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복용 중인 과체중 환자에서 체중 감량을 위한 행동수정요법의 개발 - 예비연구 -

        신홍범,박종호,차보석,김병수,이숙경,김학령,김용식,안용민,강웅구,Shin, Hong Beom,Park, Jong Ho,Cha, Bo Seok,Kim, Byung Soo,Lee, Suk Kyung,Kim, Hak Lyung,Kim, Yong Sik,Ahn, Young Min,Kang, Ung Gu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03 생물정신의학 Vol.10 No.2

        Objects:The authors devebped a behavioral modification program for oveweight out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will had teen treated with atypical antipsychotics, and evaluated the applicability of this program to outpatients Methods:Two men and nine women who had been treated with atypical antipsychotics and will had gained at least 5 percent of their pre-treatment body weight for 10 weeks, attended a behavioral modification program. The patients' weight, body mass index and the diet-activity scale were assessed and were compared with those of a matched comparison group will dd not attend the behavioral modification program Results:The body weight of patients who attended the behavioral modification program reduc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treat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diet-related items but not in activity-related items of the diet-activity scale Conclusions:This study suggested the applicability of a eehavioral mcdification program on weight reduction to overweight patients taking atypical antipsychotics for the frrst time in Korea Additional large scale studies are needed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 KCI등재

        활동기록기($ActiWatch^{(R)}$와 $SleepWatch^{(R)}$) 성능 비교 연구:야간수면다원기록을 표준으로 한 수면변인을 중심으로

        신홍범,이주영,이유진,김광진,이은영,한종희,임미향,정도언,Shin, Hong-Beom,Lee, Ju-Young,Lee, Yu-Jin,Kim, Kwang-Jin,Lee, Eun-Young,Han, Jong-Hee,Im, Mee-Hyang,Jeong, Do-Un 대한수면의학회 2005 수면·정신생리 Vol.12 No.1

        목 적:동일한 피험자에 동시 착용된 두 기종의 활동기록기에서 얻어진 수면 관련 변수들을 서로 비교하고 이를 수면다원검사 결과와 비교하여 이들 두 기종의 활동기록기에서 얻어지는 수면변수를 상호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초기 평가 시 내외과적 질환, 정신과적 질환 및 수면 장애가 발견되지 않은 자원자 14명(남:여=5:9, 연령 $28{\pm}4.6$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서울대학교병원 수면검사실에서 두 가지 종류의 활동기록기를 동시에 착용한 상태에서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였고, 이들 세 기기에서 산출된 수면 변수들을 각각 비교하였다. 결 과:$ActiWatch^{(R)}$와 $SleepWatch^{(R)}$의 수면 변수를 수면 다원검사 결과와 각각 비교한 결과, $ActiWatch^{(R)}$와 $SleepWatch^{(R)}$ 모두 총수면 시간을 과대평가(overestimate)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SleepWatch^{(R)}$는 입면 잠복기를 과소평가(underestimate)하는 경향을 보였다. 세 기기를 통해 측정된 각 수면변수 비교 결과, 수면효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SleepWatch^{(R)}$의 입면 잠복기를 제외한 모든 수면 변수에서 선형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두 활동기록기에서 나온 수면 변수들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이들 사이에도 유의한 선형적인 관계가 있었다. 결 론:두 기종의 활동기록기에서 얻어진 결과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서, 두 기종들의 결과는 서로 교환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일반적으로 활동기록기가 수면다원검사를 대체하기는 힘들 것으로 생각되지만, 입면잠복기를 제외한 나머지 수면변수가 선형적 관련성을 보이므로 수면다원검사 시행 후 간단하게 치료반응에 대한 추적 관찰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활동기록기가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Objectives: We attempted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2 commercially available actigraphies with focus on sleep parameters, using polysomnography as standard comparison tool. Methods: Fourteen normal volunteers (5 males and 9 females, mean age of $28{\pm}4.6\;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the participants went through one night of polysomnography, simultaneously wearing 2 different kinds of actigraphies on each wrist. Polysomnographic and actigraphic data were stored, downloaded, and processed according to standard protocols and then statistically compared. Results: Both $ActiWatch^{(R)}$ and $SleepWatch^{(R)}$ tended to overestimate the total sleep time, compared to the polysomnography. $SleepWatch^{(R)}$ tended to underestimate the sleep latency. The two actigraphs and the polysomnograph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of sleep efficiency, when compared with one another. In addition, all of the sleep parameters from the instruments showed linear correlations except in $SleepWatch^{(R)}'s$ sleep latency. The sleep parameters from the two actigraphs did not show much noteworthy difference, and linear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the sleep parameters from the two actigraphs. There was no significant distinction in the results of the two different actigraphs. Conclusion: The results of two actigraphies can be used interchangeably since the sleep parameters of the two different actigraphies do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Overall, it is not legitimate to use actigraphy as a substitute for polysomnography. However, since sleep parameters except sleep latency show linear correlations, actigraphy might possibly be used to follow up patients after polysomnography.

