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한 개의 공동이 있는 활동성폐결핵 환자에서 객담도말검사 결과에 따른 흉부CT 소견의 차이

        송인섭 ( In Sup Song ),이화연 ( Hwa Yeon Lee ),유승민 ( Seung Min Yoo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7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2 No.6

        배경: 한 개의 공동이 있는 활동성 폐결핵환자에서 객담도말검사 결과와 관련된 흉부CT 소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흉부CT에서 한 개의 공동이 있는 32명의 활동성 폐결핵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객담도말검사의 결과에 따라 객담도말검사 양성(n=19)과 음성(n=13)인 두 군으로 나누었다. 흉부CT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흉부CT 소견은 공동의 크기, 공동 벽의 모양, 공동 벽의 최대 두께, 그리고 동반된 소견들을 분석하였다. 공동의 크기는 최대직경으로 하였다. 동반된 소견은 간유리음영, 폐경결 미세결절과 결절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각 소견의 유무와 소견이 보이는 폐엽의 수를 기록하였다. 두 군 간에 흉부CT 소 대한 폐경결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그리고 음성예측도는 각각 89.5%, 69.2%, 73.9%, 81.8% 이었다. 결론: 한 개의 공동이 있는 활동성폐결핵환자의 흉부CT에서 폐경결이 없으면 객담도말검사 음성과 관련이 있고 2개 이상의 폐엽에 폐경결이 있는 경우는 양성과 관련이 있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in CT findings according to sputum smear-positive or -negative results in patients with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having a single cavity. Methods: A total of 32 patients with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having a single cavity on CT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smear-positive (n=19) and smear-negative (n=13). The CT finding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presence of consolidation, the number of lobes showing consolidation, ground-glass opacity, micronodules and nodule, the maximum diameter of the cavity, and the shape and maximum thickness of the cavity wall were assessed. Result: The maximum diameter of the cavity was 33.84 ± 13.65 mm and 27.08 ± 9.04 mm in the smear-positive and -negative groups, respectively (p>0.05). The amount of consolidation and the number of lobes with consolidation were found to be 89.5% and 30.8% (p=0.01) and 1.37 ± 0.90 and 0.31 ± 0.48 (p=0.0002) in the smear-positive and -negative groups, respectively. Consolidations in two or more lobes were only noted in 31.6% of in the sputum smear- positive group (p< 0.05). There were no other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for the presence of consolidation were 89.5%, 69.2%, 73.9%, and 81.8%, respectively. Conclusion: While the absence of consolidation on CT may be associated with sputum smear-negative results in patients with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having a single cavity, the presence of consolidation in two or more lobes on CT may be associated with spear-positive results in these patients. (Tuberc Respir Dis 2007; 62: 479-485)

      • KCI등재

        성격의 위계 구조 모형 연구

        송인섭(In-Sup Song),이희현(Hee-Hyun Lee),김희정(Hee-Jung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06 교육평가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성격척도의 개발 과정에서 측정도구를 통해 얻은 자료들이 구인의 이론적 구조모형에 적합한지를 검증함으로써 구인을 타당화하는 것이다. 예비검사와 본검사를 통해 활동성, 사교성, 주도성, 호감성, 성실성, 안정성, 개방성을 포함하는 총 138문항이 추출되었으며, 이를 전국의 대도시, 중소도시, 소도시에서 무선적으로 표집된 초등학생 2,165명을 대상으로 양호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인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추론된 잠재변인인 성격의 일반요인과 7개의 성격특성(활동성, 사교성, 주도성, 호감성, 성실성, 안정성, 개방성)으로 구성된 위계모형이 가장 적합한 모형임을 확인 하였다. 성격의 이론적 구조 중 다양한 하위 성격 특성들을 포함하고 상위의 추론된 잠재변인으로서의 일반 성격요인을 포함하는 위계적 모형이 가장 적합함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an Personality Scale for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test construct validation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Examination of the item descriptive statistic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ed in the 138-item final scale consist of activityㆍgregariousnessㆍleadershipㆍagreeablenessㆍconscientiousnessㆍstabilityㆍopenness subscale. Data from 2,165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analysed to confirm the hierarchical structure. The result supported the model has general personality as latent factor and lower order factors as activityㆍ gregariousnessㆍleadershipㆍagreeablenessㆍconscientiousnessㆍstabilityㆍopenness factors. Also, It was discuss that probability to the general personality factor and hierarchical structure of personality.

