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복부비만이 없는 성인에서 근육부족량과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 섬유화 점수와의 연관성

        심예나,최희정,정 동,조민소,오한진 대한가정의학회 2021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1 No.5

        Background: The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fibrosis score (NFS) is used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treatment by predicting the degree of liverfibrosis i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Muscles are the main target organs for insulin, and sarcopenia is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of metabolic and cardiovascular disea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muscle mass deficits (MMDs), estimated by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BIA), and the NFS in adults without central obesit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3,704 adults who had visited health promotion centers.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NFS.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the NFS. Logistic regressionanalyses were used to estimate the odds ratios for intermediate to high NFS (≥-1.5), according to the MMD groups. Univariate analysis of variancewas used to estimate the corrected means of MMD, according to the NFS groups. Results: NF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MD after adjusting for sex and waist circumference (r=0.033, P<0.05). MMD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NFS after adjusting for sex, waist circumference, MMD and other variables in the regression model (R2=0.111). The odds ratios for intermediate tohigh NFS (≥-1.5)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MMD grade after adjusting for age, sex, waist circumference, lifestyle factors, and other variables. Conclusion: BIA estimates of MMDs in adults without central obes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FS. Hence, MMD was identified as a factordetermining the NFS. This suggests that MMD is a predictor of the progression of fibrosis in patients with NAFLD but without central obesity. 연구배경: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섬유화 지수(NAFLD fibrosisscore, NFS)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간 섬유화의정도를 예측하여 치료의 방향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근육은 인슐린이 작용하는 주요 표적기관 중 하나이며 근육량 부족은 대사질환과 심혈관 질환의 발생과 연관이 있다. 이 연구는 복부비만이 없는 성인을 대상으로 생체전기저항분석시 측정되는 근육량을 이용하여 계산한 근육부족량(muscle mass deficit, MMD)과 NFS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건강증진센터를 내원하여 체성분분석과 복부초음파를 시행하였고 허리둘레 측정 상 복부비만이 없었던 19세 이상의 성인 남녀 3,70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NFS와 상관성이 있는 변수를 알아보기 위해 편상관분석을 하였고, NFS를 예측할 수 있는 변수를 찾기위해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근육부족량에 따른 중등도 이상의NFS (≥-1.5)에 대한 교차비는 근육부족량을 사분위수로 나눈 후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하였다. 근육부족량의 교정평균치를비교 분석하기 위해 일변량분산분석을 하였다. 결과: 성별과 허리둘레를 보정한 후 NFS는 MMD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033, P<0.05). 성별, 허리둘레, MMD 등을 비롯한 기타 변수들을 보정하고 MMD는 NFS의 결정인자로 나타났으며,이들 변수가 NFS를 11.1% 설명할 수 있었다(R2=0.111). 나이와 성별,생활습관 관련 변수와 기타 변수를 모두 포함하여 보정하였을 때에도 근육부족량이 가장 큰 군이 중등도 이상의 NFS 군에 속할 교차비가 1.96 (95% CI, 1.29–2.99)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복부비만이 없는 성인에서 생체전기저항분석으로 측정한 근육부족량이 많을수록 NFS가 높았으며, 근육부족량이 NFS를 결정짓는 요인 중 하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복부비만이 없는NAFLD 환자에서 근육량 부족이 있는 경우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섬유화 진행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우연대처기술, 진로적응성 간의 구조적 관계

        심예,유순화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8 교육혁신연구 Vol.28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우연대처기술,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B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학생 328명을 대상으로 진로적응성,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우연대처기술 척도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통하여 변인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우연대처기술, 진로적응성으로 이루어진 측정모형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모형, 경쟁모형을 살펴본 결과 경쟁모형이 더 적합하고 간명한 모형으로 나타나 최종모형으로 채택되었다. 셋째,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는 우연대처기술을 경유하여 간접적으로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들의 진로장벽은 진로적응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우연대처기술을 경유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분석을 통해 나타난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을 촉진하기 위해 사회적 지지와 진로장벽에 대한 탐색뿐만 아니라 우연대처기술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과 프로그램 개발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causal relationship among career barrier, social support, happenstance coping skills, career ada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Method: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328 students from four colleges located in Busan. To ident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nd the overall level of the four variables,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mean, standard error,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onducted. Results: First, the measurement model consisting of career barrier, social support, happenstance coping skills and career adaptability fit the data well. Second, the results of hypothetical model analysis are suitable to empirical analysis on research variables and the prediction of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dependent variable is valid. Third, social support of college students has an indirect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happenstance coping skills. Fourth, career barrier of college students has a direct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and an indirect effect with the mediation effect of happenstance coping skills.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of programs which can develop social support and happenstance coping skiils and reduce career barriers to increase career ada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 KCI등재

