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오존노출 후 백서 기도점막의 형태학적 변화

        김병국,나기상,신시옥,Kim, Byung-Kook,Rha, Ki-Sang,Shin, See-Ok 대한기관식도과학회 2000 大韓氣管食道科學會誌 Vol.6 No.1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nasal, tracheal and main bronchial mucosa in rats exposed to 0, 0.3, 0.6, 0.9 and 1.2 ppm ozone for 7 days, 6 hours per day. Materials and Methods : We observed the nasal, tracheal and main bronchial mucosa in rats exposed to 0, 0.3, 0.6, 0.9 and 1.2 ppm ozone for 7days, 6hours per day with LM, SEM and TEM. Results : In light microscopy, influx of inflammatory cells, epithelial hyperplasia, loss of cilia and increased goblet cells were observed in all rats except those exposed to 0.3 ppm. these finding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ozone concentration,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nasal, tracheal and main bronchial mucosa in rats exposed to the same ozone concentration. I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 loss of cilia was observed in rats exposed to 0.3 ppm in some sections and 0.6 ppm and 1.2 ppm in all sections. I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vacuolization of epithelial cells was observed in rats exposed to 0.3 ppm in some sections and 0.6 ppm in all sec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is necessary to study morphology of airway mucosa in rats exposed to ozone below 0.3 ppm. And also the morphological changes in nasal septal epithelium may reflect those of tracheal and bronchial epithelium after high concentration ozone-exposure.

      • 진행된 두경부암에서의 항암방사선 동시요법의 치료효과

        이주연(Joo Yun Lee),이동욱(Dong Wook Lee),최영석(Young Seok Choi),진홍률(Hong Ryul Jin),이현석(Hyun Seok Lee),연제엽(Je Yeob Yeon),신시옥(See Ok Shin)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02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18 No.2

        Background: To achieve the efficacy and toxic effects of concomitant FP chemoradiotherapy regimen by means of response and survival in patients with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Patient and Method: Thirty-three previously untreated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Thirty-one patients were evaluable for the tumor response. Total response rate was 93%(complete response 60%, partial response 33%). Disease free survival was 37 month and 3-year overall survival was 63%. Grade 3 or 4 stomatitis was observed in 83% and appeared as the dose limiting toxicity for this regimen. Conclusion: Concomitant chemoradiotherapy with cisplastin and 5-fluorouracil is effective as primary therapy for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The majority of patients experienced severe stomatitis. Identification of less toxic regiment and improved disease control emerge as important future research goals.

      • 이성대상포진의 증상에 따른 안면신경마비의 정도와 예후

        신시옥,송창근,이동욱,최영석,진흥률,신정우,윤희석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1 忠北醫大學術誌 Vol.11 No.1

        연구목적: 이성대상포진에 동반되는 안면신경마비는 Bell's palsy와는 달리 예후가 더 나쁘고 그 마비가 완전히 회복되지 않는 경우가 더 많다.본 연구에서는 이성대상포진에서 발현되는 증상들의 유무가 치료 전 안면신경마비의 정도 및 치료 후 예후와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관찰하여 예후의 예측인자에 대해 분석하였다. 재료 및 방법: 지난 1992년 1월부터 1999년 6월까지 이성대상포진으로 진단받고 본원에 입원하여 고용량 부신피질호르몬제와 항바이러스제인 acyclovir의 병합투여로 동일한 치료를 받은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분석 및 고찰하였으며, 치료 전 안면마비의 정도와 치료 후 마비의 회복 정도를 이통, 이명, 난청, 현훈 등의 증상의 유무와 치료 시작 시기, 그리고 안면신경의 electroneuronography(ENoG) 값에 따라 비교하였다. 결과: 이성대상포진수포가 안면신경마비 보다 먼저 발현된 경우에 안면신경마비의 치료 전 grade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좋았다(p<0.05).이통, 청력손실, 그리고 현훈의 유무에 따른 안면신경마비의 정도는 상관관계가 없었고 예후에도 차이가 없었다.이명의 유무에 따른 치료 전 안면신경마비의 정도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치료 후 완전회복율은 이명이 있었던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3<0.05).완전회복군과 불완전회복군 사이의 치료 전 ENoG의 수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예후와 상관이 있었다(p=0.037<0.05). 결론: 좀더 많은 수의 환자를 연구에 포함하여 증상에 따른 예후의 차이를 연구하는 것이 필 요하며 또한 ENoG 값이 10%에서 40% 사이인 환자들의 치료 방법에 대한 고려와 이성대상포진수포가 안면신경마비보다 먼저 생긴 환자에서 치료 전 마비정도가 경미했던 이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Herpes zoster oticus generally has a poor prognosis, leaving many patients with permanent facial nerve dysfunction, compare to Bell's palsy.Acyclovir and prednisolone have been widely used for the treatment of herpes zoster oticus.This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the prognostic factors according to various symptoms. Materials and Methods : Clinical studies were retrospectively performed on 30 patients with herpes zoster oticus who were treated with acyclovir and prednisolone in th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1991 and 1999.The authors analyze the pre-treatment grade and prognosis of facial nerve palsy according to symptoms(the existence of otalgia, tinnitus, hearing loss, and vertigo), the treatment onset, and electroneuronography ( ENoG ). Results : Of thirty patients who have been diagnosed as herpes zoster oticu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treatment grade of facial nerve palsy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vesicle, otalgia, tinnitus, vertigo, and hearing loss.Of 25 patients who have facial nerve palsy, the recovery from the palsy is complete in 14 patients(56%).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treatment grade of facial nerve palsy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otalgia, tinnitus, vertigo, and hearing loss.The pre-treatment grade of facial palsy is better when the vesicles precede facial in the group with tinnitus than without tinnitus.A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prognosis according to the onset of treatment and other symptoms are not found.ENoG is better in the group that facial nerve palsy is completely recovered than incomplete recovery group. Conclusion : Reliable prognostic factor according to symptoms is not found, ENoG is the only prognostic factor.

