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귀금속 농축을 위한 PCB 기반 양극동의 전해정련 특성

        안낙균,심현우,박경수,박정진,Ahn, Nak-Kyoon,Shim, Hyun-Woo,Park, Kyung-Soo,Park, Jeung-Ji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8 資源 리싸이클링 Vol.27 No.5

        본 연구에서는 구리와 귀금속이 함유된 PCB 스크랩을 양극동으로 사용하여 $H_2SO_4$농도, 전류밀도 변화에 대하여 전해정련 실험을 수행하였다. 전해정련 실험을 통해 각 전극에서 회수된 Cu와 slime에 대하여 농도 분석을 하고 원소들의 거동을 확인하였으며, 전류효율도 계산하였다. $H_2SO_4$ 농도가 증가할수록 전류효율과 Cu의 순도는 감소하였지만 양극 슬라임 내에 귀금속은 2.0 M $H_2SO_4$ 조건에서 최대로 농축되었다. 또한 전류밀도가 증가할수록 전류효율은 감소하였고 Cu의 순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양극 슬라임 내에 귀금속은 $300A/m^2$ 조건에서 최대로 농축되었다. Pilot scale 실험 결과, 양극 슬라임에 Au 함량은 8,705 mg/kg, Ag 함량은 35,092 mg/kg으로 나타났고, 초기의 함량과 비교했을 때 Au는 약 16배, Ag는 약 14배 농축이 가능하였다.

      • KCI등재

        니켈수소 폐이차전지의 습식 재활용을 위한 산침출 및 희토류 회수에 대한 연구

        안낙균,김대원,양대훈,Ahn, Nak-Kyoon,Kim, Dae-Weon,Yang, Dae-Hoo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8 資源 리싸이클링 Vol.27 No.1

        In order to industrially recycle nickel, cobalt and rare earth elements included in waste NiMH batteries, electrode powder scraps were recovered by dismantle, crushing and classification from automobile waste battery module. As a result of leaching recovered electrode powder scrap with sulfuric acid solution, 99% of nickel, cobalt and rare earth elements were leached under reaction conditions of 1.0 M sulfuric acid solution, pulp density 25 g/L and reaction temperature $90^{\circ}C$ for 4 hours. In addition, the rare earth elements were able to separate from nickel / cobalt solution as cerium, lanthanum and neodymium precipitated under pH 2.0 using 10 M NaOH.

      • KCI등재

        폐니켈수소전지로부터 희토류 산화물 분말의 회수에 대한 연구

        안낙균,김대원,심현우,박재훈,박정진,Ahn, Nak-Kyoon,Kim, Dae-Weon,Shim, Hyun-Woo,Park, Jae-Hun,Park, Jeung-Jin 한국결정성장학회 2018 한국결정성장학회지 Vol.28 No.2

        For the recovering rare earths in the spent nickel-metal hydride batteries, 10 M NaOH is added to the solution leached with sulfuric acid. The rare earth powders were precipitated at rate of 98 % at the condition of pH 2.0 or less. The recovered rare earth complex precipitate increased the leaching rate to nitric acid by heat treatment at $800^{\circ}C$ for 4 hours. Subsequently secondary precipitation was performed by adding oxalic acid to the solution in which the rare earth complex precipitate was dissolved. The re-precipitated rare earth powders were converted into oxide form through heat treatment at $800^{\circ}C$ for 4 hours with purity of 99.5 %. 폐니켈수소전지에 함유되어 있는 희토류를 회수하기 위하여 $H_2SO_4$로 침출한 용액에 10 M NaOH를 첨가하여 희토류를 pH 2.0 이하에서 약 98 % 침전시켰다. 이후 회수된 희토류 복합 침전물은 $800^{\circ}C$에서 4시간 동안 열처리를 통해 $HNO_3$에 대한 침출률을 증가시켰으며, 희토류 복합 침전물이 용해된 용액에 oxalic acid를 첨가하여 2차 침전을 실시하였다. 재침전된 희토류는 다시 $800^{\circ}C$에서 4시간 열처리를 통해 산화물 형태로 변환되었으며, 이때 희토류 산화물의 순도는 약 99.5 %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