      • KCI등재

        정상인 수면 뇌파 탈경향변동분석

        신홍범,정도언,김의중,Shin, Hong-Beom,Jeong, Do-Un,Kim, Eui-Joong 대한수면의학회 2007 수면·정신생리 Vol.14 No.1

        목 적:뇌파의 비선형적 특성을 연구하는 방법으로 탈경향 변동분석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인 수면 뇌파에 탈경향변동분석을 적용하여 수면뇌파의 비선형적 특성, 채널 별 차이, 수면단계별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정상인 12명($23.8{\pm}2.5$세, 남:여=7:5)를 대상으로 야간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였다.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얻어진 뇌파를 채널 별, 수면단계별로 나누어 탈경향변동분석 시행 후 여기서 얻어진 축척지수(scaling exponent)를 선형혼합모형 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결 과:정상인 수면다원검사에서 얻어진 뇌파의 축척지수는 1 내외의 값을 보여 장기-시간적연관성, 자기유사성을 보였다. C3 채널의 축적지수가 O1채널의 축적지수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수면단계가 진행함에 따라 축적지수는 증가하였으며, 1단계 수면과 렘수면은 축적지수는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정상인 수면 뇌파는 탈경향변동분석에서 무축척요동(scale-free fluctuation), 장기-시간적 관련성(long-range temporal correlation), 자기유사성(self-similarity) 및 스스로 짜여진 고비성(self-organized criticality) 등의 비선형적 특성을 보였다. 탈경향변동분석에서 얻어진 축적지수는 뇌파 채널 별, 수면단계별 차이를 보여 수면 뇌파를 연구하는 중요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Introduction: Detrended fluctuation analysis (DFA) is used as a way of studying nonlinearity of EEG. In this study, DFA is applied on sleep EEG of normal subjects to look into its nonlinearity in terms of EEG channels and sleep stages. Method: Twelve healthy young subjects (age:$23.8{\pm}2.5$ years old, male:female=7:5) have undergone nocturnal polysomnography (nPSG). EEG from nPSG was classified in terms of its channels and sleep stages and was analyzed by DFA. Scaling exponents (SEs) yielded by DFA were compared using linear mixed model analysis. Results: Scaling exponents (SEs) of sleep EEG were distributed around 1 showing long term temporal correlation and self-similarity. SE of C3 channel was bigger than that of O1 channel. As sleep stage progressed from stage 1 to slow wave sleep, SE increased accordingly. SE of stage REM sleep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when compared with that of stage 1 sleep. Conclusion: SEs of Normal sleep EEG showed nonlinear characteristic with scale-free fluctuation, long-range temporal correlation, self-similarity and self-organized criticality. SE from DFA differentiated sleep stages and EEG channels. It can be a useful tool in the research with sleep EEG.

      • KCI등재

        모다피닐이 기면병 환자와 대조군의 임상 양상과 수면구조에 구조에 미치는 영향

        신홍범,정도언,김의중,Shin, Hong-Beom,Jeong, Do-Un,Kim, Eui-Joong 대한수면의학회 2006 수면·정신생리 Vol.13 No.2

