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BA와 $GA_3$가 유묘기(幼苗期)의 벼(Oryza sativa L.) 생육(生育)에 미친 생화학적(生化學的) 영향(影響)

        손태권,이상철,김길웅,Shon, Tae Kwon,Lee, Sang Chul,Kim, Kil Ung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1993 慶北大農學誌 Vol.11 No.-

        식물생장조정제(植物生長調整濟) ABA 및 $GA_3$의 처리(處理)가 벼유묘(幼苗)에 미치는 생화학적(生化學的) 영향(影響)을 동진(東津)벼와 삼강(三綱)벼를 이용(利用)하여 조사(祖師)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GA_3$ 처리(處理)는 벼 유묘(幼苗)의 초장(草長)을 증가(增加)시키는데 반(反)하여 ABA 처리(處理)는 감소(減少)시키는 효과(效果)가 인정(認定)되었으며, 근장(根長)의 경우(境遇)에도 $GA_3$처리(處理)는 대조구(對照區)와 큰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ABA 처리(處理)는 크게 억제(抑制)되었다. 2. 당(糖)의 함량(含量)은 $GA_3$ 농도(濃度)가 높아질수록 증가(增加)한 반면(反面) 전분(澱粉)의 함량(含量)은 감소(減少)하였고, ABA 처리구(處理區)에서는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할수록 당(糖)의 함량(含量)이 감소(減少)하였으며 전분(澱粉)의 함량(含量)은 다소 증가(增加)하였다. 3. 엽록소(葉綠素)의 함량(含量)은 $GA_3$의 모든 처리구(處理品)에서 품종(品種)에 관계(關係)없이 낮게 나타났으며 근활력(根活力)은 대체로 $GA_3$처리(處理)에 의(衣)하여 낮아지는 경향(傾向)을 보였으나 삼강(三綱)벼의 경우(境遇) 거의 영향(影響)을 받지 않았다. 4. 지방산(脂肪酸)의 조성(造成)은 palmitic산(酸), oleic산(酸), linoleic산(酸)이 총지방산(總脂肪酸)의 90% 이상(以上)을 차지하였으며 linolenic산(酸)과 stearic산(酸) 등(等)도 미량(微量)으로 검출(檢出)되었고, 이들 지방산(脂肪酸)의 함량(含量)은 ABA 처리(處理)에 의(衣)해 감소(減少)한 반면(反面)에 $GA_3$ 처리(處理)에 의(衣)해서는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5. $GA_3$와 ABA를 처리(處理)한 벼 유묘(幼苗)의 단백질(蛋白質) 패턴은 ABA의 처리(處理)에서 24 kD 정도(程度)의 상(上)에서 단백질(蛋白質) 밴드가 나타났으나 $GA_3$처리구(處理品)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The biochemical effects of ABA and $GA_3$ on rice seedling stages were investigated from two rice cultivars, Dongjinbyeo and Samgangbyeo. Some of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The shoot growth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all concentrations of $GA_3$ compared to the control but it was completely inhibited by ABA. The root length was not affected by all concentrations of $GA_3$ except for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10^{-3}M$. ABA had an inhibitary effect on root growth and showed similar trend to the shoot growth. B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GA_3$, sugar content of rice seedlings was increased and starch content was decreased. On the contrary, the treatment of ABA revealed that sugar content was decreasing with higher level of starch content. Chlorophyll content was greatly reduced at the all concentrations of $GA_3$ in both cultivars tested. Generally, the responses of root activity decreased with treatment of $GA_3$ but no difference in the activity was observed in Samgangbyeo. Major fatty acids of rice seedlings were investigated as palmitic, oleic, and linoleic acid with little contents of linolenic acid and stearic acid. The contents of these fatty acids were decreased with ABA and increased with $GA_3$ treatment, respectively. A protein band of 24 kD in the electrophoresis was observed with ABA treated rice seedlings but not with $GA_3$.