      • KCI등재
      • KCI등재
      • 외이도에 발생한 악성종양의 치료 결과

        최영석, 신시옥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12 忠北醫大學術誌 Vol.22 No.1

        연구목적 : 외이도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의 임상적 특징 및 병기에 따른 치료효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6년부터 2005년까지 10년간 충북대학교병원에서 외이도 악성종양으로 진단 받고 치료 후 추적관찰이 된 11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령별, 성별 분포, 병기의 분류 및 병기에 따른 치 료 결과를 확인 하였다. 결과 : 총 11례의 환자 중 남자와 여자의 비는 9:2로 남자에게서 발병율이 월등히 높았으며 나이 분 표는 20대에서 80대까지 다양하게 분포되었고 50대에서 가장 호발 하였다. 병기에 따른 치료결과로는 수술적 치료가 우선 되었던 T1, T2의 경우 5년 생존율이 86%이었으며 방사선 치료가 주치료였던 T3, T4의 경우 5년 생존율이 50%이었다. 조직학적 특성으로는 편평상피암이 9례(82%)로 대부분이 었으며 선양낭성암종과 기저세포암이 각각 1례씩이었다. 결론 : 외이도의 악성종양은 T병기 별로 유의한 5년 생존율의 차이를 보이며 조기발견 및 암종의 침 습정도를 정확히 파악하고 수술시 절제변연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 중이 진주종상피에서 bcl-2의 발현 양상

        용만강,이창수,이주연,이동욱,신시옥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3 忠北醫大學術誌 Vol.13 No.1

        연구목적:중이 진주종의 조직학적 특징은 진주종 상피의 과증식과 비정상적인 과각질화 라고 요약되는데 이러한 현상은 진주종 상피를 형성하는 각질세포의 증식, 분화 및 세포 사 멸로 이루어진 세포주기의 항상성 변화로 기인한다. 본 연구는 세포 고사(apoptsis)에 억제작용(inhibition)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bcl-2가 중이 진주종에서 발현되는지 알아 보았다. 대상 및 방법:만성 진주종성 중이염으로 수술을 시행했던 환자 10 예에서 중이 진주종 상피를 얻어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여 중이 진주종 조직에서의 bcl-2의 발현을 관찰하였다. 결과:Western blot analysis 상 정상 피부 조직과는 달리 중이 진주종 조직에서는 10 예 모두에서 bcl-2가 발현되었다. 결론:이러한 결과는 bcl-2가 중이 진주종에서 과발현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Keratin debris의 축적은 각질세포 사멸현상의 증가에 의한 것으로 세포고사 억제 작용이 있는 bcl-2가 중이 진주종의 병인(pathogenesis)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The unique pathologic feature of cholesteatoma is known to be accumulation of keratin debris within the middle ear cavity resulting from hyperproliferation and hyperk-eratosis of keratinocyte in the cholesteatoma epithelium. This phenomenon is due to disturbance of the epithelial homeostasis in the cell cycl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fy the expression of bcl-2 in the cholesteatoma epithelium. Materials and methods:Ten fresh human cholesteatoma tissues and five postauricular skins were obtained from patients undergoing middle ear operations. Western blot analysis was performed for detection of bcl-2 expression on the tissues. Results:Western blot analysis revealed that bcl-2 protein was expressed in all of choesteatoma epithelium specimens, while barely expressed in postauricular skins samples. Conclusion:These findings show that bcl-2 was overexpressed in cholesteatoma epithe-lium. The author suggests that bcl-2 may play a role in pathogenesis of chronic otitis media with cholesteatom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