 민사집행법이 채권자로 하여금 강제집행의 방법으로 추심명령을 선택하고 피압류채권에 대한 추심 권능과 함께 소송수행권을 갖도록 한 취지는 채권자의 권리(집행채권)의 실현을 위한 것으로 볼 수 있고, 채무자의 소송수행권이 상실된다고 보더라도 소송경제에 반하거나 제3채무자에게 불이익하게 된다고 볼 수 없으며, 채무자에게는 이미 일정한 구제수단이 마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강제집행에 응하는 자로서 어느 정도 지위가 열악해지는 것은 감수하여야 하므로, 채무자는 소송수행권 내지 당사자적격을 상실한다고 봄이 타당하다. 법정소송담당에 관한 민사소송법 제218조 제3항은 권리의 귀속주체에게 판결의 효력이 미치는 데 제한을 두고 있지 않고, 채권자의 소송고지의무 위반으로 인한 채무자의 손해는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에 해결하여야 할 문제이며, 추심권 발생에 기여한 바 없는 제3채무자에게 이중응소의 부담을 지우는 것은 부당하므로, 추심소송의 판결의 효력은 그 승·패소 또는 채무자의 지·부지를 불문하고 언제나 채무자에게 미친다고 보아야 한다. 또한, 채무자가 먼저 소를 제기하였을 경우 추심명령을 얻은 채권자는 당해 채권에 관하여 당사자적격 또는 분쟁주체인 지위를 이전받은 자로서 ‘승계인’에 해당하므로, 채무자가 수행한 소송의 확정판결의 기판력은 그 소송의 변론종결 후(무변론판결의 경우 판결선고 후) 추심명령을 얻은 채권자에게 미친다고 보아야 한다. 전소와 후소의 당사자가 동일하지 않더라도 후소의 당사자가 기판력의 확장으로 전소의 판결의 효력을 받게 될 경우에는 동일 사건으로 중복된 소제기의 금지 원칙이 적용된다는 학설과 기존 판례에 따른다면, 채무자의 소가 후소인 경우 추심채권자의 전소 확정판결의 기판력이 미치고, 채권자의 추심의 소가 후소인 경우 채무자의 전소 확정판결의 기판력이 미치므로, 두 경우 모두 중복된 소제기의 금지 원칙의 적용 요건으로서의 ‘당사자의 동일’에 해당하게 된다. 그러나 민사집행법이 추심명령 제도를 둔 근본 취지는 채권자의 권리(집행채권) 실현을 위한 것이고, 후소인 추심의 소를 허용하여도 중복된 소제기를 금지하는 민사소송법의 취지에 반하여 이중응소와 중복 심리로 인한 소송불경제 및 판결의 모순·저촉을 야기하지 않으므로, 채권자의 추심의 소가 후소인 경우에는 채무자의 전소와의 관계에서 민사소송법 제259조가 금지하는 중복된 소제기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봄이 타당하다. 대상판결은 추심명령이 있는 경우 채무자가 피압류채권에 관한 당사자적격을 상실한다는 종전의 입장을 재확인하였고, 다수의견은 이를 토대로 채무자의 소가 비록 추심의 소보다 먼저 제기되었다 하더라도 그러 ...

      • KCI등재

        기업의 ESG 경영수준이 기업가치 변동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 대유행 기간의 유가증권시장을 중심으로