        柳崇祖의 『대학』 이해와 理學 사상-『大學十箴』을 중심으로-

        심예 조선시대사학회 2020 朝鮮時代史學報 Vol.- No.92

        1511년(중종 6) 성균관 대사성 柳崇祖는 『大學十箴』과 『性理淵源撮要』를 왕에게 진상하였다. 그 가운데 『대학십잠』은 『대학』의 3강령 8조목을 10개의 箴으로 정리한 저술이다. 이 책의 편찬 배경은 두 가지이다. 첫째, 종래까지 제왕학의 텍스트로 중시되던 眞德秀의 『大學衍義』의 한계를 보완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즉 사례 중심의 『대학연의』를 이해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대학』의 요체를 깨닫고 실천하게 하려는 의도였다. 둘째, 연산군대의 두 차례 사화를 겪은 유숭조는 중종반정으로 새로운 유교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군주의 聖學이 절실하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제왕 스스로 성인이 될 수 있는 구체적인 공부 방법을 箴의 형태로 풀어냈다. 『대학십잠』의 구성은 格物致知로 시작하여 絜矩로 끝난다. 격물치지는 聖學의 출발이자 治道의 근본이다. 치도는 마음에서 비롯되므로, 마음을 닦아 혈구의 도로 백성을 헤아릴 것을 주문하였다. 이를 위해 敬의 자세를 강조하였다. 이 사실은 16세기 이후 『대학』의 핵심어가 敬으로 모아지는 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10개의 잠 가운데 특히 『明明德箴』에는 유숭조의 성리설을 비롯한 理學 사상이 담겨 있다. 그가 명덕을 주목한 이유는 修己를 강조하기 위해서였다. 즉 명덕을 “삼강령의 으뜸”이라고 하는 동시에 ‘수기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지난날 임금이 마음을 닦지 않아 생긴 폭정을 목도한 그는 나라를 다스리는데 가장 우선시해야 할 일로 군주의 正心과 修身을 주목하였다. 나아가 ‘反正’이라는 유교적 명분에 맞게 군주에게 天德과 王道의 실천을 요구하였다. 따라서 명덕을 강조하여 정심과 수신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천덕과 왕도의 실현을 기대한 것이다. 이는 유숭조가 『대학』의 내용을 근거로 실천을 꾀하는 이른바 理學의 心學化를 도모했음을 시사한다. 원래 ‘心學’은 국초에 원론적 차원의 수양론을 뜻하는 용어로 쓰였다. 하지만, 연산군을 거쳐 중종대를 기점으로는 실천적 차원의 수양론을 강조하는 의미로 바뀌었다. 이 무렵 심학을 하는 방법으로는 김굉필 이후 『소학』 중심의 실천적 경향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하지만 유숭조는 군주에게는 『대학』중심의 실천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리하여 군주의 심학을 도모하기 위해 『대학십잠』을 편찬하였다. 그런 의미에서 『대학십잠』은 조선 사회에서 군주의 修身學을 위한 첫 교재이자, 16세기 초 이학의 심학화 과정을 보여준 저술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학십잡』 내에는 유숭조 이학 사상의 핵심인 理氣四七說이 들어 있다. 특히 理와 氣를 四端과 七情에 결합한 유숭조의 언설은 李滉의 理氣互發說을 연상시킨다. 유숭조가 이황 이전에 이기사칠설을 제시한 사실은 16세기 초 조선 이학 사상의 단초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결국 『대학십잠』은 곧 16세기 중반 이황의 『聖學十圖』 이전에 존재한 성학서로서의 前史的 성격을 띤다. 나아가 유숭조의 이기사칠설은 중종대 초반 서울 중심 官學의 이학 수준과 분위기를 잘 대변한다고 여겨진다. In 1511, Yu Sung-jo(柳崇祖), a rector of the National Confucian Academy of the Joseon Dynasty, presented the king Jungjong with Daehaksibjam(『大學十箴』) and Seongliyeonwonchwalyo(『性理淵源撮要』). Daehaksibjam is a book that summarizes the three cords(samganglyeong 三綱領) and the eight steps(paljomok 八條目) of Great Learning(『大學』) into ten admonitory precept. There were two reasons why he wrote this book. First, it had the meaning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Jin Deok-su(眞德秀)’s An Explication of the Great Learning(『大學衍義』), which had been regarded as the text of disciplines of kingship. Second, Yu Sung-jo, who experienced the tyranny during the reign of the King Yeon-san, thought that ‘learning of the sages(seonghak 聖學)’ was desperate to make a new Confucian society through Jungjong-banjeong(中宗反正). To this end, he unveiled a specific way of studying in the form of proverbs that would enable the monarch to become a sage man(seongin 聖人) by himself. Yu Sung-jo began Daehaksibjam with ‘comprehending things and extending knowledge(gyeokmulchiji 格物致知)’ and closed it with ‘principle of applying a measuring square(hyeolgu 絜矩)’. gyeokmulchiji is the beginning of seonghak and the foundation of ‘the way of the governing(chido 治道)’. Since chido comes from the King’s heart, he requested to cultivate virtue and to rule the people with hyeolgu. To this end, he emphasized the attitude of ‘respect(gyeong 敬)’. This fact shows that he had some influence on the definition of gyeong as the key word of Great Learning since the 16th century. “Myeongmyeongdeokjam(明明德箴)”, one of the ten proverbs, contains the thoughts of Yu Sung-jo’s ‘study of principle(lihak 理學)’. The reason why he noticed ‘brilliant virtue(myeongdeok 明德)’ was to emphasize ‘self-cultivation(sugi 修己)’. In other words, he considered myeongdeok was the best of samganglyeong and the starting point of self-cultivation. Because he witnessed the tyranny of the King Yeon-san, he chose ‘making the mind correct(jeongsim 正心)’ and sugi as his first priority in governing the country. Furthermore, he demanded the monarch to practice ‘the moral nature of heaven(cheondeok 天德)’ and ‘the way of the ruler(wangdo 王道)’. Thus emphasizing ‘brilliant virtue’, he ultimately expected the achievement of cheondeok and wangdo. This suggests that he promoted ‘the process of learning of the mind(simhakhwa 心學化)’ of lihak that seeks practice based on Great Learning. The term ‘learning of the mind(simhak 心學)’ was originally used as a theoretical theory of discipline. However, simhak had been changed to a practical theory of discipline in the reign of the King Jungjong. At that period, the main trends of the study of simhak were the practical trend centered on Primary Learning(『小學』). However, he found that the practice of Primary Learning was not suitable for the monarch and judged that the practice of Great Learning was urgent. Thus, he compiled the Daehaksibjam as a guide to seonghak. In that sense, Daehaksibjam is the first textbook for the study of self-cultivation of the monarch in the Joseon society. It is also a book that shows simhakhwa of lihak in the early 16th century. In the Daehaksibjam, ‘Likisachilseol(理氣四七說)’ is the core of his thoughts. In particular, this word combining ‘principle(li 理)’ and ‘energy(gi 氣)’ with ‘four beginnings(sadan 四端)’ and ‘seven emotions(chiljeong 七情)’ is reminiscent of ‘Likihobalseol(理氣互發說)’ of Lee hwang(李滉). The fact that he presented likisachilseol before Lee hwang helps us understand the beginning of Joseon’s lihak thought in the early 16th century. After all, Daehaksibjam is characterized as a textbook that existed before Lee hwang’s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聖學十圖』) in the mid-16th cen...

