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심태(沈㙂)의 삶과 문학

        심경호(Sim, Kyung-ho)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09 인천학연구 Vol.10 No.-

        Sim Tae(沈㙂, 1698~1761) died at his rented house in Seochon (西村) after he finished serving to the governor of Cheongha district (淸河縣監). After his dead, his descendants returned to his hometown, Gwanghwa island (江華島). Most of them were local officials who belonged to the military nobility (武班). Manuscripts of his writing Mumunjaejip (無聞齋集) by which we can illuminate his life and literature, is made up of 9 volumes of books (冊) with 14 chapters (卷). Two kinds of manuscript now remained; manuscripts which belongs to his descendants and to Yonsei university library. Sim Tae not only kept company with people of Yangban (兩班) class like members of Yi Hagon (李夏坤)'s family, Yi Gwangsin (李匡臣), Yi Gwangryo (李匡呂), Yi Kwangyoon (李匡尹) and Jo Myeongchae (曺命采), but also held intercourse with literary men in a small village (閭巷) like Jeong Raegyo (鄭來僑), Jeong Migyeong (鄭美卿) and Jeong Mungyeong (鄭文卿) and people of Hyangban (鄕 班). Sim Tae politically didn't inclined to any specific party, and academically remained no writing concerning to Neo-Confucianism. Though he was interested in studies of rites (禮學) in his earliest days, he didn't concerned with lawsuits of funeral rites (禮訟). Instead, while serving to Neungchambong (陵參奉) and Jeonsaengseojubu (典牲署主簿), he studied national rites (邦禮) and paid attention to many kinds of ritual forms (行禮式) to spread them to common people. Many of Sim Tae's poem includes ordinary features of daily life and his attitude toward moral cultivation (修養) in everyday life. Also he wrote Gumaehaengrok (具妹行錄) in prose which described hardships of a woman in family which met with political trouble and lillness of a man who was troubled with a nervous disease. In the meantime, Sim Tae was well acquainted with the names of articles (物名) and it was before the tendency of evidential research (考證學) was prevalent between literati in the late Joseon (朝鮮) dynasty. That is why Mumunjaejip includes lots of research material concerning culture and daily life of Joseon dynasty in pre-modern period.

      • 퇴계(退溪)의 『시경(詩經)』 해석과 그 특징

        심경호 ( Kyung Ho Sim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5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36 No.-

        퇴계는 사서와 역경의 연찬에 주력하되, 번쇄한 訓를 第一義로 삼지 않았다. 하지만 퇴계는 경학 연구에서 기초학으로서의 小學(philology)을 결코 소홀히 하지 않았다. 퇴계가 경학 연구에서 소학을 중시한 사실은 四書三經釋義 곧 經書釋義에 잘 나타나 있다. 퇴계는 시집전과 시전대전의 小註를 참고로 하여 시편의 義理를 해석하였다. 대전본 小註가 시집전과 모순되는 경우나 小註 사이에 취지가 상이한 경우에는 정설을 마련하고자 하였다.퇴계는 시편의 본지를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 경문이나 新註 및 대전본 小註의 난독자[僻字]나 破讀字에 대하여 그 음과 훈을 살폈다. 구 석의본의 음주나 속음을 정정하기 위해서 주희의 음이나 대전본의 음을 환기시키고, 여러 운서와 자서(옥편)의 음과 훈을 참고로 하였다. 특히 퇴계는 광운과 예부운략을 활용하였다. 간혹 광운의 간략한 훈석에 의거하여 한자음을 추정하다가 성조의 차이와 의미 분화를 바르게 파악하지 못한 예도 있다. 또한 新註나 대전본 음주의 破讀을 분석할 때 오류를 범한 예도 있다. 그러나 자음과 자훈을 고려하여 經文과 傳文을 해석한 것은 장구 해석의 수준을 한 단계 높인 것임에 틀림없다. Since Toegye pursued meanings to promote moral character, his primary focus was not to prove literary analysis; rather his philology questions whether contemporary philology should pursue proof of words and phrases or higher humanistic meanings. But Toegye more than ot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basic research which means philology in the period of literature in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what he studied. He introduced the method of commentaries to comprehend true meanings of writings, applied bibliographical methods to comment on literature, and was involved in publishing books. His commentaries were not limited to technical analysis, but extended to reflect his inner thoughts and proceed to sincerity.