        양진수,임욱빈,김정렬 한국경영교육학회 2022 경영교육연구 Vol.37 No.3

        [Purpose]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the implications by demonstrat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ESG management level of a company and the changes in corporate value during 2020, when the rapid volatility in the capital market was observed due to the COVID-19 pandemic. [Methodology]This study used the change of Tobin’s Q ratio and the change of the market value book value ratio to measure the change in corporate value,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the Korea Corporate Governance Institute’s 2020 ESG rating was the substitute of corporate ESG management level, an independent variable.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performs the univariate analysis between variables, and then performs the multilinear regression analysis that can analyze the mutual functional relationship of two or more independent variables. [Findings]This study confirmed that ESG management levels are in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change in corporate values in line with the direction and intensity of capital market fluctuations during all the year of 2020 as well as the first quarter of 2020, when the capital markets plummeted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mplications]Until recently, the related prior studies reported on the period from the initial plunge in capital marke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provid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demonstrating the positiv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ESG management levels and the change in corporate value not only at the beginning of the COVID-19 pandemic, but also until the fourth quarter of 2020, when capital markets soared thereafter.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자본시장이 급격한 변동성이 관찰되었던 2020년 1년 동안 기업의 ESG 경영수준과 기업가치 변동 간 영향 관계를 실증하여,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본 연구에서 독립변수인 기업 ESG 경영수준의 대용치는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2020년 ESG 평가등급을 사용하였다. 종속변수인 기업가치 변동을 측정하기 위해 기업가치 대용변수로 토빈의 Q 비율과 시장가치대장부가치비율을 사용하여 이를 산출하였다. 실증분석은 변수 간 단변량 분석 후 2개 이상의 독립변수와 하나의 종속변수의 상호 함수관계를 분석할 수 있는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행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코로나19 대유행이 발생하여 자본시장이 급락하였던 2020년 1분기뿐만 아니라 ESG 경영수준이 자본시장 변동의 방향과 강도에 따라 기업가치 변동과 긍정적 영향 관계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시사점]최근까지 발표된 관련 연구는 코로나19 대유행 초기 자본시장이 급락 후 회복 기간까지의 기간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코로나19 대유행 초기뿐만 아니라 이후 자본시장이 급등한 2020년 4분기까지 ESG 경영수준과 기업가치 변동에 대한 긍정적 영향관계를 실증함으로써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공제급여 산정시 피공제자의 기왕증 참작 및 과실상계를 허용한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9조의2 제1항 내지 제3항의 효력