      • KCI등재

        이황의 만매(晩梅)에 나타난 출처관과 도통의식 - 『매화시첩』을 중심으로 -

        심예인 ( Shim Yeain ) 퇴계학연구원 2021 退溪學報 Vol.150 No.-

        동아시아에서 매화는 봄을 알리는 꽃으로, 일찍이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았다. 송대 이학을 집대성한 주자 역시 매화를 노래하였고, 주자를 본받고자 했던 이황도 평생 매화시를 써 내려갔다. 다만, 이황은 早梅의 고절한 모습뿐만 아니라 늦은 봄 뭇 꽃들 사이에 피어나는 晩梅를 노래하였다. 千紫萬紅의 꽃들 사이에서 피어난 만매가 곧 여러 선비들 사이에 존재한 빼어난 군자처럼 비쳐졌던 것이다. 이황이 마주했던 16세기 정치 현실은 수많은 척신들의 득세로 어지러운 상황이었다. 그는 온갖 색태와 향기가 가득한 속에서도 고고하고 깨끗한 자태와 은은한 향기를 퍼뜨리는 만매를 높이며 순선무악한 理를 추구하였다. 이황은 평소 자신이 송대의 선현으로부터 너무 늦게, 너무 멀리 떨어진 편벽한 곳에서 태어났음을 탄식하곤 하였다. 하지만 선현보다 늦었다 하여 탄식만 한 것은 아니었다. 이황은 도산에 은거하며 도의를 닦고 심성을 길렀다. 그에게 은거는 단순히 세상과 인연을 끊고 산림에 칩거하며 사는 방식이 아니었다. 주자가 무이산에 들어가 정사를 짓고 저술 및 강학 활동을 하면서 정주 이학을 완성한 자취를 본받고자 한 것이다. 그런 점에서 도산은 이황의 이학이 자라나는 학문 공간이자 조선 이학의 산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거듭된 조정의 부름에 세상을 그저 외면하지만은 못하였다. 도의를 닦아 세상을 경륜하고자 했던 이황이지만, 조정에 나아가서는 검은 먼지에 물들지 않는 뭇 꽃들 속 만매와 같이 자신을 지켜냈다. 한편, 이황은 16세기 중엽 조선 사회에 존재했던 다기한 도통의식과 넘쳐나는 이설 속에서 정주 이학을 체계화하고자 하였다. 주자로부터 370여 년 뒤 조선의 땅에 태어난 이황은, 주자의 도가 아직 밝혀지지 않아 적막함을 안타까워하였다. 그러면서도 주자와의 정신적 교류를 통해 하나가 되기를 간절히 소망하였다. 실제로 이황은 만매에 의지해 천자만홍과 같은 학풍과 사조를 정화시키겠다는 뜻을 내비추기도 하였다. 이때 조매가 주자의 이학에 비유된다면, 만매는 이황의 이학에 비유할 수 있다. 주자의 이학을 잇겠다는 이황의 생각이 만매를 통해 강한 도통의식으로 드러난 것이다. 여기에는 중국의 이학을 조선의 이학으로 정착시키려는 이황의 학문적 사명감과 자부심이 깔려있는 것으로 보인다. 설령 찬바람에 꺾이고 꽃을 틔우지 못한다 하더라도, 매화의 뿌리가 굳게 내렸다면 훗날 반드시 꽃을 피워낼 것이라 노래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읽혀진다. 이황이 주자 이학을 조선의 땅에 뿌리내리게 했으니, 늦게 꽃을 피우는 만매처럼 이학의 향기가 퍼지기를 기대하고 소망한 것이다. 마지막 숨을 거두는 순간 매화분에게 물을 주라고 한 것도, 매화로 상징되는 조선의 이학이 계속해서 이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은 아니었을까. 그가 만년에 유독 만매를 노래하고, 죽기 전 마지막으로 『매화시첩』을 편찬한 까닭이 여기에 있다. 결국 이황이 그토록 노래한 만매는 혼탁한 현실을 정화하는 유일한 理이자, 천자만홍과 같은 선비 가운데 고절한 빛을 지켜낸 도학군자로 비쳐진다. 나아가 다양한 학통 내지 異說 속에서 피어난 이황의 이학이자, 주자 이학의 도통을 계승한 16세기 조선의 이학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In East Asia, plum blossoms[梅花] have been loved by many as a flower that heralds spring. Zhuxi, who compiled the Song dynasty’s ‘Principle’, recited poems of plum blossoms, and Lee Hwang, who wanted to imitate Zhuxi, also wrote plum blossoms poems throughout his life. In particular, Lee Hwang wrote poetry on the theme of plum blossoms blooming among the flowers in late spring[晩梅], as well as the noble appearance of early-blooming plum blossoms[早梅].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s among the many flowers was reflected like a man of virtue that existed among many scholars. In the 16th century, the political situation that Lee Hwang faced was disturbing the court with the rise of numerous maternal relatives of royal family. Even in the midst of all kinds of colors and fragrances, he pursued the principle of pure goodness by exalting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s that spread a noble and clean appearance. Lee Hwang used to lament that he was born too late and too far away from ancient sages of Song dynasty in a secluded place. But he did not just sigh. He hid in Dosan(陶山), cultivating moral principles and nurturing his nature. For him, hiding was not simply a way of living in the forest after