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Effects of SITS on Sodium Transport, Oxygen Consumption and Na-K-ATPase of the Frog Skin

        이승묵,안미라,이승일,박양생,Lee, Seung-Mook,An, Mi-Ra,Lee, Syng-Ill,Park, Yang-Saeng The Korean Physiological Society 1983 대한생리학회지 Vol.17 No.1

        적출된 개구리 피부에서 $Na^+$이동, 산소소모량 및 Na-K-ATPase활성도에 대한 SITS(4-acetamido-4'-isothiocyano-2, 2'-disulfonic stilbene)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피부를 통한 능동적$Na^+$이동을 추정하기 위하여 short-circuit current(SCC)를 측정하였으며, 산소소모량은 피부조직 및 분리된 표피조직에서 측정하였으며, Na-K-ATPase활성도는 표피조직의 $24,000{\times}g$분획에서 측정하였다. 피부를 통한 SCC는 10 mM SITS가 피부외측용액에 첨가될 때 급격히 하강하였으며, 내측용액에 첨가될 때는 20분정도 지난후 하강하기 시작하였으나 그 하강정도는 전자에 비해 약했다. SITS에 의한 SCC억제현상은 용액내에 $Cl^-$이 없을때도 나타났다. SITS에 의하여 피부 및 표피조직의 산소소모량은 억제되지 않았으나 표피조직분획내 Na-K-ATPase활성도는 심하게 억제되었다. 이상과 같은 성적은 SITS가 개구리 피부에서 능동적 $Na^+$이동을 강력히 억제함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억제작용은 이 약물이 주로 상피세포의 외측막에 작용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되지만 $Na^+$펌프를 억제할 가능성을 전연 배제할 수는 없다. Effects of SITS (4-acetamido-4'-isothiocyano-2, 2'-disulfonic stilbene) on a $Na^+$ transport, tissue oxygen consumption and Na-K-ATPase activity were studied in isolated frog skin preparations. $Na^+$ transport was estimated by measuring the short-circuit current(SC) across the skin; oxygen consumption was measured in separated epidermis as well as in intact skin; and Na-K-ATPase was assayed in $24,000{\times}g$ fraction of epidermal homogenates. The SCC across the skin Was rapidly and substantially reduced in the presence of 10 mM SITS in the medium bathing the outside(mucosal) surface of the skin. When the drug was added to the inside(serosal) bathing medium, there was about 20 min delay for inhibition of SCC and the effect was less pronounced. The above effect of SITS was independent of the presence of $Cl^-$ in the bathing medium. The oxygen consumption of the skin tissue was not affected by SITS, but the Na-K-ATPase activity of a subcellular fraction of the skin was significantly inhibit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SITS retards $Na^+$ transport across the frog skin primarily by interfering $Na^+$ entry across the mucosal membrance of the epithelial cell, although an effect on $Na^+$ pump can not be ruled out completely.

      • Gentamicin이 적혈구막을 통한 $Na^+$ 이동에 미치는 영향

        김경효,박계숙,김희진,신호임,안미라,강복순,Kim, Kyung-Hyo,Park, Kae-Sook,Kim, Hee-Jin,Shin, Ho-Im,An, Mi-Ra,Kang, Bok-Soon 대한생리학회 1989 대한생리학회지 Vol.23 No.1

