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실리카라이트에 담지된 백금촉매의 수소흡착특성 연구

        안도희,백승우,이한수,정흥석 ( Do Hee Ahn,Seung Woo Park,Han Soo Lee,Hongsuk Chung ) 한국공업화학회 1996 공업화학 Vol.7 No.3

        여러 가지 중수생산 공정중에서 백금촉매를 이용한 수소-중수소 동위원소 교환반응에 의해 중수를 생산하는 공정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소동위원소 교환반응에 이용될 수 있는 소수성 백금촉매를 개발하기 위하여, 담체로서 실리카라이트를 합성하였으며, 합성된 실리카라이트가 활성탄이나 ZSM-5보다 더 강한 소수성을 가지는 것을 보였다. 또한, 일반적인 함침법과 이온교환법을 이용하여 백금을 담지시켰으며, 여러 가지 방법으로 처리하여 제조한 백금담지 실리카라이트 촉매의 백금분산도를 수소흡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함침법에 의해 제조된 촉매의 백금분산도는 매우 낮았으며, 이온교환법에 의해 제조된 촉매는 백금담지량은 적으나 분산도는 높음을 확인하였다. It is well known that the heavy water separation process using hydrogen isotope exchange reaction over the platinum catalyst is the most efficient. In this study, the Pt/silicalite catalysts were prepared and characterized by hydrogen adsorption in order to develop the hydrophobic platinum catalyst for hydrogen isotope exchange reaction. Silicalite was synthesized as support material and it was verified that silicalite is more hydrophobic than activated carbon and ZSM-5. Also the platinum was loaded on silicalite by conventional impregnation and ion-exchange method respectively. The platinum dispersion of Pt/silicalite catalysts was measured through hydrogen adsorption experiment. The dispersion is very low in the catalyst prepared by the impregnation method while it is very high with limited platinum content in the catalyst prepared by the ion-exchange method.

      • KCI등재
      • KCI등재

        과학고 졸업생들의 과학 창의적 생산성: 가정의 심리적 환경, 학교수업 환경, 지적 능력, 과학태도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안도희(Doehee Ahn),조석희(Seokhee Cho) 한국영재학회 2021 영재교육연구 Vol.31 No.3

        본 연구에서는 과학고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가정의 심리적 환경, 학교수업 환경, 지적 능력, 과학태도 및 학업성취가 창의적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변인들간 구조적 관계를 설정하여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였으며, 창의적 생산성에 대한 직·간접효과와 총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전국 소재 과학고등학교를 졸업한 성인 총 442명이었다. 이들의 연령범위는 만 21세~42.83세 이었으며, 성별로는 남자가 376명(85.07%), 여자가 66명(14.93%)이었다. 본 연구결과,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학교수업 환경은 지적능력, 과학태도 및 학업성취를 거쳐 창의적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수업 환경은 과학태도와 학업성취를 거치는 경로와 학업성취를 직접적으로 거치는 경로를 통해 창의적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아울러, 창의적 생산성에 미치는 총효과는 학업성취, 학교수업 환경, 과학태도, 지적 능력, 가정의 심리적 환경 순으로 나타났으며, 간접효과는 학교수업 환경, 과학태도, 지적 능력 및 가정의 심리적 환경 순으로 나타났다. 즉, 과학고 졸업생들이 성인이 되어 창의적 생산성을 발휘하는데 있어 특히 학교 수업환경의 중요성이 입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즉, 본 연구결과는 과학고등학교의 학교수업이 선택 폭이 넓고, 도전적이고, 흥미롭고, 의미를 찾을 수 있게 될수록 학생들의 과학 학습 동기와 학업성취가 높아져서, 성인기의 창의적 생산성도 높아지게 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to infer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relationships among correlated multiple variables including family processes, classroom quality, intelligence, science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to predict creative productivity of science high school graduates.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fitness of hypothesized model and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of variables. Data were collected from 442 South Korean science high schools aged from 21 to 42.83 and majority of male (N=376) graduates. Family processes and classroom quality showed positive effects for creative productivity through intelligence, science attitudes and academic achievement. Classroom quality directly affected creative productivity and indirectly affected creative productivity through science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Total effects on creative productivity was manifested the most by academic achievement, then classroom quality, science attitudes, intelligence and the least by family processes. The results imply that it is essential for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to experience challenges, choices, interest, and meaning in their learning classes. To study the model with general education high school graduates is warranted.

      • KCI등재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과 부모 및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청소년의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안도희(Ahn, Doehe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한국청소년연구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과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그리고 청소년들이 지각하는 유능감이 학교급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과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청소년의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 분석 대상은 서울시와 수도권에 소재한 초?중?고등학교에 재학중인 학생 869명(만10.42세∼16.92세)이었다. 본 연구 결과, 인지적 유능감과 지적 능력에 대한 ‘향상 가능성’ 요인에서 학교급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인지적 유능감의 경우, 초등학생이 중학생과 고등학생에 비해 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적 능력에 대한 ‘향상 가능성’ 요인의 경우, 중?고등학생이 초등학생들에 비해 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과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청소년들은 지적 능력에 대한 ‘향상 가능성’ 요인은 유능감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데 반해 ‘항상성’ 요인은 유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아울러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또한 유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청소년들은 자신의 지적 능력은 노력하면 얼마든지 향상 가능한 것이라는 믿음이 강하고, 자신의 지적 능력은 노력에 관계없이 고정된 것이라는 믿음이 덜할수록 그리고 부모와 교사가 자율성을 지지해줄수록 이들의 유능감은 향상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whether students beliefs about intelligence(i.e., incremental, and entity), and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influenced their perceived competence. The study subjects were adolescents aged 10.42-16.92 years (N=869), all from the Seoul metropolitan area, Korea. There were differences in terms of both their perceived cognitive competence, and incremental beliefs about intelligence observed among school levels. In particul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hibited higher cognitive competence than junior-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Junior-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generally had more positive incremental beliefs about their own intelligence t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in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and explain students perceptions regarding competence. It was observed that adolescents incremental beliefs regarding intelligence, as well as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positively predicted their perceived competence, whereas their entity beliefs regarding intelligence negatively predicted their perceived competence levels.