cutting off ties with the world. It was intended to imitate the traces of Zhuxi who systematized the ‘learning of principle[理學]’ while entering Muyi Mountain, building a temple, writing, and teaching. In that sense, Dosan is the place where Lee Hwang’s studies grew and the cradle of Joseon’s neo-Confucianism. However, he could not turn away from the world due to repeated calls from the court. He, who wanted to practice the world by cultivating morality, went to court and defended himself like a late-blooming plum blossom that was not stained by black dust. He tried to reveal his plight and feelings about resigning and remaining in office through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s. On the other hand, Lee Hwang tried to systematize ‘learning of principle[理學]’ in the midst of the multifaceted ‘awareness of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道統意識]’ and the overflowing dissenting opinions that existed in Joseon society in the mid-16th century. He sympathized that the way of Zhuxi was still unknown in Joseon 370 years after Zhuxi. He earnestly wished to become one with Zhuxi through spiritual exchanges. In fact, he expressed his intention to purify academic traditions of various schools by relying on late-blooming plum blossoms. If the plum that blooms early is compared to the ‘learning of principle’ of Zhuxi, the plum that blooms late can be compared to the ‘learning of principle’ of Lee Hwang. Lee Hwang’s idea of succeeding the ‘Zhuxi’s learning of principle’ was revealed through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s as a strong ‘awareness of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It seems that there was Lee Hwang’s sense of academic mission and pride that ‘Chinese learning of principle’ transferred to Joseon and settled as ‘Joseon’s learning of principle’. Even if the plum blossoms are broken by the cold wind and fail to flower, his poems are read in the same vein, saying that if the roots of the plum are firmly planted, they will surely bloom in the future. Since he made the ‘Zhuxi’s learning of principle’ take root in the land of Joseon, he hoped that the fragrance of ‘learning of principle’ would spread like late-blooming plum blossoms. The reason he asked to water the plum flowerpots at the moment of his last breath must have been his wish to continue the ‘Joseon’s learning of principle’, symbolized by plum blossoms. This is the reason why he recited poems of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s in his later years, and compiled the last book 『Plum Blossom Poem[梅花詩帖]』 before he died. After all, in Lee Hwang’s poems, the late-blooming plum blossom was the only principle[理] to purify the turbid political situation, and was a man of virtue who kept the stern light among scholars like many flowers. Furthermore, it meant the ‘Lee Hwang’s learning of principle’ established in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and traditions and the ‘Joseon’s learning of principle’ in the 16th century, which inherited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of the ‘Zhuxi’s learning of principle’.

