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ti-anemic Effect of Aqueous Extracts of Fructus schisandrae on Phenylhydrazine-induced Hemolytic Anemia in Female Sprague-Dawley Rats

        신혜숙,김이화,김창주,Shin Hye-Sook,Kim Ee-Hwa,Kim Chang-Ju 경락경혈학회 2002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19 No.1

        목적 : 자성(雌性) 흰쥐에서 phenylhydrazine으로 유발된 용혈성 빈혈에 오미자 약침의 항빈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적혈구수, hematocrit ratio, hemoglobin, 혈청 철함유량 및 serum total iron binding capacity (TIBC)를 관찰하였다. 방법 : 실험동물은 정상군, 대조군, 250 mg/kg 오미자 투여군 및 500 mg/kg 오미자 투여군으로 총 4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정상군의 흰쥐는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고, 대조군은 phenylhydrazine으로 용혈성 빈혈을 유발하였다. 오미자 투여군은 용혈성 빈혈을 유발한 후 7일간 매일 250 mg/kg 및 500 mg/kg의 용량으로 중완혈에 자침하였다. 결과 : 적혈구수, hematocrit ratio 및 hemoglobin은 대조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감소한 반면 오미자 투여군은 증가하였다. 혈청 철함유량과 TIBC는 대조군에서 증가하였으나, 오미자 투여군에서는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중완혈에 오미자 자침은 phenylhydrazine으로 유발된 용혈성 빈혈에서 항빈혈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려된다.

      • KCI등재

        미국이민 한국인의 문화변용 스트레스와 일상생활 스트레스정도에 관한 연구

        신혜숙,김미영,Shin, Hye-Sook,Kim, Mi-Yong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06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2 No.1

        Purpose: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to assess the relationships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current perception of stress in Korean immigrants.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154 community-dwelling Korean immigrant living in the USA.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use of questionnaires.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Acculturative stress (12 items), The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cale(8 item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SPSS PC 12.0 Programme for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Duncan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ults: 1) The average item score for acculturative stress was 17.17. The average item score for current perception of stress was 26.56. 2) Acculturative stress was positively related to current perception of stress (r=.360, p<.01). 3) Acculturative str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F=2.709, p=.047), occupation (F=16.202, p=.000), perceived income comfort level (F=26.666, p=.000), and type of residence (F=2.672, p=.050). The Current perception of str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F=7.380, p=.000), marital status (F=5.354, p=.006), perceived income comfort level (F=12.738, p=.000), and type of residence(F=4.207, p=.007). Conclusion: Theses findings help to clarify relationships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current perception of stress in Korean immigrants. Therefore, the result of study provide clues for the quality of life of Korean immigrants.

      • KCI등재

        중년여성의 강인성, 폐경지식과 폐경관리에 관한 연구

        신혜숙,권숙희,Shin, Hye-Sook,Kown, Sook-Hee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1999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related factors to the self-reported climacteric symptoms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climacteric symptoms and degree of Sanhujori, the Korean traditional postpartal care.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employ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108 middle-aged women who were non-hystrectomized and ranged in age from 40 to 60 years. They were selected in seoul and Kyoung-ki province,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Oct.25 Nov. 10, 1997 by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revised health Promotion Lifestyle(HPLP) developed by Walker, Sechrist & Pender, and revised Climacteric Symptoms Scale developed by Chi, Sung Ai.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PC^+$ program using t-test, ANOVA and Scheffe test as a post hoc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was low($2.42{\pm}0.35$).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background, family income, marital satisfaction, whether or not taking a restorative food and degree of Sanhujori, especially the period (t=-2.07, F=2.60~7.57, p<0.05). 2. The mean score of score self-reported climacteric symptoms was 1.69%;99% of middle-aged women had symptoms. There were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 of middle -aged women's self-reported climacteric symptoms according to the age, number of children, educational background, occupation, family income, marital satisfaction, whether or not receiving hormon replacement therapy (HRT) or consultation by a professional,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elf evaluation of Sanhujori(t=-2.04~3.69, F=2.87~11.63, p<0.05). 3. women's degree of Sanhujori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health promoting behaviors(r=0.34, p=0.00)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self-reported climacteric symptoms(r=-0.19,p=0.03). 4. The influencing factors to the climacteric symptoms were self actualization, interpersonal support,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mong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with 57% of variance($R^2$=0.57). 5. The middle-aged women's type of coping pattern for the climacteric symptoms was classified as active behavioral coping, spiritual & psychological coping, and negative coping. In conclusion, to intervene the middle aged women's climacteric symptoms and develop nursing strategies for their health, health promoting behavior, especially ; self actualization, interpersonal support, and perceived health status should be considered. And, as the primary prevention strategy for women's health during the period of childbearing and also middle age, especially for the climacteric symptoms, Sanhujori should be reconsidered.