        양진수 사법발전재단 2017 사법 Vol.1 No.39

        Article 19-2(1) or (3)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and Compensation for Accidents at School (hereinafter “the pertinent provisions of the Enforcement Decree”) grants consideration of a mutual aid beneficiary’s medical history and comparative negligence when calculating the amount of mutual aid benefit pursuant to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and Compensation for Accidents at School (hereinafter “School Safety Act”). The Supreme Court previously held that consideration of medical history or comparative negligence was impermissible unless otherwise specified by law on the ground that the underlying purpose differed between the mutual aid benefit system under the School Safety Act and the tort damages system under the civil law (see Supreme Court Decision 2011Da111961, Dec. 13, 2012). Provided, however, in the 2012 Supreme Court Decision, supra, it did not appear as if the Court rendered judgment on whether the pertinent provisions of the Enforcement Decree were in fact invalid without delegation by the primary law applicable, due to the school safety-related accident having occurred prior to April 1, 2012 when the relevant provisions came into effect. Accordingly, notwithstanding the aforementioned judicial precedent, the School Safety Mutual Aid Association (hereinafter “SSMA”) had been granting consideration of a beneficiary’s medical history and comparative negligence when calculating the amount of mutual aid benefit, and up until the subject case, the lower court judges were divided on the matter. In the subject case, the key issue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pertinent provisions of the Enforcement Decree were either prescribed without delegation by the applicable law or exceeded the scope of the delegated applicable provisions and therefore deemed invalid. The dissenting justices stated that the said provisions were valid inasmuch as the School Safety Act, being the primary applicable law, provides that “[t]he purpose of the Enforcement Decree shall be to prescribe matters as delegated by the Act” (see Article 1 of the School Safety Act). However, as set forth in the Majority Opinion, the pertinent provisions of the Enforcement Decree were regarded as going beyond the scope of the delegated applicable provisions and thus deemed as invalid provisions based on the following reasoning: (i) the mutual aid benefit system and the damages system are inherently different; and (ii) direct compensation under the system by the SSMA for any injury, etc. suffered by a mutual aid beneficiary involving a school safety-related accident constitutes a type of performance of legal obligation, thereby supporting schools in maintaining a safe environment that is conducive to learning. Meanwhile, in his concurrence, Justice Kwon Soon-il expressed that the legal nature of payment of mutual aid benefits under the School Safety Act contained a mixture of public and private law elements, and that the lawsuit seeking such payment by focusing on the elements of public law constituted a party litigation under the public law. Nonetheless, as stated in the Majority Opinion, the Supreme Court affirmed the judgment of the lower court that followed the existing practice of law and accordingly tried the instant case as a civil suit.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이하 ‘학교안전법’이라고 한다) 시행령 제19조의2 제1항 내지 제3항(이하 ‘이 사건 시행령 조항’이라고 한다)은 학교안전법상 공제급여액을 산정함에 있어 피공제자의 기왕증을 참작하고 과실상계를 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대상판결 이전의 2012년 대법원판례는, 학교안전법에 따른 공제급여 제도는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를 배상하는 제도와 그 취지나 목적을 달리하므로,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과실상계나 기왕증 참작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태도를 취하였다. 그런데 2012년 판례의 사안에서 학교안전사고의 발생 시점은 이 사건 시행령 조항의 시행일인 2012. 4. 1. 이전이었기 때문에 위 판례에는 이 사건 시행령 조항이 모법의 위임 없는 무효의 규정인지에 관한 판단이 없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상판결 이전에 학교안전공제회(이하 ‘공제회’라고 한다) 측은 위 2012년 판례에도 불구하고 공제급여액을 산정하면서 여전히 피공제자의 기왕증을 참작하고 과실상계를 해 왔고, 이에 대한 하급심의 판단도 양분되어 있었다. 대상판결에서는 이 사건 시행령 조항이 모법 조항의 위임 없이 규정된 것이거나 모법 조항의 위임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서 무효인지 여부가 주된 쟁점이 되었다. 이에 관하여 이 사건 시행령 조항에 대하여 모법인 학교안전법에 위임의 근거조항이 있으므로 이 사건 시행령 조항은 유효라는 반대의견의 지적이 있었으나, 다수의견은 이 사건 시행령 조항이 모법 조항의 위임 범위를 벗어난 무효의 규정이라고 판단하였다. 이는 학교안전법상 공제급여 제도는 민사상의 손해배상 제도와는 그 본질이 다르고, 학교안전사고로 인하여 피공제자가 입은 피해를 학교 교육과정의 안전에 대한 배려 차원에서 공제회로 하여금 직접 전보하게 하는 일종의 법정채권관계에 의한 급부임을 주된 근거로 한다. 한편 학교안전법상 공제급여의 지급을 둘러싼 법률관계에는 공법적 성격과 사법적 성격이 혼재되어 있다. 그중 공법적 요소에 주목하여 학교안전법상 공제급여 지급을 구하는 소송의 법적 성질이 공법상 당사자소송이라고 하는 별개의견의 지적이 있었으나, 다수의견은 기존의 실무에 따라 민사소송으로 처리한 원심을 확정하였다.

      • KCI등재후보

        공동근저당권자가 채무자에 대한 회생절차에서 채무자 소유 부동산의 환가대금으로부터 우선변제받은 경우에 공동담보물인 물상보증인 소유의 다른 목적 부동산의 채권최고액 감액 여부