      • KCI등재후보

        조선전기의 註解本 간행과 문헌 가공에 대하여

        심경호(Sim Kyung-ho) 대동한문학회 2004 大東漢文學 Vol.20 No.-

        전근대시기의 우리나라 지식인들은 서적을 교감하고 역주하며 覆刊하거나 開刊하거나 하기 위해 정성을 쏟았다. 교정과 주석의 작업은 경서나 불경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실용서와 문학서의 경우에도 대단히 치밀하게 이루어졌다. 특히 조전전기의 조정과 지식인들은 한문고전을 재해석하기 위하여 갖가지 주해본을 수입하거나 편찬하여 그것을 간행하였으며, 현토언해본, 평점본 등 가공된 서적의 편찬과 간행에도 상당한 관심을 쏟았다. 본고에서는 조선전기 지식인들이 영위한 문자생활의 일단을 이해하기 위하여 註解本, 直解 및 懸吐諺解本, 評點本의 간행과 편찬 사실을 개괄하고, 주요 서적에 대하여 간행 경위와 특징, 문화사적 가치에 대하여 논하였다. 조선전기에는 중국의 여러 주해본을 복간하고, 조선 조정의 기획 하에 주해본을 새로 편찬하고 간행하였다. 특히 상세한 주를 선호하였으므로 <문선>의 五臣註本과 六臣註本을 번각하고, <纂註分類杜詩>같은 纂註本을 조정의 계획 하에 간행하였다. 그런데 조선 중기 이후로 차츰 열람에 편한 책을 선호하여 주를 달더라도 간략히 하게 되더니, 조선후기에는 白文本을 많이 간행하게 되었다. 또한 조선전기에는 일부 문헌이기는 하지만 斷句를 하여 간행한 책들이 있었으나, 조선후기에는 본래의 권점을 없애어 단구를 하지 않게 되었다. 또한 조선전기에는 그 수는 많지 않지만, 批點이나 聲點과 같은 것을 처음부터 본문의 곁에 함께 刊刻해 넣는 일도 있었다. 이러한 문헌 가공은 한학의 기초학으로서의 小學이 높은 수준에 올라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이에 비해 후기로 내려올수록 한문학의 미학적 성숙도가 높아져서 현토, 언해나 문헌의 일차적인 가공에 그리 몰두하지 않게 되었다. 한문고전 연구자들은 궁극적으로 고전자료에 반영된 갖가지 事象과 주제를 새로 발견해내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그러한 연구들은 고전자료의 가공을 기초로 하여야 하기에, 주요 한문고전들을 주석하고 번역할 때 조선전기의 문헌 가공 방법과 태도를 참고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Korean Intellectuals in Chosun Dynasty have devoted a great effort to proofread or commentate on documents in order to publish or re-publish them. Proofreading and commentaries were very meticulously made on practical documents and literature as well as Buddhist scriptures and Chinese classics of Confucianism. Especially, government and intellectuals in the early Chosun Dynasty imported or compiled various commentaries on Classical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to reinterpret and publish them, and paid a considerable attention to the compilation and publishing of various editions with Korean translation and commentary, and evaluations. In this study, an attempt is made to better understand aspects of intellectual life enjoyed by intellectuals in the early Chosun Dynasty by examining the compilation and publishing of various commentaries and translations of major literature, and discussing the details of their publication,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in cultural history. In the early Chosun Dynasty, many editions with commentaries on Chinese documents were reissued, and new commentaries were also compiled and published under the direction of government. Detailed commentaries were especially preferred during this period. Reprinting of the detailed commentaries on Wen Xuan(文選) and publishing of Commentary Edition of Du Shi(纂註分類杜詩) well prove this trend. Since the mid Chosun Dynasty, however, literate began to favor books easy to read, and therefore, commentaries became brief and simple. In the late Chosun Dynasty, books without any commentary became much popular. In the early Chosun Dynasty, some books were published with Duanju(斷句); but during the late period, Duanju disappeared by deleting the Quandian(圈點). In the early Chosun Dynasty, commentaries were favored to achieve a complete understanding of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and primary processing of documents such as Hyonto(懸吐) and translations were very through. Especially editions with commentaries were mainly compiled to cover the existing annotations, but not to include personal opinions. In the early Chosun Dynasty, Pidian(批點) or Shengdian(聲點), if not many, were occasionally added right next to the text for publication. In the late Chosun Dynasty,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became rather aesthetically mature so that primary processing of documents, including Hyonto and translation, turned to be less important. A variety of methods and cultural capability or intellectual attitudes, underlying the practice of processing documents in the early Chosun Dynasty, have some implications to be considered for research on classical literature in modern society. Processing of documents during this period was possible, because Xiaoxue(小學), as the basic scholarly knowledge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had already reached at a very high level.