      • KCI등재

        화병환자의 분노와 우울정도에 관한 연구

        신혜숙 ( Hye Sook Shin )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02 동서간호학연구지 Vol.7 No.1

        Purpose: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xtend the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hwa-byung by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and depression level in hwa-byung patients. Metho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9 hwa-byung patients who hwa-byung clinic in oriental hospital.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personal interviews with questionnaires and the period for data collection was from March. to June. 2001. The tools of the measurement were the anger scale that developed by Spielberg and translated by June, et al. The tools of the measurement were the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that developed by Radloff and translated by Shin.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 computer program that included the descriptive statistics, χ2-test,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Result: 1. The mean score for anger was 17.4, 24.9, and the mean score of depression was 20.3. 2.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for anger according to the age(t=7.02, p=.000), the marital status(t=3.34, p=.001), the average monthly income(t=5.48, p=.000), the occupation (t=2.18, p=.031). 3.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for depression according to the age(t=3.58, p=.016), education(t=6.35, p=.002), the average monthly income(t=11.37, p=.000), 4. Anger in Hwa-byung patient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epression level(r=.405, p=.000). Conclusion: From this study, a relationship between anger and depression in hwa-byung patients was identified. Therefore, nursing interventions are needed to assessment anger and depression level with hwa-byung patients.

      • KCI등재

        수지요법이 폐경증상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신혜숙,송영아,Shin, Hye-Sook,Song, Young-A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06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2 No.1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Koryo Hand Therapy on menopausal symptoms and attitude in permenopausal women.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group pretest-posttes. The subjects consisted of 45 women between the ages of 40 and 60 years in the Gyeonggi-do, Korea. There were 23 wom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2 in the control group.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KHT of three times a week, for a total of 8weeks.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to measure the effects of KHT were the menopausal symptoms scale and attitudes to the menopause(Maoz, Downty, Antonovsky & Wijsenbeek, 1970). The data were analyzed by $X^2$-test and Fisher's Exact Test, Mann-Whitney U-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 procedures, using SPSS/Win PC 13.0. Results: For menopausal symptom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For menopausal attitude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Conclusions: This result showed that KHT was effective in decreasing menopausal symptoms in perimenopausal women.

      • KCI등재후보

        내관지압이 항암요법을 받는 부인암환자의 오심, 구토와 식욕부진에 미치는 효과

        신혜숙 ( Hye Sook Shin ),이상복 ( Sang Bok Lee ),류경희 ( Kyung Hee Ryu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9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5 No.1