        양진수 사법발전재단 2018 사법 Vol.1 No.44

        The key issue of the subject case is, where a joint mortgagee who has priority over other rights-holders is partly apportioned a secured debt out of the proceeds derived from realizing one of the immovable properties provided as joint collateral through either the (i) enforcement of a mortgage by the mortgagee’s own effort or (ii) commencement by another party of the auction, sale, acceptance or rehabilitation procedure (hereinafter “realization procedure”), whether said joint mortgagee may exercise a right to preferential reimburs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initial maximum debt amount regarding the remainder of secured debt. Inasmuch as Article 368 of the Civil Act is applicable toward a joint mortgage, if simultaneous apportionment takes place with regard to immovable properties provided as joint collateral, the secured debt shall be divided within the scope of the maximum debt amount and apportioned to a joint mortgagee in proportion to the proceeds from the realization of each immovable property, and shall not be apportioned cumulatively equal to the maximum debt amount. That said, even in a case where a sequential apportionment takes place with regard to immovable properties provided as joint collateral, construing that it is impossible to cumulatively apportion from the proceeds of realizing each immovable property accords with the purport of Article 368 thereof. In contrast to the above, if that same joint mortgagee is deemed able to exercise again the right to preferential reimbursement against the remainder of immovable properties jointly mortgaged within the extent of the initial maximum debt amount, namely, without deducting the amount preferentially reimbursed, this deprives a person who has acquired a subordinate mortgage on an immovable property in which a senior mortgage is already established, or a guarantor in rem who owns an immovable property that is jointly mortgaged, the opportunity to reap benefits from simultaneous apportionment. The Supreme Court had previously ruled that a joint mortgagee could again exercise the right of preferential reimbursement during the realization procedure of the remaining immovable properties (see Supreme Court Decision 2008Da72318, Dec. 10, 2009). In the subject case, the Court overruled such precedent by holding as follows: (a) a joint mortgage cannot re-exercise the right to preferential reimbursement as to the amount preferentially reimbursed during the realization of the remaining immovable properties jointly collateralized; (b) the scope of right to preferential reimbursement that is exercisable by a joint mortgagee against the remainder of immovable properties provided as joint collateral ough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outstanding maximum debt amount after deducting the preferentially reimbursed amount from the initial maximum debt amount, regardless of the settlement of the secured debt; and (c) such legal doctrine holds true in cases where the secured debt that exceeds the maximum debt amount is not the principal but, rather, the interest and delay damages. 대상판결의 주된 쟁점은, 공동근저당권자가 공동저당부동산 중 일부에 대하여 다른 사람이 신청하여 개시된 경매·공매 절차, 수용 절차 또는 회생 절차 등(이하 ‘경매 등 환가절차’라 한다)에서 피담보채권의 일부를 우선변제받은 경우에, 우선변제받은 금액만큼 나머지 공동저당부동산의 채권최고액이 감액되는지 여부이다. 민법 제368조는 공동근저당권의 경우에도 적용되므로, 공동근저당권이 설정된 목적부동산에 대하여 동시배당(同時配當)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공동근저당권자는 채권최고액 범위 내에서 피담보채권을 부동산별로 나누어 각 환가대금에 비례한 액수로 배당받고, 공동근저당권의 각 목적부동산에 대하여 채권최고액만큼 반복하여, 이른바 누적적으로 배당받지 않는다. 그렇다면 공동근저당권의 목적부동산에 대하여 이시배당(異時配當)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동시배당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공동근저당 부동산의 각 환가대금으로부터 채권최고액만큼 반복하여 배당받을 수는 없다고 해석하는 것이 민법 제368조의 취지에 부합한다. 만일 이와 달리 목적부동산 중의 일부에 관하여 우선변제를 받은 공동근저당권자가 다른 목적부동산에 관한 경매절차에서 감액되지 않은 최초의 채권최고액 전부에 대하여 다시 우선변제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보게 되면, ① 후순위로 근저당권을 취득한 사람, ② 공동저당 관계에 있는 다른 부동산의 소유자인 물상보증인 등은 모두 합리적 근거 없이 동시배당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비하여 불이익을 받게 된다. 대상판결은, 공동근저당권자가 공동저당부동산 중 일부에 대하여 다른 사람이 신청하여 개시된 경매 등 환가절차에서 피담보채권의 일부를 우선 변제받은 경우에, ① 그와 같이 우선변제 받은 금액에 관하여는 나머지 공동저당 부동산에 대한 경매절차에서 다시 공동근저당권자로서 우선변제권을 행사할 수 없고, ② 공동담보의 나머지 목적부동산에 대하여 공동근저당권자로서 행사할 수 있는 우선변제권의 범위는 피담보채권의 확정 여부와 상관없이 최초의 채권최고액에서 위와 같이 우선변제 받은 금액을 공제한 나머지 채권최고액으로 제한된다고 판단하였다. 이와 같이 대상판결은 감액긍정설을 취함을 분명히 하면서, 감액부정설을 취한 2009년 대법원판결을 변경함으로써 실무상의 혼선을 정리하였다. 한편 대상판결은 이 사건과 같이 타인에 의하여 개시된 회생 절차에서 회생계획에 따라 채무자 소유 부동산의 환가대금으로부터 변제받은 것도 임의변제가 아닌 우선변제권 행사에 따른 배당으로 보아, 감액긍정설의 법리가 적용된다고 보았다. 또한 채권최고액을 넘는 피담보채권이 원금이 아니라 이자·지연손해금인 경우에도 감액긍정설의 법리가 적용된다고 판단하였다.