        서 론:기면병은 과도한 주간졸림증과 탈력발작을 주 증상으로 하는 질환이다. 모다피닐은 기면병 치료에 이용되는 정신자극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다피닐이 기면병환자와 정산인의 임상 양상과 야간수면구조 및 주간 졸음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방 법:기면병 환자 12명(연령:$22.9{\pm}2.6$세)(남:여=7:5)과 성별, 연령이 짝지어진 대조군 12명($23.8{\pm}2.5$세)이 기저 연구(baseline study)에 참여하였다. 모든 참가자들을 기저검사로 임상 척도, 야간수면다원검사 및 주간입면시간반복검사를 시행하였으며, 모다피닐 200 밀리그램 투약 후 동일한 검사를 반복 시행하였다. 모다피닐 투여 이후 임상척도, 야간수면다원검사 및 주간입면시간반복검사 수면관련변인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 과:모다피닐 투여는 피츠버그수면장애척도 점수만을 감소시켰을 뿐 그 외의 임상적 척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기면병 환자와 대조군에서, 투약 전에 비하여 투약 후 야간수면다원검사의 총수면 시간, 수면 효율이 감소하였고, 입면 후 각성 시간과 총검사시간 중 각성 시간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이어서 시행한 주간입면시간반복검사상 평균입면잠복시간이 연장되는 소견을 보였다. 결 론:모다피닐은 각성 효과를 지닌 약물로 메틸페니데이트 등 기존 투약에 비해 야간수면에 대한 영향이 적은 약물이다. 본 연구에서 총수면 시간, 수면 효율 및 각성 시간의 비율 증가를 보여 야간수면에 영향을 주지만 수면구조 전체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모다피닐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된 주간입면시간반복검사 상 평균입면잠복기의 연장을 보여 기면병과 관련된 졸음 증상 조절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다피닐은 주간졸림증이 없는 대조군에서도 각성도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Introduction: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and cataplexy are key features of narcolepsy. Modafinil is psychostimulant used in the treatment of narcolepsy. In this study, we evaluated effects of modafinil on nocturnal sleep structure and sleep latency in multiple sleep latency test and clinical features. Methods: Twelve narcoleptic patients (7 male, age: $22.9{\pm}2.6\;yrs$)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of them had done nocturnal polysomnography (nPSG), multiple sleep latency test (MSLT), clinical symptoms scales and have repeated same procedure after taking 200 mg of modafinil. We have done linear mixed model analysis to describe effects of group, medication and nap time on these measures. Results: Modafinil did not affect clinical scales except PSQI which had been reduced after medication. In this study, Modafinil reduced total sleep time, sleep efficiency and increased wake after sleep onset and percent of arousal during sleep in nocturnal polysomnography and prolonged mean sleep latency in multiple sleep latency tests in both group. Discussion: Modafinil has stimulant effect of central nervous system but its effect on night sleep is less than other psychostimulants such as methylphenidate. We ascertained that modafinil affected total sleep time, sleep efficiency and percent of wake during sleep but did not effect on sleep structure. Modafinil was effective in the management of day time sleepiness. Modafinil can enhance alertness of control group without day time sleepiness.

      • KCI등재

        기면증 : 임상 양상, 진단 그리고 치료

        신홍범,Shin, Hong-Beom 대한수면의학회 2010 수면·정신생리 Vol.17 No.2

        Narcolepsy is a central neurologic system disease. It begins early in life with disabling symptoms including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cataplexy, sleep paralysis, hypnagogic hallucination and nocturnal sleep fragmentation. Patient with typical symptoms of narcolepsy is diagnosed by objective data from nocturnal polysomnography and multiple sleep latency tests. Narcolepsy is controlled with various medications. Nowadays, modafinil with favorable side effects profiles compared with traditional stimulant is mainly used. Gamma hydroxyl butyrate is effective in cataplexy. Cataplexy is also controlled with antidepressant such as Venlafaxine, SSRI, and TCA. As the knowledge of pathophysiology of narcolepsy expands, new treatment including immunological method, application of hypocretin and histamine systems have been tried.

