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장기 소아 청소년 환자에서의 치과 임플란트 식립

        신현승,Shin, Hyun-Seung 대한소아치과학회 201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2 No.3

        Although there are a number of studies on the treatment planning and the prognosis of dental implants, limited studies provide the information on the implant placement on growing adolescents. The aim of this review is to discuss the use of dental implants in growing patients and the impact of skeletal and dentoalveolar growth on the long-term stability of implants. The general information regarding skeletal growth of maxilla and mandible would be briefly reviewed and the general treatment options would be discussed. 성인에서의 임플란트 식립에 관해서는 치료 계획, 술식, 예후 등의 다양한 주제가 연구되어 왔으나 성장기 소아 청소년 환자에서의 임플란트 식립에 대해서는 연구가 제한적이다. 본 종설의 목적은 성장기 환자에서의 임플란트 식립에 대해 논하고 악골 및 치조골의 성장이 임플란트 장기적 예후에 갖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전반적인 골격성장의 유형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고 실제 임상적 치료법 선택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

        최한기의 기학적 정치철학과 공공성에 관한 일고찰

        신현승(Shin, Hyun-Seu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1

        이 논문은 공공성(公共性)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최한기(崔漢綺)의 기학적 세계관과 공사관(公私觀)을 검토하고, 그의 정치철학이 갖는 의미가 어떠한 것인지를 재인식하고자 기획한 것이다. 따라서 본론의 첫 번째 장에서는 ‘實學{’으로서 최한기의 ‘氣學{的 世界觀’이 어떠한 양상이었는지 검토해 보았다. 최한기의 경우 그 자신의 말을 빌리면 ‘종허입실(從虛入實)’의 실학적 입장을 표명하였다. 그것은 시대의 변화에 발맞추어 사회의 제반 제도와 학문, 도덕, 그리고 풍습까지도 변화해야 된다는 논리이며, 이러한 근원적 사유구조가 최한기 자신이 갖고 있던 기학적 세계관이자 ‘실학적 기학’이었다. 그 다음으로 최한기의 ‘公’에 관한 논의를 검토했는데, 그의 ‘公’ 개념은 ‘氣의 움직임’에 순순히 따르는 것이었다. 즉 최한기가 말하는 공(公)이란 ‘기화(氣化)’, 즉 기(氣)의 활동운화(活動運化)였고, 그것이 곧 ‘백성들의 눈과 귀’로 표현된 중인(衆人)의 자연스러운 여론이 될 때 ‘公論’이 된다는 논리이다. 이러한 최한기의 ‘公’ 개념은 그 자신의 독특한 기학 체계가 낳은 기학적(氣學{的) ‘公論’이었다. 본론의 두 번째 장에서는 그의 정치철학과 공공성 논의에 초점을 맞추었다. 우선 그 자신의 기학(氣學{) 체계와 ‘운화(運化)’라는 개념 및 그 안에 담긴 정치철학적 의미를 탐구하였다. 최한기의 경우 인간과 사회, 우주와 자연의 운동 변화는 모두 기(氣)가 ‘활동운화(活動運化)’하는 양상이다. 따라서 사회 안에서 불협화음과 대립, 갈등이 발생할 때는 자연스러운 합의 상태로서 ‘운화(運化)’[=운동?변화]에 따를 것을 강조한다. 더 나아가 사회구성원 전체를 통합하여 조화와 화해의 세상으로 이끄는 원리도 ‘운화’임을 표명한다. 이어서 최한기의 정치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인 ‘통민운화(統民運化)’와 유교적 공공성(公共性)에 관해 논의했는데, 그의 정치철학을 관통하는 핵심적 코드는 ‘운화’이고, 다시 그 ‘운화’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이 ‘통민 운화’였다. 최한기에 의하면 ‘통민운화’의 의미는 인간의 사적 영역과 우주?자연의 공적 영역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면서 인간 사회의 공적 영역과 공공성으로서 작용하는 보편적 원리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quire into Choi Han-ki"s views on the world and publicness/privateness of Chihak (study of Chi (or Qi, energy)) through the keyword ‘publicness’ and have a new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his political philosophy. Thus, Chapter I looked into the aspects of his ‘world view of Chihak’ as ‘Silhak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Choi Han-ki expressed an opinion of practical science of ‘Jongheoipsil’ as he said himself. This is logic that various institutions of society, science, morality and customs should change in step with the times, and this fundamental structure of thinking was his world view of Chihak and ‘Chihak of Silhak.’ Next, his discussion about ‘publicness’ was examined, and his concept of ‘publicness’ was obedience to ‘the movement of Chi.’ In other words, publicness he talks about referred to ‘Chihwa (transformation),’ that is, Hwaldongwunhwa (activities, movements and changes) of Chi, and it is logic that when something becomes a natural public opinion of the masses, expressed by ‘people’s eyes and ears,’ it becomes a ‘public opinion.’ His concept of ‘publicness’ like this was a ‘public opinion’ of Chihak produced by his own special Chihak system. Chapter II focused on his political philosophy and discussion on publicness. First, it explored his Chihak system, concept of ‘Wunhwa’ and its political philosophical meaning. To Choi Han-ki, all changes in the movements of men, societies, the universe and nature are aspects of ‘Hwaldongwunhwa’ of Chi. Therefore, it emphasizes that when discords, confrontations and conflicts occur in a society, men should follow ‘Wunhwa’ (movements and changes) as a natural state of agreement. Furthermore, it states that ‘Wunhwa’ is also the principle that unites all members of the society and leads them to a world of harmony and reconciliation. It discussed the most important concept in Choi Han-ki’s political philosophy, ‘Tongminwunhwa (taking care of people, movements and changes)’ and Confucian publicness, and showed that the key code that penetrated his political philosophy was ‘Wunhwa’ and what was located at its center was ‘Tongminwunhwa.’ According to Choi Han-ki, ‘Tongminwunhwa’ meant the universal principles that were located in between private spheres of humans and public spheres of the universe and nature, acting as the public sphere and publicness of human society.