      • KCI등재

        터너증후군의 핵형과 표현형간의 연관성

        심예지(Ye Jee Shim),황영주(Young Ju Hwang),이건수(Kun Soo Lee) 대한의학유전학회 2009 대한의학유전학회지 Vol.6 No.1

        목적 : 터너증후군 환자들에게는 다양한 핵형과 표현형이 나타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그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터너증후군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의 염색체 이상, 임상 양상, 동반 질환에 대해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경북대학교병원에서 터너증후군으로 진단 받은 환자 92명을 대상으로 염색체 핵형을 분류하였으며, 그 중 62명을 대상으로 임상 양상 및 동반 질환을 조사하였다. 결과 : 핵형이 45,X인 환자는 54.3%였고. 섞임증 및 구조 이상이 나머지를 차지하였다. 섞임증의 경우 45,X에 비하여 Turner stigmata의 빈도가 낮았다. 46,X,del(Xp) 및 45,X/46,X,del(Xq)에서는 모두 골격 이상이 나타난 반면, 46,X, del(Xq)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46,X,del(Xp)에서는 성적유치증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46,X,del(Xq) 및 45,X/46,X,del(Xq)의 경우에는 이차 성징 지연이 지연 및 무월경이 나타났다. 46,X,i(Xq) 및 45,X/46,X,i(Xq)의 경우 이차 성징이 발현되지 않았고 모두 일차 무월경을 보였다. 그 외에 장완의 isochromosome이 있는 경우 청력 장애 및 갑상선 질환이 더 빈번하게 나타났다. 결론 : 터너증후군 환자들의 핵형과 표현형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하는 작업은 성염색체에 위치하는 유전자자리를 예측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Purpose : In spite of the karyotype and phenotype diversity in Turner syndrome patients, there are few reports about such differences in Korea. We reviewed the data of chromosome abnormalities, clinical manifestations, and comorbidities of Turner syndrome patients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o compare them to the recent hypotheses about sex chromosome gene loci related to Turner symptoms. Materials and Methods : We identified the cytologic findings of 92 patients with Turner syndrome and the clinical findings of 62 patients among them. Results : 54.3 percent of patients had 45,X while 45.7 percent showed other karyotype combinations (45,X/46,XX, 45,X/46,XX/47,XXX, 46,X,del(Xp), 46,X,del(Xq), 45,X/46,X,del(Xq), 46,X,i(Xq), 45,X/46,X,i (Xq)). The Turner symptoms found included short neck, high arched palate, broad chest, Madelung deformity, short metacarpals, scoliosis, cubitus valgus, low hair line, webbed neck, edematous extremities, pigmented nevus, and sexual infantilism. The specific diseases associated Turner syndrome included renal abnormalities, congenital heart disease, hearing defects, diabetes mellitus, hyperlipidemia, and decreased bone density. The phenotype of the mosaicism group was milder than that of the monosomy group. In the case of 46,X,del(Xp) and 45,X/46,X,del(Xq) groups, all had skeletal abnormalities, but the 46,X,del(Xq) group had none. In the case of 46,X,del(Xp) group, all showed short statures and skeletal abnormalities, but no sexual infantilism was observed. In the case of 46,X,i(Xq) and 45,X/46,X,i(Xq) groups, they all showed delayed puberty and had primary amenorrhea. Conclusion : It is important to study karyotype-phenotype correlations in patients with Turner syndrome to obtain interesting information about the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s related to the X chromosome.