      • KCI등재

        활동기록기를 이용한 주기성사지운동증 환자의 치료 반응 평가:증례 보고

        신홍범,김의중,Shin, Hong-Beom,Kim, Eui-Joong 대한수면의학회 2005 수면·정신생리 Vol.12 No.2

        주기성사지운동증의 치료에는 도파민 효현제, 벤조다이아제핀, 오피오이드 등 다양한 약물이 쓰이고 있고, 임상적 치료 효과도 약물에 따라 다르다는 보고가 많다. 야간 수면다원검사는 주기성사지운동증을 진단하는 표준적인 방법이지만, 치료 반응 평가를 위해 사용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저자들은 주기성사지운동증을 벤조다이아제핀계의 클로나제팜과 도파민 효현제인 프라미펙솔을 이용하여 치료하고 그 경과를 활동기록기를 이용하여 평가한 증례가 있어 보고한다. 기존 연구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클로나제팜은 수면의 질을 개선시키는 효과는 있으나 사지운동의 횟수를 줄이지는 못하였다. 프라미펙솔은 사지운동의 횟수를 줄였지만, 수면의 질을 개선 시키지는 못하였다. 활동기록기는 주기성사지운동증의 치료 반응 평가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eriodic limb movements in sleep (PLMS) have been diagnosed easily by nocturnal polysomnography (NPSG) and treated effectively with dopamine receptor agonist, benzodiazepine and opioid. However, few reports have objectively assessed the treatment responses. We treated a PLMS patient with clonazepam and pramipexole, and evaluated their efficacy with actigraphy. Clonazepam improved sleep quality without reducing frequency of limb movements, and pramipexole reduced frequency of limb movements without improving sleep quality, results which are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y findings. Actigraphy proved useful in evaluation of treatment response of PLMS.

      • KCI등재

        디지털 수면다원기록법:현재와 미래

        신홍범,정도언,Shin, Hong-Beom,Jeong, Do-Un 대한수면의학회 2004 수면·정신생리 Vol.11 No.2

        Digital polysomnography was develop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Rechtschaffen and Kales rule and to compensate the shortcomings of paper polysomnography. It enables easy access to and secure preservation of sleep records, and provides various displays of sleep data to enhance efficiency of visual scoring of sleep records. Rechtschaffen and Kales rule had been criticized for its ambiguity and lack of considerations in spatial information of EEG. As sleep records are acquired and processed in digital mode, they can be analyzed at microscopic and macroscopic levels. Digital analysis of sleep records provides the basis for development of new sleep measures. Sleep staging in digital polysomnography is based on the various analyses of EEG. Sleep apnea, hypopnea and periodic limb movement are detected automatically by digital analysis of respiratory signals and leg EMG. Digital polysomnography plays a complementary role to visual scoring and compensates the limitations of paper polysomnography. Digital polysomnography, including acquisition, processing and analysis of sleep records in digital mode, can be a great help in the development of sleep medicine, enabling the development of new sleep measures and the exchange of sleep records between sleep laboratories.

      • KCI등재

        소아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 1례

        신홍범,이유진,정도언,Shin, Hong-Beom,Lee, Yu-Jin,Jeong, Do-Un 대한수면의학회 2004 수면·정신생리 Vol.11 No.2

        소아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은 흔히 편도 아데노이드 비대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비만, 두개 악안면 기형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소아의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은 야뇨증, 사건 수면, 행동 장애 등과 같은 다양한 합병증을 동반할 수 있다. 그 원인이 편도 아데노이드 비대증이면 수술적인 제거를 통해 증상 호전을 기대할 수 있으나 비만 등 다른 원인에 의한 것이라면 지속성 상기도양압술과 체중 감량 및 생활습관 변화를 통한 치료가 필요하다. 저자들은 편도 아데노이드 절제술 시행 후에도 심한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이 지속되고 다양한 합병증이 나타난 환아에서 상기도양압술로 무호흡 관련 증상 및 동반된 합병증의 호전을 보인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한다. Adenotonsillar hypertrophy is the leading cause of childhood obstructive sleep apnea.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in childhood, however, can occur from various causes such as obesity or craniofacial abnormalities. Childhood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can be accompanied by enuresis, parasomnias and behavior problems. For patients with the symptoms of snoring and apnea, obstructive sleep apnea should be suspected and diagnosed properly. In addition, the evaluation of complications and proper treatment are indispensable. When the cause of childhood obstructive sleep apnea is adenotonsillar hypertrophy, symptoms can be improved by surgical methods. If the cause is other than adenotonsillar hypertrophy, such as obesity, it should be treated with other therapeutic modalities, like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nCPAP), weight reduction and modification of life style. This paper reports a case of nCPAP used to manage severe sleep apnea when it was not resolved after adenoidectomy and tonsillectomy. Differential diagnosis of narcolepsy in a case with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and reflections on accompanying enuresis and parasomnia were also described.