      • KCI등재

        일반 : 명대(明代) 말기(末期)의 유교(儒敎) 강학(講學)과 유종주(劉宗周)의 강학(講學) 활동

        신현승 ( Hyun Seung Shi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4 大東文化硏究 Vol.88 No.-

        이 논고는 중국 明代 末期 講學의 다양한 양상을 시야에 넣으면서 이 시기에 활동한 즙山 劉宗周(1578~1645)의 유교 講學 활동에 관해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즉 劉宗周 자신의 학문 발전단계 및 講學 시기를 초기와 중후기로 나누고 단계별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劉宗周가 陽明學 좌파의 이론을 배제하면서 ‘주자학·양명학 절충론’이라는 학문세계를 어떻게 구축하게 되었는지, 또 그 자신의 그와 같은 학문세계 구축의 토양을 講學 활동 참가 및 지역의 학술교류라는 시점으로부터 생각해 보았다. 講學 시기 劉宗周의 활동 양상과 인적 네트워크 혹은 학술 네트워크는 후대 즙山學派를 형성케 해준 하나의 계기가 된 것만은 사실이다. 또 명말청초기 劉宗周 후학들이 江南 浙東學派의 연원 및 계보의 정통성을 확보할 수 있는 문제의식을 양성한 토양으로서 劉宗周의 講學 활동을 파악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논고에서는 우선 明代 末期의 유교 講學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미리 살펴보고, 劉宗周의 講學 시기를 초기(1604년 전후)와 중기(1622년 전후) 및 후기(161년 전후)로 나누어 초기(東林書院 시기)와 중기(首善書院 시기)에서의 講學 참가 경험과 제 양상 등을 고찰하였다. 이어서 후기의 證人書院 시기를 다루면서 그 講學의 제 양상과 증인서원의 두 주역 劉宗周와 陶奭齡의 학문적 성향, 그리고 그와 같은 학술적 경향에 따른 최후의 결별 과정 등을 살펴보았다. This study looked into various aspect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late Ming dynasty of China and aimed to review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Confucianism by Jishan Liu Zongzhou (1578~1645) active in this period. In other words, it divided the stages of his own academic development and teaching and learning period into early, middle and later stages and inquired into each stage. Through this, it inquired into how Liu Zongzhou constructed an academic world of ‘a compromise between Zhuxiism and Yangmingism,’ excluding the theory of the left wing of Yangmingism and the soil for him to build the academic world in terms of particip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local academic exchange. It is true that, during his teaching and learning period, at least, the aspects of Liu Zongzhou’s activities and social or academic network were an opportunity that allowed the formation of the Jishan School to posterity. In addition, it will be possible to underst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of Liu Zongzhou as the soil that cultivated a critical mind in Liu Zongzhou’s younger students so that they can secure legitimacy of the origin and genealogy of the Jiangnan Zhedong School during the Mingmo-Qingchu period. Thus, this study, first, inquired into how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Confucianism developed in the late Ming dynasty, divided Liu Zongzhou’s teaching and learning period into early stage (around 1604), middle (around 1622) and the later part (around 1631) and investigated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teaching and various aspects in the early stage (Donglin Academy period) and the middle stage (Shoushan Academy period). Then, dealing with the Zhengren Academy period in the later stage, it looked into various aspects of its teaching and learning, academic tendencies of two leading figures, Liu Zongzhou and Tao Shiling of Zhengren Academy and the process of their final breakup due to such academic trends.