        저농도 희토류 용액으로부터 PC88A를 이용한 중희토류의 용매추출 연구

        안낙균,임병용,이지은,박재량,이찬기,박경수,Ahn, Nak-Kyoon,Im, Byoungyong,Lee, Jieun,Park, Jae Ryang,Lee, Chan-Gi,Park, Kyung-Soo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7 資源 리싸이클링 Vol.26 No.4

        본 연구에서는 저농도(약 1 ppm 이하)의 희토류가 함유되어 있는 산업폐수로부터 중희토류의 회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PC88A를 이용한 중희토류 용매추출 거동을 확인하였다. 평형 pH, 추출제 농도, 추출 상비(A/O) 변화를 통해 PC88A에 의한 중희토류의 추출 거동을 확인하였고 $HNO_3$, HCl, $H_2SO_4$ 세 가지 무기산을 이용하여 탈거 거동을 확인하였다. 평형 pH 0에서 중희토류의 추출이 시작되었으며 평형 pH 1.0에서 중희토류의 추출이 95~100% 완료되었다. 모든 추출 조건에서 원자번호가 높은 물질부터 (Yb > Tm > Er > Dy > Nd > Pr > La) 우선적으로 추출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추출 상비(A/O) 10/1일 때 Yb과 Tm이 최대로 농축되어 초기 농도 대비 각각 6배, 3배 증가하였다. 이 후 희토류의 탈거 거동을 확인하고자 희토류 원소가 추출된 유기상과 세가지 무기산을 각각 사용하여 비교하였고 $HNO_3$, $H_2SO_4$, HCl 순으로 최대 탈거율이 높게 나타났다. The behavior on the solvent extraction of heavy rare earths (HRE) by using PC88A was confirmed to demonstrate the possibility of recovery on the HRE from industrial wastewater, which consist of low concentration rare earth. We verified the extraction behavior of the HRE through a change of equilibrium pH, extractant concentration and A/O ratio, and also confirmed the stripping behavior depending on the type of mineral acids. At equilibrium pH 1.0, extraction of rare earth (RE) was completed from 95% to 100%. In all extraction conditions, it tend to be extracted in order of high atomic number. When A/O ratio was 10/1, Yb and Tm were concentrated at the maximum and increased 6-fold and 3-fold compared to initial concentration, respectively. To confirm the stripping behavior of the RE, three mineral acids were applied to the organic phase and consequently rate of stripping was increased in order of $HNO_3$, $H_2SO_4$ and HCl.

      • 복합 폐비닐 재활용 기술에 대한 연구

        안낙균 ( Nak-kyoon Ahn ),김승환 ( Seung Hwan Kim ),김정환 ( Jung Hwan Kim ),박필환 ( Pil Hwan Park ),윤진호 ( Jin-ho Yoon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9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

        우리 생활에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자원인 비닐과 플라스틱은 우수한 편리성으로 일회용 음료용기, 필름, 섬유 등에서의 높은 활용도에 따라 넓은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는 것에 비해 폐비닐, 폐플라스틱 재활용율은 약 25%이며, 이 외에는 소각이나 매립 등의 방법으로 처리되고 있다. 폐비닐, 폐플라스틱이 소각과 매립의 형태로 처리됨에 따른 환경오염 유발 및 활용 가능한 자원의 최종 폐기에 의한 경제적 손실이 나타남에 따라 국내에서도 효율적인 폐비닐 및 플라스틱 재활용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폐비닐을 재활용하는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물질회수, 연료화, 유화환원 등이 알려져 있지만 다양한 종류와 이물질 및 불순물 혼입되어 선별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재활용에 대한 경제성 및 생산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토사, 유리, 금속, 음식물, 목재 등의 다양한 불순물 및 이물질이 혼입된 생활계 복합 폐비닐을 효율적으로 선별, 분리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복합재생원료로 재활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KCI등재