      • KCI등재

        느린 안구 운동(SEM)과 뇌파의 스펙트럼 동시 분석을 이용한 1단계 수면탐지

        신홍범,한종희,정도언,박광석,Shin, Hong-Beom,Han, Jong-Hee,Jeong, Do-Un,Park, Kwang-Suk 대한수면의학회 2003 수면·정신생리 Vol.10 No.1

        목 적:1단계 수면은, 입면 시점과 관련하여 수면다원기록의 해석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1단계 수면은 각성 상태에서 수면 상태로의 짧은 전이 기간으로, 특징적인 지표가 없어 디지털 분석을 통한 수면 단계 결정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뇌파와 안전도에 대한 디지털 분석을 통하여 1단계 수면을 자동으로 탐지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 법:야간수면다원기록 중 검사 시작 시점부터 2단계 수면이 출현하기 이전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뇌파의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알파파와 세타파의 상대 파워를 계산하였고, 알파파의 상대 파워가 50% 이하, 세타파의 상대 파워가 23% 이상일 경우 1단계 수면 판정의 기준 변수로 하였다. 또 안구운동의 지속시간이 1.5초에서 4초 사이에 있는 경우에 느린 안구운동(SEM)으로 판정하고 1단계 수면 판정의 기준변수로 하였다. 이 들 세 기준 변수들을 고려하여 해당 판독단위에 대해 각성 혹은 1단계 수면으로 최종 판정하였다. 결 과:연구 대상자는 7명으로 모두 남성이었으며, 23세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169개의 판독단위를 분석하였다. 기준과의 일치도는 79.3%였으며, 카파값은 0.586이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느린 안구운동은 169개의 판독단위 중 54개(32%)에서 나타났으며, 70.4%의 일치도를 보였다. 결 론:기존 연구의 디지털 분석을 통한 수면 단계 판정의 일치도는 70%이다. 본 프로그램의 일치도 79.3%는 기존 연구 결과에 비해 향상된 것이며, 본 프로그램이 1단계 수면 판정에 유용하다고 판단된다. 뇌파 외에 안전도를 고려한 다중적 접근이 일치도 향상에 기여했을 것으로 생각되며, 1단계 수면 판정에 있어 안전도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s: Stage 1 sleep provides important information regarding interpretation of nocturnal polysomnography, particularly sleep onset. It is a short transition period from wakeful consciousness to sleep. The lack of prominent sleep events characterizing stage 1 sleep is a major obstacle in automatic sleep stage scoring. In this study, utilization of simultaneous EEG and EOG processing and analyses to detect stage 1 sleep automatically were attempted. Methods: Relative powers of the alpha waves and the theta waves were calculated from spectral estimation. A relative power of alpha waves less than 50% or relative power of theta waves more than 23% was regarded as stage 1 sleep. SEM(slow eye movement) was defined as the duration of both-eye movement ranging from 1.5 to 4 seconds, and was also regarded as stage 1 sleep. If one of these three criteria was met, the epoch was regarded as stage 1 sleep. Results were compared to the manual rating results done by two polysomnography experts. Results: A total of 169 epochs were analyzed. The agreement rate for stage 1 sleep between automatic detection and manual scoring was 79.3% and Cohen’s Kappa was 0.586 (p<0.01). A significant portion (32%) of automatically detected stage 1 sleep included SEM. Conclusion: Generally, digitally-scored sleep staging shows accuracy up to 70%. Considering potential difficulty in stage 1 sleep scoring, accuracy of 79.3% in this study seems to be strong enough. Simultaneous analysis of EOG differentiates this study from previous ones which mainly depended on EEG analysis. The issue of close relationship between SEM and stage 1 sleep raised by Kinnari remains a valid one in this study.

      • KCI등재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y on Service Orientation and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in the Private Sport Center

        Shin, Hong-Bum(신홍범),Choi, Hwan-Suk(최환석) 한국체육과학회 2018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basic data to devise a strategic plan for providing an efficient service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service quality of the sports centers to service orientation and professionalism.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service leadership, service encounter,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factors ar influenced by the facility of the service quality, instructors, and operation management factors. Second, facility of the service quality, leader, operation management factor have an effect on the instructional method of professional perception, human relationships, and business management factor. Third, service leadership, service encounter,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factor affect instructional method of professional perception, human relationships, and business management factor. It is recognized that service quality which has an effect on the positive response from the members of the sports center towards the facility along with the repurchase intention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fluences service orientation and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instructors of the sports center having a direct mutual relationship with the members should provide a quality service as well as have a thoughtful consideration towards the members for sociable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