      • KCI등재후보

        不動産占有取得時效 完成 後 不動産의 所有權을 取得한 第3者와 時效完成占有者의 關係

        양진수 민사판례연구회 2010 民事判例硏究 Vol.- No.32

        The judicial precedent that has been established by the Korean Supreme Court regarding the legal effects due to the completion of an acquisitive prescription on real estate in Paragraph 1 of Article 245 of the Civil code can be described as follows; (a) The registered owner cannot claim against the occupant for the delivery of the real estate, the demolition of the building on the real estate (if it is land), the return of unjust enrichment, and damages. (b) The occupant can claim for the transfer of the registration of the real estate against the registered owner who obtained the ownership before the completion of prescription period. (c) The occupant cannot claim for the transfer of the registration of the real estate against the registered owner who obtained the ownership after the completion of prescription period. (d) The starting point of the acquisitive prescription period should be fixed at the time the occupant began to occupy the real estate. The occupant is not permitted to insist an arbitrary starting point. (e) In spite of the above legal principle (c), the occupant can claim for the transfer of the registration of the real estate against the registered owner who obtained the ownership after the completion of prescription period, if another acquisitive prescription period has completed after the registered owner obtained the ownership while the occupant continues to occupy the real estate. In this study, I researched the problems of the above legal principle (c), which ignores the unique legal status of the occupant who has achieved an effect of an acquisitive prescription on the real estate. (1) The transfer of the registration of the real estate is merely the transfer of the legal status, not influencing the actual fact. The acquisitive prescription is the legal system that endows a predominant effect to the actual fact over the legal status. (2) There is no reason to discriminate between the registered owner who obtained the ownership before the completion of prescription period and the registered owner who obtained it after, even if the registered owner obtained the ownership for the purpose of interrupting the occupant from acquiring the right to claim for the transfer of the registration of the real estate. (3) According to the above legal principle (c), the longer the occupant has occupied the real estate, the lower the possibility the occupant successfully obtains the ownership. I insist that the judicial principle should be amended to protect the occupant who has achieved an effect of the acquisitive prescription on the real estate from a person who acquired ownership of that real estate after the completion of an acquisitive prescription period. That occupant deserves the protection because he/she satisfies the following conditions; he/she began to occupy it in the belief that he/she is the owner of the real estate, and the registered owner has taken no action to