      • KCI등재

        자아개념검사의 구인타당화 연구

        송인섭(In-Sup Song),이희현(Hee-Hyun Lee) 한국교육평가학회 2005 교육평가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송인섭(1982)의 3차원 위계적 구조모형을 근거로 자아개념 척도를 개발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반 자아개념, 학급 자아개념, 능력 자아개념, 성취 자아개념, 가족 자아개념, 사회 자아개념, 정서 자아개념, 신체 자아개념의 각 하위요인에 해당하는 문항을 제작하였다. 예비검사와 본검사를 통해 총 68문항이 추출되었고 이에 대해 중·고등학생 2,757명을 대상으로 양호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인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삼차 요인인 일반자아개념, 이차 요인인 학문·중요타인·정의 자아개념, 일차 요인인 학급 자아개념, 능력 자아개념, 성취 자아개념, 가족 자아개념, 사회 자아개념, 정서 자아개념, 신체 자아개념으로 구성된 3차원 위계모형을 확인하였다. 자아개념의 평면모형보다는 위계모형이 지지되었으며, 잠재변인으로서의 일반 자아개념의 개념화와 4차원 위계모형에 대한 가능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e preaent study is to develop an Self-concept Scale for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o test construct validation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third-order hierarchical structure model proposed by Song(1982). Examination of the item descriptive statistic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ed in the 68-item final scale consist of general·classroom·ability·achievement·social·family·emotional·phisical self-concept subscales. Data from 2,75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sed to confirm the third-order hierarchical structure. The result supported the model has general self-concept at the apex and academic·significant others·affective self-concept as second-order factors. Academic self-concept can be further divided into classroom·ability·achievement self-concept and significant others can be further divided into social·family self-concept and affective self-concept can be further divided into emotional·phisical self-concept. Also, It was discuss that the probability to the fourth-order hierachical structure of Self-concept.

      • KCI등재

        중·고등 학생용 성격검사 개발 및 타당화

        정미경(Mi Kyung Chung),송인섭(In Sup Song),김희정(Hee Jung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2 敎育心理硏究 Vol.26 No.3

        이 연구는 중·고등학생의 성격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고등학생 154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였고, 1,160명을 대상으로 본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격이란 활동성, 사교성, 주도성, 호감성, 성실성, 안정성, 개방성의 이론적 구성 요인들의 유기적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구인임이 확인되었다. 둘째, 선정된 최종 문항의 내적 합치도는 7개 하위영역이 .643∼825의 범위로 나타나 신뢰로운 검사임이 확인되었다. 셋째, 성격검사의 요인분석 결과 모든 문항이 원래의 문항에 부합되었으며, 각 하위 요인별 문항들의 요인부하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이는 각 요인이 문항들을 설명해 주는 공통분이 양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설정된 다양한 하위 성격 특성들을 포함하고 상위의 추론된 잠재변인으로서의 일반 성격요인을 포함하는 위계구조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standardized test tool to measu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ersonality objectively and make it valid. For these, I conducted preliminary examination on 154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main examination on 1,160 students. As results, firstly, it was found that personality is formed in the organic relationship of theoretical elements including activeness, sociability, leadership, attractiveness, sincerity, stability, and openness. Secondly, Cronbach α figures as internal consistency of selected final items was in the range of .643∼825 which shows item internal consistency. Thirdly, factor loading of items in each sub factor was relatively high. This means that each factor has fine commonness of explaining items. Fourthly, model setup based on theoretical discussion the appropriateness of structure model which includes general personality factor as inferred potential variable in the higher rank is found out to be satisfactory. Based on these results,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and suggestion for further researches are discussed.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교사-학생관계, 학습동기 변인, 학습몰입 간의 관계 모형 검증