      • ABA와 가 유묘기(幼苗期)의 벼(Oryza sativa L.) 생육(生育)에 미친 생화학적(生化學的) 영향(影響)

        손태권,이상철,김길웅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1993 慶北大農學誌 Vol.11 No.-

        식물생장조정제(植物生長調整濟) ABA 및 의 처리(處理)가 벼유묘(幼苗)에 미치는 생화학적(生化學的) 영향(影響)을 동진(東津)벼와 삼강(三綱)벼를 이용(利用)하여 조사(祖師)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처리(處理)는 벼 유묘(幼苗)의 초장(草長)을 증가(增加)시키는데 반(反)하여 ABA 처리(處理)는 감소(減少)시키는 효과(效果)가 인정(認定)되었으며, 근장(根長)의 경우(境遇)에도 처리(處理)는 대조구(對照區)와 큰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ABA 처리(處理)는 크게 억제(抑制)되었다. 2. 당(糖)의 함량(含量)은 농도(濃度)가 높아질수록 증가(增加)한 반면(反面) 전분(澱粉)의 함량(含量)은 감소(減少)하였고, ABA 처리구(處理區)에서는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할수록 당(糖)의 함량(含量)이 감소(減少)하였으며 전분(澱粉)의 함량(含量)은 다소 증가(增加)하였다. 3. 엽록소(葉綠素)의 함량(含量)은 의 모든 처리구(處理品)에서 품종(品種)에 관계(關係)없이 낮게 나타났으며 근활력(根活力)은 대체로 처리(處理)에 의(衣)하여 낮아지는 경향(傾向)을 보였으나 삼강(三綱)벼의 경우(境遇) 거의 영향(影響)을 받지 않았다. 4. 지방산(脂肪酸)의 조성(造成)은 palmitic산(酸), oleic산(酸), linoleic산(酸)이 총지방산(總脂肪酸)의 90% 이상(以上)을 차지하였으며 linolenic산(酸)과 stearic산(酸) 등(等)도 미량(微量)으로 검출(檢出)되었고, 이들 지방산(脂肪酸)의 함량(含量)은 ABA 처리(處理)에 의(衣)해 감소(減少)한 반면(反面)에 처리(處理)에 의(衣)해서는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5. 와 ABA를 처리(處理)한 벼 유묘(幼苗)의 단백질(蛋白質) 패턴은 ABA의 처리(處理)에서 24 kD 정도(程度)의 상(上)에서 단백질(蛋白質) 밴드가 나타났으나 처리구(處理品)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The biochemical effects of ABA and on rice seedling stages were investigated from two rice cultivars, Dongjinbyeo and Samgangbyeo. Some of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 The shoot growth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all concentrations of compared to the control but it was completely inhibited by ABA. The root length was not affected by all concentrations of except for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 ABA had an inhibitary effect on root growth and showed similar trend to the shoot growth. B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 sugar content of rice seedlings was increased and starch content was decreased. On the contrary, the treatment of ABA revealed that sugar content was decreasing with higher level of starch content. Chlorophyll content was greatly reduced at the all concentrations of in both cultivars tested. Generally, the responses of root activity decreased with treatment of but no difference in the activity was observed in Samgangbyeo. Major fatty acids of rice seedlings were investigated as palmitic, oleic, and linoleic acid with little contents of linolenic acid and stearic acid. The contents of these fatty acids were decreased with ABA and increased with treatment, respectively. A protein band of 24 kD in the electrophoresis was observed with ABA treated rice seedlings but not with .

      • KCI등재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초등수학교육 연구 동향 분석

        손태권,황성환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는 국내 초등수학교육 연구가 어떠한 방향으로 수행되어 왔는지 체계적으 로 살펴보고자, 2001년부터 2020년까지 KCI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1,377편의 초등 수학교육 관련 논문을 토픽 모델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시기별로 공통 키워 드들이 출현하여 일관된 연구 흐름을 보였으며, 빈도순으로 최상위 키워드는 ‘문 제’, ‘교과서’, ‘교육과정’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수학교육은 수학적 내용 (분수, 통계교육, 수와 연산, 도형), 수학적 과정(문제해결, 추론), 교과서 및 교육과 정(교과서 분석, 교육과정 분석), 교사 및 교수(교수 관행, 예비교사 교육), 학생 특 성 및 오개념(영재교육, 오개념, 학생의 인지적ㆍ정의적 요인), 평가 및 효과성 검증 (평가, 효과성 검증 연구)의 6개 범주의 15개 토픽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 중 통 계적으로 연구 비중이 증가한 토픽은 ‘통계교육’, ‘교과서 분석’, ‘교육과정 분석’으로 나타났으며, 연구 비중이 감소한 토픽은 ‘문제해결’과 ‘효과성 검증 연구’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국내 초등수학교육의 발전 방향과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We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domestic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by examining 1,377 articles published in KCI journals with the topic modeling method.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x broad areas and 15 topics which consisted of mathematical content(fraction, statistics education, number and operation, geometry), mathematical process(problem-solving, reasoning), textbook and curriculum(textbook analysis, curriculum analysis), teacher and teaching(teaching practic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misunderstanding(gifted education, misunderstanding,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factors), assessment and effectiveness(assessment, effectiveness validation research). In addition, research on statistics education, textbook analysis, curriculum analysis was increased over time, whereas research on problem-solving, effectiveness validation research was decreased over time. We discusse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studies for the development of domestics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예비교사와 경력교사의 수학 수업지도안에 대한 시선 차이 분석