        항암화학요법에 의한 부작용의 하나인 오심 구토와 식욕부진을 예방하고 증상을 완화하는 것은 암환자들의 계획된 항암화학요법을 유지하고, 항암 치료 효과를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내관지압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 암 환자의 오심 구토와 식욕부진에 효과가 있는가를 점정함으로써 내관지엽의 부인암 환자에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 해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80.9%)이 남성(60.4%)에 비해 오심 구토 발생률이 높고 소화기계 암환자(63.1%)에 비해 비소화기계 암환사(82.9%)의 경우 오심 구토 발생률이 높은 점(Kim & Kim, 2005)들을 고려하여 남성에 비해 좀 더 오심 구토에 민감하다 고 볼 수 있는 여성이자 비소화기제 암환자에 속하는 부인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내관지압의 적용 효과를 검정하였다.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에게 내관지압을 적용한 결 과 실험군의 경우 항암화학요법 실시 후 일별 오심 구토 정도의 점수가 1일째,2일째,3일째 모두에서 대조군에서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내관지압이 오심 구토 완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항암화 학요법을 받는 대상자에게 내관지압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정한 기존 연구들 (Choi 2003; Kim, 2003; Shin, 2002)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처럼 내관지압의 적용 효과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대상자 외에도 수술 후 환자(Kim, Shin, & ,Oh 2004), 임신오조증 환자(Shin, Song, & Seo, 2007) 등 에서도 오심 구토를 완화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어 이는 내관지암이 오심 구토 완화를 위한 간호중재로 활용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항암화학요법 투여 후 실험군은 2일째, 대조군 의 경우 3일째 오심 구토 정도 가장 심한 정향을 보였는데, So등(2003)은 “항암화학요법 관련 오심과 구토 완화를 위한 비약 물요법에 관한 연구동향 조사”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대상 자들의 경우 2-5일경에 오심 구토가 가장 심한 것으로 조사 보고하였고, Yu와 Gu (2003)의 항암화학요법 투여 후 일별 오심 구토에 관한 연구에서는 오심 구토가 3일째 가장 심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상자의 선정의 어려운 점과 3-4일간의 입원기간으로 인해 연구대상지- 확보의 어려움으로 실험처치 후3일간만의 측정된 결과를 제시하였기에 실험효과의 변화추이와 지속성을 파악할 수 없어 본 연구 결과를 확대 해석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연구 대상자의 확보와 추가분 석에 의해 실험효과가 어느 시점에서 나타났으며, 실험효과가 어느 정도 지속되는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특히 연구참여자들의 경우 항암화학요법 기간에 매일 항구토제를 투여받았는데도 불구하고 항암화학요법제 투여 후 실험군 의 경우 오심 구토 점수(0-32점 범위)가 평균 11,6점, 대조군의 경우 평균 18.3점이었다. Yu와 Gu (2003)의 연구에서도 6.57-11.30점으로(0-16점 범위) 진토제를 투여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오심 구토가 상당히 있었다. 이러한 정은 오심 구토 완회를 위해 약물적 중재 외에 비약물적 중재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Choi, 2003; Hwang,Choi & y=Yoo, 2005; Jung & Lee, 2004: Kim, 2007; So et al. 2003)들에서도 이미 강조한 바와 같이 오심 구토 완화를 위한 비약물적 접근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바라 생각된다. 한편,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대상자를 중심으로 다룬 일부 연 구들에서 퇴원 후 까지도 오심 구토가 지속됨을 보고하고 있고, 이에 퇴원 후의 교육에 관한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는데(Kim Lee, & Kim, 2007; Kwon & ,Eun 2001; Yu & Gu, 2003), 지압간호중재는 시간과 장소에 제한 없이 적용이 용이하고, 안정하고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자가간호 및 가족 중심적 간호 적용 가능성이 높은 특성을 지니고 있어 내관지압은 퇴원 후 대상 자의 오심 구토 완화를 위한 적절한 간호중재로 활용 가능하리라 본다. 본 연구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에게 내관지 압을 적용한 실험군의 경우 항암화학요법 실시 후 일별 식욕부진 정도의 평균 점수가 1일째,2일째, 3일째 모두에서 대조군에 서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내 관지압이 식욕부진 완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대상자에게 내관지압을 적용하여 식욕부진의 완화 효괴를 검정한 Choi (2003)의 연구결과와도 유사하다. 본 연구에서 항암화학요법제 투여 후 실험군은 2일째, 대조 군 3일째 식욕부진 정도가 가장 심한 경향을 보였는데, Yu와 Gu (2003)의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암환자의 시기별 오심과 구토, 식욕부진 및 음식섭취에 관한 연구’ 보고에서는 항암요법 제 투여 후 3일째가 가장 식욕부진이 심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한편 식욕부진의 경우도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대상자들 에있어 퇴원 후에도 계속되는 문제(Yu & Gu,2003)로 병원에서 뿐만 이니라 가정에 돌아가서도 계속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이상과 갇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내관지압은 항암화학요법을 투여받는 부인암 환자의 오심 구토와 식욕부진을 완화하는 보완중재방법으로 간호실무에서 적용될 뿐만 아니라 병원 외에 지역사회에서 환자 및 가족의 자기관리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Nei-Guan acupressure on nausea, vomiting, and anorexia in gynecological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Methods: Subjects consisted of 40 patients with cancer who were hos-pitalized and had chemotherapy at a general hospital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Korea. Control subjects (n=20) received only chemotherapy and intervention subjects (n=20) received Nei-Guan acupressure during their chemotherap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to October in 2008. Nausea and vomiting were measured with the Rhode`s Index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and anorexia was measured using a Visual Analog Scale. Data were analyzed by X2-test,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Results: Severity of nausea and vomiting in the intervention group was significantly less than in the control group. Repeated measure ANOVA revealed significant group effect (F=28.09, p=.000), time effect (F=.321.48, p=.000), and interaction effect (F=7.90, p=.000). Severity of anorexia in the intervention group was significantly less than in the control group. Repeated measure ANOVA revealed significant group effect (F=28.68, p=.000), time effect (F=52.32, p=.000), and interaction effect (F=6.35, p=.000). Conclusions: Acupressure can be applied as a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to relieve nausea, vomiting, and anorexia in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 KCI등재