        김희정(Hee Jung Kim),송인섭(In Sup So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3 敎育心理硏究 Vol.27 No.2

        몰입은 인간의 심리현상을 설명하는 구인으로 주로 학습동기들과의 관계에 초점을 맞춰 연구하였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타인이 배제된 개인적 맥락에서 몰입을 설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동기뿐만 아니라 관계적 맥락에서 학습몰입의 의미를 찾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습자의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 외적 요인들 간의 관계를 이론적. 경험적 틀을 기초로 하여 구조적 관계모형을 설정하고,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하여 변인들간의 관계를 명확하게 규명하고자 한다. 분 연구는 서울, 경기도, 충북, 경북 소재의 중 고등학생 867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이 지각한 교사- 학생관계는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몰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성취목표지향성,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동기를 매개로 학습몰입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취목표지향은 학습몰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자기결정성동기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결정성 동기는 각각 학습몰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set theoretical model which is describing structural connections between teacher-student relations affecting learning flow of junior high and senior high students and learning motive variabl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to definitely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 among variable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earch was performed against total 867 students of male 260, female 106 i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male 231, female 270 in senior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Gyonggi-do, Chungbuk, Gyeongbuk. The results of the study in such a procedure are as follows. The teacher-student relation recognized by students affecti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learning flow and indirectly affecting learning flow as carried by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cademic self-efficacy.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as not directly affecting learning flow but indirectly affecting as carried by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Also,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was directly affecting learning flow.

      • 발레리나에서의 긴엄지굽힘건증의 자기공명영상 소견

        송인섭,양성준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연구소 2001 中央醫大誌 Vol.26 No.2

        Fiexor hallucis longus(FHL)tendinosis has been frequently found at medial malleoius level in ballet dancers, who use big toe frequ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frequency and the MR findings of the FHL tendinosis in young ballet dancers. MR scans were performed in both ankles in 15 female ballet dancers who were 18 to 30 years old(mean, 23.5 years). We tried to see the continuity of FHL tendon and intratendinous signal at the level of medial malleolus. Correlation of MR findings and past history, symptoms, and physical findings was done. Findings of tendinosis were seen in seven tendons(23.3%). Three tendons(10%) show focal thickening, two tendons show increased intratendinous signal intensity with focal thickening. One tendon(3.3%)shows increased intratendinous signal intensity only. Another one tendon(3.3%)shows some fluid collection around the tendon with focal tendon thickening. The average practicing year of dancers with FHL tendinosis was 11 years, while the average practicing year of dancers with FHL tendinosis was 8 years. There may be a relationship between the duration of practicing year of ballet dancers and FHL tendinosis. The MR findings are as follows; focal thickening of tendon, increased signal intensity in T1 weighted axial image.

      • KCI등재
      • KCI등재

        후방십자인대 손상에서 자기공명영상 소견 : 자연 치유력 Can the PCL heal?

        강인규,정영복,태석기,양동렬,한정남,송인섭 대한슬관절학회 2000 대한슬관절학회지 Vol.12 No.2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continiuty of ligament in chronic injury of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PCL). Materials and Methods :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of twenty-six PCL injury patients with grade II or III laxity and more than 5mm side to side difference on stress radiographs were reviewed in terms of ligamentous continuity and thickness of the ligament at average 7.2 months(range:1-36) after injury. Resalts: Eighteen PCLs(69%) showed continuity of PCL. When thickness of the ligament in cases without continuity was rated as zero,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PCLs as compared to intact portion of the ligament increased as the time from injury elapsed; 16.4% in 0∼2 months group(7 cases), 30.0% in 3-5 months group(6 cases), 53.8% in 6-8 months group(9 cases) and 80.0% in over 9 months group(4 cases). Conclusion: More than two thirds of PCLs in symptomatic chronic injury showed ligamentous continuity on MRI. The longer the interval from injury was, the thicker the PCL w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