        손태권,이광호 한국수학교육학회 2020 初等 數學敎育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ocess of reading and understanding mathematics lesson plan through eye-tracking to suggest implications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e-service teachers felt that the mathematics lesson plans were more difficult than the experienced teacher, they read and understood the mathematics lesson plan in sequential order. Experienced teachers, on the other hand, used a hypertext reading strategy to find key topics and make connections in order to grasp the flow of instruction in mathematics lesson plan.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suggestions were drawn for pre-service teachers when teaching their ability to read and understand mathematics lesson plan.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와 경력교사가 수학 수업지도안을 읽고 이해하는 과정을 시선 추적(Eye-tracking)을 통해분석하였다. 두 그룹의 시선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예비교사들은 수학 수업지도안을 경력교사에 비해 어렵게 느끼고 있었으며 선조적인 방식으로 수학 수업지도안을 읽고 이해하였다. 반면, 경력교사들은 수학 수업지도안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핵심 주제어들을 찾아 연결성을 만들어가는 하이퍼텍스트 읽기 전략을 활용하였으며 수학 수업모형의 핵심 영역을 방문하는 시간이 유의미하게 길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들이 수학 수업지도안을 읽고 이해하는 역량을 지도할 때 숙고해야할 여러시사점들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사과에 있어서 자가불화합 제어제 처리 효과

        손태권,정일경 韓國作物學會 2006 한국작물학회지 Vol.51 No.1S

        사과 재배시 대두되고 있는 수정 불량 및 안정된 수정을 통한 품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자가불화합성 제어제(상품명 : 애플플러스)를 이용한 SSR 유전 분석을 통한 자가수정 향상 정도 및 촉진 효과,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1. 후지 품종에 있어서 중심화 결실율은 자연방임시 무처리의 경우 2004년 0.5%, 2005년 3.0%인데 비하여 자가불화합성 제어제 처리의 경우 2004년 17.2%, 2005년 44.4%로 높게 나타났다. 2. 망을 씌워 자가불화합성 제어제를 처리한 실험구에서도 무처리구에서는 2004년 0.4%, 2005년 0.7%, 처리구에서는 2004년 3.3%, 2005년 5.2%의 결실율을 보여 처리구가 7.4~8.3 배정도 결실율이 높게 나타났다. 3. 망을 씌워 자가불화합성 제어제 처리한 실험구와 무처리구를 비교하면 L/D, 경도에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며, 종자수에서는 무처리구 0.9개, IS-1 처리구 1.2개, IS-2 처리구 1.2개, IS-3 처리구 1.5개, IS-4 처리구 0.7개로 나타나 약제 종류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4. SSR 유전자 분석에 의한 후지 품종 종자의 자가수분 정도는 무처리구에서 0%, IS-1 처리구 100%, IS-2 처리구 73%, IS-3 처리구 88%, IS-4 처리구 62%로 나타나 IS-1의 약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self-incompatibility control substance 'Apple plus' in improving self-fertilization and quality on apple. Results showed that the rate of fruit setting of disc florets of Fuji apple in the open field increased from 17.2% in 2004 to 44.4% in 2005 for the treated plots and from 0.5% in 2004 to 3.0% in 2005 for the control. In the case of using net covering, the rate of fruit setting increased from 3.3% in 2004 to 5.2% in 2005 for the treated plots and from 0.4% in 2004 to 0.1% in 2005 for the control. For the quality of apple fruits,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fruit L/D and firmness for both control and treated plots. However, the number of seeds was affected by the different substances which produced the following average number of seeds: control, 0.9; IS-1, 1.2; IS-2, 1.2; IS-3, 1.5 and IS-4, 0.7. The SSR genetic analysis showed that the rate of self-fertilization was highest for IS-1 (100%), followed by IS-2 (73%), IS-3 (68%), IS-4 (62%) and control (0%).