        사회과학분야 : 무용예술강사의 역할수행 능력과 직무몰입과의 관계

        신혜숙 ( Hye Sook Shin ),황예선 ( Ye Seon Hwang ) 한국무용과학회 2015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2 No.3

        본 연구는 무용예술강사의 역할수행 능력과 직무몰입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전국의 초등학교에서 무용 수업을 하고 있는 강사 2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해 기술통계, 요인분석 및 상관관계, 일원배치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첫째, 무용예술강사의 역할수행 능력과 직무몰입 하위 요인별 상관관계에서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경력에 따른 역할수행 능력과 직무몰입에서 10년 이상 집단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다중회귀분석 결과 역할수행 능력은 부적몰입과 정적몰입 모두 학생관계성과 수업중심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이 많은 강사들이 학생지도와 같은 교육적 측면을 비롯한 여러 다각적 면에서 더 풍부한 경험을 가짐으로서 자신의 역할수행 및 직무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교재 중심의 수업보다는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춘 융통적이고 탄력적인 수업을 진행함으로서 효과적인 수업을 끌어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order to define how dance arts instructor` role performance is related to job involvement, this study conducted its investigation targeting a total of 242 trainers who were currently teaching dancing in elementary school in South Korea. For the data processing, used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reported that first, the dance arts instructor` role performance i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sub-factors of job involvement. Second, when it comes to how role performance is connected to job involvement depending on career, the study noticed that a group with ten or more years of experience would come up with a significantly high level of connection between role performance and job involvement. Third, according to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regard to role performance, student relationship and lesson centeredness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both negative involvement and positive involvement. The study learned that since these more experienced trainers have more experiences in diverse areas including some educational area such as student guidance, they have positive influences on their role performance and job involvement and in addition, the study also confirmed that such trainers succeed in carrying out effective lessons as they have an ability to develop rather flexible and changeable lessons than textbook-based lessons setting a level of a lesson up to angles of students.

      • KCI등재

        대학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취업성과 분석

        신혜숙(Shin, Hye Sook),남수경(Nam, Soo-Kyong),민병철(Min, Byeong Cheol)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3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2 No.1

        이 연구는 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다양한 취업지원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규직 또는 비정규직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대학의 취업률 향상과 취업의 질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09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2009)의 124개교 졸업자 6,817명 자료를 활용하여 대학의 취업지원 프로그램 참여 및 도움 여부가 정규직 및 비정규직 취업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일반화위계선형모형(HGLM)을 적용하였다. 취업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도움 받은 학생 및 소속 대학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여학생, 자격증 3개 이상 소유 학생, 해외연수나 인턴, 직업교육 훈련 경험이 있는 학생이, 그리고 사립대학, 수도권 소재 대학 학생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가구소득, 학점, 장학금 수혜율 등이 높을수록 취업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비율이 높았다. 취업지원 프로그램 목적을 취업마인드 향상과 취업역량 강화로 구분했을 때, 프로그램 참여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수들의 영향을 고려하고 나서도, 취업 역량 강화 프로그램들이 전반적으로 대학생의 취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장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도움을 받은 경우, 학생 및 대학변수의 영향을 고려한 후에도 정규직 및 비정규직 취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한편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내실 있게 운영하지 못하여 학생들의 만족도가 떨어지는 경우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경우보다도 학생들의 취업 성과에 부정적인 효과를 유발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므로 대학별로 실시하는 취업지원 프로그램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계획되고, 취업마인드 향상과 취업역량 강화 프로그램이 일정 기간 지속적으로 실시되어 학생들의 취업 준비과정에서 취업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설계, 운영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universities' employment support programs on employment status. Data from the 2009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and multilevel analysis(individual and university level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is study first categorized universities' career-related program into career motivation program(CMP), career skill development program(CKDP). Key explanatory variable was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of each type of program and if participated, how helpful it was. Dependent variable was actual employment status (tenured, non-tenured and non employment). Female students, students with 3 or more licenses, students who had experience of study abroad programs, internship programs, or job-training programs, and students attending private universities or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tended to participate various employment support programs and show satisfaction on the programs. Next, between CMP and CKDP, CKDP turned out to be the most effective one; those who participated in CKDP, and especially reported that the programs were helpful had higher probability of being employed on tenure track. Finally, students who attended but were not satisfied with the programs had little or even negative opportunity to be employed. This findings suggest that the key factor of university's employment support program lies in its quality, and more focus should be paid on polic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employment support programs.