        Gentamicin (GM) is a polybasic, aminoglycoside antibiotic used frequently for the treatment of serious gram-negative infections. The major limiting factors in the clinical use of GM as well as other aminoglycoside antibiotics are their nephrotoxicity and ototoxicity. The primary mechanism of cell injury in aminoglycoside toxicity appears to be the disruption of normal membrane function and the inhibition of $Na^{+}-K^{+}$ ATPase activity. There are both indirect and direct evidences which suggests that the effect of aminoglycoside antibiotics on $Na^{+}-K^{+}$ ATPase may explain, or contribute to, their toxicity. It has been shown that aminoglycoside reduce total ATPase activity (Kaku et al., 1973) and $Na^{+}-K^{+}$ ATPase activity (linuma et al., 1967) in the stria vascularis and spiral ligament of the guinea-pig cochlea. Lipsky and Lietman (1980) reported that aminoglycoside antibitoics inhibited the activity of $Na^{+}-K^{+}$ ATPase in microsomal fractions of the cortex and medulla of the guinea-pig kidney, isolated rat renal tubule and human erythrocyte ghosts. The present invstigation was undertaken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GM on human erythrocytes by examining its effect on $Na^{+}-K^{+}$ ATPase activity, actives sodium and potassium transport across red blood cell and $^{3}H-ouabain$ binding to red blood cell membrane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CM inhibited significantly both the activity of total ATPase and $Na^{+}-K^{+}$ ATPase at all concentrations tested. 2) GM inhibited active $^{22}Na$ efflux across red blood cell. When ouabain is present, the rate of $^{22}Na$ efflux was completely inhibited. When both GM and ouabain were added, the inhibitory effect of active $^{22}Na$ efflux was more pronounced. 3) Active $^{86}Rb$ influx was inhibited significantly by GM. In the presence of ouabain, the rate of $^{86}Rb$ influx is markedly inhibited. But $^{86}Rb$ influx is not appreciably altered by the presence of both GM and ouabain. 4) In the presence of GM, $^{3}H-ouabain$ binding to red blood cell membrane increased. From the above results,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inhibition of active sodium and potassium transport across red blood cell by gentamicin appears to be due to the inhibition of $Na^{+}-K^{+}$ ATPase activity and an increase in ouabain binding to red blood cell membrane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개구리 피부의 Sodium 이동, 산소 소모량 및 Na-K-ATPase에 대한 SITS의 영향

        이승묵(Lee, Seung-Mook),안미라(An, Mi-Ra),이승일(Lee, Syng-Ill),박양생(Park, Yang-Saeng) 대한생리학회 1983 대한생리학회지 Vol.17 No.1

        적출된 개구리 피부에서 Na<sup>+</sup>이동, 산소소모량 및 Na-K-ATPase활성도에 대한 SITS(4-acetamido-4 -isothiocyano-2, 2 -disulfonic stilbene)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피부를 통한 능동적Na<sup>+</sup>이동을 추정하기 위하여 short-circuit current(SCC)를 측정하였으며, 산소소모량은 피부조직 및 분리된 표피조직에서 측정하였으며, Na-K-ATPase활성도는 표피조직의 24,000 X g분획에서 측정하였다. 피부를 통한 SCC는 10 mM SITS가 피부외측용액에 첨가될 때 급격히 하강하였으며, 내측용액에 첨가될 때는 20분정도 지난후 하강하기 시작하였으나 그 하강정도는 전자에 비해 약했다. SITS에 의한 SCC억제현상은 용액내에 Cl<sup>-</sup>이 없을때도 나타났다. SITS에 의하여 피부 및 표피조직의 산소소모량은 억제되지 않았으나 표피조직분획내 Na-K-ATPase활성도는 심하게 억제되었다. 이상과 같은 성적은 SITS가 개구리 피부에서 능동적 Na<sup>+</sup>이동을 강력히 억제함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억제작용은 이 약물이 주로 상피세포의 외측막에 작용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되지만 Na<sup>+</sup>펌프를 억제할 가능성을 전연 배제할 수는 없다. Effects of SITS (4-acetamido-4 -isothiocyano-2, 2 -disulfonic stilbene) on a Na<sup>+</sup> transport, tissue oxygen consumption and Na-K-ATPase activity were studied in isolated frog skin preparations. Na<sup>+</sup> transport was estimated by measuring the short-circuit current(SC) across the skin; oxygen consumption was measured in separated epidermis as well as in intact skin; and Na-K-ATPase was assayed in 24,000 X g fraction of epidermal homogenates. The SCC across the skin Was rapidly and substantially reduced in the presence of 10 mM SITS in the medium bathing the outside(mucosal) surface of the skin. When the drug was added to the inside(serosal) bathing medium, there was about 20 min delay for inhibition of SCC and the effect was less pronounced. The above effect of SITS was independent of the presence of Cl<sup>-</sup> in the bathing medium. The oxygen consumption of the skin tissue was not affected by SITS, but the Na-K-ATPase activity of a subcellular fraction of the skin was significantly inhibit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SITS retards Na<sup>+</sup> transport across the frog skin primarily by interfering Na<sup>+</sup> entry across the mucosal membrance of the epithelial cell, although an effect on Na<sup>+</sup> pump can not be ruled out completely.