      • KCI등재

        사과에 있어서 자가불화합 제어제 처리 효과

        손태권,정일경,Son, Tae-Kwon,Chung, Il-Kyung 한국작물학회 2006 한국작물학회지 Vol.51 No.suppl1

        사과 재배시 대두되고 있는 수정 불량 및 안정된 수정을 통한 품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자가불화합성 제어제(상품명 : 애플플러스)를 이용한 SSR 유전 분석을 통한 자가수정 향상 정도 및 촉진 효과,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1. 후지 품종에 있어서 중심화 결실율은 자연방임시 무처리의 경우 2004년 0.5%, 2005년 3.0%인데 비하여 자가불화합성 제어제 처리의 경우 2004년 17.2%, 2005년 44.4%로 높게 나타났다. 2. 망을 씌워 자가불화합성 제어제를 처리한 실험구에서도 무처리구에서는 2004년 0.4%, 2005년 0.7%, 처리구에서는 2004년 3.3%, 2005년 5.2%의 결실율을 보여 처리구가 $7.4{\sim}8.3$배정도 결실율이 높게 나타났다. 3. 망을 씌워 자가불화합성 제어제 처리한 실험구와 무처리구를 비교하면 L/D, 경도에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며, 종자수에서는 무처리구 0.9개, IS-1 처리구 1.2개, IS-2 처리구 1.2개, IS-3 처리구 1.5개, IS-4 처리구 0.7개로 나타나 약제 종류에 따라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4. SSR 유전자 분석에 의한 후지 품종 종자의 자가수분 정도는 무처리구에서 0%, IS-1 처리구 100%, IS-2 처리구 73%, IS-3 처리구 88%, IS-4 처리구 62%로 나타나 IS-1의 약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self-incompatibility control substance 'Apple plus' in improving self-fertilization and quality on apple. Results showed that the rate of fruit setting of disc florets of Fuji apple in the open field increased from 17.2% in 2004 to 44.4% in 2005 for the treated plots and from 0.5% in 2004 to 3.0% in 2005 for the control. In the case of using net covering, the rate of fruit setting increased from 3.3% in 2004 to 5.2% in 2005 for the treated plots and from 0.4% in 2004 to 0.1% in 2005 for the control. For the quality of apple fruits,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fruit L/D and firmness for both control and treated plots. However, the number of seeds was affected by the different substances which produced the following average number of seeds: control, 0.9; IS-1, 1.2; IS-2, 1.2; IS-3, 1.5 and IS-4, 0.7. The SSR genetic analysis showed that the rate of self-fertilization was highest for IS-1 (100%), followed by IS-2 (73%), IS-3 (68%), IS-4 (62%) and control (0%).

      • KCI등재

        Effect of Self-Incompatibility Control Substance and Blossom Thinners on Fruit Set and Quality of ‘Fuji’ Apple (Malus domestica)

        손태권,정일경 한국원예학회 2009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Vol.50 No.5

        The effects of blossom thinners applied after self-incompatibility control substance (SICS) treatment on fruit set and quality of ‘Fuji’ apple were investigated. Four blossom thinners [trisodium phosphate dodecahydrate (SP, Na3PO4・12H2O), sodium sulfate (SS, Na2SO4), calcium acetate [CA, Ca(CH2-COO)2], and calcium nitrate [CN, Ca(NO2)2] were tested when applied 4 days after SICS treatment at 10 or 20 mg・L-1. CN and SS were re-evaluated when applied at 10 or 20 mg・L-1, once (3 or 4 days after SICS treatment) or twice (3 and 5 days or 4 and 6 days after SICS treatment). Thinning efficacies of CN and SS were compared with that of a Japanese blossom thinner Ekoruki (52 and 123 mg・L-1 Ca and Na, respectively). In all experiments, untreated control was included, receiving SICS treatment 4 days before full bloom. CN and SS were more effective in double applications: first at 3 days after SICS and 1 day before full bloom, and second at 5 days after SICS and 1 day after full bloom. CN had approximately 50% higher thinning efficacy than SS, especially in double applications (3 and 5 days after SICS treatment) at 20 mg・L-1. At 10 mg・L-1, only SS in double applications (3 and 5 days after SICS treatment) had higher thinning efficacy than Ekoruki. SICS improved fruit set, but blossom thinners reduced fruit set compared with SICS only.