      • KCI등재

        문화지리학의 관점에서 본 중국 절강의 유교문화

        신현승 ( Hyun Seung Shi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4 儒學硏究 Vol.30 No.-

        이 논문은 문화지리학적 연구방법을 채택하여 중국 절강의 유교문화를 고찰해 보고자 기획한 것이다. 통시적 대상으로는 11세기 이후 중국 송대부터 명청대까지, 그 가운데 명청대의 과거제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또 공간적 대상으로는 長江(양자강) 이남의 강남지역이며, 그 가운데 절강의 사상문화(특히 유교문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문화지리학적 관점이란 사상문화의 지역적 분포나 특성을 지리적 관점에서 파악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이 논고는 첫 번째 절에서 절강의 자연지리는 물론이고 역사.문화지리를 탐구하면서 강남의 출판문화 현황을 검토하였다. 이 논고의 두 번째 절에서는 강남의 절강 제 지역가운데 절동 지역을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고, 절동의 학술문화를 유교문화적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여기에서는 청대 章學誠의 저작 .文史通義. 내편의 .절동학술.이라는 문장을 주요한 논거자료로 채택했는데, 절동 지역의 학술문화 실상과 그 연원 및 학술적 특징과 의의 등등에 관한 장학성의 논지를 고찰하고, 절동 지역의 진사 분포와 유교 지식인에 관해서도 살펴보았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look into the Confucian culture in Zhejiang, China by adopting the research method of cultural geography. Its temporal scope was from the Song Dynasty after the 11th century to the Ming-Qing Dynasty, and discussion was focused on the Imperial Examination during the Ming-Qing Dynasty in particular. And its spatial scope was the Jiang Nan area, south of Chang Jiang (Yangtze River), and the focus was on thoughts and cultures (in particular, Confucian culture) in Zhejiang. The perspective of cultural geography refers to geographical understanding of regional distributions or characteristics of ideologies and cultures. Thus, this study looked into the state of publication culture in Zhejiang exploring its history and cultural geography as well as its natural geography to examine its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thoughts and cultures, including the Jiang Nan area in the first section. The second section of this study chose the Zhe Dong area in the entire Zhejiang area of Jiang Nan as its spatial scope and analyzed its academic culture on the dimension of Confucian culture. This section discussed the points of Zhang Xue-cheng on the state, origin, features and significance of academic culture in the Zhe Dong area. In addition, it discussed the distribution of Jinshi and Confucian intellectuals in the Zhe Dong area. Especially, Shao Xing in the Zhe Dong area was exemplified, and it was noted that in terms of academic success, it took a leading position in all parts of the country.