      • KCI등재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국내 과학 학습 부진 연구 동향 분석

        심예,박일우,주은정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3 현장과학교육 Vol.17 No.3

        This study aimed to provide insights for future research on underachievers in science learning by analyzing definitions and selection criteria found in existing research within South Korea. For our research, we systematically reviewed domestic academic papers, master's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published from 1981 to October 2022, which contained the keyword 'underachievement in science learning.' The analysis showed that few studies on underachievement in science learning were published until 2000. In terms of study design and research methods, the predominant approaches were efficacy verification studies and quantitative research, and the majority of studies involved middle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e definition of underachievers in science learning can be classified mainly into two categories: cases in which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subjects is lower than potential abilities, and cases in which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subjects is low regardless of potential abilities. The selection criteria for identifying underachievers in science learning included students who scored below a certain threshold or students who performed poorly relative to their peers. It was found that the screening tools for underachiever in science learning varied across studies. Some researchers used self-developed tools, while others utilized officially recognized evaluation instruments. Through this study, it is intend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n underachievement in science learning.

      • KCI등재후보

        공자 교육 철학 사상의 현대적 조명 - 수사학적 관점에서 -

        심예지 ( Shim Yae Jie ),심우섭 ( Shim Woo Sub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8 韓國思想과 文化 Vol.92 No.-

        본고에서는 공자의 수사학적 교육철학의 본질인 인(仁)사상과 명덕(明德)을 구명함으로써 교육목적을 알아보고 이 같은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사학적 교육내용과 방법론을 구명함으로써 현대인성교육의 미숙한 점을 보완하고 강조하여 공자의 수사학적 교육철학사상의 현대적 의미를 찾아보고자 한다. 교육목적이 바람직한 인간상, 즉 전인적 인물인 지성인을 양성하는 데 있다면, 지성인과 지식인은 구별되어야 한다. 지성인이라 할 때 그 성은 『중용』의 ‘천명지위성’이라 한 성과 같은 의미로 보아 하늘이 인간에게 부여한 인성 즉 성스럽고 어둡지 않은 명덕과 같은 개념이며, 마음의 명덕으로서 공자의 인에 상응하는 것이다. 지성인은 윤리, 도덕의 가치관을 갖춘 기초 위에 학식을 구비한 사람으로서 성인(聖人)과 같은 인물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공자의 교학사상은 바람직한 인간을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교육자 자신이 사명감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또는 투철한 교육철학이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교육과 철학은 서로 밀접한 관계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환언하면 교육작용의 근본, 본질을 탐구하고 구명해 내는 것이 교육철학의 근본 문제임을 공자의 수사학적 교학사상을 통하여 알게 되었다. 따라서 교육의 최고과제는 무엇보다도 지덕을 겸비한 사람다운 사람을 만드는데 있다면, 교육자는 줄기차게 자라나는 청소년들의 인성과 품격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주고 또 이루게 하는 것이 교육자의 본연의 자세이며 본연의 과제를 다 하는 것이라고 본다. 이와 같은 전인교육의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지덕의 조화를 가진 공자의 수사학적 교육철학사상에 그 해결책을 찾아볼 수 있다. This thesis is what studied the thought of confucius concerning around the analects of Confucius from the rhetorical educational viewpoint. Confucius insisted on the politic of virtue passing through the ages of chaos. Especially,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family because the good and morality came from it. And for the matter of human valuable view, he insisted on the idea of Geyhak, which is focused on education and study. He faithfully hoped every human become desired person who followed the idea of In, Eue, Ye, Ji after hard training for themselves. The ideas of Confucius, Geyhak was not effected on Dogas Naturalism and neither of Mukgas Utilitarianism and was only focused on human being. What Confucius emphasized here was that the study of human valuable view and thought was started from the middle of human heart. Most remarkable thing was the Humanity, which is the idea of In and one of the main idea Confucius, helped to control by myself for it and become completed to be a valuable person. And, moreover, it influenced to the other people in the same as well. Whit this, Confucius insisted on the importance of putting morality in practice and also emphasized on education and hard training; ordinary one become important one with education and hard training. Here is cited on instance Non-eu, the section of Wejong; Confucius memorized. When I was 15, my mind is on the study. When I was 30, I could set on my will in society and when I was 40, I could control my mind and so I couldn’t fall in seduction. And when I was 50, I could realize heavens will and when I was 60, I could understand every principle. When I was 70, I did what I wanted to do but under the rule. This cites seemed to be represented his pursuit of idealism following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life. For another instance, there was his philosophy of life in the attitude of studying; You need to be polite and obedient to your parents and old people especially when you are with your family at home and be patience and faithful for everything. And love your neighbors all the time and pursuit to close to reliance person. Then if you have the extra time, study hard. This cites is meant to be strong thoughts of study. Furthermore, he strongly insisted on the importance of study based on Humanity contains filial piety and respect.