      • KCI등재

        추사 김정희의 서독(書牘)에 담긴 사유양식과 정신세계에 대한 일 고찰

        심경호 ( Kyoung Ho Sim ) 민족어문학회 2008 어문논집 Vol.- No.58

        본고에서는 추사의 서독(간찰)이 지닌 사유양식과 정신세계를 탐색하기 위해 경학 연찬의 논리적 서독, 선사상을 담은 서독, 인간적 특성을 드러낸 서독 등의 세 부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추사는 대개 초기에는 경학을 연찬하면서 고증학적의 인식을 매우 명료하게 제시하고 상대방을 설복시키는 언사를 구사했다. 그리고 뒤에는 선사상을 수용하면서 대상에 대한 조망적 관점을 확보하여 여유와 해학의 언어를 구사했다. 그리고 일부 서찰에서는 현실의 모순을 우회적으로 비판하거나 소외를 경험하는 타자에 대한 동정의 뜻을 완곡하게 담기도 했다. 특히 추사의 경학설을 담은 서독은 ① 사설(師說)과 가법(家法)의 중시 ② 박종(博綜)의 추구 ③ 집일(輯佚)의 방법에 대한 관심 ④ 단주(段注)에 대한 비판적 검토 ⑤ 고체(固滯)함과 고체(固滯)하지 않음의 절충 등의 면에서 청대 고증학의 방법을 받아들이면서도 그것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이것은 추사가 초기부터 선험적 논리를 준용하고 기성의 개념을 조작하는 방법이 아니라 경문의 자구를 문헌 교합을 통해 의미 해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경문의 의리를 탐색하는 방법을 추구했음을 잘 말해 준다. 그리고 청대의 고증학에서 영향을 받아 사설(師說)과 가법(家法)을 중시하고 집일(輯佚)의 방법에 대해 관심을 두었지만, 청대의 학술도 상대화해서 박종(博綜)을 추구하고 고체(固滯)함과 고체(固滯)하지 않음의 절충을 선언하였다는 점에서 독자적 학문방법을 모색하려는 고심을 엿볼 수 있게 한다. 이에 비해 선사상을 담은 서찰은 객관 사물과 사실의 외관에 구애받지 않고 객체를 종람(縱覽)하면서 주관적 이해를 침투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일견 학문적 담론을 주로 행한 초기의 서독과 무관한 듯 보이지만, 실은 독자적 사색을 추구하는 의식이 그러한 글쓰기에 잘 나타나 있으며, 그 점에서 초기의 학문 담론의 서독이 드러낸 사유방법 및 정신세계와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한편, 추사는 현실에 대한 문제를 언급한 서독이나 지인 등에게 부친 서독에서 결코 스스로의 감정을 억제하고 객관과 거리를 둔 `목석`으로서가 아니라 현실이나 타자의 존재를 주체와의 진정한 관계 속에서 재구성하였다. 이 점도 역시 초기의 서독에서 나타난 독자적 사색의 사유방법 및 정신세계와 연관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앞으로 추사의 서독(간찰)들을 계년화(繫年化)하고 관련 사실을 고증하며, 수수자(收受者)의 서한을 집록하여 추사의 예술세계와 정신세계에 대한 연구를 심화시켜 나아야 할 것이다. 또한 언문 간찰에 대한 연구도 새롭게 진행시켜, 한문 서독과의 관련성 및 그 독자성을 면밀하게 고찰할 필요가 있다. In this paper, I studied on Kim jeong hee`s thought and life in his` letters written by classical chinese. For this work, I divided into three classes his letters: the logical letters, the letters expressed his thought of Zen(禪), and the letters displayed his humanity. In the early years, he mainly researched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Then, he very logically explained his thought of the methodology of historical and bibliographical research, and he attempted to persuade a recipient in letters. The logical letters show us that he adopted a Ching(淸)`s methodology of historical and bibliographical research that take a serious view of interpretation founded close investigation of word and literature, at the same time, he tried to surmount Chings methodology and construct his own methodology. After that time, he displayed inclination toward contemplation and expressed composure and humorous words, because he adopted thought of Zen. Meanwhile, In some letters, he criticized contradictory society in a roundabout way, and he circumambulated sympathy for people became estranged from society. These letters is likely to irrelevant to the logical letters. But, This letters show us that he pursued and expressed process of his own thinking and speculation of oneself-world relations by writing letter. Then, We can understand these letters have a thread of connection with the logical letters in this point Hereafter, we have to rearrange his letters and addresser or recipient`s letters in regular sequence and investigated matters relevant to his letters so that we study his thought and life in depth. In addition to, we have to research the relation and originality between his` letters written by classical chinese and one written by korean(hangeul).