      • KCI등재

        지방직 공무원의 공공서비스 동기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정서적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와 성별간 다집단 분석

        안도희(Doehee Ahn),안병국(Byungkuk Ahn)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5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0 No.2

        본 연구에서는 지방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라 공공서비스 동기, 정서적 조직몰입 그리고 직무성과가 차이를 보이는지, 정서적 조직몰입이 공공서비스 동기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그리고 이들 세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는지에 대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충청도에 소재한 2개 군청에서 근무 중인 지방직 공무원 총 336명을 최종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성별로는 남자 공무원이 202명, 여자 공무원이 133명, 성별을 밝히지 않은 공무원이 1명이었다. 본 연구 결과 남자 공무원이 여자 공무원에 비해 공공서비스 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감성적’ 차원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정서적 조직몰입과 직무성과에서도 남자 공무원이 여자 공무원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정서적 조직몰입은 공공서비스 동기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성별에 관계없이 남자 공무원과 여자 공무원 모두에게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볼 때, 공공서비스 동기 향상을 통해 정서적 조직몰입이 증진되며, 이는 곧 직무성과 향상에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무원의 직무성과 향상을 위해 공무원의 공공서비스 동기증진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gender differences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of local public officials, the mediating role of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links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job performance, and gender differences on these relations. The final sample was 336 local public officials (202 males, 133 females, 1 unidentified) working in 2 counties in Chuncheong Province, Korea. It was found that male officials had higher public service motivation,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ed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job performance. As a result of multigroup analysi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in gender. It is expected that increasing public service motivation helps to enhance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increased affective commitment contributes to better job performanc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to enhance public officials’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 KCI등재

        한국과 태국 대학생들의 플로리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종교성과 행복을 중심으로

        안도희 ( Doe Hee Ahn ),정초하 ( Cho Ha Jung ),( Orapin Stiramon )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2015 東南亞硏究 Vol.25 No.1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Korean and Thai university students on religiosity, happiness, and flourishing in Korea and Thailand,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religiosity and happiness on flourishing among them. The subjects were 155 Korean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Korea, and 304 Thai university students in Bangkok, Thailand. Measures of the religiosity(i.e., intrapersonal religious committment and interpersonal religious committment), Happiness(i.e., eudaimonia and hedonia), and Flourishing were administered.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ly, Thai students had a higher religiosity and happiness than Korean students. Secondly, for Korean and Thai students, religiosity had positive direct effects on happiness and flourishing. Also religiosity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flourishing via hedonia for both Korean and Thai students.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ir implications in Korea and Thailand.

      • KCI등재

        업무능력신념과 소진이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안도희 ( Doe Hee Ahn ),박윤지 ( Yoon Jee Park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4 HRD연구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경찰공무원의 업무능력신념과 소진이 이들의 직무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분석 대상은 경기지방경찰청에 소속된 총 235명의 경찰공무원들이며, 이들의 평균 연령은 만 36.18세였다. 본 연구 결과, 직무만족감은 업무능력신념에 대한‘향상 가능성’ 요인과 정적 상관을 보인 반면, 업무능력신념에 대한 ‘항상성’ 요인과 소진(감정적 소모, 감소된 개인적 성취감, 비인간화)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업무능력 신념에 대한 ‘향상 가능성’ 요인이 직무만족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데 반해, 소진은 직무만족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직무만족감 변량의 27.1%를 설명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아울러 업무능력에 대한 ‘향상 가능성’ 신념은 직무만족감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소진을 거쳐 직무만족감에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업무능력에 대한 ‘항상성’ 신념은 소진을 거쳐 직무만족감에 간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olice officers’ beliefs about performance ability,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 total of 235 police officers at Gyeonggi provincial police agency completed the questionnaire measuring their job satisfaction, one``s beliefs about performance ability (i.e., incremental, and entity), and burnout (i.e., emotional exhaustion,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and depersonalization). The final sample consisted of 179 males (76.2%) and 56 females (23.8%). Their average age was 36.18 years (SD=6.77). Pearson``s correlations indicated that job satisfac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cremental beliefs about performance ability, whereas i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entity beliefs about performance ability. And job satisfact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urnout (i.e., emotional exhaustion, diminished personal accomplishment, and depersonaliz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s were used to test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It was observed that police officers’ beliefs about performance ability influenced their job satisfaction through burnout. Particularly, their incremental beliefs about performance ability directly and indirectly positively influenced their job satisfaction, whereas their entity beliefs about performance ability indirectly negatively influenced their job satisfaction via burno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