      • KCI등재

        연군논문 : 유종주(劉宗周)의 신유학(新儒學) 수용 양상에 관한 고찰 -중국 명대 유학사의 한 단면-

        신현승 ( Hyun Seung Shin ) 한국동서철학회 2014 동서철학연구 Vol.71 No.-

        수용 양상에 관하여 비판적으로 분석한 논문이다. 따라서 유종주의 정주학과 양명학에 대한 수용 양상은 물론이고 정주학자 및 양명학자들과의 교유 양태 등의 검토를 목적으로 하였고, 이를 통하여 주자학과 양명학 사이를 넘나들던 그의 다양한 사상적 편력에 의해 후대가 되어 다양한 평가가 내려지게 된 원인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그의 양명학 수용 양태는 무비판적인 것이 아니었다. 그는 양명학 수용에 있어서도 정주학 수용과 마찬가지로 무조건적 수용보다는 변함없이 비판적 수용의 자세를 견지하였다. 따라서 유종주를 단지 양명학자로만 평가하고 판단하기에는 매우 곤란하다는 점이 있다는 것이다. 그는 양명학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심화시킨 상태에서 양명 후학, 특히 절동(浙東) 양명학 좌파에 대한 비판 운동을 전개하였다. 그 비판의 방법으로 사용한 것은 말할 것도 없이 ‘이분법’이다. 그 자신이 정주학의 이분법을 부정했던 바와 같이 그는 양명학 좌파에 대해서도 ‘본체=공부’라는 ‘일체론(一體論)’을 제기하여 ‘본체’만을 중시하는 그들의 폐해를 지적하고 비판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학문적 비판은 별도로 하더라도, 그는 양명학 좌파 인물들과 학술공동체를 결성하고 학술교류의 차원에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따라서 이 논고는 유종주의 양명학 좌파 비판 및 그 인물들과의 활발한 교류 양상에 관한 분석에도 초점을 맞췄고, 이를 이 연구의 또 다른 목적으로 삼았다.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d the aspect of acceptance in Neo-Confucianism of Liu Zong-zhou, the Confucian, who was active in the end of Ming Dynasty to study an aspect of Confucianism in the Ming Dynasty of China. Therefore, the study purposes to review not only the aspect of acceptance in Cheng Zhu-ism and Yang Ming-ism of Liu Zong-zhou (劉宗周) but also their association aspects. Through this, the writer figured the cause of why various evaluations on his various ideological involvement that crossed between Zhu Xi-ism and Yang Ming-ism were made in future generations. Consequently, his aspect of acceptance in Yang Ming-ism was not non-critical. He consistently adhered the position of critical acceptance rather than the unconditional acceptance in Yang Ming-ism like the acceptance in Cheng Zhu-ism.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evaluate and define Liu Zong-zhou just as a Yang-Ming scholar. He proceeded the critical campaigns on the young students of Yang Ming, especially the leftist Yang Ming-ism of Zhedong (浙東), while intensifying the critical understanding in Yang Ming-ism. The method used to the criticism is no other than ‘dichotomy’. He questioned ‘Yitilun (一體論)’, which is ‘Benti (本體) =Gongfu (工夫)’ for the leftist Yang Ming-ism as he had denied dichotomy of Cheng Zhu-ism, and pointed out and criticized their harmfulness which only puts importance in ‘Benti’. On the other hand, he formed a scholarly community with people of the leftist Yang Ming-ism and proceeded various activities in aspect of scholarly exchange by putting academic criticism separately.

      • KCI등재

        道統論에서 본 陽明學의 實像과 虛像

        신현승(Shin Hyun-seung) 한국양명학회 2010 陽明學 Vol.0 No.26

        주자학과 양명학, 동아시아 근세 유교사상사를 분할하는 양대 유파의 갈림길은 道統論에서 잘 드러난다. 이 논고에서는 바로 그러한 점을 연구의 시야에 넣으면서 각 유파의 道統論의 양상이 어떠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 본고에서는 주자학과 양명학 각 유파에서의 道統論에 관한 논의를 검토한 뒤, 주자학과 양명학을 절충하고자 했던 明末의 大儒 劉宗周의 道統論을 비교학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道統論은 동아시아 유교사의 계보학이며, 각각의 학파가 자신들의 정통성을 확보해 나가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여하튼 新儒學?주자학과 양명학 모두를 포함하여 ?이 탄생할 수 있었던 근거는 道統論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본문의 첫 번째에서는 儒敎史의 핵심을 ‘道統論의 思想史’로 인식하고 그 계보학적 道統論의 경위를 살펴보면서 이 논고에서 가장 역점을 둔 明末期 유자들의 道統論 관련 서적을 분석의 시야에 넣었다. 본문의 두 번째에서는 주자학과 양명학의 절충과 조화를 도모했다고 평가받는 明末期의 대표적 유자, 劉宗周의 道統論 구상의 구체적 양상과 그의 제자 黃宗羲의 道統論의 의미를 비교학적 차원으로 분석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그 가운데 劉宗周의 대표적 저작인 『聖?宗要』와 『皇明道統錄』에서 전개하는 道統論의 양상이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에 관해 논의하였다. When separating Confucianism, Yang-ming Studies, and the history of modern Confucianism thought, the fork of the two factions is well revealed in the Daotong theory. This assertion brings forth such points to the research and reviews the conditions of each school’s Daotong theory. Also, this document will first review the discussions about the Daotong theory in each school of Confucianism and Yang-ming Studies and examine the Daotong theory of scholar Liu Zong-zhou at the end of Myung in a comparative aspect. Such Daotong theory is the genealogy of history of Confucianism in East Asia. Also, we must not forget that it served a very importantrole for each school to secure its legitimacy. In any case, the basis for the birth of New Confucianism (including both the Confucianism and the Yang-ming Studies) is the Daotong theory. Thus, this paper has first acknowledged the core of history of the Confucianism as the ‘history of though of Daotong theory’ and reviewed the details of genealogical Daotong theory to bring forth the books related to the Daotong theory of Confucians at the end of Myung to the view of analysis. In the second part of this paper concentrated on the analysis of specific conditions of the conception of Daotong theory of Liu Zong-zhou who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Confucians at the end of Myung and the meaning of Daotong theory of his disciple called Huang Zong-xi on the comparative dimension. Amid, the paper discussed about the significance of the conditions of Daotong theory unfolded in the Shengxue-zongyao and Huangming-Daotonglu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books of Liu Zong-zhou.