      • KCI등재

        조선후기 변격시문에 관한 일고찰

        심경호(Sim, Kyung-ho) 대동한문학회 2017 大東漢文學 Vol.53 No.-

        전근대시기의 한국한문학의 산문 문체는 문언어법에 기초를 둔 정격 한문(고문, 의고문, 소품)만이 아니라 조선식 한문을 포괄했고, 후자는 실용의 공간에서 극히 비중이 컸다. 하지만 일부 문인들은 조선식 한문을 이용하여 俳諧體나 비실용적-문예적 글쓰기를 시도했다. 또한 조선후기에는 변격한문의 산문만이 아니라 한시의 변격인 조선식 ‘고풍’과 배해체 과시・과문도 발달했다. 이 논문을 작성하면서 다음과 같은 과제를 생각해 보았다. (1) 변격 한문산문의 문체 한국에서는 지방 군현의 관부문서(향리계층), 귀족 양반층의 민원소송, 매매계약, 상속치부문건과 가내의 의사소통, 왕실기록류[儀軌・謄錄 등] 에서는 이두문에 기반을 둔 변격의 한문을 광범하게 사용했다. 이두식 한문이 전근대시기의 문자생활에서 차지한 위치와 그 역사적 기능, 본격 문학과의 관련 양상 등에 폭넓은 연구가 필요하다. (2) 고풍 고풍은 본래 과시를 연마하는 과정에서 습작의 낮은 단계에서 출현했을것이다. 하지만 일부문인들은 無韻의 장편 고시를 조선의 독특한 ‘고풍’ 형식으로 인정하고, 시작에 활용했다. 이미 丁若鏞은 雅言覺非 에서 조선식 ‘古風’에 대해 언급한 바 있는데, 금번에 김삿갓의 한시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대고풍의 구체적 예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俳諧 科詩・科文 조선후기의 독서층은 젊어서 과시와 과문의 연마에 열중했으며, 많은 낙방거자들이 과시와 과문의 습작을 남기고 매문을 하거나 행권처럼 습작집을 만들었다. 상층 지식인들은 과시와 과문을 저급한 양식으로 비난했으나, 민간에 行世한 과시와 과문은 민간의 삶을 반영하고 민간의 문체미학을 구현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특히 배해체의 과식・과문은 독특한 정서와 미학적 구상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현화의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다. 앞으로 민족문화의 발달과 더불어 다양하게 발전해 왔던 실용적 한문산문(고문, 부, 이두문 등등), 고풍(특히 대고풍), 배해체의 과시・과문의 문체에 대해 깊은 관심을 두고, 그 자체의 발전 양상과 그것이 이른바 문예적 한시문과 상호 영향을 끼친 사실에 주목해야 하리라 본다. In Joseon period, prose style in Classical Chinese in pre-modern period includes not only regular style based on literary language but also irregular style which was widely used in practical writings including executive documents. However, some literati in late Joseon period attempted to write Paixie (俳諧) style writings or unpractical literary writings in so-called Joseon style irregular prose. In late Joseon, what is more, not only Joseon style irregular prose, but Joseon style poetry without rhyme (古風) and Paixie style exam poetry and prose (俳諧體 科詩文) were widely used. This article explores the meaning of ‘irregular style’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with some cases mentioned above and suggests future researches as well. (1) Joseon style irregular Chinese: Joseon style irregular Chinese was widely used in various kind of documents including official documents of local governments, civil affair documents, real estate trade contract, documents of inheritance of property, official documents concerning royal family. Further studies are needed including its status in literacy life, its historical functions and its relationship with belles-lettres in pre-modern period. (2) Josoen style poetry without rhyme It is presumed that Joseon style poetry without rhyme was emerged at first as the result of exam poetry study. However, some literati recognized this old style poems without rhyme as a distinctive poetry style of their own country and started to compose poems using that style. Jeong Yak-yong has already mentioned this Joseon style poetry without rhyme in his Aeon Gakbi (雅言覺非) of which cases were also found in Gim Rip’s poems in the recent research. (3) Paixie style exam poetry and prose Most of literati in the late Joseon period were absorbed in studying exam poetry and prose while they were young, and many of those who failed the national exam produced and sold their writings in exam poetry and prose style, or compiled their own anthology. Although literati of yangban class blamed its vulgarness, however, it is now estimated that it conveys the everyday life of ordinary people and represents the aesthetics of literary style of ordinary people. Further studies on Paixie style exam poetry and prose are needed as it has the uniqueness in emotional aspects as well as the aesthetic idea.