      • KCI등재

        여말선초 道學의 성격과 道統論

        심예 조선시대사학회 2018 朝鮮時代史學報 Vol.- No.85

        조선은 理學을 지배이념으로 하여 성립된 나라이다. 이학은 道學으로도 불렸다. 이학이 만물을 理로 설명하는 가치중립적인 개념이라면, 도학은 道統의식과 함께 타 사상에 대한 闢異端의 논리를 내재한 개념이다. 그동안 조선의 도학은 주로 김굉필과 조광조를 비롯한 유학자들의 의리실천학을 지칭하는 용어로만 강조되어 왔다. 하지만 도학은 이미 고려 말 이학이 도입되면서부터 그 용례가 발견될 뿐 아니라 시기별로 그 성격을 조금씩 달리하였다. 14세기 말 도학은 당시 원나라에서 도입된 程朱學 내지 이학 자체를 뜻하는 용어로 쓰였다. 이때 도학은 道問學의 학문 방법과 경세실천에 집중되었고, 특히 불교와 도교를 배척하는 벽이단의 성격이 두드러진다. 15세기 도학 역시 도문학의 학문방법과 경세실천에 집중되었다. 여기에 사대부뿐만 아니라 군주를 위한 학문과 사상으로서 治道學 내지 經世學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런데 세조나 연산군과 같은 覇道的 군주와 부패한 정치세력이 부상하자, 15세기 말부터 절의실천적 도학이 주장되는가 하면 治心․養性․居敬과 같은 수신의 학문 태도, 즉 尊德性의 학문방법이 크게 권장되었다. 도학이 이제 마음을 닦는 心學으로 확대된 것이다. 도학의 핵심은 무엇보다 도통을 잇는 데 있다. 여말선초 이학자 가운데 가장 먼저 도통을 정리한 인물은 李穡이다. 이색은 원나라 許衡을 도통의 반열에 올려 원대 이학의 정통성을 주장하였다. 여말선초의 도통론은 크게 세 가지 방향으로 전개된다. 중국의 선유들에 대한 文廟從祀 논의, 조선 유자들에 대한 문묘종사 논의, 문묘에 종사되지 않은 유자들의 도통 논의가 그것이다. 도통논의에서 두드러진 점은 당대 사회의 가치에 따라 도통론이 좌우되어 문묘 종사의 대상들이 끊임없이 入享과 黜享을 거듭했다는 사실이다. 여말선초의 도통론은 君主道統論과 儒者道統論으로 특징지어진다. 군주도통론은 周나라 武王 이후 끊어졌던 王統을 이학의 나라인 조선의 국왕에 의해 다시 잇고자 한 도통론이다. 이는 박의중과 정도전에게서 그 단초가 나타난다. 유자도통론은 공자 이후 사대부의 영역으로 내려온 도학의 전수가 조선의 유자들에 의해 이어지는 도통론이다. 유자도통론은 문묘종사를 통해 공인되는 형태와 유자들 사이에 존재한 도통의식 또는 도통론의 형태로 구분된다. 15세기까지는 이제현에서 이색을 거쳐 권근으로 이어지는 도통론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러나 불교에 기울거나 절의에 문제가 있다는 이유로 이들은 모두 문묘 종사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실제로 여말선초에는 학문의 전수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도통론이 존재하였다. 첫째, 원대의 허형에서 고려의 이색으로 이어지는 도통론이다. 둘째, 이제현-이색-권근으로 이어지는 도통론이다. 셋째, 이색-정도전-권근으로 이어지는 도통론이다. 넷째, 권근-길재-김숙자-김종직-김굉필로 이어지는 도통론이다. 그밖에도 박영은 정몽주-길재-김숙자-김종직-김굉필-정붕-박영으로 이어지는 도통론을 제시하였고, 박세채의 기록을 통해 이황이 4현을 언급하기 전까지 김안국을 도통의 반열에 올리려는 움직임도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여말선초 도통론은 16세기 중반 이후 士林勢力에 의해 정해진 도통과는 별개로 다양한 도통의 계보가 존재했다. Chosŏn was a nation established by taking the “learning of principle”(K. Ihak 理學 C. lixue) as its ruling ideology. The learning of principle was also called the “learning of the Way”(K. Tohak 道學 C. daoxue). While the learning of principle is a value neutral concept used to explain all things by the principle, the learning of the Way is a concept that contains the logic of regarding other theories as heterodox teachings along with the strong sense of the lineage of the Way. The learning of the Way of Chosŏn has been mostly used as a term merely referring to meanings and principles focusing on practicality(義理實踐) of the Confucian scholars, including Kim Goeng-pil and Cho Kwang-jo. As the learning of the Way was introduced during the late Koryŏ period, however, the diverse usages of the term were found and moreover, its characteristics changed over a period of time. In the late 14th century the learning of the Way was used as a term indicating Cheng-Zhu learning from the Yuan dynasty or the learning of the principle itself. The learning of the Way focused on the way of study maintaining constant inquiry and study(道問學) and regulating the world(經世實踐). Especially the characteristics stood out as the logic of regarding Buddhism and Taoism as heterodox teachings. In the 15th century, the usage of the learning of the Way also based on classical studies and focused on the way of study maintaining constant inquiry and study(道問學) and regulating the world(經世實踐). The learning of the Way based on classical studies played a role as statecraft learning or ideology for rulers as well as literati. However, as hegemonic rulers like King Sejo or Prince Yŏnsan and corrupt political forces such as old meritorious elites emerged, it came to be difficult to rectify the society only with the learning of the Way valuing the classical studies based on the explication of the classics. Hence, from the late 15th century, the learning of the Way related to cultivate oneself(節義實踐) was advocated while the learning attitudes of honoring virtuous nature(尊德性), such as controlling the mind, nourishing inner nature, and abiding in reverence, were greatly encouraged. The learning of the Way was extended to the learning of the heart-mind (K. simhak 心學 C. xinxue), which was concerned with the cultivation of mind. Above all, the key point of the learning of the Way is carrying on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Among the scholars pursuing the learning of the principle in the late Koryŏ and early Chosŏn it was Yi Saek who was aware of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Yi Saek claimed the authenticity of the learning of principle from Yuan dynasty by putting Xu Heng on the rank of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The arguments on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in the late Koryŏ and Early Chosŏn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argument on the shrine service to Chinese Confucian scholars, on the shrine service to Korean Confucian scholars, and on the Confucian scholars who were not served in the shrines. It is remarkable to note that opinions on the orthodox lineage of the Way were swayed by the social value of the time resulted in the incessant replacement of spirit tablets in the shrines. Arguments on the lineage of the Way in the late Koryŏ and early Chosŏn are characterized by the argument on the orthodox lineage of rulers and that of Confucian scholars. The argument on the orthodox lineage of rulers was an attempt to reestablish the royal lineage by the kings of Chosŏn, which was a state of the learning of the Way. This royal lineage was considered to have ceased since Emperor Wu of the Zhou dynasty. This was exposed in the idea proposed by Chŏng To-jŏn and Park ŭi-Jung. The argument on the orthodox lineage of Confucian scholars was the assertion that, after Confucius, the Way passed down to the Chinese literati was again transmitted to the Confucian scholars of Chosŏn. ...