      • KCI등재

        신유학(新儒學)의 대동사상(大同思想)과 인(仁)의 공동체

        신현승 ( Shin Hyun-seu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6 No.-

        이 논문은 장구한 유교사상사 속에서 10세기 이후 주자학과 양명학으로 대변되는 신유학(Neo-Confucianism)의 시대에 초점을 맞추면서 이들 유학자들이 제시하는 대동세계 구상 및 양명학의 대동사상을 고찰한 것이다. 더불어 청대 지식인 담사동(譚嗣同)의 대동 이념 등에 관해서도 분석하였다. 신유학 가운데 특히 양명학은 고대 선진유가에서 공자의 핵심사상인인(仁)을 대동세계의 주요한 이념으로 수용하면서 仁의 공동체 구상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담사동의 인학(仁學)은 다양한 제 학문(불교, 도교, 서양의 자연과학 등)과 선진유가 및 양명학의 연장선상에서 새로운 仁의 공동체 구상을 전개했다는 것이 이 논고의 주된 내용이다. 특히 양명학적 시각에서 볼 때 그것은 다름 아닌 만물일체지인(萬物一體之仁)의 공동체 구상이었다. 이 만물일체지인 개념은 대동사회 구현의 이념적 준거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이 논고는 동아시아 신유학에서 추구한 대동세계 구상의 이론적 양상, 仁 개념을 매개로 한 사회질서 시스템 및 공동체 구상 등에 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이 논고의 첫 번째 본론부분에서 양명학의 이상사회론과 대동 이념에 관한 고찰, 양명학의 사회통합의식과 만물일체지인의 공동체에 관한 고찰 등을 다루었다. 이어서 담사동의 仁의 공동체 구상과 대동사상에 관한 고찰을 양명학적 사유방식의 연장선상에서 두 번째 본론으로 다루었다. 특히 담사동의 대표적 저서인 『인학』을 논증자료로 삼으면서 그의 대동사상과 仁의 공동체 및 평등에 기초한 사회통합의식 등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This literature is a study on the conception of Datong(Great Unity) World presented as Utopia by Confucianists and Datong(Great Unity) theory of Yangmingxue, focusing on the era of Neo-Confucianism which is represented by both Zhuzixue(朱子學) and Yangmingxue(陽明學) after 10th century, out of long-standing history of the Confucianism. Besides that, it also analyzes Datong(Great Unity) theory of Tan Sitong, an intellectual of the Qing dynasty. Out of Neo-Confucianism, Yangmingxue in particular accepted Ren(仁), core idea of Confucius in ancient Pre-Qin Confucianism(先秦儒家) as main ideology of Datong World, and deployed the concept of "Ren(仁)’s Community". And the main framework and premise of this literature is that 『Renxue』 of Tan Sitong was deploying the conception of New Ren (仁)’s Community as an extension of various several academies including Pre-Qin Confucianism and Yangmingxue. Especially, from the standpoint of Yangmingxue, this is none other than the conception of the community of Ren in Everything-as-one. The concept of Ren in Everything-as-one was also an ideological criterion which the realization of Datong(Great Unity) Society relies 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literature was to study the theoretical aspects of the conception of Datong World which Eastern Asian Neo-Confucianism had been pursuing, and to investigate the social order system and the conception of Community, using the concept of Ren(仁) as a medium. To be concrete, the main part of this literature deals with the study on the theory of Utopia, the sense of social integration, and the community of Ren in Everything-as-one which are part of Yangmingxue. Subsequently as the second main part, it deals with the investigation on Tan Sitong``s Ren(仁)’s Community, and Datong(Great Unity) theory in the extension of Yangmingistic way of thinking. Especially, this literature looks into the sense of social integration based on Tan Sitong’s Datong(Great Unity) theory, Ren(仁)’s Community, and Equality, using Tan Sitong``s masterpiece, 『Renxue』 as a reference.