      • KCI등재

        원전연구와 고전 텍스트의 현대적 변용

        심경호(Sim Kyung-ho)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4 동양한문학연구 Vol.20 No.-

          최근 역사사실과 고전문헌을 현대적 텍스트로 변용하는 문제가 지대한 관심사로 떠올랐다. 그런데 고전문헌을 현대적으로 변용하기 위해서는 문헌(혹은 비문헌) 자료들을 1차 가공하거나 2차 가공하는 일이 선행되거나 적어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1차 가공은 문헌정리(목록화, 표점, 색인, 전산화 등등)를 가리키고, 2차 가공은 주석과 번역을 뜻한다. 현재로서는 고전문헌(혹은 비문헌) 자료의 1차, 2차 가공이 반드시 만족스러운 상태가 아니다. 이에 따라 현대적 텍스트의 구축도 여러 가지 곤란을 겪고 있는 듯하다.   국학의 자료든 중국학의 자료든 한문 고전들 가운데는 아직까지 정본(正本)으로 확립되어 있지 못한 것들이 많다. 전문 연구자들이 나서서 정본을 만들고, 다시 그것을 대본으로 주석과 번역을 함으로써, 해당 분야의 연구를 심화시킬 뿐만 아니라, 인접 과학의 연구자들이나 일반 독자들이 한문고전의 현대적 의의를 재발견할 수 있도록 기본 자료로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한문고전을 번역할 때는 몇 가지의 기술적인 과제가 있다. (1) 전고(典故)의 확인, (2) 시문의 갈래별 특성 인식, (3) 시문 서술 형식의 이해, (4) 직역과 의역의 병행 등이 그것이다.   본고는 필자의 ??한학연구입문??(이회문화사, 2003), 제20장을 기초로, 한문 고전의 역주 현황과 1, 2차 가공의 기술적 문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 한 필요에 따라 일본의 현황을 소개하였다.   We are treating current modification of historical facts and classical books as a matter of grave concern lately. However, at least we have to precede or run parallel the first-modification and the second-modification of original texts(or non-texts) in order to modernization of classical text. The first-modification is arrangement of texts (cataloging, marking with punctuation mark, appending an index, computerization and so on) and the second-modification means translations with notes. I think that the present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modification of original texts(or non-texts) are still below the gratifying level. Therefore, we are having difficulty in the accumulation of a modern editions.   We haven"t fixed the formal text of most of Chinese classical text in koreanology and sinology yet. We specialists in classical Chinese have to fix the formal text, then translate and append notes to that. And through this works, we can deepen our fields of study. In addition, we have to furnish these texts as fundamental data in order that either specialists of adjacent field or general readership may rediscover current significance of classical text. Meanwhile, translation of classical text is requested several technical methods. It is as follows: to confirm authentic precedents, to recognize a feature of poetry and prose by a genre, to understand a form of narration of poetry and prose, to use jointly a literal translation and liberal translation.   In this paper, I used chapter 20 in my book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Korea and Chinese classic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published by Ihoe-Munhwa-sa, 2003) as fundamental materials. I dealt with the present position of translation with notes and the technical method of the first and second-modification, and introduce the present position of Japan as occasion demands.

