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OPUSKCI등재

        반응성 때려내기 방법에 의한 스피넬 형 ZnCo<sub>2</sub>O<sub>4</sub> 박막의 성장과 전기적 물성

        송인창,김현중,심재호,김효진,김도진,임영언,주웅길,Song, In-Chang,Kim, Hyun-Jung,Sim, Jae-Ho,Kim, Hyo-jin,Kim, Do-jin,Ihm, Young-Eon,Choo, Woong-Kil 한국재료학회 2003 한국재료학회지 Vol.13 No.8

        We report the synthesis of cubic spinel $ZnCo_2$$O_4$thin films and the tunability of the conduction type by control of the oxygen partial pressure ratio. Zinc cobalt oxide films were grown on$ SiO_2$(200 nm)/Si substrates by reactive magnetron sputtering method using Zn and Co metal targets in a mixed Ar/$O_2$atmosphere. We found from X-ray diffraction measurements that the crystal structure of the zinc cobalt oxide films grown under an oxygen-rich condition (the $O_2$/Ar partial pressure ratio of 9/1) changes from wurtzite-type $Zn_{1-x}$ $Co_{X}$O to spinel-type $ZnCo_2$$O_4$with the increase of the Co/Zn sputtering ratio,$ D_{co}$ $D_{zn}$ . We noted that the above structural change accompanied by the variation of the majority electrical conduction type from n-type (electrons) to p-type (holes). For a fixed $D_{co}$ $D_{zn}$ / of 2.0 yielding homogeneous spinel-type $_2$O$ZnCo_4$films, the type of the majority carriers also varied, depending on the$ O_2$/Ar partial pressure ratio: p-type for an $O_2$-rich and n-type for an Ar-rich atmosphere. The maximum electron and hole concentrations for the Zn $Co_2$ $O_4$films were found to be 1.37${\times}$10$^{20}$ c $m^{-3}$ and 2.41${\times}$10$^{20}$ c $m^{-3}$ , respectively, with a mobility of about 0.2 $\textrm{cm}^2$/Vs and a high conductivity of about 1.8 Ω/$cm^{-1}$ /.

      • KCI등재

        권사 공사상의 철학적 체계와 융화정신

        송인창 대한철학회 2004 哲學硏究 Vol.90 No.-

        이 글은 炭翁集과 조선왕조실록을 주자료로 하여17세기 조선의 禮學과 정치사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던 炭翁 權諰(1604-1672)의 公思想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그 의의를 규명하고 아울러 그 속에 내포되어 있는 融和精神을 밝혀내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公思想은 탄옹의 철학과 사상의 특징을 해명하는 지레점이 되는 핵심사상이다. 본고에서는 탄옹의 공사상을 仁義의 구현자로서의 인간과 公의 문제, 탄옹 公사상의 내용과 특성의 문제, 그리고 탄옹 公사상의 融和精神 등의 문제로 나누어 그 존재론적 해명을 시도하였다. 탄옹은 ‘公’으로 內․外를 일관하고 이를 통해 大義가 천하에 유감없이 밝혀지는 ‘保合大和’의 세상을 꿈꾸었으며, 그 속에서 사사로움이 없으며 따라서 過不及이 없는, 오직 公된 天理 자체로 돌아가는 삶을 긍정했고, 자아의 자율성에 바탕을 둔 생명의 자기확대를 강조하는 삶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탄옹 公사상의 특성은 正邪․善惡의 가치기준을 理와 氣, 義와 利로 양분하여 고착시키는 二分法的 사고를 지양하고 理一元論的 입장에서 ‘物我一體’를 주창한데 있고 또 그것을 통하여 대화와 협력을 바탕으로 대립자 상호간의 조화를 도모하고, 교감 상응하는 王天下를 구현하려고 한데서 찾아진다. 이렇게 볼 때 탄옹의 公은 私 또는 利와 배척적 관계에 있는 公의 의미가 아니라, 자기의 주관성과 진리의 보편성을 회통하여 인간 공동체 구성원 전체의 화합과 융화를 이루게하는 도덕의 근본 원리이자 당위규범의 마지막 지향처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탄옹의 철학은 主公의 철학이며, 융화정신의 구체적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融和精神이란 周易의 保合大和의 정신과 상통하는 개념으로서 회통과 조화를 추구하는 정신이며, 상생을 바탕으로 하여 상호 공존하고 번영케 하는 원리를 뜻한다. 이와 같은 공사상의 융화정신은 탄옹으로 하여금 출사하여 정치일선에 나아가기 보다는 조용히 서가에서 獨善其身하는 도학군자로서의 삶을 살게 했고, 그리고 그것은 무실적 학문태도와 ‘每事必求是’니 ‘民吾同胞’의 정신으로 집약되어 나타났다.