stop the occupation. I support the theory that the judge should measure the period of the acquisitive prescription in a way to count the term reversely from the day of judgment. I have found in the adjudication of the Korean Supreme Court (Case # 2007DA5172,15189) that the court realized the problem of the above legal principle (c) and tried to modify the principle in order to broaden the range of protection of the occupant. The adjudication declared that in spite of the above legal principle (e), the occupant can claim for the transfer of the registration of the real estate against the registered owner who obtained the ownership from the previous owner who obtained the ownership after the completion of prescription period, if another acquisitive prescription period has completed after the previous owner obtained the ownership while the occupant continues to occupy the real estate. However, it could be more desirable for the Supreme Court to declare the abolition of the above legal principle (c). 민법 제245조 제1항의 부동산 점유취득시효 완성으로 인한 법률관계에 관한 대법원 판례이론은 이른바 ‘判例 5原則’으로 요약된다. 즉, 취득시효완성 당시의 소유자는 점유자에 대하여 소유권에 기한 물권적 청구권, 부당이득반환청구권 및 손해배상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고(제1원칙), 점유취득시효기간이 완성되기 전에 등기부상 소유자가 변경된 경우 시효완성 점유자는 그 새로운 소유자에 대하여 등기 없이도 취득시효완성의 효과를 주장할 수 있으며(제2원칙), 점유취득시효가 완성되었다고 하더라도 이를 등기하지 않고 있는 사이에 그 부동산에 관하여 제3자에게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지면 시효완성 점유자는 그 제3자에게 대항할 수 없고(제3원칙), 점유자는 점유취득시효의 기산점을 임의로 선택할 수 없으며(제4원칙), 취득시효완성 후 소유자에 변동이 있어도 당초의 점유자가 계속 점유하고 있고 소유자가 변동된 시점을 새로운 기산점으로 삼아도 다시 취득시효의 점유기간이 완성되는 경우에는 시효완성 점유자는 소유권 변동시를 새로운 취득시효의 기산점으로 삼아 취득시효의 완성을 주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제5원칙). 그런데 취득시효가 완성된 경우 시효완성 점유자와 소유자는 통상의 채권․채무관계와는 다른 특수한 법률관계에 놓여 있음에도, 대법원은 제3원칙을 채택함으로써, 취득시효제도의 취지를 실현하기 위하여 인정하던 특수한 법적 상태가 시효완성 후 소유자의 변경이라는 사정만으로 파괴되어 버린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으나, 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부당하다. 먼저, 시효완성 후 제3자에게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졌다 하더라도 이는 권리관계상의 변동일 뿐 이와 괴리된 사실관계가 존속하고 있다는 점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고, 우리 민법하에서는 시효완성 점유자가 등기를 하기 이전에는 '권리변동의 당사자'가 존재할 수 없다는 점을 간과하였다. 다음으로, 시효완성 전에 등기부를 믿고 부동산을 취득한 제3자와 시효완성 후의 제3취득자를 다르게 취급하는 근거가 빈약하고, 등기의 공신력이 인정되지 않는 현행 민법하에서의 부동산거래 관행과도 맞지 않으며, 시효완성 후의 악의의 제3취득자까지 보호하게 된다. 또한, 시효완성 점유자 또는 시효완성 전의 제3취득자를 자신의 권리행사를 게을리한 자로 단정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더 오랜 기간 점유한 자의 시효취득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다. 시효완성 후의 제3취득자에게 시효중단이라는 방어수단이 없다는 점은, 시효완성 후의 제3취득자와 점유자 중 누구를 우선시킬 것인가를 판단하기 위한 하나의 고려요소가 될 수는 있지만, 시효완성 점유자의 법적 지위를 송두리째 부정하고 제3취득자를 우선시킬 전적인 이유는 되지 못한다. 부동산 물권 변동에 관하여 성립요건주의를 채택한 현행 민법 하에서 점유취득시효 제도가 예외적인 제도이기는 하지만, 그 제도의 존재이유와 기능 또한 몰각되어서는 안 되므로, 점유 개시 당시 자주점유라는 엄격한 요건을 통과하고, 그 이후 20년의 기간 동안 부동산 소유자가 시효중단을 위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는 관문을 통과하고 나면 시효완성 점유자는 시효 완성 전의 제3취득자와 시효 완성 후의 제3취득자 모두에 대해서 시효완성을 주장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우리 민법 규정의 해석론으로는 역산설이 가장 자연스럽다. 대상판결은 제5원칙을 다 ...