      • KCI등재

        일본 일광산(동조궁) 동종과 조선의 문장

        심경호 ( Kyung Ho Sim ) 민족어문학회 2012 어문논집 Vol.- No.65

        한국의 한문학은 개인적인 서정을 읊거나 사적 관계 속에서 태어나는 것만이 아니라 경국문장(經國文章)의 이념을 충족시켜야 하였다. 본고에서는 외교 문서를 통해 경국문장이 구현된 일례로, 인조 때 일본 동조궁(東照宮, 도쇼궁)에 증정한 동종(銅鐘)의 명문(銘文)과 기념시축이라고 할 일광산시축(日光山詩軸), 그리고 동조궁에 조선 사행이 제사지낸 제문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 조정은 동종의 서문과 명을 새길 때 이명한(李明漢)의 서문과 이식(李植)의 명(銘)을 채택하되, 이식이 전체를 다시 손보아서 동종을 보내는 주체가 조선 국왕임을 밝히고 작성자가 왕명을 받들어 서문과 명을 제작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그리고 이식이 서문의 일부 문구를 수정한데다가, 서문과 명의 제작자를 따로따로 명기할 경우 번잡할 수 있으므로, 서문과 명을 이식이 모두 제작한 것으로 명시하였던 듯하다. 동종의 서문과 명은 도쿠카와 이에야스의 공적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고, 이에미쓰의 효성을 부각시키고, 양국의 영구한 우호를 희망하는 뜻을 전달하였다. 『일광산시축』의 경우는 이명한이 먼저 칠언율시와 오언배율을 짓고, 8명의 신하들이 차운하였다. 차운시는 오언배율은 남지 않고 칠언율시만 찬자에 따라 문집에 전한다. 차운시는 평성 東운에 화운하되, 1수에서부터 3수까지 다양하게 제작하였다. 현전하는 칠언율시의 차운시들은 도쿠카와 이에야스의 공적을 언급하기보다 이에미쓰의 독실한 불교신앙을 자극하여 양국의 우호를 기대하는 뜻을 부친 것이 대부분이다. 한편 통신사 일행의 동조궁 권현당 참배가 규식으로 정해지자 조선과 일본에서는 절목(節目)을 마련하고, 조선에서 제문을 준비하였다. 채유후(蔡裕後)가 지은 제문은 환운 형식의 사언시인데, 도쿠카와 이에야스의 구체적인 공덕을 서술하지 않았다. 그리고 이에야스 등을 조선에서 부르는 ``관백``이란 칭호를 일체 사용하지 않으려고 조심하였다. 임진왜란 이후 인조 때 본격화하기 시작한 통신사행이 제12차의 신미 사행(1811년)까지 지속되었던 것은 에도 막부의 요청을 수용하여 인조 20년에 동종을 일본에 증여하고 동조궁의 권현당을 참배하는 절목을 마련하여 신뢰 관계를 굳힌 것이 매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때에 조선 문인의 경국문장이 크게 활용되었던 것이다. Literary writings in the Joseon period were not only to express one`s own feelings but were also to be administrative ones. This paper is to survey the examples of administrative writings in Joseon period: the inscription presented to Tosyogu in Japan by King Injo, the commemorative collection of poems recited by Joseon envoys and Japanese receptionists, and the message of condolence used when envoys offered worship at Tosyogu. In case of the bronze-bell presented to Tosyogu, Lee Myoenghan`s foreward and Lee Sik`s inscription were sellected at first, and Lee revised them to make clear that the bell was sent by king of Joseon and the writings were composed under the order of king. The writings were focused on Iemitsu`s filial piety and desire for lasting peace between two countries. However, Tokugawa Ieyasu`s achievements were not mentioned. In case of the the commemorative collection of poems of Ilgwangsan, Lee first recited seven-character eight-line regulated verse(lushi) and five-character expanded form(pailu), and other 8 receptionists did ciyun(to write and reply in poems according to original poem`s rhyming words). Most of poems were to wish lasting peace between two countries by praising Iemitsu`s strong religious belief for Buddism. Meanwhile, when it was decided that Joseon missions to Japan was to vitsit Kongendo in Tosyogu, a duly prescribed ritual was prepared by Japan, and by Joseon, a message of condolence. However, the message, composed by Chae Yuhu with four-character expanded form, did not mentioned Tokugawa Ieyasu`s achievements, and also paid attention not to use the title of ``Gwanbaek`` by which people in Joseon called Ieyasu.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