      • KCI등재

        감성철학으로서 양명학에 대한 일고찰 - 이탁오 사상을 중심으로 -

        신현승 ( Shin Hyun-seu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7 儒學硏究 Vol.39 No.-

        현대사회는 논리적, 이성적 사고능력이 중시되는 정보화시대를 지나 점차 감성적 감각능력이 중시되는 새로운 시대로 전환되는 시점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감성 중심의 사회에서도 이성의 중요성이 여전히 유효하며, 이성과 감성 간의 조화롭고 균형 잡힌 발달을 이루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따라서 이 논고에서는 동아시아의 전통철학인 양명학, 좁게는 양명학 좌파의 사상에 관하여 이를 감성철학으로 인식하고, 중국 명대 말기에 활약한 양명학 좌파의 인물 이탁오(1527~1602)의 사상에 관하여 감성이라는 코드로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과정을 통해 이탁오의 사상도 포함하여 16, 17세기 무렵의 신유학 사상의 전개 양상이 완전히 새로운 사상사적 전환 국면에 직면해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것은 명대 말기 양명학 좌파로 대변되는 일련의 감성 중심 사상운동으로서 그 주요한 특징이 주자학의 이성주의적 사고에 대한 비판과 반성 및 해체의 과정이 진행되었다는 점, 더불어 새롭게 양명학에 바탕을 둔 욕망 긍정의 감성주의적 사고로 전환되었다는 점이다. 이성적 사고로 제어할 수 없는 인간 본연의 자연적 욕망과 감성이 정주학 탄생 500여 년만에 본격적으로 꿈틀대기 시작한 것이다. 이 논고에서의 주요 논의 대상인 이탁오는 정주학적 이성이 지배하던 사회에서 양명학 좌파의 인물들과 마찬가지로 인간의 욕망과 감성에 대한 새로운 자각을 하게 되고, 부정적으로 유학사에서 낙인찍힌 욕망의 잔재들을 끄집어낸다. 그 가운데 욕망하는 주체로서 개체 혹은 사사로움(私)의 발견을 시작으로 감성적 인욕에 대한 적극적 긍정을 강조한다. 또한 개체의 자각을 일으키는 원동력으로서 어린아이의 마음, 즉 순수한 동심(童心)을 자기철학의 전면에 내세웠던 것이다. The modern society is at a time of the conversion from the age of informatization in which importance is attached to logical and rational thinking abilities gradually to a new age in which importance is attached to emotional and sensory abilities. However, in the emotion-oriented society, the importance of reason is still valid, and it would be important to make a harmonious and balanced progress between reason and emotion. Thus, this study would discuss the ideas of Li Zhuowu (1527-1602), a left-wing figure of Yangmingxue, who was active at the end of the Ming period of China with the code of emotion, regarding the East Asian traditional philosophy, Yangmingxue, or narrowly, the ideas of the left wing of Yangmingxue as a philosophy of emotion. In addition, through this process of discussion, it could be found that the phase of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t ideas around during the 16th and 17th century, including Li Zhuowu`s thoughts, faced a situation of turning into a completely new history of ideology. It was a series of emotion centered ideological movement, represented by the left wing of Yangmingxue, at the end of the Ming period, and its main characteristics were the processes of criticism, reflection, and dissolution of the rational thought of Zhuzixue, and to a thought of emotionalism affirming desires, based on Yangmingxue, newly. Natural desires and emotions of humans that cannot control with a rational thought began to wriggle in earnest in about 500 years. After the birth of Chengzhuxus. Li Zhuowu, the main subject of discussion in this study came to awaken human desires and emotions newly like figures on the left wing of Yangmingxue in the society ruled by reason of Chengzhuxue and brought the remnants of desires, branded negatively in the history of Confucianism. Especially, starting with the discovery of an object or privateness as a desiring subject, he emphasized active affirmation of emotional insult. In addition, as a driving force that causes the awakening of the object, he brought a young child`s mind, that is, the pure innocence of childhood to the forefront of his own philosophy.