      • KCI등재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 기업규모에 따른ESG 경영활동과 주가 변동 간 영향 관계 연구

        양진수,임욱빈,김상봉 한국회계정보학회 2022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22 No.2

        [Purpose]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ESG management activities and stock price fluctuations of companies in 2020, which showed rapid volatility in the capital market due to the COVID-19 crisis. [Methodology]In this study, the level of ESG management was indexed with the Korea Corporate Governance Institute’s 2020 ESG rating. Stock price fluctuations were measured by the quarterly return on shares of each company. To confirm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ompany size, the analysis was also performed by dividing into large, medium, and small caps. [Findings]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level of ESG management activity is in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tock price fluctuations depending on the direction and intensity of the capital market fluctuations during all the year of 2020 as well as the first quarter of 2020, and that the influence relationship varie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company. [Implications]Prior research until recently has focused on the short period of recovery from the initial stage of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demonst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SG management and stock price fluctuations by company size during all the year 2020. [연구목적]2020년 시작된 코로나19 팬데믹 위기로 전 세계가 전례가 없었던 전염병과의 긴 전쟁을 이어가고 있다. 코로나19는 인류에게 환경위기에 대한 경각심과 인간 사회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구심을 일깨웠다. 그로 인해 기업의 사회적 존재로서 그 가치에 대한 논의가 확대되며 ESG 경영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계기를 마련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위기 상황으로 자본시장에서 급격한 변동성이 나타났던 2020년 기업의 ESG 경영활동과 주가 변동 간 영향 관계를 실증,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본 연구에서 기업 ESG 경영활동 수준은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2020년 ESG 평가등급을 지수화하여 이용하였다. 주가 변동은 각 기업의 분기별 주식수익률을 측정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기업규모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의 시가총액규모 구분에 따라 대형주, 중형주, 소형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코로나19 위기로 자본시장이 급락하였던 2020년 1분기뿐만 아니라 ESG 경영활동 수준이 자본시장 변동의 방향과 강도에 따라 주가 변동과 긍정적 영향 관계에 있고, 기업규모에 따라 그 영향 관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시사점]최근까지의 선행연구는 코로나19 대유행 초기 자본시장 급락 후 회복까지의 단기간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그 초기뿐만 아니라 이후 자본시장이 급등한 2020년 4분기까지 기업규모에 따른 ESG 경영활동 수준과 주가 변동에 대한 긍정적 영향 관계를 실증하였다. 이로써 외생적 변화로 인한 자본시장 급변 시 기업규모에 따라 ESG 경영활동을 통해 위험관리 체계를 개선하는 데 필요한 통찰의 단초를 제시하였다.

      • SCOPUSSCIEKCI등재

        골융해와 두개강외 연조직 종괴로 나타난 악성 수막종 : 증례보고 A Cases Report

        양진수,금주섭,이승민,양재영,최천식,주문배 대한신경외과학회 1996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25 No.7

        Malignant intracranial meningioma is a rare pathologic entity. Although the topic is widely discussed. there is little agreement in the literatures as to the histological and radiological features that warrant the diagnosis of malignant meniugioma. An osteolytic lesion of the skull may have been suggested in several cases. But in adults the most commonly suspected lesion is metastatic lesion ; while meningioma is rarely suspected. Meningiomas are occasionally associated even with extracranial masses. However, most of these masses are firm. and are caused by hyperostosis. Extracranial soft-tissue masses rarely arise in meningiomas, thus, the presence of both osteolytic skull lesion and soft-tissue mass is exceedingly rare in meningiomas.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osteolytic malignant meningioma located at the frontal fossa extending to the subgaleal space appearing as an exracranial soft-tissue mass in a 19-year-old female. The clinical, radiological, neurosurgical, and histopathological features of these lesions are discussed together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