      • KCI등재

        부모의 학업우선교육관이 초등학생의 방과후학교 참여를 매개로 학교행복과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신혜숙(Shin, Hyesook),김준엽(Kim, Junyeop),민병철(Min, Byeongcheol),오유미(Oh, Youm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한국청소년연구 Vol.26 No.3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학업우선교육관이 초등학생의 교과 및 비교과 방과후학교 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방과후학교 참여가 학생들의 학교행복과 공동체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수집된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의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부모의 교육관-방과후학교참여-학교행복 및 공동체의식에 대한 잠재변인 수준의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분석에서 학업성취도를 공변인으로 투입하여 혼입효과를 통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부모가 학업을 우선하는 교육관을 강하게 가지고 있을수록 자녀는 교과 방과후학교에 참여하는 경향이 높은 반면, 예체능 및 비교과 동아리 등의 비교과 방과후학교에 참여하는 경향은 낮았다. 둘째, 교과 방과후학교 참여는 학교행복과 공동체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비교과 방과후학교 참여는 학교행복과 공동체의식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셋째, 부모의 학업우선교육관은 교과 및 비교과 방과후학교를 매개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학교행복에 정적 효과를 미쳤다. 따라서 가정과 학교에서 학업 외에도 여가나 취미, 사회적 관계 등의 비교과활동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특히 학교 차원에서 초등학생들의 학교행복과 공동체의식을 높이기 위하여 학교 내의 비교과 방과후학교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 on how parents’ academic-centered view of education(ACVE), i.e., placing priority upon child education on studying academic subjects rather than leisure pursuits, hobbies or social relations, affects the children’s ‘participation within academic and non-academic afterschool programs and how this participation affects their children’s non-academic achievements such as levels of school happiness and sense of community. For this purpose, we applied path analyses using the first wave data from KEDI’s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KELS) 2013.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ents’ ACVE leads their children to participate in more academic and fewer non-academic after-school programs. The effect of academic activities on the non-cognitive achievements was not significant. However, non-academic activities had significant impact on the non-cognitive achievements of all domains investigated. Second, parents ACVE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academic self-conception and self management. It is not a simple matter to explain this positive effect. This direct effect can be viewed as a composite of all the indirect effects via many mediators that are not included in this study.

      • KCI등재

        무용수의 공연성취감과 관객몰입과의 관계

        신혜숙 ( Hea Sook Shin ) 大韓舞踊學會 2009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60 No.-

        This study purposed to obtain basic materials for improving dance performances to the highest level, and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108 students majoring in Korean dance, 72 in ballet, and 75 in contemporary dance sampled from undergraduate and graduate dance students and analyzed their sense of achievement in performance and commitment to audience.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rawn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sense of achievement i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dancers` personal characteristics, a sense of achievement in performance came from the dancers` subjective experiences regardless of their major.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school year, it was higher in senior students who had rich stage experiences and high abilities to cope with audience or environmental conditions. In addition, the sense of achievement in performance was higher in students who performed once a month and in those who performed at large theaters. Second, with regard to commitment to audience according to the dancers` personal characteristics, commitment to audience in dance performances was an experiential value that dancers commit themselves to the audience through interaction, and was a psychological phenomenon occurring regardless of the dancers` major, school year, and theater size.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number of performances, commitment to audience was higher in students who performed once a month, at which the dancers could balance their performance with their skills. Third, the sense of achievement in performance was in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ommitment to audience, and it explained 24.4% of the variation of commitment to audience. Among the sub factors of the sense of achievement in performance, commitment to dance work and self recogni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mmitment to aud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