      • 35권6호 영문부록 : 흰쥐에서 Pentobarbital 마취가 Atrial Natriuretic Peptide 계에 미치는 영향

        차민정(Min Jung Cha),안미라(Mi Ra An),이종은(Jong Eun Lee) 대한마취과학회 1998 영문부록 Vol.- No.-

        서 론: 전신마취제는 체내에서 atrial natriuretic peptide (ANP) 분비에 영향을 미치며, 마취제에 대한 반응은 동물의 성에 따라 차이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본연구는 암수동물에서 pentobarbital 마취가 ANP 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 그 세포수준의 기전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실험재료는 성숙 흰쥐를 암수 구별하여 사용하였으며 pentobarbital (50 mg/kg, 복강내 주입) 일회 투여후 8주까지 혈장 ANP 농도와 심방 조직 ANP 호르몬 및 mRNA 함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혈장 ANP는 pentobarbital 처리후 숫쥐에서 4주까지 지속적으로 낮은 값을 보이나, 암쥐에서는 1주이내에만 낮은 값을 보였다 (p<0.01). 이와 동반하여 심방조직 ANP 함량도 숫쥐에서는 4주까지, 그리고 암쥐에서는 1주 이내에만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다 (p<0.05). Pentobarbital 처리후 심방조직 ANP mRNA 함량은 숫쥐에서 별 변화를 보이지 않으나, 암쥐에서는 1∼2주에 일시적으로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결론: Pentobarbital은 장기간에 걸쳐 ANP 저장 및 분비에 감소효과를 나타내며 그 효과는 유전자 전사후 단계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암쥐에서 숫쥐에 비하여 신속한 회복을 보이는 것은 암쥐에서 이 호르몬 유전자 전사가 증가된 결과인 것으로 생각된다. (Korean J Anesthesiol 1998; 35: S 8∼S 13)

      • KCI등재후보

        자외선 조사 피험자의 MED 측정 값의 특성에 관한 연구

        석장미 ( Jang Mi Suk ),박신영 ( Shin Young Park ),미라 ( Mi Ra Choi ),송이 ( Song Yi An ),김인수 ( In Soo Kim ),김범준 ( Beom Joon Kim ),박진오 ( O Jin Park ),정상욱 ( Sang Wook Jung ) 대한화장품학회 2013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9 No.3

        본 연구는 자외선 차단지수(Sun protection Factor, SPF) 측정 시험에서 피험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정확한 시험결과를 통해 향후 자외선 조사시험의 기초 데이터 확보 및 연구자료 마련을 목적으로 하였다. 피부유형 기준표에 따라 피험자의 피부유형 Ⅰ, Ⅱ, Ⅲ 형에 해당되는 피험자 3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색차계를 이용하여 피부색을 측정한 뒤 ITA (Individual Typology Angle) 값을 계산하고 그 값이 28 이상인 사람을 대상으로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하여 자외선을 60 s 간 조사한 후 24 h 뒤 피험자의 홍반 상태를 판정하였다. 전면에 홍반이 나타난 부위에 조사한 UVB의 광량 중 최소량을 최소홍반량(Minimal Erythema Dose, MED)으로 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피부 유형이 높아질수록 MED 값이 증가하여 피부색이 어두워질수록 MED가 증가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MED로 여성이 남성보다 어두운 피부유형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별 MED는 피부타입별 모든 연령대에서 연관성이 없었으나 이 같은 결과를 단정 짓기에는 성별, 연령대별 피험자 수가 적어 통계적 유의성을 뒷받침하는데 한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피부유형별 MED 측정값은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기 전 MED 값을 예상하여 자외선차단제의 효능 평가 시 비교, 판독을 할 수 있는 기준이 되므로 임상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써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ultraviolet protection factor (Sun Protection Factor, SPF) was investiga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subject safety and research of ultraviolet (UV) irradiation test in the future. Trial subjects (395 people) of skin type Ⅰ, Ⅱ, and Ⅲ were evaluated according to skin type standard table. After measuring the skin color using a colorimeter, ITA (Individual Typology Angle) value was calculated. Subjects with 28 and above ITA value were positioned comfortably to be UV irradiated for 60 s and erythema was evaluated 24 hours after application. MED (Minimal Erythema Dose) was investigated where the minimal amount of erythema existed among UVB irradiated area. Statistical analysis was investigated using Statistical Package the Social Sciences program. As a result, the darker skin color results in the higher MED value since the higher skin type number results increased MED value and female has higher MED value than male since female has darker skin type than male. There was no relation between MED difference by ages in all different ages. However, it is hard to draw a conclusion as above since the number of subjects were not sufficient to support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MED values by different ages. However, MED values by skin type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can be used as a standard when MED value is expected to evaluate efficacy of sunscreen product and as basic data for further safety of clinical resear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