      • KCI등재후보

        이상주의적이거나 비 이상주의적인 귀족 정치 및 군주제에서 나타난 수사학적 언어 표현에 대한 연구

        심예지 ( Shim Yae Ji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9 韓國思想과 文化 Vol.96 No.-

        이 논문은 셰익스피어의 작품 속에서 드러난 왕정과 귀족들의 역할을 분석하고 작품에서 드러난 수사학적 언어 표현이나 대사가 의미하는 뜻을 이해하여 그 당시의 사회상을 반추해 보고자 하였다. 사실, 셰익스피어는 지역 사회에 모범을 보이고 그것을 효율적이고 공정하게 입법하는 데 군주제와 귀족의 역할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그의 작품들햄릿, 끝이 좋으면 다 좋다, 헨리 5세, 등에서도 이러한 그의 생각들은 잘 드러나 있다. 통치자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셰익스피어의 주관적인 의도들은 그의 작품을 통해 관중들에게 흘러갔다. 특히 그의 작품에서 등장하는 그 시대의 상류층이나 지배 귀족들은 성스러운 종교 활동이나 종교 문화에 집중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사회 계층 간의 간극이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에서 확연히 구별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한국 고전 작품에서도 이 같은 왕의 역할이나 영반들의 사고방식을 엿볼 수 있는 작품들이 있고, 그들의 세계관을 보여주는 작품 속의 주인공들을 통해 시대상을 엿볼 수 있다. Shakespeare's plays don‘t condemn the aristocracy nor the monarchy that formed societies highest echelons when he was writing. Shakespeare respected the conventions of rank, and was willing to observe the privileges of rank without criticism. To denounce it would have been to incite civil disorder. Shakespeare did not want such disorder because he belonged to the mainstream; he was not a revolutionary. But on the other hand, he expected that kings and princes and dukes acknowledge their responsibilities and perform their duties. It may be that no one had the right to commit regicide or to punish aristocrats, apart from those above them; but all of those who ranked highest had a moral duty that was ineluctable to any truly decent one among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