        폐니켈수소전지로부터 회수된 희토류 침전물의 희토류 산화물 분말 제조에 대한 연구

        김대원,안낙균,심현우,박경수,최희락,Kim, Dae-Weon,Ahn, Nak-Kyoon,Shim, Hyun-Woo,Park, Kyung-Soo,Choi, Hee-Lack 한국분말야금학회 2018 한국분말재료학회지 (KPMI) Vol.25 No.3

        We report a method for preparing rare earth oxides ($Re_xO_y$) from the recycling process for spent Ni-metal hydride (Ni-MH) batteries. This process first involves a leaching of spent Ni-MH powders with sulfuric acid at $90^{\circ}C$, resulting in rare earth precipitates (i.e., $NaRE(SO_4)_2{\cdot}H_2O$, RE = La, Ce, Nd), which are converted into rare earth oxides via two different approaches: i) simple heat treatment in air, and ii) metathesis reaction with NaOH at $70^{\circ}C$. Not only the morphological features but also the crystallographic structures of all products are systematically investigated using field-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and X-ray diffraction (XRD); their thermal behaviors are also analyzed. In particular, XRD results show that some of the rare earth precipitates are converted into oxide form (such as $La_2O_3$, $Ce_2O_3$, and $Nd_2O_3$) with heat treatment at $1200^{\circ}C$; however, secondary peaks are also observed. On the other hand, rare earth oxides, RExOy can be successfully obtained after metathesis of rare earth precipitates, followed by heat treatment at $1000^{\circ}C$ in air, along with a change of crystallographic structures, i.e., $NaRE(SO_4)_2{\cdot}H_2O{\rightarrow}RE(OH)_3{\rightarrow}RE_xO_y$.

      • KCI등재

        NaLa(SO<sub>4</sub>)<sub>2</sub>·H<sub>2</sub>O 결정상으로부터 이온치환반응에 의한 산화란탄 (La<sub>2</sub>O<sub>3</sub>) 분말 합성에 관한 연구

        김대원,안낙균,심현우,이찬기,최희락,홍현선,Kim, Dae-Weon,Ahn, Nak-Kyoon,Shim, Hyun-Woo,Lee, Chan-Gi,Choi, Hee-Lack,Hong, Hyun Seon 한국결정성장학회 2018 韓國結晶成長學會誌 Vol.28 No.5

        The recovery of rare earth elements (REE) including La, Nd and Ce from spent batteries is important issues to reuse scarce resources. Herein, we present a simple recovery process to obtain lanthanum oxide ($La_2O_3$) from spent Ni-MH batteries, and demonstrate the conversion mechanism from $NaLa(SO_4)_2{\cdot}H_2O$ to $La_2O_3$. This strategy requires the initial preparation of $NaLa(SO_4)_2{\cdot}H_2O$ and subsequent metathesis reaction with $Na_2CO_3$ at $70^{\circ}C$. This metathesis reaction resulted in the crystalline lanthanum carbonate hydrate ($La_2(CO_3)_3{\cdot}xH_2O$) powder with plate-like morphology. On the basis of TGA result, the $La_2(CO_3)_3{\cdot}xH_2O$ powder was calcined in air at three different temperatures, that is, $300^{\circ}C$, $500^{\circ}C$, and $1000^{\circ}C$. As the calcination temperature increased, the morphology of powder was changed; prism-like ($NaLa(SO_4)_2{\cdot}H_2O$) ${\rightarrow}$ platelike ($La_2(CO_3)_3{\cdot}xH_2O$) ${\rightarrow}$ aggregated irregular shape ($La_2O_3$). Futhermore, XRD results indicated that the crystalline $La_2O_3$ could be synthesized after the metathesis reaction with $Na_2CO_3$, followed by heat-treatment at $1000^{\circ}C$, along with a change of crystallographic structures; $NaLa(SO_4)_2{\cdot}H_2O$ ${\rightarrow}$ $La_2(CO_3)_3{\cdot}xH_2O$ ${\rightarrow}$ $La_2O_3$. 폐니켈수소전지에 함유된 희토류들의 회수는 자원 재활용을 위한 중요한 이슈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폐니켈수소전지에 함유된 주요 희토류 성분 중의 하나인 란탄의 회수와 산화물로 전환되는 메커니즘 연구를 위하여, 재활용 공정에서 확보되는 희토류 침전물($NaRE(SO_4)_2{\cdot}H_2O$, RE = La, Nd, Ce)과 같은 단일 조성의 $NaLa(SO_4)_2{\cdot}H_2O$ 분말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분말은 $70^{\circ}C$에서 진행된 탄산나트륨과의 이온치환반응을 통해 판상형의 $La_2(CO_3)_3{\cdot}xH_2O$ 결정상을 나타냈으며, 비교를 위해 상온에서 진행된 치환 반응을 진행하였다. 이후 산화란탄 합성을 위해 TG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La_2(CO_3)_3{\cdot}xH_2O$ 분말을 $300^{\circ}C$, $500^{\circ}C$ 및 $1000^{\circ}C$에서 후열처리를 진행하였으며, 이에 따른 결정구조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FESEM 결과 본 연구에서 합성된 각각의 분말들은 각기둥($NaLa(SO_4)_2{\cdot}H_2O$), 판상($La_2(CO_3)_3{\cdot}xH_2O$) 및 특정 형상 없이 불규칙적으로 응집된 형태($La_2O_3$)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