      • KCI등재

        가상조작 도구를 활용한 RME기반 수학학습이 초등학생의 공간감각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손태권,류성림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6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0 No.4

        This study analyzed the 2009 revised curriculum 6th grade math geometric domain and developed virtual operation tool contents based RME theory. These materials were examine to find out how to effect on the spatial sense and mathematical attitudes by applying it to teach the 6th grade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is more effective for improving spatial sense to study mathematics based RME theory with virtual operation tool contents than normal one. This means that mathematics study based RME theory with virtual operation contents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flat learning environment. And it is great educational and effective method for students to improve their spatial sense. Second, it is more effective for improving mathematical attitudes to study mathematics based RME theory with virtual operation tool contents than normal one. This means that Mathematics study based RME theory with virtual operation contents makes student more participate learning actively. It helps the students who have passive learning habits to have self-directed learning habits, ability to cooperation and communic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athematics study based RME theory is very helpful for student to improve their spatial sense and have positive effect on self-concept in mathematic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and improving study habits in mathematical attitudes.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6학년 수학교과서의 도형 영역을 분석하여 RME에 기반한 가상조작도구 콘텐츠를 개발하고, 이를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공간감각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6학년 도형 영역에서 가상조작도구를 활용한 RME기반 수학 학습이 일반적인 수학 학습보다 공간감각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이는 평면적인 학습 환경에서 벗어나 RME기반 3차원 가상조작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이 교육적으로 의미가 있으며 학생들의 공간감각을 기르는데 효과적인 방안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6학년 도형 영역에서 가상조작도구를 활용한 RME기반 수학 학습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특히 수학적 태도의 3가지 하위 요소인 수학교과에 대한 자아개념과 교과에 대한 태도, 교과에 대한 학습습관에서 모두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가상조작도구를 활용한 RME기반 수학학습이 자기주도적인 학습 습관을 길러주고 수업에 임하는 학습 태도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모둠 내에서 서로 협력하고 의사소통하는 모습도 발견할 수 있었다.

      • KCI등재

        ChatGPT의 수학교육 활용 가능성 탐색: 분수 문제에 관한 학생의 산출물과 예비교사의 담화 사례를 중심으로

        손태권 한국수학교육학회 2023 初等 數學敎育 Vol.26 No.2

        In this study, I explored the possibility of using ChatGPT math education. For this purpose, students' problem-solving outputs and conversation data between pre-service teachers and a student were selected as an analysis case. A case was analyzed using ChatGPT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mathematics education experts. The results that ChatGPT analyzed students' problem-solving strategies and mathematical thinking skills were similar to those of math education experts. ChatGPT was able to analyze teacher questions with evaluation criteria, and the results were similar to those of math education experts. ChatGPT could also respond with mathematical theory as a source of evaluation criteria.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potential of ChatGPT to analyze students' thinking and teachers' practice in mathematics education.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properly applying the evaluation criteria or providing inaccurate information, so the further review of the derived information is required. 본 연구는 수학교육에서 ChatGPT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분수 문제에 대한 학생의 산출물과 예비교사와 학생과의 담화 자료를 사례로 선정하여 ChatGPT를 통해 분석하고 수학교육전문가의 분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학생 자료는 학생의 문제해결 전략과 수학적 사고를 분석했으며 예비교사 자료는 예비교사의 발문이 학생의 반응을 토대로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발문이 수학적 사고를 이끌어내는지를 평가 기준으로 선정하고 ChatGPT에게 분석을 요청하였다. ChatGPT의 분석 결과, 학생 자료에 대한분석 결과는 수학교육전문가의 분석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예비교사 자료는 유사점과 차이점이 함께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교육에서 ChatGPT의활용 가능성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2015개정교육과정 분수의 덧셈과 뺄셈에 관한 수학 교과서 및 익힘책 분석

        손태권,여승현,황성환 대한수학교육학회 2020 학교수학 Vol.22 No.3

        Mathematical problems in textbooks play a critical role to determine the quality of opportunity to learn. In this study, we analyzed fraction addition and subtraction units in the mathematics textbooks for the fourth and fifth grades to examine what opportunities students might have through learning the units. Problems or tasks in textbooks were analyzed in three phases: contextual features, problem-solving situations, and mathematical activi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problems with representations were the most frequent type, and problems with real-world context were provided about 20% in fraction addition and subtraction. Regarding problem-solving situations, ‘part-part-whole’ in addition of fraction and ’separate‘ types in subtraction of fraction were dominant respectively whereas there was a lack of problem types based on problem-solving situations. Moreover, the majority of the problems with real-world contexts consisted of the easiest problems. Lastly, the general pattern of mathematical activities in the primary tasks emerged: ‘confirming the problem’, ‘predicting’, ‘investigating’, ‘finding the solution’, ‘explaining and justifying’. However, emphasized mathematical activities varied depending on common denominators or uncommon denominator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mathematics textbooks were draw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