      • KCI등재
      • KCI등재

        炭翁 權시의 실학정신

        송인창 새한철학회 2000 哲學論叢 Vol.20 No.-

        17세기 조선의 유학자인 炭翁 권시(1604-1672)는 '求是'와 '主公'의 정신을 바탕으로, 公平無私함과 '每事求是'의 정신을 구현하여, 일생동안 公義를 밝히고 국가의 기강을 바로 세우고자 한 실학자였다. 본고는 이러한 탄옹사상의 실학적 특성을 다음과 같이 검토했다. 첫째, 탄옹 실학정신의 기반은 至公無私한 정신과 겸허한 구도자적 자세이다. 그는 이러한 정신으로 자신의 삶과 철학을 일치시키고 기존의 권위나 파당적 이익을 초월하여 충정을 다 바쳐 나라와 민중을 사랑했다. 둘째, 탄옹 실학정신의 내용은 每事求是정신과 務實的 학문태도, 그리고 公平無私정신이었다. 셋째, 탄옹 실학정신의 현실대응은 '爲民'의 王道政治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상에서 탄옹의 每事求是정신과 主公精神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정신은 인간의 품위와 도덕성을 높이고 實心으로 實事에 노력하는 務實精神의 실질적 내용이었다. 이러한 탄옹의 실학정신은 조선후기의 空理空談과 繁文縟禮의 말폐를 시정하고 개선해 나가려는 실학정신의 연원과 맥을 같이 하는 것이다. Kwon-si(1604-1672), a confucianist of Chosun Dynasty, was a practical scientist who conceived the idea of public righteousness and tried to tighten official discipline throughout his life. This manuscript is given careful consideration to the distinctive features of his philosophy. Firstly the basis of his idea was his humble attitude towards shilhak spiht his life was in accord with his philosophy consequently, his loved country and it's people with his true and deepest heart, giving no thought of existing authority and factional benefit. Secondly, his shilhak spirit consisted of seeking truth, pratical attitude towards leaming and impartiality without personal desire. In the third place, he tried to realize justice for the benefit of people in governing the country. The facts mentioned above are his philosophy of seeking righteousness and being public. The shilhak spirit of Kwon si takes the same root as that of the latter part of Chosun Dynasty, which tried to improve rules by abolishing useless and troublesome on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退溪 理發說의 易學的 理解