        폐니켈수소전지에서 회수된 희토류복합 침전분말로부터 세륨 회수에 대한 연구

        김보람,안낙균,이상우,김대원,Kim, Boram,Ahn, Nak-Kyoon,Lee, Sang-Woo,Kim, Dae-Weo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9 資源 리싸이클링 Vol.28 No.6

        In order to recover the cerium contained in the spent nickel metal hydride batteries (NiMH battery), the recovered rare earth complex precipitates from NIMH were converted into rare earth hydroxides through ion exchange reaction to react with NaOH aqueous solution at a reaction temperature of 70 ℃, for 4 hours. Rare earth hydroxides were oxidized by injecting air at 80 ℃ for 4 hours to oxidize Ce<sup>3+</sup> to Ce<sup>4+</sup>. The oxidation rate of cerium was confirmed to be about 25 % through XPS, and the oxidized powder was separated from the rest of the rare earth using the difference in solubility in dilute sulfuric acid. The finally recovered powder has a crystal phase of cerium hydroxide (Ce(OH)<sub>4</sub>). The cerium purity of the final product was about 94.6 %, and the recovery rate was 97.3 %.

      • KCI등재

        저농도 은이 함유된 LTCC 전극공정부산물로부터 은 회수 및 나노입자 제조 연구

        주소영,안낙균,이찬기,윤진호,Joo, Soyeong,Ahn, Nak-Kyoon,Lee, Chan Gi,Yoon, Jin-Ho 한국분말야금학회 2018 한국분말재료학회지 (KPMI) Vol.25 No.3

        In this paper, the recovery and nanoparticle synthesis of Ag from 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 (LTCC) by-products are studied. The effect of reaction behavior on Ag leaching conditions from the LTCC by-products is confirmed. The optimum leaching conditions are determined to be: 5 M $HNO_3$, a reaction temperature of $75^{\circ}C$, and a pulp density of 50 g/L at 60 min. For the selective recovery of Ag, the [Cl]/[Ag] equivalence ratio experiment is performed using added HCl; most of the Ag (more than 99%) is recovered. The XRD and MP-AES results confirm that the powder is AgCl and that impurities are at less than 1%. Ag nanoparticles are synthesized using a chemical reduction process for recycling, $NaBH_4$ and PVP are used as reducing agents and dispersion stabilizers. UV-vis and FE-SEM results show that AgCl powder is precipitated and that Ag nanoparticles are synthesized. Ag nanoparticles of 100% Ag are obtained under the chemical reaction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