      • KCI등재

        16~17세기 유교 학파의 관계성에 대한 일고찰 -중국 명대 말기를 중심으로-

        신현승 ( Shin Hyun-seu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3 No.-

        중국 명대 말기의 유교 학파, 즉 동림학파, 즙산학파, 양명학 좌파는 매우 깊은 학술적, 정치적 관계성을 맺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동림학파는 사상·학술적으로 양명학 좌파의 과도한 불교의 선(禪)적 사상 경향에 대해서는 비판적이었다. 또 정치적으로는 명대의 저명한 정치가 장거정(張居正) 및 환관파를 위시한 중앙정부 측과 대립했다고 알려져 있다. 원래 이 동림학파는 오히려 동림당(東林黨)이라고 하는 편이 문헌적으로 볼 때 조금 더 정확한 명칭이다. 이들은 학문적으로는 주자학을 신봉하고 위충현 등 환관 일파와 대항하여 지역 지식인층 혹은 사대부 관료의 정통파 그룹을 대표하였다. 따라서 이들은 당시의 정치적 문란과 사회적 혼란을 시정하고자 하는 강한 정치적 색채도 띄었다. 동림학파는 양명학 좌파와는 유교 학술적인 입장에서 일정의 선을 긋고 있었다. 또 즙산학파의 유종주와도 개인적 친분관계는 두터웠지만, 학술과 정치적 견해에 있어서는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 논고에서는 동림학파와 즙산학파 유종주와의 학술적, 정치적 ‘관계성’에 관한 고찰을 가장 주요한 목적으로 하였다. 왜냐하면 명대 유교사상사의 내막 혹은 중국 명말청초기 학술문화의 전체상, 16~17세기 중국의 유교 학술공동체의 양상을 파악하고자 할 때는 유종주와 동림학파 학자들의 존재를 간과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이 논고에서는 중국 명대 말기의 동림학파와 즙산학파유종주의 사회정치적 관계성 및 학술적 교유의 양상, 동림학파의 유교사상적 경향과 정치적 입장 등등에 관하여 유교 학파의 관계성이라는 시각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Confucian Schools in the Late Ming Dynasty in China, such as Donglin School, Jishan School, and the Left Wing of Yangmingism had very close academic and political relationships. Generally, Donglin School strongly opposed fanatical Zen thought of Buddhism of the left wing of the Yangmingism ideologically and academically. In addition, it is known that politically, Ming Dynasty opposed to the central government side, such as a prominent politician, Zhang Juzheng and the Eunuch Party. Originally, calling this Donglin School rather Donglin Party is a more precise name from the literature view. They academically believed Zhuxiism and represented local intellectuals or the bureaucrats of the orthodox group of scholargentry class against the Eunuch Party like Wei Zhongxian. Thus, they had a strong political color to correct political disorder and social confusion of the times. Donglin School drew a line with the left wing of the Yangmingism in the Confucian academic position. In addition, they had a close personal acquaintance also with Liu Zongzhou of Jishan School but showed a little difference in academic and political opinions. Thus, this study primarily aimed to discuss academic and political ‘relationships’ between Donglin School and Liu Zongzhou of Jishan School. This is because the existence of Liu Zongzhou and scholars of Donglin School should not be ignored to underst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istory of Confucian thought in Ming Dynasty or the overview of academic culture in the late Ming Dynasty and the early Qing Dynasty in China, and the aspects of the Confucian academic community in the 16-17th century in China. In other word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lationships among Confucian Schools concerning the aspects of the socio-political relationship and academic friendship between Donglin School and Liu Zongzhou of Jishan School and the trend of Confucian thought and political position of the Donglin School during the Late Ming Dynasty in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