        송인창 새한철학회 2001 哲學論叢 Vol.26 No.4

        本 論文의 主要內容은 退溪의 易學思想을 退溪의 哲學과 關係시켜 退溪 易學思想의 基盤, 退溪 易學思想의 內容과 特性, 退溪 易學思想의 現實的 具現 等의 問題이다. 1) 退溪 易學思想은 『周易』을 占筮의 冊으로 認識하고 그 바탕 위에서 義理易과 象數易을 綜合한 朱子의 解釋에 基盤하였다. 그 核心은 河圖洛書와 先後天易을 自身의 易學體系 안에서 統合하여 易道를 밝히고 天下萬物의 所以然 法則과 當然法則인 理를 宇主萬物의 本源이자 總則으로 보는 易學의 哲學體系의 竪立이다. 2) 退溪는 朱子 易學을 바탕으로 하였지만, '體用一源'의 論理로서 河圖와 洛書를 分析하고 '理發說'의 哲學體系를 定立하였다. 이와 같은 易學적 立場은 朱子와의 差異를 分明하게 方向지었고, 또 그 差異에 의해 哲學的 內容이나 性格을 보다 뚜렷이 浮刻시키는 틀을 마련하였다. 理優位論的 理氣二元論에 바탕을 두고 理를 '自發ㆍ自動ㆍ自到ㆍ能生ㆍ先動'하는 活物로 規定하는 哲學體系가 바로 그것이다. 그리하여 退溪는 用보다는 體를 爲主로 하여 體用關係를 論했고 또 理의 絶對性과 理의 能動性을 强調하는 尊理哲學을 竪立하였다. 3) 退溪의 現實認識 乃至 具現은 그의 尊理哲學을 社會 現實에 適用ㆍ發展시킨 것이다. 다시 말해서 退溪의 理尊氣賤 思想이라던가 '理發而氣隨之'는 當時의 거듭되는 黨爭과 士禍 속에서 社會的 不條理와 非本來的 狀況이 極盛을 부리던 混亂된 現實과 時代的 狀況에 대한 應答의 結果였다. 이로서 退溪는 '能發能生'하는 命物者ㆍ主宰者로서의 理에 合致되고 따르는 現實을 自身의 참된 現實로 認定하였다. 退溪에 있어서 참된 現實이란 人爲的 慾望에 의해서 造作되거나 屈折됨이 없는 天理ㆍ道心으로서의 原理的 世界였고, 人間 삶의 本源性이며 絶對的 標準이 되는 理가 私事로운 人慾을 克復하고 스스로 自己 모습을 온전히 드러내는 道德的ㆍ倫理的 價値의 世界였다. 때문에 理의 참다운 意味를 現實的으로 具現할 수 있는 人間의 內面的 道德性과 理의 絶對性을 드러내는 實踐 行爲를 强調하였다. 讀薦次車的ま要的容是,基于塗個邊溪的哲學吏上基禮上,繼業提溪易學思想的基盤,內容,特默,以凍其在寶際上的活用. 其一,邊溪易學思想首先泥┌周易┘認爲占ト書,在這種法的基礎上, 他根基子融合義理易同象數易在一起的朱予約解釋. 該思想的特點在于把河圖洛書同先後天易融合在自己的易學系統內, 以便關明易道, 終于竪立了一系列把天下萬物的必然規範同當然規範以爲宇宙萬物的本原及總則的理學哲學系統. 其二, 臺管退溪基礎于朱子易學, 他却借助于'體用一漂'的邏輯剖析河圖及洛書, 而奠定了所謂'理發說'哲學系統. 如上所說的理學的看注, 不但明顯的突出他?朱子思想之間的差別, 幷且依据其差別就型造了他本身的哲學的內容及特點的筐架.那特點就不外是, 站在理優位論的理氣二元論, 把'理'界定爲'自發ㆍ自動ㆍ自到ㆍ能生ㆍ先動'的活物的槪念以建騎哲學系統. 進而, 提溪不以'用'就以'體'爲中心談到體用之間的端關, 而且堅立一種以强調理的絶對注及主動注爲內容的尊理哲學. 其三, 退溪的現實認識及其獲得實現, 就是用把自己的尊理哲學來對社會現實適用ㆍ發展的結果. 換言之, 退溪的理尊氣賤思想, 戒者'理發而氣隨之'是, 針對在當代繼續不斷黨爭同士禍, 以及漫然不條理的混亂時代情況的批刻的産物. 證樣一來, 浪溪承認只有符合于'能發能生'的命物者ㆍ主宰者的理的現實, 才承認眞實的現寶. 對退溪來設, 眞實的現實不是爲人爲的慾望折塑造, 戒者歪曲的世界, 而是原理的天理ㆍ道心世界及人的生活的本源性, 以'理'爲標準的所詣私想被克復了的, 自在的道德的倫理的價値世界. 所以, 他畢亮强調使人能구體現眞寶的'理'的意義的內面的浪德性及'理'的絶對性的責踐動作.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